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한 문제기반 학습 설계와 과제 개발

        이상봉,강희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한 문제기반 학습이 학교현장에서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기술교육에 적합한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고, 전략적인 활동 과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문제기반 학습의 과정을 살펴보고, 기술교육에 적합한 문제기반 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제기반 학습 과정의 준비 - 실행 - 마무리단계에 따른 각 단계별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행동을 제시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의 ‘대용량 책꽂이 만들기’ 활동 과제 를 개발하였다. 넷째,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 속의 전기 ․ 전자’ 단원의 ‘LED 초 만들기’ 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과제는 기술교육 전문가 3인에게 검증을 받고 화성 J초등학생 8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과제를 적용하고,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기반 학습 과제를 적용해 본 결과, 제시된 문제기반 학습 과정에 따라 교사들은 교육환경 실정에 맞는 수업 목표 및 내용, 사용 가능한 학교 시설과 배당된 시간, 학생들의 학습수준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문제기반학습을 쉽게 설계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design problem-based learning(PBL) and (2) to develop hands-on activity in accord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technology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The study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phases: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for the development of hands-on activity in accord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design of PBL in accord with the technology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teacher and students' behavior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PBL steps :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closure. Third, ‘Making universal bookshelves’ was developed as an hands-on activity for 'wooden product in daily life' unit in accord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t the elementary level. Fourth, ‘Creating LED candle’ was developed as an hands-on activity for 'electricity and electron in daily life' unit in accord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t the elementary level.

      • KCI등재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의 개발

        이상봉,전하솜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Dicky, Ganefri & Ridwan(2020)의 직업 교육에서의 학습 모형 개발 단계(p. 574)를 수정 및 보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 기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은 준비, 실행, 마감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교사와 학생의 활동을 주요 요소로포함한다. 첫째, 준비에서 교사는 주제 선정, 학습 목표 설정, 문제해결 활동 선정 및 조직의 절차를 수행하며 학생은 주어진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예습을 수행한다. 둘째, 실행에서 학생은 문제해결 과정에 따른 주요 활동을 수행하며, 교사는 학생의 문제해결 활동을 촉진하고 총평한다. 셋째, 마감에서는 학생은 교사의 요약 및 정리를 통해 문제해결 활동을 상기한다. 교사와 학생은 문제해결 활동을 다른 단원, 다른 과목, 실제 생활과 연계하고 다음 학습을 확인하며 문제기반 학습을 마감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문제기반 학습 모형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와 문제기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자료 개발과 같은 추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개발된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의 모형은 문제기반 학습 중심의 수업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기술 교사들에게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ㆍ가정’과 ‘제조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활동’ 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함경현,이상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과 ‘제조기술체험과 문제해결활동’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Y중학교 3학년 학생 중 교내동아리 참여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진정 실험 설계 중 임의배정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이며, 실험집단에는 문제기반학습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조별실습을 처치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에게 동일한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유의도 .05 수준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가 높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학습양식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를 비교한 결과, 확산·동화·수렴·조절적 학습양식 모두 실험집단의 학업성취가 높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셋째, 출발점 행동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를 비교한 결과, 0-20%, 21-80%, 81-100% 모두 실험집단의 학업성취가 높다. 하지만 21-80%, 81-100% 집단에의 차이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0-20%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그러므로 문제기반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없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문제기반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효과를 미침을 뜻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unit, 'The experienc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true experimental design, randomized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Problem-based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raditional learning was used on the control group. Post evaluation scores were obtained from learning achievement tests given to two groups. The scores were verified at the level of .05 significance by independent sample test through SPSS/s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es as below. First, It is shown tha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problem-based learn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traditional group learning. The results of t-test result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is shown tha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divergers․assimilators․convergers․accommodators learning sty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problem-based learn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divergers․assimilators․convergers․accommodators learning styles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traditional group learning. The results of t-tes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is shown tha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entering behavior 0-20%, 21-80%, 81-100%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problem-based learn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entering behavior 0-20%, 21-80%, 81-100%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traditional group learning. However, t-test results are only significant entering behavior 21-80%, 81-100% and entering behavior 0-20% is not significant. In summary, this study gives evidence that problem-based learning helps to promote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experienc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from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In addition, it is verified that learning style have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과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의 설계

