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 세계문학과 번역의 위치

        김용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1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in terms of translation. The role of translation is indispensable to world literature in that it is an important process in which literary works move up to a more universal and general level beyond their specificity or locality. Goethe’s and Marx’s theory of world literature would also be hard to emerge without the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nslation of literatures between cultures. Exploring world literature as translation means how literature moves around the world, how literature moves from source culture to target culture, what changes and refractions are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how these crossings and migrations transform the culture. Transl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texts are not only linguistically translated in the text but also across cultures and ideas. Translation as a process includes both new cultural phenomena which translated texts produce in the target culture rather than translation of specific objects or texts, and the process of refraction, hybridization, and transformation that occurs when new ideas or concepts enter into the target culture. Once based upon this view, the materiality of the translation process without obsessing with the equivalence or transparency of translation reveals itself. Translation in world literature is a major mechanism that shows its important operation, as well as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asymmet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By engaging with the location of translation in mind, world literature seeks to think of itself in a way that translates the inequality of the world literary space and revisits it through transcultural practice. 이 글은 ‘번역’의 관점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번역은 해당 작품이 그 특수성이나 지역성을 뛰어넘어 보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 도달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세계문학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과제이다. 괴테와 맑스가 말한 세계문학론 역시 문학의 국제적 유통과 문화 간 번역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등장하기 어려웠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을 탐구하는 것은 ‘문학’이 어떻게 ‘세계’를 이동하는가, 문학이 자신의 원천문화를 떠나 목표문화로 나아가는 번역 과정 속에서 어떤 변화를 겪는가, 이런 횡단과 이동이 목표문화에 어떻게 이식, 굴절, 변형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말하는 ‘번역’은 텍스트 내의 언어적 번역뿐만 아니라 이념들 간의 문화번역까지 염두에 둔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민주주의, 진보, 계몽, 근대성과 같은 사상이나 이념이 목표문화 속에 수용되어 야기되는 굴절, 혼종, 변형의 과정 역시 번역 개념에 포함된다. 이런 시각을 가질 때, 번역의 등가성이나 투명성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번역과정의 물질성에 주목하게 된다. 번역은 중심과 주변의 불균등성과 비대칭성을 동시에 안고 있는 문제이며 세계문학의 중요한 작동을 드러내는 핵심 기제이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은 번역의 위치를 항상 염두에 두고 세계문학 공간의 불균등성과 불평등성을 문학의 세계구성을 통해 번역하는 한편 그 번역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정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세계문학과 번역의 맥락 속에서 살펴 본 한국문학의 오늘

