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도시 재생에서 독일 문화-창의 경제 정책의 활용 가능성

        민춘기(Min Chun-g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although Gwangju is a UNESCO creative city and runs the National Asian Cultural Complex, it still lacks a comprehensive policy to design smart urban regeneration to make the most of these advant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e-creative economy and industry in Germany and Europe and to provide theories and inform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city regeneration policy in Gwangju, a cultural and creative city. To this end, the study describes the content presented on websites and in reports of the agencies or departments responsible for the relevant policies in the EU and Germany. The culture-creative industry is a diverse industrial sector that has a cultural and economic impact on human life. Its related fields are arts and architecture, Web and graphic design, publishing, games and multimedia, the music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fashion and arts and crafts designing, films,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First, I research the EU cases, such as those related to their cultural awareness, the new European Agenda for Culture, the Creative Europe program, the Culture-Creative Sector (CCS), and the Culture-Creative Industry (CCI) support projects. In the German example, I look at the present state of the culture-creative economic policies, the innovation effect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nd the industry-related information of some federal and city states, digitalization, and media education. Finally, I outline the considerations for smart urban regeneration and the guidelines for the culture-creative industrial policy of Gwangju as the Asian Cultural Center part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n the process of Gwangju’s regeneration as smart city,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recognize the value of culture and creativity and reflect it in its policies. In the process, we will be able to make partial use of the examples offered by the European Union and Germany. Gwangju can be seen as having external requirements, such as the Asian Culture Complex, Media Art Creative City, and AI. Successful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should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a consulting agency for experts in various fields. If the smart urban regeneration is successful, it is expected that Gwangju, which has a weak industrial base, can be reborn as a place where people can lea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rich lives based on culture and creativity. 이 논문은 광주가 유네스코 창의도시이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스마트 도시재생을 디자인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이 아직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독일과 유럽의 문화-창의 경제와 산업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도시이자 창의도시인 광주의 도시재생 정책 수립에 이론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과 독일의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부서의 사이트와 보고서 등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문화-창의 산업이란 인간의 삶에 문화적·경제적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산업 부문이며, 관련 분야는 예술과 건축, 웹 및 그래픽 디자인, 출판, 게임 및 멀티미디어,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예술 공예 및 패션 디자인, 영화, 광고 및 홍보 등이다. 먼저 유럽연합의 사례에서는 유럽인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 새로운 유럽 문화 의제, 창의 유럽 프로그램, 문화-창의부문(CCS) 및 문화창의산업(CCI) 지원 사업, 문화-창의 도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독일의 사례에서는 문화-창의 경제 정책의 현황 및 혁신 효과, 문화-창의 산업의 주요 내용, 연방주와 도시주의 문화-창의 산업 관련 정보, 디지털화, 미디어교육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와 유네스코 창의도시인 광주가 스마트 도시 재생을 위해 고려할 사항과 문화-창의 산업 정책의 방향 정립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광주가 스마트 도시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문화와 창의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 과정에서 유럽연합과 독일의 사례들을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광주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AI 집적단지 등 외적인 요건은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의할 수 있는 기관을 설립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도시 재생에 성공한다면, 산업기반이 취약한 광주가 문화와 창의성을 기반으로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기반의 도시재생에 관한 비교연구

        김숙경(Kim, Sook-Ky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5

        1990년 유럽문화수도를 수행하며, 문화를 도시재생에 접목한 글래스고의 사례는 중앙정부 주도하의 도시개발공사(Urban Development Corporation)를 통한 정부의 자산주도형(property- led)도심 활성화 사업과 장소마케팅으로 도시재생을 시도했지만, 지역민이 배제되고, 지역의 고유성이 경시된 사업이 이루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도시 이미지 쇄신과 물리적 재건의 관점에서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지만, 그것은 제한적이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지 못했다.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의 문제는 문화의 산업화를 통한 수익모델과 고용창출 여부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의 경쟁력은 지역민의 지속적인 경제활동에 의해 창출되며, 고용창출이 배제된 도시재생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와 현대산업의 상반되는 과제를 극복하여 창조도시로 거듭난 가나자와 시는 ‘가나자와시민예술촌’과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을 설립하여, 시민 참가형 복합문화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지역민이 문화창조의 주체가 되는 ‘창조계급’을 육성해왔다. 무엇보다도 ‘가나자와 마치즈쿠리 시민연구기구’를 통해 자발적으로 구성된 마을 커뮤니티가 도시재생 사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전통과 현대 그리고 주민참여라는 삼위일체를 이루었기 때문에, 가나자와는 세계가 주목하는 문화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화도시론의 발전과 도시문화에 대한 연구

