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을 통한 예술교육 방향성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에 나타난 다양한 예술표현 형태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와 예술교육의 역할 그리고 시민 문화예술 향유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 문화도시로 지정된 글래스고, 아비뇽, 베를린 축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예술교육의 분석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문화도시에서 축제 프로그램의 동향과 예술구 현 방법에서 나타난 시민예술 향유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도시의 대표적인 축제에서는 지역사회와 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축제 프로 그램에서 예술표현은 예술가의 작품과 공연에서 공간적 자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 램을 통한 예술교육은 지역적 인프라와 인적자원의 활용이 축제의 성공과 관련이 있으며, 공공성 있는 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소통과 예술단체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축제 프로그램에서 는 일시적인 예술 공연보다는 양질의 예술교육에 가치를 두고 공공예술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공동 체와 함께 개발해야하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role of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based on various forms of artistic expressions found in cultural festivals that take place in European cities. To this end, w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in designated European cultural cities of Glasgow, Avignon, and Berli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at engages local residents. We also examine the value of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art education as manifested in the trend of art festival programs and the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s. Our investigation shows that art festivals taking place in the European cultural cities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driven by the local community and festival committees. And the art festival programs show that artistic expression contains spatial autonomy in terms of artists’ artwork and performance. Successful art education through art festival depends on utilization of loc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and, to implement art education in a way that brings public benefit, it is important to ensure good communication and sound management of art organizations. As for art festival programs, it is important to 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continuously to develop programs with an emphasis on quality art education to bring public benefit, instead of focusing on one-off performances.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문화예술축제 대안 연구 :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선영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국내 문화예술축제와 유럽 문화예술축제의 진행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진행된 유럽의 린츠, 리옹, 카를스루에의 문화예술축제와 광주의 미디어아트페스티벌 사례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팬데믹 시대를 위한 문화예술축제의 운영 과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럽의 경우 언택트 시대에 관람객들의 수요와 요구를 즉각 반영하여 다양한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수준 높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였다. 광주의 경우에도 코로나19의 확산 방지와 안전한 축제 진행을 위해 작품을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하는 등 행사 방역관리 지침과 운영 준수사항을 마련하고 이를 충실하게 이행하였다. 이상의 사례들을 통해 팬데믹 시대에 문화예술을 어떻게 기획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으며, 문화예술 축제의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gress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Europ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cases of the Lintz, Lyon, Karlsruhe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Gwangju Media Art Festival. In Europe, a variety of online system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needs of visitors immediately in the Untact era. High-quality online services were provided using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further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conduct safe festivals, Gwangju also prepared and implemented guidelines for event preven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distributing works in various places. These examples show how to plan and prepare culture and art in the post-corona era and identify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the Culture and Arts Festival.

      • KCI등재후보

        코로나 엔데믹 시대의 지역 문화예술축제를 위한 해외 사례 및 운영방안 분석

        홍애령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4 문화예술융합연구 Vol.5 No.1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estivals that were actively conducted in Korea and abroad were canceled or reduced.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in earne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overseas local arts and culture festivals, and analyzed and presented opinions on the purpose, content, and operation plan of local arts and culture festivals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to citizens in their 10s and 60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2 citizen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overseas cas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FG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overseas local arts and culture festivals, which were held in the form of arts and culture, traditional culture, and solidarity festivals in Canada, Australia, France, Japan, Spain, and Europe, were not held, but used online streaming at the same time. Many local arts and culture festivals in Korea were also not held, and in the case of arts and culture festivals, it is similar to the relatively rapid application of blended methods such as online streaming and driving through. Second, as a way to operate local arts and culture festivals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we derived infectious diseases, standards for health and safety, blended operation using digital media, diversification of festival contents with Korean characteristics, and citizen-led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ies. 국내외 지역에서 활발하게 시행되었던 축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대거 취소되거나 축소되었다. 본격적인 코로나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여 이 연구에서는 해외 지역 문화예술축제의 운영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고 수도권 지역의 10대~60대 시민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엔데믹 시대의 지역 문화예술축제의 운영방안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와 해외 사례의 문헌분석, 할당표집을 통해 선정된 시민 12명과의 심층면담 및 FGI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해외 지역 문화예술축제는 캐나다, 호주, 프랑스, 일본, 스페인, 유럽 등에서 문화예술, 전통문화, 연대축제 형태로 행해지던 지역 축제들이 다수 개최되지 못하다가 온라인 스트리밍을 병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국내 지역 문화축제들 역시 다수 개최되지 못하였고, 문화예술축제의 경우 온라인 스트리밍과 드라이빙 스루 등의 블랜디드 방식을 비교적 빠르게 적용한 점과 유사하다. 둘째, 코로나 엔데믹 시대의 지역 문화예술축제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감염증 사태, 보건 및 안전을 위한 안전관리 매뉴얼 점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블랜디드 방식의 운영, 한국적 색채를 지닌 축제 콘텐츠의 다양화, 시민주도의 지역공동체 참여 등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지역 시각예술축제 성과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강원국제트리엔날레2021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정래(Jo, Jeong-R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6