        정명교 ( Myeong Kyo Je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2

        이 논문은 한국문학이 자국어문학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세계문학의 구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세계화의 급속 한 진행 속에서 한국문학이 자신의 독자성을 지켜나가면서 동시에 세계 문학의 중요한 자원으로서 자신을 위치시키는 일이 여하히 가능할 것인 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기가 어려운 것은 무엇보다도 한국문학 이 한국어라는 한국인만의 독자적인 언어를 통해 생장해 왔기 때문이다. 만일 한국문학과 한국의 문학인들이 한국어라는 매체를 포기할 수 없다 면 세계문학과의 소통을 위해 별도의 중개 장치를 개발할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번역’이라는 것을 한국의 문학인들은 본능적으로 알아차렸다. 따 라서 1990년대 이후 선구적인 번역가들이 출현해 한국문학을 세계에 알 리기 시작했고, 그 후 ‘번역을 통한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가장 보편적인 공식으로 받아들여져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되고 확산되었다. 그 노 력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 내, 한국문학의 공간을 세계문학의 지형 내에 조성하는 데에 얼마간 성공하였다. 그러나 그 성공은 아직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또한 유럽이라는 특정 지역에 국한된 것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시점에서 이 번역 작업의 경과를 살피는 한편, 번역이라는 활동의 의미와 그 가능성을 재점검하고 이 번역 작업에 부응할 만한 현 단계 한국문학의 문학적 성취와 그 의의를 고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본고 는 그러한 성찰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번역’은 단순히 주변국의 정신문 화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사의 전 시대에 걸쳐 문학을 포함한 모든 정 신적 교류의 핵심적 방법으로 기능해온 보편적 기제임을 확인하고, 번역 의 궁극적인 의의는 이질적인 두 정신 세계의 교섭과 더 큰 새로운 정신 세계의 창출임을 인지하여, 그런 의미에서 이상적 수준의 번역은 ‘직역’ 도 ‘의역’도 아니라 ‘문자 대 문자’의 텍스트 수준에서의 통째 번역이라는 것을 추론해 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번역의 이상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출발어 문학과 도착어 문학 사이의 ‘호환성’의 정도가 최고도로 증대되어 야 하며, 그것은 결국 번역의 정확성의 차원을 넘어 출발어 세계와 도착 어 세계 사이의 정신적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출발어 문학의 사유의 깊이 와 사유의 변별성을 요구한다. 필자는 두 여성시인의 시 텍스트를 분석하 여 그러한 사유적 수준과 변별성의 양태를 살피는 것으로 이 논문을 메지 대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a critical view that the Korean literature now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sphere of World Literature beyond the enclosure of national literature. Is it possible that, in the rapid progress of the globalization, Korean literature would be situated in the sphere of World Literature as one of the important constituents of it, maintaining her own originality? The response can`t be given easily especially because of the fact the Korean literature has developed in a unique language that only Koreans use as their everyday language. If Korean writers couldn`t and shouldn`t give up the Korean language, then they need a separate equipment to communicate with the readers around the world. Many Koreans perceived that this equipment is merely translation. Therefore, since, in the early 1990s, some pioneers translated the important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to world languages (English, French…), the translation became the almost sole principl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this principle has been proliferated laboriously over 20 years. Fortunately, these endeavors made a good result in a certain degree. Nevertheless this success is simply an early stage and furthermore is limited to Europe. Therefore,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it is necessary to, while looking over the development of these translations so far, re-inspect the significance and the possibility of the translation, and inquireinto the accomplishments of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enough to correspond to the efforts of the translators. Through such reflections, we can confirm that the ‘translation’ is not the obsession of minor culture but the universal device as core method for all sorts of the spiritual interchanges in all ages of the humanity, recogniz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translation is the harmony of the two heteroclite spiritual worlds and the creation of the new culture through the synthesis of two, and inferred that the ideal translation is neither “word[-]for[-]word” translation, nor translation of the core meanings, but “text for text(lettre-a-lettre)” according to the insight of Paul Ricoeur. These reflections also show that, to arrive in this ideal level of translation,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languages and, in addition to it, between the literatures of both sides must be maximized, and for this that, above the correctness of the translation, both the level and the uniqueness of the thinking, expressions, figures … etc. of the literature of the departure language should be worth to be interchanged with the literatures around the world. In conclusion, we affirmed the coincidence of the Korean Literature with this demand by analyzing the poems of the two contemporary Korean women poets, Kim Seung-hee and Kim Hyesoon.

