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어촌 문화관광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부산 청사포 지역의 어촌경관을 중심으로-

        예산홍,조정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Marine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tourism in fishing villages, and tourism activities are the best means of expressing marine culture. Cheongsapo is an important fishing industry development area in Busan with rich marine culture and resources, but the distinctive marine cultural factors and cultural spatial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fishing vill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fishing village landscape by confirming that the use of cultural space content and value discovery are vital factors for sustainabl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Research method) Previous studies on the basic theory of marine culture and fishing village resource utilization were review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fishing village cultural space contents by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cultural spatial contents. After identifying the marine cultural elements and tourism development model of fishing village, and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the target site, Cheongsapo in Busan,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model,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ultural tourism us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Cheongsapo was present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0 fishing village cultural spaces selected, correlation and differentiation were foun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space content and the development image of the fishing villages' goals. The core of the regenera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fishing villages is to rediscover the values and creat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cultural space content and to creat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marine cultural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local cultural tourism can be promoted, regional visits can be expanded by creating demand for tourists, the brand value of Cheongsapo, the target site, and the promotion of fishing villages can be realized. (Conclusion) The use of marine cultural resources can be realized when organizing fishing village cultural space contents composed on fishing village landscape elements. First, it is required to transfer the spatial contents of the fishing village landscape that maximizes the artistry and creativity of a single architectural landscap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spatial contents of the fishing village cultural landscape applying communication, conservation, education, and intera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experience and leisure in the productive landscape of fishing villages. Fourth, living and ecological landscapes of fishing villages that reflect connectivity and conservation should be constructed.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of fishing villages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tourism demand and expansion of regional visits of Cheongsapo in Busan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to utilize the cultural value of the fishing village landscape. (연구배경 및 목적) 해양 문화는 어촌 관광의 중요한 부분이며 관광 활동은 해양 문화를 표현하기에 가장 좋은 수단이다. 청사포는 부산의 중요한 어업 발전 지역으로 해양 문화와 해양 자원이 풍부하지만, 어촌의 개발과 이용에서 뚜렷한 해양 문화 요소및 문화 공간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촌 조성계획에서 문화공간 콘텐츠 활용과 가치 발견이지속 가능한 어촌 발전을 위한 활성화 요소임을 확인하여 어촌경관 설립시 고려해야할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해양 문화 및 어촌자원 활용의 기초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경관 요소와 문화공간 콘텐츠의 특성을 추출하여 어촌문화공간 콘텐츠에 대한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국가별 어촌이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어촌 해양문화요소, 어촌관광 개발모델, 문화경관 특색 등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분석모델 분석사례를 인용하여 대상지인 부산 청사포를 분석하였으며, 청사포의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10개의 어촌문화공간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문화공간 내용의 특성과 어촌목표의 발전 이미지 사이에 상관성과 차별성이 발견되었다. 어촌의 문화경관 재생의 핵심은 문화공간 콘텐츠를 통해 장소적 가치를 새롭게 발굴하고 지역적 특색을 만드는 것이다. 해양문화콘텐츠의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지역 문화관광을 촉진하고, 관광객의 수요 창출을 통한 지역 방문량 확대, 대상지인 청사포의 브랜드가치 제고, 어촌진흥을 실현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해양문화자원의 활용은 어촌경관요소를 중심으로 어촌문화공간 콘텐츠를 조직할 때 실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단일적인 건축경관을 예술성과 창작성을 극대화한 어촌경관공간콘텐츠 전승이 요구된다. 둘째, 소통성, 보존성, 교육성, 상호작용을 적용한 어촌문화경관공간 콘텐츠 구현이 필요하다. 셋째, 체험성과 여가성이 어촌의 생산적 경관에 반영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계성과 보존성이 반영된 어촌의 생활경관과 생태경관이 조성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부산 청사포의 관광수요 창출과 지역 방문 확대에 기여하는 동시에 어촌경관의 문화적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어촌의 지역 경쟁력이 상승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문화 경관 개념에 기초한 공공디자인 방향 연구