        원도연(Won Do-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3

        2000년대 이후 문화도시론은 한국 도시발전의 중심 트랜드였다. 산업적 발전의 길이 제한된 많은 도시들이 문화도시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근본적으로 문화도시는 도시의 문화적 기능과 경관을 발전시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적 발전을 통해 도시의 문회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도시발전전략은 근본적으로 유럽중심의 모델이다. 유럽은 오랜 역사와 전통, 잘 보존된 문화유산을 갖고 19세기 이후 적극적으로 도시문화산업을 발전시켜왔다. 실제로 유럽의 많은 도시들이 문화도시를 표방하면서 발전했고, 많은 후발국가들의 발전모델이 되었다. 문화도시는 오랜 문화적 축적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생성된다. 문화도시에는 반드시 그 도시만의 고유한 도시문화와 아우라를 필요로 하는 법이다. 그러나 한국의 도시들은 이 점에 있어서 너무 성급하고 결과중심의 발전전략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10여년이 지난 현재도 한국은 성공적인 문화도시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도시는 크게 문화유산관광형, 현대적 문화산업개발형, 전통-현대 혼합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문화도시의 성장에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도시문화의 형성이 무척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문화도시를 만들겠다는 도시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도시문화의 유형과 성격을 분명히 이해하고, 그에 걸맞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창조도시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창조도시는 기존 문화도시전략을 넘어서 도시발전의 기반을 창의적인 문화활동에 둔다. 창의성을 가진 사람을 중시하고, 그 사람들로부터 파생하는 다차원적인 생산력이 도시의 산업과 문화를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Since the year 2000, the Culture City-theory has been the central trend for the Korean city development. Many cities with limited industrial development paths start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culture city. Basically the culture city aims to increase amenity of people's life by developing cultural function and scenery. It also aims to develop cultural industry through cultural development. This strategy for city development is basically Europe based model. Europe with long history, tradition and well-maintained cultural heritage has actively developed city cultural industry since 19th century. In fact, many European cities have developed into culture city and have become the role model for other countries. The Culture City is formed when long period of culture and diverse experiences are accumulated. Furthermore the culture city has to have unique culture and aura of its own. However Korean c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have promoted result centered and haste development strategy. As a result, although 10 years have passed, Korea is still not able to form successful culture city. The culture cit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types as follow; culture-heritage tourism, culture-industry development and tradition-modern compound. Also in the growth of culture city, formation of city culture through story telling has great importance. In order to have successful city strategy to form culture cit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culture has to be understood clearly and the strategy has to be set up accordingly From this perspective, the Creative City Theory which appeared recently is very suggestive. Creative city has foundation of city development on the creative cultural activity which is far more than the existing culture city strategy. Great importance on the people with creativity and multi-dimensional productivity of the city which is derived from these peopl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ity's industry and culture.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박정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4

        Until now, studies on urban policy has been consistent in individual observation of key words,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rather than focused on how learning, culture and creativity should be related under the fundamental frame of city. In consideration of realities, planning and practice of policy, integrative perspective or multidisciplinary approach which is positively necessary is lacking considerably, so it's currently more important to investigate interconnections and joint core value of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mphasize tha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can play important roles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core values of the discourse about cultural city, learning city and creative city and suggest the grounds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culture', 'education' and 'friendship' of G. Simmel. This research will select Seongnam-si as a city which displays urban policy with values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nd suggest the connection type diagram of cultural city․learning city․creative city policy at the scene of polic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visions, politic goals, core values, subjects and fields of Seongnam-si. In addition, it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and roles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s playing in urban policy of Seongnam-si. 문화예술교육은 도시속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함께 추구하는 도시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문화‧조직문화의 생성과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시민‧전문가의 성장 및 육성은 성공적인 도시의 조건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개인의 미적발달이라는 축소된 의미로 여겨지고 있어 도시와 공동체로까지 확대되어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창조도시 등과 같은 도시담론들의 핵심가치를 관통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수 있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임을 강조하면서 도시관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도시문화예술교육’이라 명명하며 그 의미를 살펴보고, 짐멜(G. Simmel)의 ‘문화’와 ‘교육’, ‘친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하여 도시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시로 성남시를 선정하고 성남시가 추구하는 비전과 정책목표, 핵심가치, 주제와 영역들의 규명을 통해 정책현장에서 문화도시․학습도시․창조도시 정책의 연계유형 모형도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성남시의 도시정책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전략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도시전략을 통한 도시재생의 순환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 Glasgow의 문화도시전략을 중심으로