      • KCI등재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영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s, trends and influence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It is a basic work for research that gave an overview of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from 1910 to the 1960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historical common experience, emotional similarities, cosmopolitanism, and universal culture are important in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This paper surveyed the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on literary magazines, poetry magazines, and books of publications in the 1970s and compiled it into a lis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are four major trend. First, Latin American and African poetry is the mainstream in translation, but translations to Middle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re minimal. Second, the trend of translation has changed from Latin American poetry to African poetry and American black poetry. Third, They are classified by medium and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One is the case of translation the Third World Literature is in order to introduce recent World Literature trend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transl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ird World literature. Especially, These translated poetry used the method of resistance to the violent regime, Popular Literature, and realism in Korean literature. La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Pablo Neruda was a problematic text in the 1970s in Korea. His collection of poems was censored because he was a communist. Also,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wide trend of his poems at the level of criticism in Korea.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is that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Third World and has a common position and sense within the world system. 이 연구는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현황 및 당대 시단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1910~60년대까지 제3세계 번역시를 개관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 근현대시문학사에서 제3세계 시 번역의 기준으로 역사적 공통 경험과 정서적 유사성, 그리고 ‘세계성’과 ‘보편적 교양’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1970년대 문예지, 시 전문지, 출판 시집 등을 대상으로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양상을 조사하고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70년대 제3세계 번역시의 경향, 번역 대상과 매체별로 시기적 변화양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제3세계 문학론과 번역시의 관계, 제3세계 번역시가 한국시에 미친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1970년대 제3세계 시의 번역 양상을 정리하면, 먼저, 번역 대상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시가 주류를 이루며 중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번역은 미미한 편이었다. 시기적으로는 1971년 네루다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번역의 중심이 옮겨갔다. 매체별로는, 제3세계 문학에 대한 특정한 인식 없이 최근의 세계문학 동향을 다양하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스페인, 남미, 인도, 중동남아 시를 번역하는 경우(『시문학』과 『세계의 문학』), 한국문학과 제3세계문학의 관계에 집중하여 번역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경우, 『문학사상』이 국내의 정치적 억압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저항문학의 관점에서 라틴 아메리카 시와 제3세계문학을 연재한 것, 동인지 『반시』가 ‘민중적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시 번역을 연재한 것이 해당된다. 특히, 제3세계 문학과 민족문학을 통합하는 관점으로 ‘민중적 관점’과 ‘리얼리즘’을 주장하였던 백낙청, 구중서, 박태순의 제3세계문학론은, 제3세계 번역시의 중심이 라틴 아메리카문학에서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끝으로, 제3세계를 대표하는 시인 네루다가 197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문제적 텍스트’가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사실로 인해 『네루다시집』에 남아 있는 검열의 흔적은, 1970년대 네루다 시집 출판의 어려움뿐 아니라 이념적인 문학작품의 출판에 대해 엄혹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소개는, 서구 중심의 세계문학 개념에 대한 반성적 인식과 새로운 세계문학의 기준점을 마련했다는 점, 제3세계 문학과 한국문학이 세계사적 과제의 실현을 위한 연대를 모색했다는 점, 그리고 한국 시의 영역과 비평 언어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랍권의 한중일 문학 번역 및 한국 문학의 위상