        지역축제는 원래 전통적 민속문화 기반 위에 공동체적 연대감 강화나 정체성 확인이라는 사회문화적 가치 측면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출발하였지만,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 협업을 통해 지역의 자연 환경적 특성과 문화자원을 이용, 단기간에 관람객을 방문하게 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무형의 가치를 지닌 지역발전의 정책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축제행사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축제 콘텐츠와 참여 편의성으로, 잠재적 관람객들에게 해당 도시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강원국제예술제는 강원도의 역사적 정체성과 가치를 예술로 실현하고 유산으로 남기며 ‘강원도의 예술공원화와 관광화’를 목적으로 문화 · 예술기반의 지역재생과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의미있는 행사이다. 특히 예술의 사회적 역할로서 도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역재생과 주민협업 프로젝트는 문화예술의 대중화에 기여하였으며, 지자체와의 공동출자를 통한 소규모 예산의 모범적이고 특색있는 시각예술 축제이다. 더불어 코로나로 인해 행사가 위축될 수 있었음에도 온 · 오프라인 방식을 동시 추진하여 축제의 시공간 확대를 시도하여 문화격차 해소와 문화향유 기회확대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반면 취약한 관광편의시설과 문화예술 서비스 분야의 전문인프라 육성은 시급한 개선 과제이지만 수도권 동일 수준의 행사 기반시설 구축은 현실상 어려움이 있기에 대도시 중심의 시각예술축제와는 차별화된 강원도의 청정자연과 평화 콘텐츠, 지역문화 체험형 시각예술축제 등 지역 정체성을 대변하는 전시기획이 요구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시각예술 분야의 국제적 축제행사로서 성장 가능한 비전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재정적으로 안정된 운영조직 구성과 기반이 아직 미비하기에 아쉬움이 있다. 그러므로, 강원도의 지역축제로서의 가치성을 세계적으로 공유할 방안 모색 및 문화예술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조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Festivals in local societies emerged spontaneously based on their traditional folk culture to strengthen their solidarity and reinforce their identity in terms of socio-cultural values. After 1995 when the local autonomy started to be enforced in South Korea,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cooperated to utiliz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sources to attract a significant number of tourists to its local festivals in a short amount of time and yielded lots of profit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form the impression of local festivals is the contents and convenience, designing the image of corresponding local community and city. Gangwon Triennale is a meaningful event where the historical identity and values of Gangwon-do are preserved and realized in the form of arts. It also revitalizes the local community and revives the region based on the cultural arts with the preceding project presenting arts in its local parks. Especially, it contributed to being a unique visual arts Triennale as the popularization of the cultural arts with the resident-participatory project made for revitalization and revival of the local community as the social role of arts, utilizing unused and misused space throughout Gangwon-do. Furthermore, it did not take much budget by cooperating between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making it an exemplary model. Despite the governmental social distancing regulations amid COVID-19, it was held both online and in-person to give the local residents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rts to resolve the cultural divide. Even though there have constantly been needs for more facilities and the growth of infrastructure in cultural and art services, it is always difficult to build the same foundation as the metropolitan cities. Therefore, the exhibition planning in Gangwon-do needs to emphasize its unique regional identity, such as contents regarding the pure nature and peaceful image and nomadic resident-participatory festivals, being differentiated from the art festivals of megacities. Furthermore, although Gangwon Triennale has its vision and potential to grow as one of the international event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it has always been drawbacks that there are not enough budgets and sustainable operating organization structure. Thus, more efforts need to be put in terms of methodologies and finances to brand Gangwon Triennale as one of the international events with the identity of a local art festival in Gangwondo and to lead the cultural and art values.

