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부길만(Booh, Gil-Mann)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朴辰一 한국청동기학회 2007 한국청동기학보 Vol.1 No.-

        Roll-Rimmed Pottery culture in Korean Peninsula can be divided into 5 subphases according todifferences in assemblages constituted of several kind of roll-rimmed vessels, jar with handles,bronze implements, iron implement, and grooved adze. In the earliest subphase, roll-rimmedpottery first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the political circumstances of north-eastern China in Spring-Autumn Period, and its similarity with Liangquan[凉泉] culture, the phasecan be dated to the 5th century B.C. The third one, during which the Korean-style bronze daggernewly appeared, can be dated to the 4th century B.C. The fourth one witnessed broad spread ofiron technology following Warring States style and triangular roll-rimmed pottery and can bedated to the 2nd century B.C. Finally, the fifth one that was characterized by 'emergence of wajil(soft gray) pottery and drastic increment of iron implements, was the 1st century B.C. The emergence of roll-rimmed pottery assemblage accompanied with iron culture means theend of Bronze Age, which is broken into 3 phases: the Early (Misari style), Middle (Garakdong,Yeoksamdong style) and Late (Songgukri style). The first and second subphases of roll-rimmedpottery culture, overlapped with some part of Late Bronze Age and the fifth one phase over-lapped with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us Early Iron Age coincides with the third andfourth phases of Roll-Rimmed Pottery culture and spanned about 300 years, from the fourth tosecond century B.C. 한반도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점토대토기와 파수부호, 청동기·철기, 유구석부 등의 유물조합에 의해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1단계는 한반도에 점토대토기가 처음 등장하는 시기로 중국 동북지방 凉泉文化와 춘추시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기원전 5세기대로 볼 수 있다. 한국식동검이 등장하는 3단계는 기원전 4세기대로, 전국계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등장하는 4단계는 기원전2세기대가 중심이다. 또 와질토기와 다량의 철기가 보이는 5단계는 기원전 1세기대가 중심이 된다. 한편 점토대토기와 함께 한반도에 전개되는 초기철기문화의 사회문화적 변동은 점토대토기문화가 기존 청동기문화의 연속이라기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문화임을 역설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송국리유형까지만을 청동기시대로 보아 청동기시대는 조기(미사리유형)-전기(가락동,역삼동유형)-후기(송국리유형)로 나눌 수 있다. 한편 본고에서 설정한 점토대토기문화 중 1,2단계는 송국리유형과 같은 시기로 볼 수 있으며, 5단계는 원삼국문화와 중첩된다. 따라서 초기철기시대는 앞서 살펴본 5단계 중 3단계와 4단계만을 지칭할 수 있으며 철대연대로는 기원전 4~2세기의 약 300년의 기간이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 移住와 定着의 고고학적 현상과 의미

