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적 경험 중심의 디자인 분석과 활용 전략 연구

        문은아(Eun A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오늘날 감성의 요소는 소비환경에서 중요한 표현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어, 제품을 개발하는 디자인 과정에서도 다양한 감성적 경험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유형의 의미를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로 제안하고, 주방용 도자 브랜드 제품들을 감성적 경험 중심의 디자인 요소로 분석함으로써 도자 제품개발 과정에 효율적으로 활용 할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주방용 도자기 회사 및 디자이너 스튜디오 관련 인터넷사이트의 정보와,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출판물들. 언론매체의 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내용의 고찰과 분석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범위와 내용에서는 먼저 생활환경과 소비문화를 근거로 주방용 도자 산업의 변화요인을 파악하고 감성적 경험중심의 디자인 개념과 감성 제품의 발단단계를 다룸으로써 외형의 미학적 감성요소 중심에서 무형의 의미 전달이 중요한 감성요소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감성적 경험 중심의 디자인요소를 무형화의 의미가치와 유형화의 표현 도구로 나누어 도자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함에 있어, 무형의 의미는 개인적 의미, 사회적 의미, 문화적 의미의 세 가지 차원의 감성유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요소로 감성을 유발하는 매개체, 감성코드, 감성언어의 측면과 디자인의 유형화 도구로 미학적 감각의 표현 요소와 기능으로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가지 감성 유형의 의미가 추구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방향은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능동적인 시장 조사가 수반되어야 하고, 제품의 핵심적인 의미 철학의 적용은 일관성과 동시에 다양성이 공존해야 한다. 또한 혁신적인 디자인기획의 가능성은 개방된 디자인 환경과 사고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가치 있는 제품의 의미창출은 협력과 협업으로 가능 하다. 이러한 방향과 환경 속에서 발견된 감성적의미는 제품에 가장 핵심적이고 강력한 도구로써 브랜드의 정체성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Emotional factors play a crucial expressive role in contemporary consumer environments. The product design process therefore inevitably involves strategies to evoke various aspects of emotional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implications of specific types of emotion as key design elements, and presented guidelines for their efficient application in the ceramic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y analyzing ceramic kitchenware brand products as emotional experience-centered design elem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a basic data collection based on relevant databases, Internet searches on ceramic product manufacturers and studios, as well as reference literature such as published dissertations, books, and media coverage, followed by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content. The scope and cont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ing factors influencing the ceramic kitchenware industry were examined in light of living environments and consumer culture. The changing trends were subsequently analyzed with specific focus on the design concept and product development stages associated with emotional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volution of design-related emotional elements of products demonstrated a shift from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aesthetic interest to the conveyance of invisible connotative values. Based on this finding, design elements focusing on emotional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immaterial connotative values and material expression tools. These categories were then applied to the case studies on ceramic products. Finally, product analyses were performed under the classification of the immaterial values into three types of emotion, namely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For analytical purposes, each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emotion-inducing media, emotional codes, and emotional language. The design elements were concretized as the expressive and functional elements of aesthetic sensitivity to analyze the materializing tool. Product design based on the values related to the significance associated with the three types of emotion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take the following design directions into consideration. An active socio-cultural market survey should be conducted, and the semantic philosophy informing the essence of the product should include both consistency and diversity. In addition, a liberal design environment and mindset can stimulate innovative design planning, and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make innovative meaning creation related to a valuable product possible. The emotion-laden values associated with particular products that are discovered following these guidelines could be used as essential and potent tools to enhance brand identity and valu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감수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영숙,한미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ultural competence. Participants were 218 students of three different nursing college which are located in B and K citie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for medi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 emotional intellige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β=.497, p<.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ultural competence (Sobel test: Z=2.564, p=.010). The findings sugges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highly recommended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문화적 역량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감수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와 K시에 있는 3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감성지능, 다문화감수성, 문화적 역량을 포함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프로그램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와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로 감성지능, 다문화감수성과 문화적 역량 세 변수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감성지능은 다문화감수성(β=.177, p=.008)과, 문화적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305, p<.001) 감성지능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감수성은 부분매개효과(β=.49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obel test: Z=2.564, p=.0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에 있어 다문화감수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 및 다문화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감성의 서사 공정과 문화적 인지 도식

