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현황 분석 및방향 모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정종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9

        Since the enactment of ‘Arts & Culture Education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05,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terms of both size and scope. On the starting line of a new decade, the international level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emerging as a matter of deep interest due to the internal factor such as accumulated capacity in Korean arts & culture education sector, as well as external forces such as rapid growth of cultural ODA policy. Against the background,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a variety of policy projects implemented to facilitate international exchang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Korea Arts & Culture Service, and then to explore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policy. In doing so, the researcher divided a dozen policy projects into four categories(inbound project, outbound project, network/collaboration proj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project), and examined in detail each and every category to reveal its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able to suggest five directions for improving international exchange policy of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clear positioning and perception sharing, demand-based policy making, project operation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innovation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rojects, and process innovation for raising the efficiency of policy projects. Given the absence of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exchange policy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Korea, a comprehensive as well as concret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policy can furnish something of interest and entry point to Korean cultural policy researchers.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 이후 십여년의 세월동안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그 규모와 범위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이루어왔다. 새로운 십년을 향해 발을 내딛는 시점에서 ‘문화 ODA의 확대’와 같은외적 요인은 물론이고 ‘국내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와 같은 내적 요인으로 인해문화예술교육의 국제적 층위에 관한 관심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금까지 진행해온 다양한국제교류 사업들을 대상으로 주요한 성과 및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십여 개에 달하는 정책 사업들을 그 특질에 따라 인바운드 사업, 아웃바운드 사업, 네트워크/협력 사업, 지식정보 구축 사업의 네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주요한 성과를 계승하는 동시에 현재까지 파악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이 지향해야할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명확한 포지셔닝과 인식 공감, 수요기반의적실성 있는 정책수립, 협력적 거버넌스 중심 사업추진,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시스템 혁신, 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 혁신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다.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해당 정책의 현황과 성과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 및 실질적인 전략목표와 세부과제를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이 촉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서문식(Suh Mun Shik),신미숙(Seen Mee sook),하승범(Ha Seung Bum),이샛별(Lee Sat Byu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1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was considered a complex and high-end culture for those with high income, high education background, and artistic acumen. However,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 performance has become universal among the public amidst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ving, changes in consumption value, i.e., the highlighted importance of symbolic value obtainable through consumption behavior itself and experiential satisfaction. This study validated the relative influence of quality of interaction, quality of results, and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quality evaluated by consumers in the service field called 'cultural art performance'. Study1 validated how the relative influence at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change for each genre of cultural art performance. By classifying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largely based on classic performance and contemporary music performance, this study looked into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considered important in attending each performance. Study2 validated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ttending each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evalu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the consumer group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ubgroups based on the specialization of music and cultural preference to verify the control effect among the groups. Finally, Study3 investigated into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depending on the aspects of motivation for consumers to attend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Regard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motivation for attending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the benefits pursued through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4 pursued benefit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e group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extent by which they perceived each benefit that was pursued in order to verify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among the groups. 과거에 문화예술공연은 고소득, 고학력의 예술적 소양을 갖춘 사람들을 위한 복잡하고 어려운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삶의 질 향상 및 소비 가치의 변화, 즉 경험적 만족 및 소비 행위 자체로 가질 수 있는 상징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문화예술공연에 대한 소비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공연이라는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자들이 평가하는 서비스 품질의 하위차원 요소인 상호작용 품질, 결과 품질, 물리적환경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고 있다. Study 1에서는 문화예술공연의 장르별로 서비스 품질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고 있다. 문화예술공연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크게 클래식 공연과 현대음악 공연으로 구분하여 각 공연을 관람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 차원이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Study 2에서는 관람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 질 수 있는지 검증하고 있다.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소비자의 특성으로 음악에 대한 전문성과 문화적 취향에 의해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Study 3에서는 소비자들이 문화예술공연을 관람하는 동기적 측면에 따라 서비스 품질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관람동기에 대한 구분은 문화예술공연을 통해 추구하는 혜택을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4가지 추구혜택으로 구분하여 각 추구혜택을 지각하는 정도에 의해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서비스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 KCI등재