        서준교 한국거버넌스학회 200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3 No.1

        In recent years, the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has changed from the common people's enjoyment to an important variable for economic development. Particularly, culture and arts have been used to turn econo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declined cities into new image possessed cities such as a cultural city. In many old industrial cities of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e use of culture and arts has become an increasingly significant component of economic and physical regeneration strategies. Especially, many cities in Britain have adopted culture and arts as a way of escaping from urban decline. A typical example of British city using culture and arts as a means of regenerating urban decline is a Scotland city, Glasgow. The city faced with massive economic and social decline in the 1960s and 70s. However, Glasgow has used culture and arts to change the overall image of the city to a cultural city which led to sustained urban development. The city of Glasgow is one of the best examples for the application of culture and arts as a means of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the circulation system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Glasgow's overall regeneration effort. 인간의 삶에 있어 문화·예술의 중요성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지만, 문화·예술의 활용은 과거의 향유 위주에서 벗어나 도시경제발전에 중요한 변수로 대두되고 있다. 문화·예술은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쇠퇴화에 처한 도시들에게 과거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척결하고 새롭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입시키는 도시개발전략, 즉 문화도시전략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도시전략은 서구 유럽의 여러 공업도시들에서 경제적·사회적 재생을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로 여겨지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문화·예술의 중요성을 바라보게 하고 있다. 특히, 영연방 (United Kingdom) Scotland 최대의 도시인 Glasgow는 문화도시전략을 통해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달성한 대표적인 도시로 문화·예술이 도시발전에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다. Glasgow는 1960년대와 70년대에 경제적, 사회적 쇠퇴화로 엄청난 시련을 겪었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 지역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도시전략을 통해 지역의 경제적·사회적·환경적 변화를 가져오는 문화도시의 순환체계를 촉진시킴으로써 지속적인 도시발전을 가져오게 하였다. Glasgow의 사례는 우리에게 문화·예술의 활용한 도시발전전략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KCI등재

        도시문화가치 창출을 위한 도시브랜딩 아이덴터티 전략 연구 -인천시 중구 지역 아이덴터티 전략을 중심으로-

        장은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2

        최근에 도시의 문화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도시 발전에 핵심 요소로 부각되면서‘문화재생(文化再生)’을 통한 도시문화 창출이 도시브랜드를 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였다. 그런데 도시브랜드의 성공 조건으로 단순한 도시문화자원 개발과 홍보, 이벤트 등으로는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을 이끌어가는데 한계가 있다. 성공한 도시브랜딩은 그 도시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함이 필요하며, 그 도시를 구성하는 아이덴터티가 유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성과를 이룰 수 있다. 뉴욕에 세계인이 모여드는 이유는 단순히 즐길 것이 많은 식·도·락 문화의 도시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뉴욕 만의 매력적인 삶을 느낄 수 있는 문화의 도시로 인식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문화도시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낡고 오래됐지만 근대 문화유산과 원도심의 특성이 남아있는 장소의 매력을 살리고, 지역 사회와 거주민 참여에 의한 아이덴터티 브랜딩 전략으로 도시문화를 풍부하게 만들고 삶의 질을 높여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공헌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인천시 중구는 1883년 우리나라 최초의 개항장이었던 지역으로 국내 최초라는 타이틀의 근대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 있으나 외부에 차별화된 도시브랜딩 아이덴터티가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중구의 도시문화 창출을 위한 도시브랜딩의 성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구축하여 다른 도시와 차별화된 문화적 역량을 표현하는 아이덴터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천 중구 지역의 특성 있는 역사·문화·플레이스(Place) 등 핵심자원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국내외 유사한 도시와 차별화된 아이덴터티 전략을 확립하는데 있다. Recently, as discovering the cultural value of a city has emerged as a key element in urban development, the creation of urban culture through 'regeneration of cultur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an urban brand. There are limits to leading the city's unique identity through urban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public relations, and event events. Successful urban branding requires a unique experience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that city, and the identity that composes the city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organic and continuous progress. The reason why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come to New York is not only because it is recognized as a city of food, food and entertainment, but also as a city of culture where you can feel the charming life of New York. In order to resto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old and old cultural city, the city's attractivenes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urban center remains, and the identity strategy through branding enriches the city culture through community and residents' participation and enriches the quality of life. It contributes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Jung-gu, Incheon, selected as the study site, was the first port of open port in 1883, but there are many modern cultural heritages under the title of the first in Korea. .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urban branding for the creation of urban culture in Jung-gu,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dentity that expresses cultural capabilit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by building various contents that can experience cultu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identity strategy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by effectively utilizing contents of core resource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place in Jung-gu, Incheon.