        정대봉(Jung, Dae Bong) 부산고고학회 2016 고고광장 Vol.- No.18

        본고는 우리나라 선사시대에 최초로 나타나는 청동기시대 조기 이주와 정착에 관한 현상을 이론적 접근을 통해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文化變動을 바라보는 주된 시각인 이주와 전파의 이론적 개념을 이해한 다음, 이를 한반도 중남부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의 물질문화에 적용하는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한반도 중남부지역 청동기시대 물질문화의 형성은 청천강~압록강유역의 한반도 서북지역의 큰 영향 아래. 두만 강유역의 동북지역 문화요소가 융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 두 지역은 신석기시대에서 청동 기시대로의 전환이 연속적인데 반해,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해당시기 전환기는 극히 단절적인 것이 사실이다. 현재 까지의 자료로 보는 한, 확실한 점은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종말기의 상황이 뚜렷하지 않으며 이어지는 청동기시대 개시기의 유물복합체와 보이는 異質性이다. 전환기에 돌연 등장한 이런 문화변동은 前시기와 개연성이 짙은 한반도 서북지역의 그것과도 절대적인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변동은 한반도 서북지역 주민의 집단 ‘移住’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다. 이는 전파와는 분명히 구별해야 할 개념이며 이러한 이주와 그 후 정착의 과정은 또 다른 문화변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고의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주를 발생케 하는 요인으로서 원거주지의 사회적 변동과 기후변동을 근거로 삼았다. 둘째, 이주 후, 정착의 고고학적 증거로 청동기시대 조기 방형주거 지의 속성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주거지의 형태 및 속성이 초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포착 하였으며, 이는 필자의 지난 토기연구 결과와도 정합하는 것으로서 청동기시대 조기 후반으로 획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주 집단과 선주민의 力關係에 따른 공간적 모델을 창출하여 한반도의 실정에 맞게 추론하였다. 이에 따르면 한반도 중남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기의 공간적 모델은 ‘獨立的 土地占有’ 임을 가정하였다. This paper focus on to prove migration and settlement in early Bronze age on the Korea peninsula by theoretical approach. Method of research is to understand cultural changes and then apply deductive method on the material culture of Korea peninsula. Formation of the material culture in early Bronze age is built by direct influence of the northwestern province where is Chung chun river and Aprok river basin. On the other hand, there is continuedness among the material culture in northwestern province and northeast province, there is no probability among the material culture between the Neolithic Age and early Bronze age on the Korea peninsula. Based on current data, one thing is for sure that phenomenon of terminal period of Neolithic Age is unclear, and there are so different among the archeological materials. Change in cul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is so different by northwestern province which is highly probable of the earlier times of the Bronze age. Therefore, I think that this phenomenon on the change in culture have the possibility by migration. Moving of a group is the people who live in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 peninsula. Also, this must be subdivided by culture diffusion.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can be recognized another way which grasp the meaning of the archeological materials. Major core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n the sort and cause of migration, and then as a basis to this is social change and climate change. Second, after migration, As archeological evidence I select type of structure change process in early Bronze age on Young Seo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I traced turning point which is changed comparing with the initial stage. And this is tally by my past studies which is presupposed in early Bronze age. Lastly, as creating spatial interaction model among the settler and indigenous people, I make a deduction apposite to the case of Korea peninsula. According to this, spatial interaction model of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early Bronze age and Neolithic age is independent land occupation. Finally, I think that it goes with the course of time, material culture of the indigenous people is dissipated.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문화 ‘공존모델’의 특징과 문화복잡성 연구

        이헌종(Lee, Heon-jo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The flake tool industry with heavy weight tools, based on the Pebble Tool tradition from the Middle Paleolithic and the blade tool industry co-existed around 40ka. Main artifacts are persisted such as pebble tools. However technological features had changed more delicate flaking and retouching for making not only heavy weight tools but flake tools. Preparation of cores are also more advanced such as preparation of striking platform, rejuvenating process on the frontal part and corner of striking platform of cores for the more elongated flakes. On the technological contexts, it is suggested that the blade technology had given strong influence on the technological choices of the pebble-tool makers. And, flake tool industry characterized by the various flake tool assemblage which adopted the new lithic raw material and flaking technique has appeared. Around 40ka the blade tool industry was settled in Korea, and this made it spread into the Korean Peninsula until 15ka. and Microblade Culture had been gradually started from 25,000 B.P. and continued to the beginning of Neolithic. After the 15ka bifacial leaf shaped spear head and arrow head were an important stone tools to designate its time. Otherwise microlizational cognition of microblade industry has an effect to appear unique type small flake tool industry such as Hwajeongdong site. Therefore four Culture Lines shows the complexity react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from around 45ka B.C. to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Especially There are three cultural lines during 40ka-25ka B.C. and whole lines co-existed during 25-15ka B.C. According to this situation Korean Upper Paleolithic should not interpreted by unilinear evolutionism. Four culture line was coexisted each time ranges and partially there are possible to exist technological hybridization between the industries. Korean Upper Paleolithic has variation through the concept coexistence model based on the period and cultural complexity system.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시대에는 중기구석기시대 이래로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40ka 전후에 돌날석기를 기반한 후기구석기시대 문화가 공존하기 시작하였다. 돌날석기문화는 2단계를 거쳐 후기구석기시대의 최말기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유적들의 일부는 돌날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또 다른 형태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의 한 유형을 만들어 내었다. 자갈 돌석기전통의 석기문화에 종장격지를 생산하는 몸돌의 등장과 그 기술체계를 예로 들 수 있다. 돌날석기문화가 우리나라에 정착이 가능했던 것은 돌날의 기술체계의 적용이 가능한 석재 산지의 발견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수양개 VI지구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돌날석기문화는 석재의 안정적 지원을 받는 곳에서는 다른 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석기제작체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새로운 석재에 대한 인식은 격지석기 전통에도 영향을 주어 기존의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또 다른 갈래로 나타나게 되었다. 새로운 석재의 범위에는 항상 좋은 석재 뿐 아니라 육성암계 맥석영을 활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돌날석기문화가 후기 구석기시대 최말기까지 지속되고 있을 때 세형돌날문화의 한반도로의 이주가 25ka 전후에 있었고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를 넘어 초기 신석기시대까지 그 문화적 속성을 이어갔다. 한편 세형돌날문화의 소형화 인식은 격지석기를 다루는 인식에도 영향을 주어 화정동유적과 같은 독특한 유형의 격지석기들을 제작하는 경우도 나타 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문화는 단선적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네 문화갈래가 한반도 내에 공존 하며 석기문화 사이의 기술적 융합이 부분적이라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 문화는 위의 시간적 공존모델과 문화복잡성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 다양성을 갖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 -금속기의 출현과 정치체의 등장을 기준으로-