        ELEWA Alaa F.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8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Arab readers came much later than other East Asian works of literature, especially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South Korea was less fortunate in establishing early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Arab world, while early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Arabs, Chinese, and Japanese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early cultural ties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me real-world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activities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reasons for the uneasy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and accordingly, it examines the situations and some of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This paper also aims to highlight various efforts made to activate and solve the problems of Arabic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discuss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Arabic translation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challenges it faces. While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history of translating Korean literary works into Arabic, its current status, and the efforts made to improve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t also reviews some of the practical problems facing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including publishing, promotion, etc.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보다 약 50 년 늦게 출발하였다.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일찌감치 활성화된 아랍 세계와 중국, 그리고 아랍 세계와 일본 간의 교역 및 외교 관계의 영향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오래된 번역 역사임도 불구하고 두 나라 문학의 번역이 그리 순조롭지 못한 측면들이 있었고 아직도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한정된 독자층, 재판 문제, 이슬람권에 어울리지 않은 문화요소, 국제수상작을 중심으로 한 작품선정 등의 체계적인 번역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다양한 현실적 문제를 본 논문에서 자세히 알아본다. 이는 역시 한국 문학 아랍어 번역에서도 나타나고있다. 2000년대 중반에 시작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나, 독자층의 성립, 올바른 홍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한 아랍인의 인식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한국 문학의 번역 활동을 이어가려면 작품 번역 외에도 한국 문학, 역사, 문화 등을 소개하는 ‘아랍어로’ 된 도서와 다양한 행사를 통해서 한국 문학 알리기 활동 등의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번역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평을 통한 번역 검증도 시급하다. 이 같이 본 논문은 먼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일찍이 시작된 번역 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을 다룬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완성된 번역 활동을 위해 실행되고 있는 노력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문학 영어번역 양상 멀리서 읽기(2)-고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전기화,김지윤,유건수,전세진,정기인,정성훈,Seth Chandler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한국 고전문학의 영어번역양상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1889년부터 2023년까지 번역된 1868개의 고전문학 작품과 206권의 단행본의 목록을 만들고, 그 서지 사항을 근거로 하여 시기별 발간량 추이, 여성 작가의 비율 추이, 장르별 번역 추이, 작가와 산출 연대별 번역 추이, 번역가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고전문학 분야의 연간 발간량은 지난 60년 동안 일관된 증가나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정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재번역 및 재출간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 작가의 비율은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특히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 데이터 수집 기간 중 가장 높은 16.8%를 기록했다. 이러한 여성 작가 비율의 증가는 번역자 개인의 관심과 영미 학계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장르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글문학, 한문학, 구비문학 순으로 비중이 높으나, 이 비중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구비문학이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기록문학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2000년대 이후 한문학 및 산문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품이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번역된 작가들은 鄭澈, 黃眞伊, 尹善道 등 고전시가 작가들로 확인되며, 번역 작품의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상위 작가 명단은 金萬重과 惠慶宮 洪氏 등 고전산문 작가들로 나타난다. 번역된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작품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 작품이 다수 번역되었다. 한편 번역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볼 경우, 초기 선교사 번역가들과 20세기 중후반 한국학 개발 시기의 번역가들의 작품이 여전히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개인적 취향과 환경이 번역 양상에 영향을 끼쳤다. 현재로서는 고전문학의 실제적 다양성을 영어번역에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최근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 번역 양상에까지 충분히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reliminary study offers a comprehensive view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Using bibliographic data from 206 books and 1868 works of translation published between 1889 and 2023, it analyzes trend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published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female authorship, literary genre, and historical era among source texts, and the translators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analysis indicates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in publishing over the past 60 years, and finds a tendency for specific works to be retranslated or republished. Female authorship of source texts gradually increases over time, reaching a maximum of 16.8 percent in 2011-2020. This increase may reflect individual interests of specific translators and the influence of English-language academia. In terms of genre, Hangul literature makes up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n oral literature. However, this changes over time, shifting from oral literature prior to 1960 to written literature in the 1970s. From the 2000s, prose and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grew. Authors with the most translated works include classical poets like Jeong Cheol, Hwang Jin-i, and Yun Seon-do, while a weighted measure of translated works results in prose writers like Kim Man-jung, Lady Hyegyeong, and Il-yeon. Joseon-era source texts are predominant, particularly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Early missionary translators and thos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from the mid-to-late twentieth century remain the largest overall contributors, with their personal tastes and available resources influencing overall trends. This suggests that the concerns of recent researchers, who argue for a fuller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classical works, are not yet sufficiently reflected in English translation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 KCI등재