        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경관은 경관법에 기초하여 지자체들이 공공디자인 관련 행정에서 다루어온 대상이다. 공공디자인이 물리적 환경에서 시민의 삶과 문화로 중심이 이동하면서, 경관의 역할도 새롭게 규정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관이 가지는 문화적 속성에 기초한 공공디자인의 적용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공공디자인에서의 경관의 역할과 접근법을 새롭게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에 기초한 법률 분석으로 진행된다. 도시 황폐화에 따른 자연에 대한 동경으로 등장한 경관은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으로 구분되었다. 자연과 인공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경관으로 문화 경관의 개념이 등장했다. 문화경관은 설계된 경관, 민속지학 경관, 역사유적, 토속경관의 유형을 가지며, 문화지리학에서는 자본, 권력으로 만들어진 경관까지를 포함한다. 사회, 사람들이 만든 시간적 누적물을 포괄하는 문화경관은 문화 향유권의 증대를 중시하는 공공디자인법의 목적과 일치한다.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중시하는 경관법은 경관을 통제적 접근이라면, 문화경관은 발생적 경관의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의 역할이 물리적 공간 조성에서 사회적 문제 해결로 확대되는 추세에서 문화경관의 접근법은 공공디자인의 새로운 방향과 일치한다. 문화경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디자인 사업의 초기단계에서 지역의 문화 조사와 연구가 포함된 기획이 강화되어야 한다. 문화경관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만큼, 지역주민과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문화경관은 지역의 고유성과 경관의 다양성이 근간이 되므로, 전문 분야별 관행적 영역을 넘어 유기적 협력이 요청된다. Landscape is administrative realm which local governments deal with based on law of Landscape. As the focus of public design moves from physical environment to life and culture of citizen, the role of landscape needs to be redescrib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role and approach of public design based on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This study is done by literature and analysis of related laws. Due to devastation of city, landscape is introduced as longing for nature. To overcome dichotomy of landscape as nature and man-mad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is introduced. Cultural landscape has four types: designed landscape, Ethnographic landscape, historic site, and vernacular landscape. Culture geography includes landscape shaped by capital and power into Cultural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which covers accumulated things by people is matched to goal of public design. While law of landscape has administrative view to landscape to manage efficient use of land, cultural landscape has generative approach to landscape. As role of public design shifts from creating physical space to solution of social problems, approach of cultural landscape is accorded to new direction of public design. Considering properties of cultural landscape, the planning including research for regional culture at initial stage has huge importance. Since cor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is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human, public design should be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citizen. For originality of region and diversity of landscape, cooperation of professional fields is required.