        조진선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Liaodong and Liaoxi regions are within the spatial scope of Korean archaeology in th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at this geographical area as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cultures,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started from ca. 20th century B.C. to the late B.C. During this period, Early Bronze Age culture,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nd Early Iron Culture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including Gojoseon, had also begun during this period. Based on changes in material culture, Early Bronze Age period lasted from the 20th to 10th century B.C. when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appeared and developed. The Mid Bronze Age spanned from the 9th/8th centuries B.C. when Lute-shaped bronze culture emerged and developed, until the 6th/5th centuries B.C. in Liaoxi, and the 4th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Late Bronze Age lasted from the 5th to 4th century B.C. in Liaoxi when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were spread to the Shiertaiyingzi Culture zone, and until the 3rd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when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emerged ther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Early Iron Age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entered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Gojoseon entered Chinese historical records since around the 4th century B.C. during the Late Bronze Age, even though it is highly likely that Gojoseon emerged during the Mid Bronze Age. Thus, it is possible to use “Gojoseon” as a period marker from the 4th century B.C. Early states such as Gojoseon, Buyeo and Samhan appeared in Chinese records in large numbers i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during the height of the Early Iron Age. Therefore, Gojoseon, representing early states during that time, can be used as a period marker for this particular period in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한국고고학에서 선사시대는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역사시대는 왕조의 변천을 중심으로 시대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선사시대에서 원사시대로 전환되는 시기여서 한 가지 기준만으로 시기구분 하기는 어렵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공간적 범위는 무문토기문화의분포권이면서 비파형동검문화와 세형동검문화가 분포하는 한반도와 요동·요서지역까지이다. 필자는이를 한국고대문화권으로 설정하였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은 한국고대문화권을 포괄할 수 있는 안이어야 한다. 한국고대문화권에서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후경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초기청동기문화, 비파형동검문화, 세형동검문화, 초기철기문화가 차례로 등장한다. 또한 고조선을비롯한 초기국가들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시기구분하면, 청동기시대 전기는 초기청동기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20~10세기경까지이며, 청동기시대 중기는 비파형동검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9~8세기부터 기원전 6~5세기(요서), 또는 기원전 4세기(요동과 한반도)까지이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전국시대의 중원계 물질문화가 대거 들어오면서 요서의 십이대영자문화가 크게 변화되고(기원전 5~4세기), 이어서 요동과 한반도에 세형동검문화가 등장하는 때(기원전 3세기 초)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원전 3~2세기에는 전국시대 중원계의 초기철기문화(세죽리-연화보유형)가 들어온다. 고조선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 사서에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낸것은 청동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4세기경부터이다. 그러므로 이때부터는 고조선을 시대 명칭으로 병기해도 좋을 것이다. 초기철기문화가 들어오는 기원전 3~2세기에는 고조선은 물론 부여와 삼한 등의초기국가들이 대거 등장하는 시기이므로 초기국가들을 대표하는 고조선을 시대명칭으로 사용하여도좋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고지성 취락의 구조와 재지·외래문화의 상호관계