        지구화 시대의 헤르더 번역이론

        김연수 ( Yeon Soo Kim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정치, 경제, 문화, 학문적 담론의 영역에서, 지구화’ 현상과 결부된 논의를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지구화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이 아직 없다고 보아도 낯선 문화와의 만남과 교류에서 빚어지는 제반 현상이 지구화 관련 문제의식의 핵심이라는 점에는 이론이 없을 것이다. 낯선 문화와의 만남에서 필연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번역’이다. 본고에서는 ,최초의’지구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의 근대화 초기로 시선을 돌려 헤르더의 번역이론을 살펴보았다. 당시 지배적이었던 유럽중심적인 세계관, 이와 연동된 식민주의적 시각의 궤를 벗어난 헤르더의 사유에서 오늘날 생각해볼 만한 가치를 읽을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오시안 시의 독일어 번역에 대한 헤르더의 비판과 그의 민요수집 및 번역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그의 번역론의 특성을 접할 수 있었다. 당시 유럽에는 자민족중심의 번역방식이 팽배해 있었으나, 헤르더는 이런 경향에 브레이크를 거는 타민족에 충실한 번역방식을 제안, 적용했다. 이때 그는 정전화된 ,큰’ 문학, 즉 그리스로마문학으로부터 등을 돌리고 ,작은’ 문학, 즉 북유럽 및 동유럽의 작은 민족들의 문학과 문화에 대해 , 내부적 시선’ 으로 이해하고 번역하였다. ,큰’ 문학으로부터 등을 돌리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미하엘 데니스의 오시안 번역본을 비판하면서이다. 그는 데니스의 언어적 능력을 인정했지만, 그가 선택한, 당시 관행에 따른 번역방식에 대해서는 상당히 비판적이었다. 북방 켈트족의 시를 남방의 시풍, 즉 당시 정전화된 그리스의 시풍인 헥사메터로 번역함으로써 북방켈트족의 ,특수성’을 느낄 수 없었다는 것이다. “북방 켈트족의 영혼이 남방 그리스의 옷을 입는 격으로 헥사메터 속으로 북방의 특수성이 사라졌다고 비판한다. 낯선 민족의 낯선 문화와 문학을 번역할 때는 “그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방식으로” 번역하는, 자연적인’ 번역방식, ,형식과 소재의 유기적인 상호성’을 보여 주는 번역론을 제시하였다. 자연에 가까운 원시민족들의 삶을 노래한 민요들에서 “흩어진 인류”의 원형을 읽어내고자 한 헤르더는 낯선 민족의 목소리들을 “흩어진 인류의 목소리”를 , 복원’하듯 번역해야 하고, 이를 위해 감정이입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낯선 민족의 문학과 문화를 번역하는 목적은 개인차원에서는 교양, 자기도야이고, 독일문단의 차원에서는 독일민족문학을 근대화하고 발전시키고자 함이었다. 그는 낯선 언어, 문학, 문화를 통해서 기존 민족문학과 모국어의 확장 가능성을 보았다. 또한 헤르더의 북유럽, 동유럽 민요번역은 문학적-미학적 해방뿐만 아니라 정치적 해방에도 기여하였다. 독일인의 지배 아래 있던 발트해 연안 민족들의 민요나 반노예제 민요들을 번역하면서 오늘날 포스트콜로 니얼리스트들의 입장과 유사한 반식민주의적 담론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헤르더의 번역론은 번역되는 문화권들 사이의 역학관계에서 숙성된 번역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의 자연적인 번역방식, 정전화된 지배문화로부터 자유롭게 작은 문화/문학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대하는 입장, 반식민주의적 관점 등은 오늘날 지배적인 문화권 중심으로 동질화되어 가는 지구화 시대에 재고해보아야 할 문제들이라고 본다.