        예술교육의 정치: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

        심보선(Bo-Seon Sh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3

        본 연구는 예술교육 및 그 이념적 토대로서의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를 “시민성”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기존의 연구가 문화 정책의 타당성이라는 견지에서 예술교육을 살펴보았다면 본 연구는 민주적 주체성을 구성하는 문화정치적 동학의 관점에서 예술교육을 살펴본다. 역사적으로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는 예술을 둘러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사이의 헤게모니와 저항을 반영하며 두 이념이 표방하는 예술교육은 그러한 상징투쟁에 관여하는 주체성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제안되었다. 이때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에 상응하는 예술교육은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이라는 민주적 주체성의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을 각각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예술교육이 구성하는 주체성으로 개념화하면서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론과 랑시에르의 미학 이론을 통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본다.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 개념은 예술에 잠재하는 주체화의 정치적 지평을 밝힘으로써 예술교육 내부에 존재하는 긴장과 모순을 드러낸다. 나아가 본 연구는 그러한 긴장과 모순을 단순히 해소할 것이 아니라 제도적이고 행위적인 “성찰성”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교육은 민주적 주체성이 실험되고 실현되는 “논쟁적 공론장”으로 재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as the ideological basis of art education drawing on the notion of citizenship. Whereas the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art education in terms of validity of cultural policy, this study explores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cultural politics that construct the democratic subjectivity. Historically,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respectively reflect hegemony and resistance around art. Art educations that derives from the two ideologies has been proposed as programs to construct subjectivities involved in the symbolic struggles. The notions of artistic citizenship and cultural citizenship as democratic subjectivities can shed a light on art education programs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This study utilizes the sociological theory of Pierre Bourieu to understand artistic citizenship and the aesthetic theory of Jacque Rancière cultural citizenship, which reveal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political subjectifica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This study argues that art education should not simply resolve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but take them as the basis of institutional and practical reflexivity. As such, art education can be redefined as contentious public sphere where democratic subjectivity is experimented and performed.

      • KCI등재

        문화예술인 지원체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현지 예술인들의 인식 연구 - 제천시를 중심으로 -

        손봉희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제천시에서 활동 중인 문화예술인을 위한 지원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 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지역의 문화예술생태계 육성과 진흥을 목표로 2019년에 출범한 제 천문화재단의 설립 취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문화재단이 추구하는 가치와 추진 전략은 설립 이전 까지 이 지역의 문화예술인 지원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던 개선 사항을 보완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지 역사회에 있어 문화예술의 위치와 역할은 이 지역 시민의 경험을 통한 기대 충족 여부에 따라 예술작품 의 속성과 가치가 충족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는 곧 문화예술 단체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지원체계는 지역과의 밀착성을 전제로 독자적인 문화예술로써 차별화에 이를 수 있으며, 공공의 재정 적 지원에서 탈피하여 문화예술인들의 자생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제천시에서 활동 중인 문화예술가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인터뷰(FGI)를 분석 하여 이 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부합되는 문화예술인 지원체계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드러난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역특화 콘텐츠 개발, 공유 공간 구축의 필요성 등은 지역사회 전체의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것이며, 이 지역 문화예 술인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안은 향후 이 지역 문 화예술 지원체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제천 시민이 실질적 으로 주도하고 참여 주체가 될 수 있는 사업을 토대로 문화예술 향유자가 예술에 대해 가지는 의식 및 가치를 향상할 수 있는 전환점으로서 작용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a way to facilitate subsidy system by reconsidering and analyzing those local artists’thoughts and concepts in Jecheon, South Korea. This research provides an account of a key prospectus from Jecheon Cultural Foundation which intends to resolve some problematic issues derived from the previous years, and to improve the process towards subsidy system enhancement. This thesis articulates the essential quality of culture and arts within the given society where its place and role also has to be correspond with what the spectator/citizen would expect. This process enables them to meet their demands through his/her experience in enhancing the nature and value of specific culture and arts. In other word, cultural identity with differentiation from another can be archived by connectivity apart from the amount of subsidy that leads the artists as to be distinct and independent subject. Arming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uses and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FGI) in which the aforementioned artists and managers have engaged in finding and articulating appropriate concepts beyond some of the histor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that they have faced with. As a result of this, this thesis argues that communicating in-between the artists and officials for the local harmony could be a touchstone to resolve the following issues including the necessity of skilled manpower, an art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of localized contents, public spaces for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here the artists and officials necessarily need to go. The ideas described as an alternative way(s) discussed in this thesis will make a promise to the reader providing a set of conceptual and practical tools in order to help them better meet the demands of today’s alternative subsidy system.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citizens in Jecheon can lead and participate in these works will be able to act as a turning point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values in culture and arts.