      • KCI등재

        중국 충칭시 파유문화의 광장경관 문화재생에 관한 연구 -충칭시 삼협광장을 중심으로-

        리우옌롱 ( Liu Yanlong ),김병옥 ( Kim Byung 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몇 년 동안 충칭시의 도시화 진행이 빨라지고 경관조성이 대량화되면서, 충칭 본연의 독특한 지역 경관 문화의 특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충칭 파유문화가 현대경관 디자인에서 문화적으로 재생되는 현상을 찾아내고, 분석을 통해 현대경관에서 문화를 재생하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 연구방법을 선택했다. 우선 충칭의 도시경관 문화의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하는 삼협(三峽)광장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사했고, 현장관찰, 촬영, 인터뷰 등 다양한 형식으로 광장경관에 나타난 충칭 파유문화의 재생현상을 찾아냈다. 그리고 경관에서 나타나는 파유문화 재생 현상을 분류분석, 심층분석, 문화재생 분석 등 경관설계의 현황 및 표현형식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파유문화가 경관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연구 및 분석을 통해 전통 파유문화를 현대경관에 문화재생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파유문화는 현대 경관에 문화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파유문화의 자연환경 요소, 고대유적 및 건축요소, 역사적 인류문화의 요소가 파유문화 재생을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스토리텔링을 통해 경관 속 문화재생을 말해주고 있다. 파유문화는 경관 속의 공공시설물, 공공조형물, 공공표지물을 현대적으로 설계하여 활용함으로써 경관의 문화재생을 도모한다. (결론) 본 논문은 충칭의 파유문화가 도시 광장의 경관에 미치는 문화적 재생에 관한 연구를 통해 충칭 도시중심구(主城區))의 도시계획 분석을 통해 광장의 장점과 단점을 탐구하였다. 파유문화는 도시 광장에 디자인을 응용할 때 3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소재를 수집하고, 파유문화요소를 발굴하는 것이다. 둘째, 소재를 정리하고 파유문화를 디자인하는 '보물'을 찾는 것이고, 세 번째는 문화재생의 방법을 도입하고, 보물찾기형 문화재생 방법과 스토리텔링형 문화재생의 방법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충칭광장 경관인 파유문화재생디자인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urbanization process in Chongqing, the landscape design has been mass-produced, and the unique geographical landscap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ongqing are gradually disappear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phenomenon of cultural regeneration of Chongqing Bayu culture in modern landscape design, and to find out the method of cultural regeneration of Bayu culture in modern landscape. (Method)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ology. Firstly, the Three Gorges Square,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Chongqing's urban landscape culture characteristics, was selected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s, shooting records, and conversation records, the phenomenon of Chongqing Bayu culture reappearing in the square landscape was investigated. Then, the classific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ultural regeneration analysis of the Bayu culture reappearance appearing in the landscape are explored to explore the status quo and manifestation of the Bayu culture in landscape design. Finally, by analyzing the phenomena appearing in the landscape of these Bayu cultures, the method of cultural regeneration in the modern landscape can b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Bayu cultur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Bayu culture can be culturally regenerated in modern landscapes.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of the Bashu culture, the ancient ruins and ancient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 historical and human elements are all important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generation of the Chongqing urban landscape Bayu culture. These Bayu cultural elements are culturally regenerated in the landscape through storytelling. The Bashu culture carries out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the landscape through the flexible use of modern facilities in the public facilities, public sculptures and public signs in the landscape. (Conclusions) In this paper, the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cultural regeneration of Chongqing Bayu culture in the urban square landscape, through the design analysis of the main square in the main city of Chongqing, explor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main city square in Chongqing. It is believed that the Bayu culture should follow three major steps i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city square: one is to collect materials and excavate the elements of the Bayu culture; the second is to organize the materials, to find the “treasures” for designing the Bashu culture, and the third is to introduce the method of cultural regeneration. The system introduces the treasure-seeking culture regeneration method and the story-telling culture regeneration method, an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Chongqing Square landscape Bayu culture regeneration design.