      • KCI등재

        문학번역을 통한 ‘문화전이’ - 릴케와 한국의 근대화

        고유리 ( Ko Yuri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4

        본 논문은 문화학적 번역학의 시각으로, 릴케의 번역문학이 도착문화인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고 어떤 사회문화적 기능을 갖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문화전이 Kulturtransfer’ 이론은 번역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문화적 이슈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번역을 ‘문화간 소통과정’으로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본고의 첫 부분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기반인 ‘번역학의 패러다임 전환’과 뤼제브링크의 ‘문화전이’ 이론을 연계하여 선제적으로 다루고, 이어서 이들을 1980년대 이후 문학번역 연구에 구체적으로 접목시켜 본다. ‘문화전이’로서의 문학번역은 도착문화에 맞추어 수용된 원전의 ‘다시쓰기 Rewriting’로 이해된다. 또한 번역은 도착문학 시스템 안에서 유기적 기능을 수행하는 ‘폴리시스템 Polysystem’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번역문학이 도착문화의 정치, 경제, 문화적 시스템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도착문화의 맥락은 번역작품의 선택에서부터 수용과정 전반에 걸쳐 문화의 소통을 지원하기도 하고 제약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전이’ 과정은 도착문화에서 어떻게 수용되는가에 따라서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이 분류방식을 실제적으로 문학번역 연구에 적용하여 구체화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러한 ‘문화전이’의 실례로서, 본고에서는 특히 근대화의 맥락에서 -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 - 한국의 시인들이 번역하고 해석한 릴케문학의 ‘생산적 수용’에 주목한다. 릴케문학 수용의 ‘개척자’로서 작품을 번역하고, 소개한 당시 한국의 시인들은 도착 문화 특유의 번역가이자 문화전이의 주체이다. 이들의 수용양상은 몇몇 작품과 비평에 제한되었지만, ‘릴케예찬 Rilke-Kult’이라고 할 만큼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양태를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 기존의 평가중심적인 번역비평에서 차별화된 - ‘문화전이’ 이론을 모델로 하여 문학번역 및 문화의 소통과정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Die hier vorliegende Arbeit ist im Bereich der kulturwissenschaftlich ausgerichteten Übersetzungswissenschaft angesiedelt. Es werden verschiedene koreanische Übersetzungen von Rilkes Werken untersucht, um meine Forschungsfrage zu beantworten, inwieweit Rilkes Werke in Korea rezipiert worden sind und welche soziokulturelle Funktionen in der Zielkultur diese Übersetzungsliteratur ausübt. Die Kulturtransfertheorie bietet eine Methode, Übersetzen als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zu begreifen, indem unterschiedliche Übersetzungskontexte mit zielkulturellen Faktoren im Mittelpunkt stehen. Im ersten Teil meiner Arbeit wird die theoretische Grundlage erläutert, indem der Paradigmenwechsel der Übersetzungswissenschaft und die Kulturtransfertheorie von Lüsebrink zusammengebracht werden. In diesem konzeptuellen Rahmen wird die neuere Methode der literarischen Übersetzungswissenschaft seit den 1980er Jahren diskutiert und konktretisiert. Die Übersetzung als ‘Kulturtransfer’ versteht sich als ‘Rewriting’ eines Originals, das zielkulturorientiert rezipiert wird. Dazu ist die Übersetzung als ein ‘Polysytem’ zu verstehen, weil sie in dem zielkulturellen Literatursystem funktioniert. Demzufolge beeinflusst die Übersetzungsliteratur die zielkulturellen Systeme von Politik, Wirtschaft und Kultur, so funktionieren die zielkulturellen Kontexte auch gegenüber der literarischen Übersetzung bei ihren Rezeptionsprozessen. Dies kann den gesamten Vorgang des Kulturtransfers unterstützen aber auch verhindern. In meiner Arbeit wird vesucht, die koreanische Rilke-Rezeption unter diesem Konzept des Kulturtransfers mit den fünf Rezeptionsprozessen, in die das Modell Lüsebrinks sich gliedert, systematisch zu analysieren. Mein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produktiven Rezeption‘ von Rilkes Werken durch koreanische Schriftsteller in der Modernisierungszeit - also der Kolonial- und Nachkrigszeit - als Beispiel dieses Kulturstransfers. Diese jungen Dichter haben als ‚Pioniere‘ die Texte übersetzt und transferiert. Sie sind sowohl Übersetzer als auch Akteure des literarischen Kulturtransfers. Die Rezeption zeigt zwar eine Neigung für wenige bestimme Werke, doch war sie so aktiv und dynamisch, dass sie als koreanischer ‚Rilke-Kult‘ gezeichnet werden kann. Meine Arbeit zielt darauf ab, die literarische Übersetzung bzw. den Vorgang der kulturellen Kommunikation - befreit von den bisherigen normorientirten Bewertungen - mit dem Konzept des Kulturtransfers neu zu betrachten.