        홍주희 고조선단군학회 2023 고조선단군학 Vol.52 No.-

        이 글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도래 이후 한반도 중부지역 고지성 취락의 구조와 변천, 취락 내 재지 및 외래문화와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본격적인논의에 앞서 점토대토기문화 도래기에 대한 편년을 시도해 청동기시대 후기와 초기철기시대로 구분하였고, 청동기시대 후기는 전반과 후반으로 세분하였다. 이러한 편년안을 기준으로 대상유적인 화성 동학산유적, 안성 반제리유적, 강릉 방동리유적, 고성 송현리유적의 시기별 변천양상을 분석하였다. 청동기시대 후기의 고지성 취락은 중기 문화를 계승하는 차원에서 능선사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주거지를 축조하되 10동 내외의 주거지가 군집을 이룬다. 충적지 취락에 비해 기능에 따른 공간분화가 뚜렷하지 않으나 창고를비롯한 생산시설, 무덤 등은 주거군집과 영역을 달리한다. 이는 혈연을 중심으로 복수의 주거군집을 형성하며, 취락 내 공간의 기능적 분화를 보이는 중기 재지취락의 구조를 일부 계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은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러 급속도로 쇠퇴하거나 소멸하지만, 대상유적 중안성 반제리유적은 청동기시대 후기 후반 무렵부터 초기철기시대까지 취락이 성행한다. 주거지의 규모나 형태는 변화하였으나 중앙의 공지를 에워싸고주거군이 형성되었고, 무덤이 주거군 외측에 배치되는 등 취락의 구조는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과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화성 동학산유적의 다중 환호와 안성 반제리유적의 제단과 환호‧목책열은 주민의 會合 장소 또는 祭場으로 활용되었던 취락 내 空地를 영역화하는소위 환구의 역할로 추정된다. 이와는 달리 강릉 방동리유적 C지구 환호와안성 반제리유적 구상유구는 주거군집의 경계 또는 방어를 목적으로 구축되어 초기철기시대까지 지속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형태와 유물상으로 보아 재지 청동기문화와 점토대토기문화는 명맥을 유지하며 공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재지계 주거지 내에서는 점토대토기 관련 유물들이 혼재하지만, 외래계 주거지에서는 점토대토기 위주의관련 유물조합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수용방식에 있어서는 점토대토기문화의 경우 다소 배타적이다. 이러한 양상은 두 문화의 접변과 동화과정에서 보이는 상이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의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관한 연구

        공봉진,김창경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2012년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 이래로, 시진핑은 중국 해양 사업 발전을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시진핑은 중국이 ‘해양대국’에서 ‘해양강국’으로의 전환을 강조함과 아울러 ‘해양강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진핑은 “해양강국을 건설한다는 것은 해양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해양을 알아야 하며, 해양을 경영하고 ‘바다’의 잠재력을 분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 “전 인민이 해양의식을 제고해야 하고, 강대한 해양 역량을 건설하여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해양관’을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한국에서의 중국 해양과 관련된 논문이나 저서는 적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관한 논문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본 논문은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정책’의 주요 내용과 각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해양정책을 살펴본다. 그리고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과 관련된 문화사업과 문화산업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하는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관’과 ‘생태문명사상’을 알 수 있고,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정책과 문화사업 및 문화산업을 알 수 있다. 시진핑은 2022년 4월 하이난(海南)을 시찰하면서 “‘해양강국’ 건설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기 위한 중대한 전략적 임무”라고 강조하였다. 중국의 ‘해양강국’ 건설과 관련된 정책은 크게 4개 분야, 즉 해양 안전, 해양 경제발전, 해양문화에 대한 자신감, 해양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중 해양문화에 대한 자신감은 ‘중화 해양문화’와 문화사업 및 문화산업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와 관련된 정책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중화 해양문화에 대한 자신감과 ‘통일중국’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중화 해양문화와 관련된 역사 문명에 대한 조사와 문물 전시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통일중국’을 위해 타이완과 관련 있는 마조문화와 정성공의 타이완 수복과 관련된 내용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국의 해양문화사업과 문화산업에 대한 정책은 여러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두드러진 것은 해양을 주제로 한 드라마나 영화 및 다큐멘터리가 제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 박물관 건립, 해양 관광 등의 방면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신시대 중국 특색 해양문화’ 건설은 중국의 전통 해양문화 정수(精髓)를 기반으로 할 것을 강조한다. ‘신시대 중국 특색 해양문화’ 건설의 목표는 중국 해양문화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중국 정부는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의 길로 가는 역사적 임무이자 사명이라 여긴다. Since the 18th National Congress held in 2012, Xi Jinping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China’s marine industry. Xi Jinping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aritime power, saying that China should change from a ‘sea great nation’ to a ‘maritime power.’ Xi Jinping emphasized that “building a ‘maritime power’ means paying attention to the ocean, knowing the ocean, managing the ocean, and unleashing the potential of the ocean.” He also emphasized that “the entire people must raise maritime awareness, build strong maritime capabilities, and form a ‘socialist maritime outlook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the new era.’”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marine policy and the marine policies implemented by different regions. It then examines cultural projects and cultural industr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hrough this paper, we can understand the ‘maritime view of China in the new era’ and the ‘ecological civilization idea’ emphasized by Xi Jinping, as well as the marine culture policy, cultural projects, and cultural industries in the new era.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literature research. In general, we look at what Xi Jinping emphasized or major documents releas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State Council. In April 2022, while inspecting Hainan, Xi Jinping emphasized that building a ‘maritime power’ is a major strategic task for realizing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China’s policies related to building a ‘maritime power’ largely focus on four areas. The first is marine safety. The second is marine economic development. Third is confidence in marine culture. Fourth is marine protection. And the confidence in marine culture emphasized in China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marin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businesses and cultural industrie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policies related to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is the confidence in Chinese marine culture and a ‘unified China’. To this end, China is conducting research on historical civilizations related to Chinese marine culture and exhibiting artifacts. In addition, it is trying to include Taiwan as part of China for the sake of a ‘unified China’, and emphasizing Taiwan’s related Majo culture and Jung Sung-gong’s restoration of Taiwan. China’s marine cultural projects and policies for the cultural industry are active in many areas. Most notably, maritime-themed dramas, films, and documentaries are being produced, as well as museums and maritime tourism.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emphasizes building on the essence of traditional Chinese marine culture. The goal of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is to take Chinese marine culture to a new level, and the Chinese government considers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o be a historical task and mission on the road to the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 KCI등재후보