      • KCI등재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층의 조절 효과

        김두이,김상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문화정책논총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inequality of cultural consumption in Korea among women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6.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cultural consumption among women with the burden of childcare. Cultural consumption is measured in two dimensions – the quantity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her, quantity is the ‘frequency’ of each cultural consumption activity. Diversity consists of three metrics - ‘number of types’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equality’ indicating the uniformness in the distribution over the frequency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and ‘hybridity’ indicating the heterogeneity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across cultural boundaries. We use the data of 2016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for our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childcar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ntity and the number of the types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y. Further analysis also discovered two moderators between cultural consumption with the children burden as the size of resident city and level of income. Specifically, when the childcare burden increases, the lower income group has a significantly less number of type of cultural consumption than the higher income group. Moreover, when the childcare burden increases, the smaller resident city group has a significant low quantity, number of types, and equality of cultural consumption than larger resident city group.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presen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cultural consumption among women with the burden of childcare. We also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 to resolving the cultural inequalities among women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문화예술향유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 즉, 소득과 학력, 지역규모의 조절 효과를 검토했다. 이때 문화예술향유는 관람하는 문화예술의 양과 다양성을 통해 관찰했다. 여기서 ‘양’은 향유한 모든 문화예술관람 빈도의 총합을 뜻한다. 다양성은 관람한 문화예술 장르의 수를 나타내는 ‘가짓수’, 각장르를 얼마나 균등한 분포로 향유했는지 나타내는 ‘균등성’, 그리고 관람한 문화예술장르들이 속한 위계의 수를 나타내는 ‘혼종성’을 통해 관찰했다. 이를 위해 2016년 문화향수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를 감소시켰다. 또한 계층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검토한 결과, 육아부담이 가중되는 조건에서는 소득과 거주지역의 규모에 따라 문화예술관람의 격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즉, 소득수준이 낮은 여성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현격히 감소했다. 반면 소득수준이 높은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증가해도 문화예술관람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규모가 작은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이 감소했으나, 규모가 큰지역에 사는 이들은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문제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의 역할을 관찰했다는 점에 의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 KCI등재

        통합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에 관한 연구

        표원섭,임재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지역의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이 점차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 발전해나가는 현대적 경향 속 에서 연극놀이를 포함한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통합문화예술교 육과 교육연극의 상호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통합수업과정 사례중심 분석으로 통합문화예술교육의 개념 을 다시 살펴보고,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과 멀리 있는 소외 지역의 지역성이 심할수록 전문교사에 의한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은 현격히 떨어지고, 그에 반해 지역민들의 요구는 더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소외 지역이라 할 수 있는 전남 완도군 고금도에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미술과 연극, 지역 역사 교육이 통합된 전남문화재단 꿈다락토요문화학교사업 통합예술수업 사례분석을 통해 통합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교육연극의 실제 적 용 사례와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교육연극의 궁극적 목적이 자신이 자신만의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고, 그것을 위해서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행동과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고, 타인과 함께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나누는 문화적 훈련과 예술적 경험이 필요하 다. 이번 통합수업 사례의 특징은 단청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을 주도적 교육 커리큘럼으로 삼고, 그 지 역의 역사를 이해하고 그것을 이야기로 담아내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교육연극을 함께 진행하는 방식이 다. 교육연극은 본연의 탁월한 교육적 기능 이외에도 이렇듯 어떤 다양한 예술분야와 어울려서 그것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예술교육 도구임을 확인하고자 이번 연구를 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role of educational theater techniques including theater play are increasing i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mid the tendency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gradually develop into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refor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relationship and role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educational theater and analyze them based on cases. The more severe the locality of the underprivileged area far from Seoul, the less accessibi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professional teachers, while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re increasing.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theater i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Gogeumdo, Wando-gun, Jeollanam-do.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al theater is to develop one's ability to express oneself freely, and for that, one must be able to express in various actions and form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ultural training and artistic experience of acknowledging and sharing differences with others. The characteristic of this integrated class case is that art education centered on Dancheong(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is used as a lead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plays using theatrical games that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region and capture it as a story. In addition to its natural excellent educational function, I would like to study that educational theater is a useful art education tool that can play a role in making it stand out in harmony with various art fields.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공연예술