      • KCI등재

        문화경관으로서 지역 전통시장 - 대구 서문시장을 중심으로 -

        정재영(Chung, Jaeyoung)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이 연구는 지역 전통시장을 문화경관의 범주로 포섭하여 인식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나아가 문화유산에 대한 다양한 제도적 지원과 보호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시장 활성화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간 전통시장을 문화경관으로 접근한 경우는 드물다. 이는 문화경관의 개념을 한정적으로 정의하고, 적용한 데 기인한다. 하지만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문화경관’ 개념, 유럽평의회의 ‘유럽경관협약’에서 제시하였듯이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경관이면 그 대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담보한 전통시장은 문화경관으로서의 인식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시장의 공간에 내재한 공동체성은 시장을 문화경관으로 이해하는 한편 무형문화유산의 범주에 포섭할 수 있는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대구 서문시장은 대구라는 도시와 함께 성장하며 대구와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담아내며, 대구 지역민의 삶의 터전이자 경제활동의 중심공간으로서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다양한 공간성을 형성하였다. 향시권의 중심공간, 식민지배의 전략적 공간, 대구의 성장을 견인한 경제공간, 새로운 가치가 부여된 상품화된 공간 등으로 변화한 서문시장의 공간성을 담보한 문화경관은 대구의 지역정체성을 이해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화경관 개념의 전통시장 적용에 대한 논의는 시장연구의 영역과 문화유산 범주의 확장이라는 측면 외에도 전통시장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배경을 구축함으로써 결국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또 하나의 접근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ocal traditional market can be recognized as a category of cultural landscape,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market revitalization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and protection for cultural heritage. It is rare that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approached as cultural landscapes. This is due to the limited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However, as suggested by UNESCO"s concept of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and the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of the Council of Europe, it is a tradition that guarante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in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target if it is a landscape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e market can be recognized as a cultural landscape. Above all, the sense of community inherent in the market space can act as a condition for understanding the market as a cultural landscape and subsuming it into the catego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is standpoint, Daegu Seomun Market has grown together with the Daegu city and captured the twists and turns of Daegu and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cultural landscape that guarantees the spatiality of Seomun Market,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central space of the Hyangsi area, the strategic space of colonial rule, the economic space that led the growth of Daegu, and the commercialized space with new values, is a place to understand Daegu"s own identity. can be the basis. The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concept of the cultural landscape concept is another way to 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by establishing the institutional support background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market research and the category of cultural heritage. could be an approach.

      • 미국역사경관조사를 통해 본 문화경관 기록방법의 특성

        ( Soon Ki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1 No.-

        문화경관의 기록은 문화경관이 비교적 최근 문화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면서, 유산 고유의 특징에 대한 고려 없이 다른 유산의 기록에 사용하던 시각적 특징을 우선적으로 기록하는 기존의 방법을 답습하여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문화경관은 겉에 보이는 시각적 특징뿐 아니라, 그 유산이 가지는 내적 가치, 즉 유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나 지역 내 생태계 환경 등 보이지 않는 특징 또한 그 유산의 가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기존의 시각적 특징만을 기록하는 방법으로는 기록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문화유산의 기록은 그 유산이 가지는 가치를 지켜 나가기 위한 다양한 관리 및 보존 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형성하고, 또한 문화유산의 교육 등의 활용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문화유산의 기록에는 그 유산이 가지는 다양한 가치가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경관에 대해 그 유산의 가치를 기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며, 그 고찰에 대한 시작으로 이 논문은 우선 문화경관이 왜 다른 문화유산과 다른 기록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문화경관의 개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현재 운영 중인 미국의 역사경관조사를 분석하였다. 2000년에 시작된 미국의 역사경관조사는 중앙정부에 의해 운영되는 문화경관 기록 프로그램으로서, 미국 각지의 역사경관보존의 기초자료 수집 및 보관을 위해 기획되었다. 미국역사경관조사는 미국 중앙정부의 유산기록 프로그램의 하나로, 기존에 운영되었던 미국역사건축조사와 미국역사토목기록에서 사용한 유산의 기록방법을 차용하여 사용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국가 차원에서 역사경관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 다는 점과 역사경관의 기록을 위한 체계를 만들었다는 점, 그리고 역사경관기록의 빠른 증대를 위한 각종장치들이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역사경관 기록의 현재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역사경관조사의 기본이 되는 기록방법의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역사경관조사 관련 문헌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또한 기록증대를 위한 장치 중 특히 성공적이라 평가되는 챌린지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is based on research undertaken about the case study focusing on the Historic American Landscape Survey for refining the documentation methods for cultural landscapes. First of all, the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its reason between the docu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and other heritag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meaning and defini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After that, the research analyzes the Historic American Landscape Survey as a federal level documentation program currently applied in the United States for documenting cultural landscapes. The heritage value of cultural landscapes is based on not only its tangible and visual aspects, but also its invisible inside, such as human interaction, (hi)story and eco system.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cultural landscapes continually change and cannot be reconstructed after loss of its originality. Therefore, the docu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has to be prog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recognition by the proper documentation methods to record its various values. The establishment of proper documentation methods for cultural landscapes is the most significant task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landscapes preservation.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에 있어서 문화경관의 보존과 활용 연구 -「경관법」과 문화영향평가를 중심으로-