      • KCI등재

        석모용(席慕蓉)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고찰

        신의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1

        대만 작가 席慕蓉은 간결하고 쉬운 중국어로 애정, 인생, 자연을 주제로 시와 산문을 창작하였다. 그의 작품은 대만과 중국대륙에서 모두 놀라운 출판부수와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현재도 시가와 노래로 애송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는 그녀의 일부 시가 초중등 어문 교과서의 교재에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한국에서 席慕蓉관련 연구는 한편도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인이 번역한 역서도 없다. 이는 매우 아쉽고도 특이한 일이다. 현재 한국에는 1994년 중국동포 金學松씨가 번역한 역서 한권만이 출판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공간에서는 중화권 출신 중국인이 자발적으로 번역소개하고, 이를 국내 독자들이 수용하는 방식의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도 席慕蓉작품처럼 인터넷상 중국 현당대 문학작품의 전파 방식은 점점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席慕蓉작품처럼 한국의 독자들에게 쉽게 수용되며 사랑받을 가능성이 충분한 중국어 문학작품을 발굴하여 소개하지 못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중화권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작품을 생존 작가의 가벼운 애정시라 여기어 한국 학술계에서 학술 연구가 전무한 점과 이와 관련하여 현재 현당대 문학연구와 번역이 주로 중국 대륙작가 위주로 편향되어 있는 점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席慕蓉文學作品,在台灣和中國大陸在內的全世界華文文學界里的廣泛傳開,但是韓國學術界却沒有反應,沒有學術論文也沒有飜譯書,這是一種?奇怪的現象。只有一本金學松飜譯的韓文飜譯書和韓國的因特網博客里的席慕蓉作品的韓文飜譯,但這些也都不是韓國人飜譯的,是在中國受到敎育的中國人包括朝鮮族同胞飜譯的。金學松的韓文飜譯書愛情的季節與?見面里的一些部分采取了意譯的方式,飜譯的個性豊富,但?離開原文的意圖。因特網上席慕蓉作品的飜譯比較重視原文的形式和內容,但不勾個性和創造性。席慕蓉的作品傳到韓國的過程和韓國人認識到其他中國有名作家的過程不一樣。席慕蓉作品沒有學術界的事前工作的狀況下,韓國讀者直接從網上學習到相關知識,共享席慕蓉的作品。這意味着席慕蓉的文學作品給韓國大衆留下了?深的印象。但是現在在網上自行飜譯流傳的席慕蓉作品需要一些專家的整理和補充。最同時還需要學術界該擔任的角色,希望韓國的飜譯和硏究方面的專家進行發展席慕蓉文學作品的整理和補充。