        장일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호남학 Vol.0 No.64

        Emotion is not a fixed or universal entity, but a constitutive notion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ultural parameters. Therefore, emotional factors are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 and process involved in its constitution and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narrative emotional processing tha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phases in which discourse of emotion composed in the process of discourse is communicated. Understanding the cognitive schema of the emotional factor doubled in the interline between the nonverbal utterances or in the inside of the untterenc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one-dimensional factor of the emotions revealed on the surface of the utterance. In addition to the image schema applied to perceive the emotions of the surface layer, a motor-dynamic schema that promotes the progress of narrative,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transition pattern of the phase schema involved in the division and diffusion of emotion, all those are cognitive cogs of emotional narrative processing.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cognitive schema in these processes is an important clue. It is the essence of this article to take a look at the series of methodical concepts in the context of such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 감성은 고정적이거나 보편적인 실체가 아니며 문화적 조건에 따라 변이되는 구성적 양태다. 따라서 감성은 그 구성과 작용에 관여된 기제와 공정에 대한 이해가 관건이다. 담론의 진전 과정에서 구성되는 감성의 언설이 소통되는 국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서사적 감성 공정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발화 표층에 드러난 감성의 일차원적 요소보다 발화 이면에 배이거나 발화되지 않은 행간에 배인 감성 인자에 대한 인지 도식의 이해가 관건이다. 표층의 감성을 인지하는 데 적용되는 이미지 도식은 물론 서사의 진전을 추진하는 동역학 도식, 감성의 분할과 확산에 관여된 위상 도식의 전이 양상에 대해 해석하는 것이 감성의 서사 공정에 대한 논의의 골자를 이룬다. 이러한 공정에 작용하는 문화적 인지 도식에 대한 해석은 중요한 단서이다. 이러한 해석의 여지가 큰 『혼불』을 사례로 방법적 개념의 계열을 타진하는 것이 이 글의 요체다.

      • KCI등재후보

        동북아 전통연희에 나타난 문화적 감성과 문화콘텐츠적 요소 연구

        심상교 ( Sang Gyo S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2 No.-

        동북아 3국-중국·한국·일본-의 문화적 감성의 공통점을 찾고 이를 문화콘텐츠화 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공통적인 주제소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 동북아 3국의 전통연희 가운데 전승과정이 분명하고 서사성이 강하며 현재에도 대중들이 선호하는 장르 몇 가지를 대상으로 공통된 문화적 감성의 측면을 주제와 관련지어 살폈고 문화콘텐츠화 가능성 측면은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관련지어 살폈다. 문화적 감성의 공통점을 찾는 일은 대상이 되는 작품들에 나타난 공통된 주제를 찾는 일과 밀접하기 때문에 공통된 주제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살폈고, 문화콘텐츠화 하는 방법모색은 공통된 문화감성이 어떤식으로 표현되었는지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살폈다. 세 나라의 전통연희에는 다양한 용어가 있지만 본고에서는 포괄적 의미의 전통적 공연형식이란 의미로 전통연희라는 용어로 사용했다. 고찰 대상 전통연희는 중국의 『서상기』, 일본의 『주신구라』, 한국의 『춘향가』였다. 이상의 세 부류는 공연발생 시점이나 공연형식 등은 다르나 현재까지도 대중들에게 선호되는 장르이며 서사성이 풍부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중들에게 선호되며 서사성이 풍부하다는 공통점은 중요한 시사점이다. 또, 전통연희라는 공통점은 세대에 걸친 문화적 감성이 집적되어 있고 그 가운데서 효율적 표현성을 가진 것들만으로 구성된 집약성도 나타내기 때문에 문화콘텐츠로의 활용에 효과적이 될 수 있다. 공통된 문화적 감성의 측면은 1. 가치관에 우선하는 인간의 성정, 2. 완성지향성, 3. 해원을 통한 감격유도로 나누어 살폈다. 문화콘텐츠화 가능성 측면에서는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중심으로 살폈다. 결과는 1. 우연성, 2. 선악대결의 대립구조, 3. 도식화된 결말 측면에서 고찰했다. 이상의 논의 결과들은 문화콘텐츠를 만들어 내거나 기존의 것을 문화콘텐츠로 재창조 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응용될 것이다. This thesis analysis 『西相記』, 『忠臣藏』, 『春香歌』in a cultural sensibility & melodramatic viewpoints. They contained abundant epic structure & are loved by mass. Why they are loved through long long time. It is core of this thesis. They are inherent in humanity, balance, impression. They raise marriage for emphasis on natural human instinct. They pursuit balance in society for their happiness. Balance is expressed through love & marriage. Impression is compensation of enduring sufferings. These genre contains varied characteristics which are created diverse works. For example, contingency/opposition structure/wiping grudge. These elements are contribute to these works acquired mass-popularity. These elements are melodramatic characteristics, too. These elements are utilized for contemporary art works.