        노시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7

        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1992년에 ‘세계유산 문화경관’ 개념을 채택하면서 세계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이후 많은 나라․지역이 법령이나 협약을 통해 문화경관을 보호하려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러한 수준으로 문화경관의 보존․활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재생사업은 문화경관을 훼손하거나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예산을 투입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보존과 활용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16년과 2017년에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문화영향평가를 통해 문화경관의 인식․보존․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도시재생사업을 수행할 때 이 경관을 보존․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문화경관 인식․보존․활용은 매우 미흡하며, 그 보존․활용을 위해서는 「경관법」 등 관련 법령에 문화경관 개념 도입․확대가 필요하고, 문화영향평가에서 부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 사전 평가, 정책대안 제시에 주력해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 cultural landscape has been of global interest since the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adopted the concept of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in 1992 and many countries and regions are trying to protect it through laws and conventions. However, Korea is not able to preserve and utilize that landscape at such a level. In this situati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n be both a crisis and an opportunity to preserve and utilize such landscape because the project can damage it and make it disappear, or bring attention and budget to i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cogni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tatus of cultural landscape through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in 2016 and 2017 and considers the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that landscape when conducting urban renewal project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recogni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landscape in Korea is very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expand its concept in relevant laws such as ‘Landscape Law’ for it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nd cultural impact assessment should focus on assessment of negative impact, pre-evaluation and suggestion of policy alternatives.

      • KCI등재

        생태박물관과 문화경관의 보존 - 목포 목화문화경관을 중심으로

        노시훈 ( Noh Shi-h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용봉인문논총 Vol.- No.49

        최근 문화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 보존을 위한 노력이 늘고 있는데, 세계유산 문화경관처럼 인류의 탁월한 유산으로서의 경관을 보존하는 한편으로 빼어나지는 않더라도 지역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관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 생태박물관은 연구소이자 보존기관이자 학교이며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기 때문에 보잘것없더라도 중요한 지역 경관을 보존하기에 적합한 수단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식민지수탈 기지였던 목포에 형성된 목화문화경관 사례를 들어 생태박물관을 통해 문화경관을 보존하고자 할 때 필요한 과정과 방법에 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문화경관과 그것을 구성하는 문화유산을 상세하게 조사하고 그것들이 구성하는 문화경관의 특징을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의 상세 조사와 특징 분석을 토대로 경관 보존의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경관 보존에 적합한 형태로 생태박물관을 건립하고 유산을 확보하여 관리·활용하여야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전시 개최와 교육 프로그램 실시로 문화경관을 통한 주민의 지역 정체성 이해를 돕고 문화경관 보존 참여를 유도하며,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 실시로 생태박물관이 경관 보존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The efforts for the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have recently increased as th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at landscape is raised. When putting conservation efforts, it is necessary to preserve not only the landscapes as humankind’s outstanding heritages like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but also the landscapes although not outstanding but having regional significances. The ecomuseum is a good tool for the preservation of the latter regional landscapes because it is a ‘laboratory’, a ‘conservation centre’ and a ‘school’, and it respects the cultural diversity (Georges-Henri Riviere). From the research in the process and the methods of the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with the tool of ecomuseum, through the case of the cotton landscape created in Mokpo, colonial plunder bas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e got results as follows: 1) to investigate in minute detail the cultural landscapes and the cultural heritages which form those landscape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2) to decide the emphasis of the landscape conservation on the basis of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3) to establish an ecomuseum with a form appropriate to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to manage and utilize the obtained heritages; 4) to help the local residents understand the regional identity through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lead them to participate in the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to make the ecomuseum contribut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region revitalization programs.