      • KCI등재

        대구시 문화상품 상징 이미지 개발에 대한 연구 - 도시 문화상품이 도시 이미지 강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

        전영옥 ( Jeon Young-ok ),정시내 ( Jung Si-nae ),나건 ( Nah Ke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1 No.-

        도시가 보유한 유·무형의 자원들은 도시 거주민들에게 자부심을 부여하는 문화적 산물임과 동시에 그 도시만의 고유한 매력으로 도시를 찾는 방문객들의 호기심과 문화적 욕구를 자극하여 그들의 재방문을 유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의 역사적·문화적 자산을 적극적으로 상품화 한 도시 문화상품은 한 도시를 대표하는 고도의 상징이자 지역 연계산업의 활성화와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매개체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대구의 이미지는 분지가 갖는 지형적·기후적 특징과 섬유산업, 과거의 정치·사회적인 이슈 등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시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타 도시 및 지역 문화상품의 성공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대구 문화의 총체로 대표될 수 있는 문화상품의 상징 이미지를 검토하는데 참고하였다. 둘째, 대구시가 간직하고 있는 다양한 범위의 가치 분석을 통해 도시의 유·무형 자산으로서 문화상품에 투영 가능한 상징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구 문화상품의 핵심 이미지로 대구 중구 근대골목과 대구사과를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문화상징을 개발하는 것에 앞서 기존에 형성된 대구시만의 잠재적 이미지를 발굴하고 재해석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대구 상징 이미지의 지속적인 상품화와 마케팅 활동이 수반될 때, 대구 문화상품에 투영된 대구 상징은 방문객들에게 지속적인 생명력을 지닌 차별화된 대구의 가치로 기억될 것이다.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that each city possesses can give citizens considerable cultural pride. These assets also highlight each city`s charm and stimulate visitors` curiosity and cultural desire. They also induce the visitors` desire to come back. In this point of view, cultural goods that actively commercialize the city`s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re very precious symbols. Cultural goods are valuably used as a medium that contribute not only to the creation of jobs but also in activating local industries. At present, Daegu`s image is comprised of regional and weather characteristics that all basins have as well as the textile industry,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the past. Thus, the need to overhaul this image is consistently ra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ome succession cases of other areas` cultural goods and referred to them in extracting a symbolic image of cultural goods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Daegu. Then, by analyzing values within various ranges that Daegu has, this study also suggested a symbolic image that can reflect the cultural goods in terms of the city`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 conclusion, Daegu Modern Alley and Daegu Apple are selected as the core images of Daegu`s cultural goods. In addition, it is said that efforts to reinterpret and discover Daegu`s potential image should be prioritized over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ural symbol. If the ways to consistently commercialize and promote Daegu`s symbolic image are arranged, it is possible for Daegu`s symbol, which is newly reinterpreted as Daegu`s cultural goods, to have continuous vitality and strong recall among visitors as a special city.