        이인숙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해 있는 현대사회에서 공연예술의 현재와 상황을 바라보고 현시대를 새 롭게 인식함으로 공연예술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중요한 문화 예술적 인프라라는 점에서 전통 및 공연예술의 중요성은 이미 가장 핵심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고 지속적인 정 부, 기업, 개인적인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환경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개인의 의 식변화, 나아가 과학기술의 발전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문화소비시장 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현대는 교류와 공유의 속도가 더하며 과학기술의 발달로, AI, VR 등 기술의 발전은 물론 감성까지를 포함한 트 랜스미디어(Transmedia)시대로 돌입하게 되었다. 그 사회의 문화는 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현대문화와 미래사회를 대변하는 트랜스미디어, 대중문화, 융・복합 문화, AI, 5G 통신시대 등 현대를 상징하는 새로운 개념, 새로운 가치들이 변화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에서의 공연예술의 발전방향은 무엇인지, 어떻게 이 시대에 기여하고, 어떠한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지, 그래서 우리가 준비하고 연구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좀 더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술과 과학의 발달은 지역과 민족을 초월하여 스포츠, 예술, 음식, 패션에 이르기까지 세계적 문화 공유 를 촉진하고 있다. 문화 예술의 대중화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그 영역과 경계를 허물고 속도를 더 하게 되었고 1인 1미디어 시대를 맞이했다. 현대의 과학기술의 환경, 인터넷과 핸드폰 없는 생활을 생각 조차 할 수 없는 영상정보문화의 환경 속에서 공연예술은 어떻게 인간 본연의 가치를 실현해 가는 중요 한 수단으로서의 역할과, 이 사회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며 발전할 수 있는가? 공연예술은 제한된 장소와 시간의 범위에서 관객과의 만남을 통해 공연예술이 문화소비재로서 소비되어진다. 즉, 제한된 환경에서 의 교환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관객은 대부분 관련전문가, 전공하는 학생, 공연애호가들이 중심이 되 는 관객층을 형성한다. 다양한 다른 문화소비재의 빠른 변화와 대량생산에 의해 문화소비재로서의 공연 예술을 선택하고 참여하는 관중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연예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대의 문화현상을 이해하여 공연예술의 가치를 공유하며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공 유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present and situa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cultures coexist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by newly recognizing the present age. In the sense of an important cultural and artistic infrastructur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and performing arts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the most core value and there has been continuous government, enterprise, and personal efforts. Nevertheless,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 change of lifestyle, the change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rought a lot of changes to the cultural consumption market The culture of the society also serves as a means of enhancing a nation's competitiveness. In addition, new concepts and new values symbolizing modern times such as transmedia, popular culture, fusion and complex culture, AI, and 5G communication age representing modern culture and future society are changing and evolving. What i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in this change, how to contribute to this era, and what value should be given, and what tasks should we prepare and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a deeper discussion about thi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promotes sharing of global culture, ranging from sports, art, food, and fashion, transcending regions and ethnic groups. The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art has broken down the boundaries and speed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as reached the era of one-person media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of image information culture that can not even think about life without the internet and cell phone, how can performing arts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important means to realize human's original value and develop with a good influence on this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performing arts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which interacts, communicates and lives through the current video, to recognize the problems, and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roles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양성평등문화정책 구축을 위한 문화예술계의 성 격차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혜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문화정책논총 Vol.32 No.3

        This study is motivated by an awareness that the grim practices of sexual harassment and assault prevailing in the culture and art community, which have eventually triggered the #Me Too movement, is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the structurally defective gender hierarchy that has adversely influenced gender equality in the private culture and art sector, public cultural and art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s cultural and art policies. This study was intended not only to examine the gender ratio across the culture and art sector to demonstrate the ingrained quantitative gender inequality therein, but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gender inequality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organizations, gender disparity in the culture and art community, and gender gap in leadership positions to analyze how women culture and art professionals are actually treated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alysis results have shown that although female resources generally outnumber male resources throughout the culture and art sector, the overall gender ratio in creation-related positions and relevant institutions is almost equal, which implies that females are slightly outnumbered by males in the employment rate. However, what is worse is that gender gap is wider in such decision-making and leadership positions as high-ranking officials or executives at culture and art-related organizations. Even though such gender gap is prevalent in all areas of Korea, it has been verified though this study that gender inequality in the culture and art community is much more deep-seated and profound than any other sector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icitly defin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improving gender equality in decision-making and leadership positions with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nd develop detailed plans to ensure compliance such as evaluation of achievement to goals. On top of that,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poor statistics regarding the employment of culture and art professionals and the labor market; Develop detailed indexes of gender gap among staff of current public institutions to understand the status quo of gender equality in the labor market; Segment gender equality employment surveys of culture and art professionals; Check actions and efforts taken for gender mainstreaming; Develop a feedback system. 본 연구는 최근 몇 년간 집중적으로 수면 위로 떠오르는 문화예술계 성폭력 문제와 미투운동 등이 문화예술계 전반의 양성평등보장에 대한 구조적 장치의 미흡, 위계적 구조의 불평등이 유지될 수 있는 의사책임결정구조의 불평등이 야기되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따라서 연구과정에서 문화예술계 전반적으로 드러나는 남녀의 성비율을 살펴보고, 이를 주요 문화예술 공공기관 및 단체들의 고용 성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비교해보았다. 또한 문화예술 주요 공공기관들의 고용현황, 정규직 및 비정규직 상의 성비, 고위직의 성비율 등을 살펴봄으로서 문화예술계 노동시장환경에서 드러나는 성 격차, 위계적 구조에서의 성불평등 문제 등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리 문화예술계 전반은 여성 인력중심배출 현상이 전반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창작 및 관련 기관의 전반적 성비율은 남녀가 비슷한 수준으로 공급 대비 취업률에서 여성이 양적으로 부족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큰 문제는 고위직, 관리직, 리더십 등 의사결정 상위직급별 성 격차가 심각하게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유리천장지수의 문제, 조직구조 안에서의 권력불평등, 성별 대표성 불균형의 문제 등은 한국사회 전반에 걸친 고질적 문제이지만, 문화예술분야는 최소한의 원칙 및 규제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현실의 영향으로 더 심각한 상황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문화예술분야의 의사결정부문 및 성별 대표성 강화를 위한 법제도적 명시적 근거 강화의 필요 및 해당 목표치 달성에 대한 실적평가 등 구체적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예술계인력의 고용 및 노동시장관련 통계의 빈약함 문제의 해결과 함께, 양성평등 노동시장실태파악을 위해 현재의 공공기관 임직원 성별인원 등의 지표를 보다 구체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문화예술계인력 양성평등고용실태조사 지표를 세분화하고 성 주류화를 위한 조치 및 노력정도에 대한 점검 및 환류장치 마련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인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안 연구