      • KCI등재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와 문화경관

        이영경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1 No.-

        Currently, the paradigm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s have shifted to conserving th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areal perspective. The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as living religious heritage, have forests with a good ecological state, valuable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landscapes. To mainta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diverse values associated with religious,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s in temple areas and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s. This study introduces the value-based management model of traditional temples and the assessment indicators. Also, the two kinds of value assessment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landscape valu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and visitor perceptions. The landscape assessment was performed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and access system, entry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stream landscape. Visitor assessment was focused on the 12 values of the Woljeong temple, the importanc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and economic assess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dscap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maintained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harmony with nature and that visitors evaluated the 12 values highl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oljeong temple area should be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f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 which restores the religious value and at the same tim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other values. Also it is possible for the Woljeong temple to participate in both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management plan. In order to maintain such a cultural landscape, endeavors to correspond with the identity of the Woljeong temple are needed. 근래에는 문화유산을 면(面)적 관점에서 관리하고 유산의 가치를 보존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은 살아있는 종교유산으로서 생태가 양호한 산림과 문화자원이 있으며 독특한 문화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전통사찰을 바람직하게관리하기 위해서는 종교, 문화, 자연자원으로부터 창출되는 다양한 가치를 도출하고 가치중심 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보존지의 가치중심 관리모델과 가치평가 지표를 소개하고,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관가치 평가와 일반인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 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가치 평가는 공간구성 및 진입체계, 진입경관, 문화경관,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방문객581명을 대상으로 12가지 가치에 대한 중요도 평가, 오대산 국립공원에서 월정사 보존지가 차지하는 중요도와 기여도 평가,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보면 월정사 보존지의 경관은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자연과 조화되고 있으며, 방문객들은 월정사 보존지의 다양한 가치들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되면 다양한 가치를 중심으로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종교가치를 향상시키고 다른 가치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월정사가 보존지 관리에 동등한 파트너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종교유산으로서 월정사의 장소성과 정체성에 부합되는 문화경관이 유지되도록 경관적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서울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의 시각적 특성연구

        이원호 ( Won Ho Lee ),김재웅 ( Jae 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본 논문은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북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 주변 경관사진 30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관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6개 형용사를 척도화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북동 내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에 나타나는 경관에 대한 30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어휘에 대한 선호도 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평균치는 3.72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중 4.5점 이상의 사진은 VP8번, VP9번, VP10번, VP12번, VP15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인 곳은 마포 최사영 고택과 성락원 주변경관으로, 이는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서울시 경관계획에 의해 고도를 제한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서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산에서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경관이 양호하게 확보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로 판단된다. 둘째,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심미적 요인), 요인 2(문화적 요인), 요인 3(물리적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어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한 심미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셋째, 역사문화자원 중 정비되지 않은 주거지역 주변경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부각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될수록 물리적, 문화적, 심미적 특성의 3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높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표출된 인자에 대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경관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Seongbuk-dong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ere analyzed b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djective analysis. Research was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nd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located in Seongbuk-dong 30 sl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Landscape preference factors to identify the scale of 16 adjective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Lastl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last image factors on visual preferences. First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fficer for 30 pictures appear in Seongbuk-dong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distributed around the target preference for the 16 adjectives analysis yielded an average result of overall preference were analyzed and that is a 3.72 average. In these photos, VP8, VP9, VP10, VP12, VP15; 4.5 points more than one order higher. The reason is limit of altitude by the Seoul landscape plan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It also judged important reason that history and Culture ar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cultural property in the conservation area. Secondly, Important factors are factor 1(aesthetic factors), factor 2(cultural factors), factor 3(physical factors) and three factors could be identified.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for visual preference and image shows value of psychological factor is most significant to explain for nearby history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of scenery around. As a result, the state can not view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nalysis will be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esthetic factors. Third, the negative side of the argument is a residential area which is not arranged surrounding landscap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emerg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harmony with the phenomena of the physical, cul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reas is a positive factor in the high incidence. Factors from that are express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derive a factor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andscape around is required.