      • KCI등재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신진옥,조충현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Eco festival is social interaction for building eco society through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preservation of eco environment. Eco festival applying regional eco asset is incresead as regional festival is getting more, but the program of eco festival is getting more umiform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rection and plan of culture-art for eco festival using characteristics of space. Eco-friendly culture events at eco part similar to Ansan Reef Wetland are analyzed as case studies. Since eco park is not park categorization of part by law, many local government entitled ‘eco park’ indiscreetly, thus culture events at eco parks have character as local festival. Major contents are plan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ain visitors group and eco-environment, and theme of event by supervised organization. Fall festival at Ansan Reef Wetland has basic direction for event: space usage to minimize harm eco-environment, focus on hearing as theme of festival, collaboration with culture-art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artists. To preserve core value ‘ respect to eco-environment and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for eco-environment, basic direction should be kept as below. First program of event should focus on unique differentiation of eco-environment. Second artists and experts specialized for eco-environment should be taken part in. Third healthy of hybrid between eco and culture-art with collaboration of organizations. Fourth eco-friendly visitors activities guideline should be made and be noticed to visitors. 생태축제는 지역의 생태환경을 보존하면서, 유희적 활동을 통해 생태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이다. 지역 축제가 증가하면서 지역의 생태자산을 활용한 생태축제가 증가하고 있으나, 생태축제의 프로그램은 획일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생태공간의 특성을 활용하여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기획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질 오염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된 안산갈대습지에서의 문화예술축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안산갈대습지와 유사한 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친환경 문화예술행사 사례를 분석하였다. 생태공원은 법정공원상 분류가 아닌 이유로 인해, 생태환경을 가지고 있는 곳의 지자체가 임의로 부여할 수 있어 생태공원의 문화예술행사는 지역 축제의 성격을 가진 곳이 많았다. 문화예술행사의 주요 콘텐츠는 방문자 층의 특성, 생태공간의 공간적 특성, 그리고 주관기관의 행사에 대한 주제 의식에 따라 결정되었다. 안산갈대습지의 가을 축제는 생태환경 훼손을 최소화한 공간 활용과 청각이라는 새로운 감각에 초점을 맞추고 문화예술기관의 협업과 지역 예술가를 참여시켰다. 생태성의 존중과 문화예술의 향유라는 핵심 가치를 지키기 위해 다음의 기본 방향이 견지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생태환경의 고유한 차별성을 존중하는 문화예술행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행사의 환경에 특화된 예술가와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전문기관의 거버넌스 아래의 협업으로 생태와 문화예술간 이종혼합의 건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넷째 행사 운영에 있어 친환경적 세부 지침을 만들고 방문자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민속과 공연 사이: 탐라문화제 민속예술경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진오 ( Jin O H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8 탐라문화 Vol.0 No.32

        제주도의 대표적 축제인 탐라문화제는 1958년에 시작된 제주문화제에서 비롯되어 한라문화제라는 이름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역사를 자랑한다. 이렇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축제의 중심으로 성장한 것이 민속예술경연이다. 이 글에서는 46회에 이르는 탐라문화제의 중심행사인 민속예술경연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탐라문화제의 역사적 배경과 민속예술경연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탐라문화제의 탄생배경에 국가차원의 문화지배방식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그것의 구체적 방법이 민속예술경연임을 확인했다. 정부 수립 이후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독재정권은 그들의 통치이념에 맞게 국민을 통치하기 위해 문화차원의 지배방식을 선택했다. 이 속에서 개인과 가족, 마을 등의 소규모 공동체에서 전승되던 다양한 민속은 국가의 통치이념에 맞게 각종 민속예술경연대회를 통해 공식화된 민속으로 변질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같은 민속예술경연이 부정적인 역할만 했다고 볼 수는 없다. 피지배집단은 미약하지만 국가의 지배가 일방적으로 관철되는 가운데 지배적인 힘에 저항하고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새롭게 만들어 가려는 시도를 이어왔다. 그것은 탐라문화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주도민의 움직임에서도 나타난다. 시기에 따라 민생현안을 출품작에 담아내는 노력들이 그것이다. 이렇게 탐라문화제의 민속예술경연은 부정과 긍정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긍정적 효과가 미약한 탓에 폐지론이 심심찮게 대두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탐라문화제 민속예술경연의 변화양상을 두루 살펴 전면적인 개선방안과 부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면적인 개선방안은 현행되는 민속예술경연을 마을축제로 전환시키는 방법이고, 부분적인 개선방안은 민속예술경연이 지니는 공연장 재현을 지양해 전승현장의 실태 파악과 전승활동을 중심에 두는 쪽으로 개선하자는 방법이다. Tamna Cultural Festival, the typical festival of Jeju-do, takes pride of Hanra Culural Festival which has long maintained the history from Jeju Cultural Festival since 1958. On the course, Folk Arts Contest is standing in the main of Festival. This article searches the historical backgroud of Tamna Cultural Festival an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Folk Arts Contest to grasp the problem of Folk Arts Contest which is the main event of the 46th Tamna Cultural Festival. The dictatorial government which had been maintaned for a long time had a choice of controling culture to take care of people on their rules. In this situation, the various lore transmitted by the minority community- an indivual and a family, a folk etc.-deteriorated the official lore from a variety of Folk Arts Contest adapting their rules. This Folk Arts Contest doesn`t take a negative role any the less. The subjects group was insignificantly against the rule power while the nation control penetrated into them over the transom, or has maintained their identity and tried to create. It can be found in the Jeju islanders` movements directly related in Tamna Cultural Festival. The Folk Arts Contest of Tamna Cultural Festival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However, the abolition opinions represented by the in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ten rises up. This article indicates the whole and the part reform measure through all over searching positive effects and negative effects. The whole reform measure is the way of converting the present Folk Arts Contest into Folk Festival, the part reform measure is realizing the transmission spot and centering in the transminssion movements by supporting the reproduce performance with Folk Arts Contest.