      • KCI등재

        상호문화적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 문학 번역 과제 개발 연구

        장미경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3 No.-

        한국 문학은 감상의 대상으로서 이미 존재 가치가 충분하다. 또한 모국어 화자를 위한 국어 교육과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한국 문학은 교육의 대상으로 늘 다루어져 왔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할 때 단순히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 및 감상을 넘어 그들의 모국어로 작품을 번역하려는 시도는 또 하나의 창작이라고 불릴 만큼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미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 문학의 번역 작업과 한국어 읽기 교육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실제적 노력이 지속되어 왔고 특히 터키,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해외의 주요 대학 한국어학과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만 국내 교육 환경에서는 동일한 언어권 학습자들이 아니라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고 번역 결과물의 적절성을 판단할 정도의 학습자 언어 구사 능력을 갖춘 한국어 교사가 많지 않다. 그 결과, 한국어 수업 시간에 ‘문학 번역 과제’를 다루기가 쉽지 않고 그만큼 관련 연구도 많지 않다. 그러나 문학작품 혹은 영화나 드라마 같은 K-콘텐츠를 전 세계로 알리는 데 있어 번역은 원작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지 독자 눈높이에 맞게 그들의 언어로 콘텐츠를 재창조하는 매력적인 행위이다. 특히, 다양한 언어 문화권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한국 문학’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보여 주고 학습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대상이며 문학적 소양을 갖춘 한국어 학습자들은 훌륭한 예비 번역가로 성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문학작품 속 문화어휘를 발견하고 그 어휘가 쓰인 텍스트 내 맥락을 이해하여 자신의 언어로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번역 과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그 과제는 ‘문학 텍스트 내에서 문화 어휘를 파악하여 번역하기’로서 동일 언어권 학습자들 간의 토의 단계를 거치고 그 결과를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문학작품의 단순한 이해를 넘어 자신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문화적 번역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사회·문화적으로 가장 적절하게 번역해 낼 수 있는 화용적 번역 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번역 과제 수행은 번역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번역이라는 도구적 활동을 통해 텍스트의 문화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 읽기 능력 향상과 상호문화 역량개발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게 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英譯)의 실제와 방향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를 중심으로

        정혜경 ( Jung Hye-ky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한국 고전문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작품의 英譯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집적된 관련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현재 해외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이들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의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는 오늘날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미문화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영문으로 된 몇 안 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유의미할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전공자에 의해 번역된 이 책은 초창기 학술서 번역의 중요한 모형으로서 향후 한국 고전문학 영역의 문제와 전망을 탐색하기에 유용하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방식을 살핀 결과, 이 책은 원어(Source language)가 목표어(Target language)로 충실히 구현되었으며, 독자 중심의 번역을 구사함으로써 텍스트가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텍스트의 체제 재구성, 디테일구현, 현대 문체의 적용 및 의미중심 번역을 통해 영미문화권 독자가 느낄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가독성(readability)을 높였다. 하지만 이러한 꼼꼼한 번역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오역에서부터 단어와 문맥의 오독, 장르에 대한 이해 부족, 의미중심 번역의 문제, 번역의 비일관성, 그리고 본문과 인용문의 비유기적 번역에 이르기까지 제 문제가 존재했다. 이러한 내용적 오류를 교정하고 실천적 차원에서 학술서 번역의 문제를 다루려면 한국의 고전문학 전공자들과의 협업 체계가 구축되고 번역서를 수정·보완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술적 차원에서 번역 양상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야 한다. 특히 고전문학 학술서는 저자의 장르론과 문학관이 투영되어 있으므로 저자와의 충분한 문학적 소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고전문학 학술서에 인용된 작품은 개별 작품의 번역과는 다르게 의미적 해석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저자의 해석과 비평이 타당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축자역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인용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문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To globaliz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s English translation and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works. The materials regarding Korean literature circulated in the global market should be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mproved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general.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which i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rare works translated in English and distributed in British and American societies through various channels. Moreover, it is a material of great value in that it is widely used a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n Korea. This book was translated in English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who studied Korean education, and therefore, represents a prototype of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t also helps to examine the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Judging from the examina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the source language is well translated into the target language in the book. The translation was done from readers` viewpoint so that the text can be approachable. In particular, it minimizes the chance of British and American readers feeling different/foreign and increases readability by reorganizing the text, realizing the details, using a modern style of language, and translating liberally. Despite the meticulous translation, however, various problems are present including simple errors, misreading of words and contexts, misunderstanding of the genre, issues of free translation, inconsistency in translation, and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quotation in translation. To correct and practically deal with such errors in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cooperation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jors and a system which can additionally correct and improve the English transl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academical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 and make an effort to offer a new method of its improvements. In particular,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 the authors/researchers` view of literature and genre argument, and therefore, translating them requires sufficient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 authors. Finally, unlike translating individual works, works quoted in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translated literally, rather than liberally, to allow reader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ors`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Such works should also be translated in connection with the text so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function as quo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