      • KCI등재

        외국인 관광객의 게스트하우스 이용에 관한 연구

        전기흥(Jeon, Ki-Heung),조문찬(Cho, Moonchan),굴지야 샤발로바(Shabalova, Gulziya)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에 최초로 외국인 관광객이 1,000만 명을 넘긴 이후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1,420만 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6.6% 증가하였다. 외국인 관광객 수의 증가로 인해 숙박시설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중 중국 관광객(2014년 기준 약 600만 명)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중저가 숙박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용이 편리하고 저렴한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관광객의 게스트하우스 이용에서 어떤 요인이 이용만족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게스트하우스의 환경적 편리성, 경제적 가치, 문화적 전통성, 종업원의 친절함이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신뢰 및 감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신뢰와 감성이 이용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스트하우스의 환경적 편리성, 경제적 가치, 종업원의 친절함은 게스트하우스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화적 전통성 및 종업원의 친절함은 게스트하우스의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게스트하우스의 신뢰와 감성은 외국인 관광객의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Foreign tourists who have visited in Korea are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the Korean TourismOrganization, foreign tourists exceeded 10 million in 2012, and are increasingmore andmore. Itwas 14.2millions in 2014, and that is the growth of 16.6 percent comparedwith the prior year. Accommod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also because of increasing of tourists. Chinese visitors who have reached six millions in 2014 stimulate demand of low priced accommodations. So, guesthouses have got their popular because of convenience and lowprice. This Study researched independent factors on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Specifically, convenience of environment, economic value, traditions of culture, and kindness on trust and emotion of visitors for guest houses were focused on. So, trust and emotion on satisfactionwas researched. Major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convenience of environment, economic value, and kindness have affected on trust positively. Second, traditions of culture and kindness have affected on emotion of guesthouses positively. Third, trust and emotion have affected on satisfaction of visitors positively.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에 최초로 외국인 관광객이 1,000만 명을 넘긴 이후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1,420만 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6.6% 증가하였다. 외국인 관광객 수의 증가로 인해 숙박시설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중 중국 관광객(2014년 기준 약 600만 명)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중저가 숙박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용이 편리하고 저렴한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관광객의 게스트하우스 이용에서 어떤 요인이 이용만족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게스트하우스의 환경적 편리성, 경제적 가치, 문화적 전통성, 종업원의 친절함이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신뢰 및 감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신뢰와 감성이 이용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스트하우스의 환경적 편리성, 경제적 가치, 종업원의 친절함은 게스트하우스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화적 전통성 및 종업원의 친절함은 게스트하우스의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게스트하우스의 신뢰와 감성은 외국인 관광객의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Foreign tourists who have visited in Korea are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the Korean TourismOrganization, foreign tourists exceeded 10 million in 2012, and are increasingmore andmore. Itwas 14.2millions in 2014, and that is the growth of 16.6 percent comparedwith the prior year. Accommod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also because of increasing of tourists. Chinese visitors who have reached six millions in 2014 stimulate demand of low priced accommodations. So, guesthouses have got their popular because of convenience and lowprice. This Study researched independent factors on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Specifically, convenience of environment, economic value, traditions of culture, and kindness on trust and emotion of visitors for guest houses were focused on. So, trust and emotion on satisfactionwas researched. Major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convenience of environment, economic value, and kindness have affected on trust positively. Second, traditions of culture and kindness have affected on emotion of guesthouses positively. Third, trust and emotion have affected on satisfaction of visitors positively.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문화적 관점에서 본 북한체제 지속요인 연구