      • KCI등재

        문화도시의 거버넌스 유형분석을 통한 문화적 재생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서모아 ( Seo Moah ),이현성 ( Lee Hyun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의 도시는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각 지역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많은 전략이 시행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도시발전을 추구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러 도시에서는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문화도시 조성사업이 시행되고 있고, 2018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문화도시 지원정책을 통해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의 문화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이렇게 문화적 도시재생은 사업의 주체가 되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식과 지역정체성을 바탕으로 도시의 문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도시를 대상으로 문화적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여 문화적 재생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 조성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거버넌스의 유형에 관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문화도시와 거버넌스에 관련된 문헌고찰을 진행한다. 둘째, 거버넌스 모델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거버넌스 유형과 구성요소에 따른 모델을 분석하고 문화도시 사업과 방향성이 일치하는 거버넌스 모델에 대해 정리한다. 셋째, 문화도시 구축 성공 요인과 거버넌스 구성요소를 평가 지표로 제작하여 사례를 분석하여 문화도시의 거버넌스 유형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의 평가 지표는 문화도시 조성 성공 요인과 거버넌스 구성요소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요소별 종합결과는 참여·네트워크 요인과 법 제도·정책 마련 요인의 정도가 가장 높았고 네트워크가 두 번째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문화자원·문화 콘텐츠 요인과 커뮤니티가 높았다. 본 연구의 종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도시를 조성함에 있어 각 주체 간의 자발적인 참여와 네트워크가 문화도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민 간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인 문화도시의 조성을 위한 거버넌스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민·관의 자발적인 소통이 이루어지는 사업 계획은 찾기 힘들었고, 기업의 협력을 통한 후원 및 교육지원 또한 많지 않아 행정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거버넌스 모형을 갖출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문화도시의 거버넌스 유형에 한 연구로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물리적인 재생이 아닌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거버넌스의 유형과 핵심 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의 문화적 재생의 방향성을 위한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oday’s cities develop economically, many strategies are being implemented to strengthen the urban competitiveness of each region; amongst these strategi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to express the region's identity is emerging. Furthermor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needs to move toward forming a sustainable community through an urban culture based on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nd regional identity, which are the main topics of the proje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by analyzing the type of governance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for cities implementing domestic cultural city development projects. (Method) For researching the type of governance, the following steps were undertaken. First, a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cultural cities and governance was conducted. Secon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governance model, the model according to the governance type and components was analyzed, and the governance model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cultural city project was summarized. Third, the success factors and governance components of cultural city construction were produced as evaluation indicators, and cases were analyzed to study the type of governance of cultural cities. (Results) The evaluation index of the case analysis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success factors of cultural city creation and the governance components. Regarding the comprehensive results by factor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network factors, legal system, and policy preparation factors were the highest. The network was the second highest, followed by cultural resources, cultural content factors, and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reating a cultural city, it was found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networking between each sub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city. Second, it was found that governance solves social problems and creates a successful cultural city by forming a community among citizens. Third, it was difficult to find a business plan in which voluntary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ok place, and as there was not substantial sponsorship and education support through corporate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governance model of administr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 of governance of cultural cities and studied the types and key elements of governance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not physical regener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valuable data for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in the city.

      • KCI등재

        도시 문화콘텐츠 연구

        맹주완(Meng, Juwoa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1

        This paper explor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urban identity and how it is needed for sustainability of the city and its progressive future. In order to strengthen regional identity by increasing the diversity and competitiveness of local cultural resources, we divided it into places and peopl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festival culture,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and sought to find alternative ways around cases of successful urban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scope of this paper has been targeted as cultural contents in four fields because the places that citizens share and remember in common in establishing the urban identity, as well a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such as people, traditions and festivals, were considered essential elements. In addition,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were targeted at cultural contents because they thought civil educa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establishing the urban identity in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ere the ratio of multiculturalism increases every year due to the influx of foreigners and the half-life of education and knowledge is shortened. 본 논문은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발전적 미래를 위해 도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여 도시정체성 정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역문화자원의 다양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역정체성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 문화콘텐츠를 장소와 인물, 전통문화유산, 축제문화, 다문화와 교육으로 세분화하였으며, 성공적인 도시문화 콘텐츠 대상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의 정체성 확립의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수행 범위를 네 개 분야의 문화콘텐츠로 대상화 한 것은, 도시정체성 정립에 시민들이 공통적으로 공감하고 기억하는 장소와 인물, 전통, 축제와 같은 유·무형적 자산이 필수요소로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와 교육을 문화콘텐츠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해마다 외국인의 유입으로 다문화비율이 높아지는 현 상황과 교육과 지식의 반감기가 짧아지는 인공지능시대에 시민교육이 도시의 정체성 정립에 중요한 변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문화도시 이미지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영종,이재호 한국정부학회 2010 한국행정논집 Vol.22 No.4

        본 연구는 문화도시 이미지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에서 특히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어떤 것인가를 실제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고 사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정책적 함의와 문화도시 이미지 창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 이미지 창출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역사 문화자원으로서의 가치, 콘텐츠 개발, 문화자원 주변 환경 등 3가지 큰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세부설문항목을 구성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화도시 이미지 창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가치 항목과 콘텐츠 개발 항목이었으며 이 두 항목은 다시 하나의 요인으로 묶여 추출되어 이를 문화산업가치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문화자원 주변 환경이라고 생각하였던 항목들은 각각 주변 환경요인과 관광요인 등 두 개의 요인으로 갈라져 추출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문화산업가치요인과 관광요인의 경우에는 정책화하여 진행될 경우 사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도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사례대상 자치단체는 문화유산과 관광자원을 두루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산업도시로서의 이미지가 상당히 강했던 만큼 이러한 산업도시의 이미지에 더하여 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 창출을 위해서는 위의 두 가지 요인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도시의 상품가치 구현과 콘텐츠 전문가의 양성 및 홍보 전략들은 위의 두 가지 큰 요인들에 대한 우선순위가 될 수 있으며, 특히 문화와 관련된 산업분야에서는 다른 도시에 비해 특화되는 산업이 존재할 경우 지역적 수준을 넘어선 전국적인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