      • KCI등재

        온택트 뉴노말 시대의 예술문화축제 - 국내외 만화축제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

        전미향 ( Jeon Mi Hy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급작스런 팬데믹 상황으로 온택트 비대면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강요되면서 수많은 예술문화축제가 강제로 온라인 전환됐다. 대표적인 예술문화축제의 성격을 지닌 만화축제는 인적 창조성을 기반으로 발현되는 문화행사로서, 온라인 환경에 적응하기 적합하며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지녔다. 연구는 2020년 팬데믹 상황에 대응한 국내외 다양한 만화축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온택트 예술문화축제의 개선점 및 지향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국내외 만화축제는 온라인 전환되며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한 실시간 多대多 소통, VR 기술 등 신기술과의 접목, 온라인 유저의 참여를 이끄는 UGC 성격의 프로그램 기획 등의 방식을 택했다. 대부분 취소 혹은 축소되는 소극적인 방향으로 온라인 전환되어 큰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부천국제만화축제 등 일부 적극성을 띈 성공 사례에서 향후 도래할 '메타버스'의 개념과도 이어지는 온라인 축제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미래 대한민국의 만화축제를 비롯한 예술문화축제가 온택트 환경에서 향유 방식을 비롯해 그 존재 의의까지 새롭게 정립되며 산업 구성원의 자긍심과 소속감의 구심점이 되는 환상의 발현처가 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sudden pandemic situation forced on-tact non-face-to-face as a new paradigm, numerous arts and culture festivals were forcibly converted online. Cartoon festival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arts and culture festivals, are cultural events that are expressed based on human creativity, are suitable for adapting to the online environment, and have endless potential for development. By looking at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cartoon festivals in response to the 2020 pandemic situation, we tried to derive improvement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Ontact Arts and Culture Festival. The domestic and overseas cartoon festivals are converted online, and they have chosen a method such as real-time many-to-many communication through live streaming, incorporating new technologies such as VR technology, and planning a UGC-style program that leads online users' participation. Most of them were canceled or reduced in a passive direction, which did not produce great results, but in the success stories that showed some positive activity, such as the Bucheon International Manga Festival, we will look at the endless possibilities of the online festival that will lead to the concept of'metabus' to come. Could. In the future, art and culture festivals, including manga festivals, will be newly established in the on-tact environment, including the way of enjoyme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istence, and hope to become a place of fantasy that becomes the centerpiece of the pride and sense of belonging of the members of the industry.