        정지웅(Jung, Ji Ung) 북한학회 2017 북한학보 Vol.42 No.2

        본 연구는 김일성 사망이후 끊임없이 제기된 북한붕괴론에 반하여 문화적 관점에서 북한 체제지속요인에 대해 탐구하였다. 즉 “왜 북한 체제가 붕괴되지 않는지?”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논의된 북한 붕괴론을 유발하였던 다양한 내외적 환경이 있었지만 김정은 정권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 자체가 바로 북한 붕괴론의 한계를 보여 준다고 할 수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체제를 유지시키는 다양한 문화적 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북한 체제를 떠받치는 문화적 요인이 도사리고 있어서 체제붕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 체제를 떠받드는 문화적 요인으로는 유교문화의 영향, 정신문화의 영향, 민족주의의 강조, 주체사상의 강조, 통제로 인한 시민사회의 미형성, 감성통제, 그리고 북한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종교국가라는 것을 제시하였 다. This paper has attempted to study against the collapse of North Korea since the death of Kim Il Sung. I concentrate on the reason why the North Korea has not collapsed through a variety of cultural approaches. Up to present, there are so many opinions a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bout the North Korea-collapse-theory, but the Kim Jong-un s regime is still existed. This shows the limits of the North Korea-collapse-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cultural factors that maintain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is study, I insist that cultural factors keep the North Korea regime as followings;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influence of mental culture, the emphasis on nationalism and the Juche idea, the absence of civil society, the emotional control, and a giant religious state.

      • KCI등재

        관광지를 재방문하는 이유 : 전주한옥마을 재방문객을 대상으로

        전기흥(Jeon Ki Heung),박성근(Park Seong Keun),이종관(Lee Jong Goan) 韓國商品學會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1

        1회성 관광에 초점을 맞춘 관광정책으로는 관광의 영속성을 확보할 수 없다. 특히 관광객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관광의 빈도가 증가한다는 점으로 볼 때, 최근의 관광추세는 반복관광이다. 따라서 최근의 도시 관광의 정책역시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지에 관광객을 계속적으로 오게 하는 이유를 이성적 요인과 감성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전주한옥마을을 재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지의 독특한 이미지와 문화적 이미지, 그리고 관광지 운영 프로그램은 관광지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환경의 편의성 및 운영 프로그램은 관광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는 관광지 감성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감성 역시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한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을 관광지에 재방문하게 하려면 관광지 신뢰와 감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관광지 신뢰를 증대시키는 요인은 이성적 요인으로 관광지의 환경을 편리하고 청결하게 조성해야 한다. 반면에 관광지 감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은 성적 요인으로 타 관광지와 구별될 수 있는 독특한 이미지, 문화적 이미지를 구성해야 한다. 관광지의 운영 프로그램은 관광지 재방문의 이성적, 감성적 요인이다. The tourismpolicywhich focuses on a one-time sightseeingwill never secure a sustainability of tourism. Especially in terms of the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 of tourists' income level and frequency of tourism, it is said that a recent trend in tourism is a repetitive sightseeing. And also, we can know that a recent policy of city sightseeing is focused on tourists' revisit intentions. Based on some prior research results, the authors figured out which rational and emotional factors lead people to visit a tourist site. Sampling frame is those tourists who revisited Jeonju Hanok Village. As results, those variables that are unique image, cultural image, and operational program of tourist site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feeling of tourist site. An environmental convenience and operational program of tourist site positively affected the trust of tourist site. The study showed that the trust of tourist site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feeling of tourist site and the intention of revisit to tourist site. And als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tourist site and the revisit intention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test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in the following. In order to attract tourists to revisit tourist site, it is known that the trust and feeling of tourist site should be increased.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that they should increase the trust of tourist site andmake tourist site environments clean and convenient. The tourist site trust is a rational factor. And other things that should be kept in mind are that practitioners should build up unique and cultural images.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 tourist sites. The feeling of tourist site is a emotional factor. The operational programof tourist site is a rational and emotional factor of revisit to tourist site.