        강현주,김앵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1

        Since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was enacted in 2005, various policy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From 2010,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metropolitan council including Incheon started to promote their own local programs. However, major functions of these centers remain managing and running policy project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Inchoen, during 1980-90s voluntary and autonomous arts and culture education flourished but its vitality and diversity abated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In this study, some plans are proposed to enforce various typ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Incheon, which are not completely dependent on central government's policy projects and reflecting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Policies and program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enforced since 2005 in Incheon are investigated and current issues are examined. Through these researches, we suggest some proposal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first place, system improvements and cognizance change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educators are needed to recover autonom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Incheon. In the second place, establishing regional hub is proposed to integrate plans and executions of loc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 expand the concep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ocial area in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local community. 2005년에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된 후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많은 정책 사업들이 시행되었다. 2010년 인천을 비롯하여 각 광역자치단체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지역의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는 문화관광체육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 사업을 광역단위에서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머물러 있다. 인천의 경우 1980∼90년대에 이미 자발적인 문화예술교육이 시도되었으나 제도화 과정에서 활기와 다양성을 잃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문화예술교육이 중앙정부의 정책 사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이후 시행되어 온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사업을 인천지역 단위로 검토하고 현재 인천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이 당면한 문제를 점검했다. 이를 타개할 방안으로서 첫째, 인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자발성 회복을 위해 교육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인식의 변혁과 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지역공동체 기반으로 확장하여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기획과 실행이 실제적으로 집약되는 ‘지역 거점’의 구축을 제안했다.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 내 예술강사 역할 재정립 방안연구

        김현종,조남규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7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6 No.1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livery system is composed of structural aspect and human aspect. These two aspects are interconnected, and this delivery system in a kind of vertical structure has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such as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institution, and lack of professionalism. Under the curr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livery system,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the Regional Culture Foundation (referred to as 'regional center') play a role as an executive organ with public fund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executive organ selects arts instructors who are the intermediar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dispatches them to schools, cultural facilities and welfare institutions. These arts instructors carry out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places in the shortest distance from beneficiaries(students, local residents, alienated groups, etc.), and these arts instructors account for 80%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promoted by the government as a part of the job creation project, and the role and status of the arts instructors have not been properly evaluated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redefine the concept and role of arts instructor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livery system as a culture intermediary.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는 구조적인 측면과 인적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양 측면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는 수직적 구조로서 기관과의 의사소통 장애, 전문성 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현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는 중앙에서 공적자금을 통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지역문화재단(약칭 ‘지역센터’)이 집행기관으로서 역할을 담당한다. 집행기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매개자인 예술강사를 선발하여 각 학교, 문화시설, 복지기관 등에 파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술강사는 수혜자(학생, 지역주민, 소외계층 등)와 최단거리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들 예술강사가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관주도로 일자리 창줄 사업으로 추진되어 예술강사에 대한 역할과 지위에 대해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 내의 예술강사의 개념과 역할을 문화매개자로 재정립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