      • KCI등재

        예당국제공연예술제 변천사 연구

        표원섭,유미경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선비와 충절의 고장 충남 예산 지역의 인구 8만의 작은 소도시에서 해마다 치러지고 있는 예당국제공연예술제에 대한 변천사 연구이다. 예당국제공연예술제는 충남 유일의 국제공연예술 축제로 써 8회라는 짧은 운영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국제공연예술축제로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다. 예당국제공연 예술제는 수도권과 지역의 예술적 양극화 심화 속에서 예술성과 창작성을 통해 질적으로 특화되고 향상 된 콘텐츠 개발의 성공적인 공연예술축제로 평가되고 있다. 예당국제공연예술제를 고찰해보는 것은 지 역축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국제화를 지향하는 공연예술축제로써의 특화된 콘셉트의 중요성을 인식하 는데 필요하다. 지방 자치 시대의 도래로 축제를 통한 문화예술의 무형의 가치를 이용한 부가가치를 창 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공연예술축제는 문화예술의 가치적 접근과 문화소비를 촉진하는 도시 재생사업의 발전적 변화의 인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예당국제공연예술제의 변천사 에서 중요 내용을 연구함에 있어 개최동기, 국제교류, 공연의 발전내용, 연극예술인 발굴 등의 내용을 살 펴보고 예당국제공연예술제의 변천사를 연구하여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예당국제공연예술제 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서 지역민들에게 자부심과 정체성을 심어주고 지역 이미지 구축 제고와 지역 활 성화를 지속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증적 틀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색된 방안으 로는 내재된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예술제와의 연계성 필요와 소비문화를 바라보는 상업적 관점에서의 전략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에, 예당국제공연예술제의 변천사를 연구하여 공연예 술제가 국제화를 지향하는 글로컬(glocal) 축제로써 성장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하겠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transition history of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which is held every year in small cities with a population of 80,000 in the hometown of Seongbi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is Chungnam's only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continues to grow into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despite its short operation of eight. Amid the deepening polar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regions, Considering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specialized concept as a performing arts festival aiming to form the identity of local festivals and internationalize them.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local autonomy, moves to create added value by utilizing intangible values of culture and the arts through festivals have become more active. Performing arts festivals require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pproach of culture and art and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promote cultural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international exchange, performance development, and the discovery of theatrical artists, and to study the history of the transition of the Geijut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methods. He also observ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proposed a demonstrative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instill pride and identity in local residents and to promote regional imag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The measures sought should include the need for cooperation with the performance art festival utilizing the cultural resources inherent in it, and a strategic review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that looks at the consumption culture. In response, it can be said that it studied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confirmed the potential for the festival to grow into a global festival aimed at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한국민속예술축제, 과연 무형문화재의 산실인가?

        정수진(Jung Soo-Jin)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글은 한국민속예술축제와 무형문화재의 관계성을 천착함으로써, 이 축제가 무형문화재의 산실 역할을 해왔다는 기왕의 통설을 성찰적으로 재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이 축제의 전신인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가 그 목적, 참가 종목의 분류 방식, 심사 기준 등에서 무형문화재와 서로 표리관계를 이루도록 조정됨으로써, 무형문화재와 통합적으로 운영되어 왔음을 고찰했다. 그 결과, 경연대회의 문제점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들이 경연대회의 심사기준인 ‘원형성’과 ‘예술성’ 간의 이율배반이라는 본원적인 문제를 간과할 수밖에 없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논의의 한계는 무형문화재 제도 비판론에서도 여전히 지속되었던바, 정작 경연대회를 통해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사례가 1988년 이래 현격하게 줄어들었던 정황에 대한 인식은 공유되지 않았다. 이 글은 바로 그러한 점에서 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의 관계성을 담론적 효과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파악했다. 그리고 ‘무형문화재의 산실’이라는 修辭의 정치성을 드러내고, 경연대회를 지속한 결과 산출된 ‘민속예술’이라는 신화의 이데올로기를 해체하고자 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sit the notion that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plays the role of the delivery room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is festival is managed until now by which integrated to the institut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goal, genre of participation, and the standard of screening. As its result, the discourse and critics about the festival failed to excavate that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festival, namely the antinomy of the screening standards, ‘original value’ and ‘artistic value’. And they failed further to recognize that the cases designat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rough the festival are indeed few since 1988. Based up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has propos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the festival an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s not real but the discourse and rhetoric level. And I have tried to identified the myth of ‘folk art’ and its political effect constructed as the result that the festival was continued with the rhetoric as the festival plays the role of the delivery roo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 KCI등재후보