      • 디지털미디어 시대 문화적 불통과 대안 고찰

        최혜경(Hye-Kyeong Choe)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4 마음공부 Vol.8 No.-

        1. 들어가며: 초월적 접속 시대의 문화 이질성 2. 문화적 불통의 요인과 감성적 징후들 3. 대안적 인식 탐구: 마음의 발견, 규준의 창조, 관점의 변용 4. 나가며: 감성 혁명의 서막 참고문헌 이 글은 오늘날 미디어 시대에 주목하게 되는 문제로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문화 지체 등으로 인한 이질성의 극대화를 들어, 그 감성적 영향 관계를 분석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에 따라, 각 개인이 당면한 문화적 불통의 양상을 성찰하고 소통의 실현을 체험하기 위한 대안 모색의 측면에서 고려할 주요한 의식적 층위들을 제시하고 논하였다. 본문에서는 문화적 불통을 야기하는 의식적 층위의 요소로 ‘반응의 그룹화, 은폐의 논리, 피동적 수렴’이라는 세 가지 지점을 중심으로, 이것이 어떠한 내적 감성과 연계되어 사회적 파편화의 양상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진술하였다. 또한 소통의 실현과 체험을 위한 측면에서 ‘마음의 발견, 규준의 창조, 관점의 변용’을 들어 이것이 각기 불통의 해법으로 어떠한 의미와 효용성을 지닐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문화적 불통의 문제와 그 대안을 아울러 논의한 바의 지향은 사회적 연결성과 소통의 기능을 회복하는 작업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삶을 모종의 연속된 서사와 정체성이 담긴 것으로 인식하게끔 하는 자기성찰적 접속 혹은 사회적 연결 행위를 소통의 본질적인 기능이자 의미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연결성의 체험 과정에서, 관점의 변용을 통한 행복의 가변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서사와 정체성을 기록해가는 일련의 시도가 불통의 대안으로 유효성을 지닐 것으로 전망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태만에 대한 조직 갈등의 영향력, 감성지능 및 문화적 성향과의 구조적 관계

        고종식(Jong-Sik Ko),강경목(Kyoung-Mok Ka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동일한 조직에서도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조직갈등의 사회적 태만에 대한 영향력과 개인특성 요인으로서 감성지능과 문화적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자료는 설문지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갈등의 사회적 태만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의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있다. 둘째, 조직갈등과 사회적 태만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과 문화적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감성지능은 관계갈등에서, 문화적 성향은 과제갈등에서 조절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장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지각하는 갈등의 결과로서 사회적 태만에 의한 기업의 경쟁력 감소와 근로자들의 정신적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nfluence of social loafing by employees" organizational conflict(task conflict, relation conflict) and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modification variable of corporate employees" culture orient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variable as followings; First, the independence variable established the corporate employees" organization conflict. Second, the result variable established the social loafing. Third, the modification variable established the culture orientation of corporate employe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investigate the variable inter-relationship used the hierarchy regression analysis, and 140" corporate employees who had worked in Chun Buk-provinc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effects of employees" organization conflict to the social loafing. Second, it tested the positive influence of modification variable by the employees" culture orient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