        중국 신석기시대 대표적인 문화유형별 토기 장식 문양의 특징 분석 연구

        장위치,강성곤 한국도자학회 2019 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3

        Neolithic Age was a very important stage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prehistoric times in China. The birth of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became the most prominent social and cultural turning point of this era. In addition, various aspects have shown that the various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and living tools produced by the birth of pottery hav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 particular, the various types, forms, and decorative patterns on potteries in the Neolithic Age can be regarded as the valuable materials and evidence of cultural and spiritual consciousness and lifestyle in different areas in the Neolithic 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patterns on pottery in the Chinese Neolithic age by investigating various pottery materials. Through this research, the symbolic significance, developm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ultural types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sciences, the evolution of the animal and plant patterns on the pottery reflects the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ancestors from the fishing-and- hunting economy to the planting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the pattern decoration on Neolithic pottery can be regarded as the pioneer of Chinese culture and the originator of art. Taking the decorative patterns on Neolithic pottery as the study object, this study used various study methods including documentary method, semiotics, archaeology etc. to analyze the decorative features of pottery patterns with different cultural types in the Neolithic Age. The main body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rough sorting out and summarizing the representative patterns of pottery with different cultural types in the Neolithic Age, their respective decorat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second part, the patterns appearing on potteries in the Neolithic Age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geometric patterns, animal patterns and plant patterns. The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different types of patterns are analyzed and studied with example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pattern structure, the pottery patterning methods in the Neolithic Age were investigated. 신석기시대는 중국 선사시대 사회 발전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계였고, 신석기시대의 토기의 탄생은 이 시대의 가장 두드러진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큰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토기의 탄생으로부터 발생된 여러 가지 생활환경과 생활도구의 변화는 보다 다양한 측면으로 반영되어 문화적 발전 요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신석기시대의 토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과 형태 및 장식 문양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도 신석기시대 일정한 지역의 문화와 정신 의식 및 생활양식에 대한 매우 귀중한 자료이자 증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장식 문양에 대하여 그 특징을 고찰하고 다양한 토기 자료들을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유형별 상징적 의미와 시대적 발전 양상 및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며, 이를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토기에 장식된 동물 문양 및 식물 문양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과정을 통해 고대인들은 수렵어로 생활에서 경작생활로의 전환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찾고자 한다. 또한 미술사적으로 보면, 신석기 시대의 토기 문양 장식은 중국 예술문화의 효시이자 중국 미술의 원초적인 표현 양식이라는 점도 인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신석기시대 토기의 장식 문양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문헌적, 기호학적, 고고학적 등의 다양한 연구 영역에서 신석기시대의 문화유형별 토기문양의 장식적 특징을 양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그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술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신석기시대의 문화유형별 대표적인 문양의 정리를 통해 각각의 장식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신석기시대 토기에 나타난 문양을 기하학적 문양, 동물 문양, 식물 문양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사례를 통해 유형별 문양의 특징 및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석기시대의 문양에서 나타난 표현 양식을 구조적 관점에서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따라서 중국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유형별 토기의 장식 문양을 연구자의 분석을 근거로 하여 정리한 결과, 토기는 조형적으로나 장식 문양으로나 소재가 풍부하고 독특한 장식 문양은 중국 고대인들의 삶에 있어서 미적 표현양식의 수준이 매우 높았으며, 중국의 높은 도자문화의 기초가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가 중국 고대 문화를 보존 계승하고 향후 중국 토기를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한국 신석기시대 환경과 문화변동