        도시문화예술의 생활화를 위한 축제의 의의

        엄혜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7

        Via festivals that make up the Han River, Yeouido Spring festival one of the main program that you want to reinvent itself as a cultural arts festival,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planning since 2008 has been doe is a full-fledged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multi arts festival. Life in space in the case of panoramic street theater festival transformed into the space is inviting outdoor space that is deployed in the daily street theater of the case,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aning are delivered differently. Provided via a variety of programs each year, The festival makes open, participative, communication oriented festival. 2011 4th year anniversary festival continues via the more compelling performances and artistic performances were prepared. Prepared in the planning stage, street performances, pop-up performances, official Invited, offering a small selection was great response to the citizens. Planning Via festival performances in 2011 Creative work movie "Happiness is in my heart 'a beautiful picture and sound performance in harmony with the overall image and sound at the center, delicately expressed spatially. Video, music, sound, and movement of this complex harmonies constitute the audience was a new pleasure and excitement. Families, couples, and elderly people, students can enjoy together, and all citizens and artists in the cultural festival activities were collectively come together. In addition, various genres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fun and let citizens were ready to go mobile performance. Through festivals and performing arts via a highly effective, with the effects of space festival, the festival has the effect of the urban space, the festival's creators (artists) through the impact of the festival for vias evaluated the effect of socio-cultural festival. First, the traditional festival held in celebration of singing and playing the game the way the non-professional artistic people, the French In-Senso invited dance groups and performances to the audience by planning to obtain a good response. Via the popularity of dance through festivals and theaters, and so on diversity awareness will be interpreted as dancers. Second, the Grand Chapter, or as a small theater to try breaking the existing performance space for theater stage performances around the seas, lakes and rivers, parks and outdoor venues, including the diversification of the permanent stage has been expanded continuously. Via festival of modern dance, mime, choral performances, and so many genres, versed in the show, if not a deep person with free admission can be enjoyed casually. Third, via the festival takes place at St. adjacent to the fine arts is changing and new forms, while comprehensive, concrete and dirt, stress-filled life in the city people think is the meaning of the essentially Fourth, the vias through the festival audience and the creators of the fast feedback can be drawn through the immediate response and communication among the narrow streets are not readily available gives us the opportunity to watch the show. The Site-specific performance are engaged in the work of artists in my day-to-day street festival in the outdoor space and provide them and the development of street art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 Been spectacular festival simply "things" will have to avoid to fall, foreign images in serious abuse and promote professional and popular art festivals do not need a castle appropriate defects. Solidarity and community spirit of local people directly involved with the festival prepares to assume an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and popular festivals naturally made a successful meeting will be made. Via festival in the city center, an outdoor space with environmental factors and active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heme with a focus on performed, site-specific performance authentic performances driven world of culture and art through the city streets for the festiva... 최근 가장 두드러진 문화적 현상 중 하나가 바로 축제의 양적 증가이다. 21세기 문화산업의 가장 큰 변화는 실내용 작품의 제작비가 점차 높아지는데 반해 극장 관객의 숫자는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며 “극장예술을 찾던 관객이 점차 축제로 이동해 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예술축제의 증가에 따라 거리공연의 대두가 두드러지고 있다. 대부분의 축제가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열리기 때문에 축제는 주로 거리공연의 형태로 나타난다. 거리공연은 특정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많은 사람들을 축제의 일원으로 참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술축제의 수적 증가에 따라 거리공연은 점차 수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이는 앞으로 더욱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비아페스티벌은 다양하고 통합적이며 예술적인 축제로 서울 도심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본격적인 거리극 및 거리예술축제이다. 2008년부터 기획된 본 행사는 한강 여의도 봄꽃 축제 기간 중 개최되는 거리극 중심의 축제로서, 지역의 환경적 요인을 반영하여 오로지 한강 여의도의 새봄에서만 향유할 수 있는 독창적인 예술축제로서의 발전을 의도 한다. 비아페스티벌은 인간과 자연과의 만남을 위한 공간적 설정에서 출발하여 길가에 피어난 봄꽃들을 음미하는 가운데 ‘한강 여의도 봄꽃축제’의 흥을 고조시키고 이를 문화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꽃, 한강 등의 환경적 요인과 그 의미를 능동적으로 해석한 주제의 공연을 중심으로한 본격적인 거리극 공연들 을 유치함으로써 국제적 수준의 거리예술축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비아페스티벌을 통해 예술성과 공연성이 갖는 효과, 축제의 공간이 갖는 효과, 축제의 도시공간이 갖는 효과 , 축제의 창작자(예술가)에게 미치는 영향을 통해 비아페스티벌의 사회문화적 측면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