      • KCI등재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의 재조명

        김창규 ( Chang Kyu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3

        우리나라에 있어서 명승은 1933년 8월 조선총독부 제령 제6호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법적 개념으로 도입되었으나, 그 지정은 광복 이후 1962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이 처음이었고, 1979년까지 단 7건에 머물렀다. 이와 같이 명승의 개념이 법률에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지정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기념물의 한 종류로서 천연기념물과 사적의 주변풍경 자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재 중 ‘사적’은 인간의 역사의 흔적이다. ‘천연기념물’은 글자 그대로 인공이 가미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 중에서 인간이 기억하고 되새길 만한 것들이다. ‘명승’은 명승지의 준말로서 이름나고 빼어난 지경을 말한다. 이들 특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은 제정 당초부터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을 함께 ‘기념물’의 범주에 두고 보호하여 왔다. 이로 인하여 풍경(지경) 자체가 목적인 명승은 사적과 천연기념물의 보존ㆍ관리를 위한 주변 지역이나 주변 풍경으로 인식되어 그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명승 지정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7년 8월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지정기준을 전면 개정하여 종전 사적으로 분류되었던 전설지ㆍ정원 등과 역사문화경관으로서 경작지ㆍ제방ㆍ포구 등을 새로이 명승의 지정대상에 포함시켰다. 더 나아가 2009년 12월에는 종전 ‘사적 및 명승’으로 지정ㆍ관리되어 오던 8건을 명승으로 재분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2013년 7월 31일 현재, 총 104개의 명승이 지정ㆍ관리되고 있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행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은 여전히 다른 기념물과의 차별성 내지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포함한 유산으로서의 명승은 다른 문화재와 달리 국민들이 대부분 문화관광의 대상으로 이용하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보존과 함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명승의 자원화와 그 활용의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명승의 가치를 재검토하고 명승 개념을 명확히 하여 다른 기념물과 차별화되는 명승 개념의 독자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새로운 명승자원의 확충과 명승자원 활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입법방안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명승을 “경치가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명승은 ‘경치 좋은 곳’만이 대상은 아니다. 명승은 일반적으로 조망점에서 시각으로 관찰되는 ‘점’ 경관인 경승지에 조성된 자연환경이나 생활모습의 장면 또는 자연적ㆍ인공적인 물체가 놓인 장이다. 그리고 명승은 어느 특수한 장소에서 표현되는 것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이 있는 곳이면 별서의 형태이든 대ㆍ루ㆍ정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과 같이 어느 곳이든지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산의 자태가 유현한 심산유곡의 경승지를 택하여 시나 서화를 남기거나 그 속에서 여생을 즐기며 은둔하여 후학을 양성한 공간도 명승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명승의 정의는 ‘경치 좋은 곳’ 보다 종전의 ‘경승지’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제3호나목의 명승 정의를 “경승지로서 예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명승 지정기준 중 세부기준은 다소 성격이 중복된 명승의 유형을 분류할 때에 역사문화적 가치에 따른 미시적 경관요소 보다는 거시적 경관우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따라 분류가 좌우되는 문제점 등이 있으며, 경승지에 해당하는 팔경의 경우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과 “역사ㆍ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의 기준이 혼재되어 불완전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역사ㆍ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의 세부유형으로 제시된 명산, 협곡, 곶, 급류, 심연, 폭포, 호소, 사구 등은 사실상 자연경관지의 유형에 해당한다. 따라서 역사ㆍ문화경관명승의 특성에 맞는 세부유형의 개발 및 새로운 명승자원의 유형을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평가기준 중 천연기념물의 ‘역사적, 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은 명승의 ‘경관적 가치’ 및 사적의 ‘역사적 가치’와 중복되어 그 구분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기념물의 평가기준은 ‘학술적 가치’만을 강조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고, 더 나아가 그 대상 중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경관적 가치가 큰 것’도 제외하여 명승과의 중복대상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제3호다목의 천연기념물 정의를 “동물ㆍ식물ㆍ지형ㆍ지질ㆍ광물ㆍ동굴ㆍ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There are various natural topographies and a lot of beautiful scenes in Korea, so our ancestors expressed and handed down the beauty in poetry or paintings from long ago. So these Scenic Sites have served as not only the places where people appreciate splendid natural landscape and live poetical life but also those where our ancestors stretched out literature, thoughts and ideals. In addition, in the Scenic Sites mostly Jeongja(pavilions) and Nugak(palaces) were built and they were installed very carefully with size assimilated with nature and simple beauty neither dominating nor harming natural landscape there. The pavilions and palaces are independent places appreciating natural landscape and are objective elements as part of the landscape enhancing the value of the landscape. The Scenic Sites is included