        소상영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본고는 남한지방 홀로세 환경을 화분분석과 해수면 변동을 통해 4기로 구분하고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온난 1·2기, 한랭 1기의 환경변화와 신석기문화의 변동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온난 1기(10,000~5,300 cal BC)는 플라이스토세가 끝나고 기온과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는 시기로 신석기시대 초창기~전기에 해당한다. 온난 2기(5,300~3,700 cal BC)는 세계적인 기후최적기에 대응하며 기온과 해수면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지방의 신석기문화는 온난 1기 중반 이후에 동·남해안에서 시작된다. 이는 해수면의 빠른 상승이 정체되어 해안지형의 안정과 주변 식생대의 확장과 관련 된다. 온난 2기 중반 이후(4,600 cal BC)에는 동해안 해안사구에 위치한 유적이 소멸하고 중서부지역에서도 본격적인 신석기문화가 시작된다. 동해안 유적의 소멸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사구가 해빈으로 변모하고 해수온도의 상승으로 주 식량자원인 한류성 어종의 감소 때문으로 추정된다. 남부지역은 풍부한 바다자원을 활용하여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신석기문화가 전개되지만 내륙지역까지 확산되기 시작한다. 중서부지역은 해안과 강 하구의 생태계가 안정됨에 따라 생계경제의 복합도가 높아지면서 잦은 거주이동을 하던 수렵채집사회가 조달이동을 통해 다양한 자원을 공급하는 정주성이 높은 사회로 전환된다. 한랭 1기(3,700~400 cal BC)는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에 속한다. 기후는 소나무속의 증가 경향으로 볼 때 대체로 한랭건조화 된다. 해수면은 약간 하강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비교적 큰 진동 폭을 보이고 있어 불안정한 기후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중서부 지역 중심이었던 침선문 토기와 잡곡재배가 남한 전역으로 확산되는 시기이다. 식량자원의 공급은 어로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보이지만, 초기 농경의 확산으로 생계복합도가 증가하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적응전략이 활용된다. 따라서 이 시기는 환경변화보다는 집단에 따른 다양한 적응전략의 선택이 신석기시대 문화변동에 주요 동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ivided the Holocene environmen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four periods based on the analysis of pollens and changes in the sea levels. It focuses on the relevance between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Warm Periods-1/2 and Cold Period-1, which correspond to the Neolithic Age and changes in the Neolithic culture. The Warm Period-1(10,000-5,300 cal BC) refers to the early period of the Neolithic Age, when the temperature and sea levels rose rapidly after the Holocene. The Warm Period-2(5,300-3,700 cal BC) refers to Climatic Optimum Period, when the temperature and sea levels were at the highes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xcept for Jeju Island, the Neolithic culture started on the east and southern coasts in the mid-Warm Period-1 and thereafter. During this period, the rapid rise in sea levels stopped, the coastal topography was stabilized, and nearby vegetation zones were expanded. In the mid-Warm Period-2(4,600 cal BC) and thereafter, the sites on the dunes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disappeared, and the Neolithic culture commenced in the mid-western regions. The Cold Period-1(3,700-400 cal BC) refers to the mid-Neolithic Age and thereafter. During this period, the climate became colder and drier and saw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ne trees. The sea levels declined slightly, but showed a wide range of fluctuations, which is interpreted to indicate an unstable climate. During this period, earthenware with linear patterns and the practice of growing miscellaneous grains, which were primarily in the mid-western regions, spread to the entir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for food resources, fishing still occupied a high share, but farming practices started to become widespread, and people learned to adopt diverse strategies in their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diverse strategies learned in adapting to the environment, rather than changes of the environment, served as a major factor in the changes of culture in the Neolithic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