as memorial of a kind of authorized heritage, for its authorization standard, it is a picturesque place or a spot which we can watch famous scenery with famous building, and it has a particularly distinguished natural beauty, so not only aesthetic importance but also peculiarity, rarity and particularity etc. it contains in the course of its formation. The Scenic Sites of Korea was first provided by law in 1933 “Joseon Treasure, Historical Remains, Scenic Sites and National Monuments Protection Order”. However, the Scenic Sites wasn`t designated until 1970s when “Myeonju Cheonghagdong Sogeumgang” located in Gangneung-si, Gangwon-do was designated by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1962, after that only 7 Scenic Sites were designated until 1979. In this circumstance, on August 29, 2007, the designation criteria were totally revised to attempt a full change to include historical-cultural landscapes in the target of the designation by including legendary places and gardens which had been classified as historic sites previously and allowing to designate farmlands, dykes and inlets newly. This changed concepts of the former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Traditional Scenic Sites significantly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attractions more. For plans to invigorate the designation of the Scenic Sites in the future and to preserve their value as national heritage constantly, this article suggests to the followings:First of all, the Scenic Sites is defined as the ‘scenic wonderland’ which has a value of artistic and superior landscape by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owever, the purpose of the Scenic Sites isn`t for only ‘scenic wonderland’. In general, the Scenic Sites is a stage where a scene of natural environment or of a life formed in a place of beautiful scenery, which is a point scenery visually observed from a viewpoint, or a natural or artificial object is placed. The Scenic Sites could be a fixed scene, which is a natural or artificial characteristic, or an expression of human lives. The Scenic Sites is an expression of human experiences made after experiencing and perceiv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cenic Sites is not limited to what is expressed in a specific place but can exist wherever we live, whether as a outhouse or an artificial structure such as a pavilion. Therefore the Scenic Sites is a term for the concept that includes various types of the objects presented and ‘scenic wonderland’ refers to ‘scenic site or picturesque place’ should be corrected. Thus, since the definition of Scenic Sites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should imply various aspects and significances of the Scenic Sites, it would be desirable to express it as “the picturesque place with great artistic or scenic value”. Secondly,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the Scenic Sites in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divided broadly the objects of the Scenic Sites designation into natural landscape sites and historic-cultural landscape sites. However, as discussed above, since the Scenic Sites are not heritages limited to landscape, it is desirable to express as picturesque place, rather than landscape. Furthermore, mountain, hill, plateau, plain, volcano, river, seaside, riverside and islands are included in natural landscape sites while historic-cultural landscape sites include famous mountain, canyon, strait, cape, swift currents, abyss, waterfall and lakes and dune, etc. The type of historic-cultural landscape mostly belongs to natural landscape sites. Thus it is judged that total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the designation criteria to mak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type of the Scenic Sites clear and to allow to grasp the types Scenic Sites easily. In addition, we should carefully review and edit in or out detailed items so that the Scenic Sites can represent Korea`s unique and characteristic beauty of the land. Lastly, the standard of value of the natural monuments in the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Scenic Sites. Thus,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s definition of natural monuments would be desirable to express it as “animal, plants, topography, geological feature, minerals, cave, biologic products, or special natural phenomenon with great academic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