        이상봉(Sangbong Yi),안수만(Soo-Man Ah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과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적정기술 문제해결 활동 과제, 구조화 수준에 따른 문제, 협동학습을 분석하였고, 이를 (1) 학습목표 설정, (2) 학습경험 선정, (3) 학습경험 조직, (4) 평가로 구성된 Tyler의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였다. Tyler의 수업 설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의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협동학습과 문제기반 학습을 복합한 학습경험 중심의 활동이며,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학습경험을 개발하여 다양한 학습자, 학습 주제, 학습 상황 및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둘째, 학습경험은 (1) 구조화된 문제: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간이 정수기 만들기,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감자 보관 창고 만들기, (2) 반구조화된 문제: 주변의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간이 정수기 만들기, 주변의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감자 보관 창고 만들기, (3) 비구조화된 문제: 수인성 질병예방을 위한 수질 개선 문제 해결하기, 몽골의 기후에서 감자를 보관할 때의 문제점 해결하기로 조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To this end,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solving activity tasks,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nalyzed, and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was designed by applying them to Tyler’s model.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designed based on Tyler’s model is as follows. First, it is a learning experience-oriented activity that combines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to achieve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was developed to apply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to various learners, learning topics, learning situations and environments. Seco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1) structured problems: making a simple water purifiers using the given materials, making a potato warehouse that can maintain solar energy for a long time using the given materials, (2) semi-structured problems: making a creative simple water purifier using surrounding materials, making a creative potato warehouse using surrounding materials, (3) unstructured-problems: solv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blems to prevent waterborne disease, solving the problems of storing potatoes in Mongolia’s climate.

      • KCI등재

        교회학교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PBL)을 활용한 성경교수 실행모형 연구

        함영주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젝트기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일반 교육의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기독교대안학교 진영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는 교육의 방법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교회교육의 영역에서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학습자가 팀원들과 협력하여 학습자 주도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 가는 교육의 방법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는 자기주도성, 창의성, 협동능력, 의사소통 역량 등 다양한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를 실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성경은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성경의 전체 내용과 흐름을 살펴보면 성경이 거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프로젝트로 가득 차 있음을 알 수 있다. 압제 받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 땅에서 어떻게 출애굽 시킬 것인지, 약속의 땅 가나안을 어떻게 정복할 것인지, 무너진 예루살렘 성벽을 어떻게 재건할 것인지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등장한다. 성경에 나타난 프로젝트기반학습은 총 4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프로젝트를 계획하는데 성경본문 분석, 과제기간 선정, 교육목표 설정, 소그룹 구성, 업무 분장 등이 이루어진다. 2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자료수집 단계인데 관련자료 수집, 강의 및 세미나 수강, 현장방문 및 관련자 인터뷰 등이 이루어진다. 3단계는 프로젝트 수행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전략을 세우며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4단계는 프로젝트 발표 및 평가의 단계로 결과물을 제작하고 발표하며 평가하고 피드백을 받는 단계이다. 이러한 프로젝트 기반 교육은 학습자에게 이론과 실천이 조화되도록 도움을 주며 자신의 삶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프로젝트기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학습이 가능한 성경공부 교재를 개발해야 하고 성경교육 시간 및 장소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수적이며 교육지도자의 교육철학을 제대로 형성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우리는 21세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더 이상 암기중심의 문제풀이식 교회교육이 아닌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문제해결식 교회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이해와 성경교수모형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걸림돌을 제거하여 역동적인 신앙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that can be used in church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practic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area of ​​general education and is actively used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Unfortunately, in the area of ​​church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rarely used. Project-based learning is a way of learning in which learners work with team members to solve a given problem. In project-based learning, students are encouraged to demonstrate a variety of competencies, including self-directedness, creativity,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he Bible does not explicitly mention project-based learning, but looking at the entire content and flow of the Bible shows that the Bible is filled with the great project of God's salvation. Various projects come up, including how to exodus the oppressed Israelites from Egypt, how to conquer Canaan, the Promised Land, and how to rebuild the walls of Jerusalem that have fallen.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Bible consists of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project is planned, the task period is selected, the educational target is set, the small group is formed, and the work division is performed. In the second phase, the project data collection phase consists of analyzing the Bible text, collecting related data, taking lectures and seminars, visiting the field, and interviewing stakeholders. In the third stage, the project is carried out to plan the project, formulate the strategy, and proceed with the project. The fourth stage is project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t is the stage of producing, presenting, evaluating and receiving feedback. This project-based learning helps learners to harmonize theory and practice and gives them the ability to solve real-world problems around their lives. However, in order for project-based learning to take pla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ible study textbook that can study the project and secure time and place for Bible education. Above all, teacher education to practice project-based learning is essential, and work to shape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leaders is necessary.

      • KCI등재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팀기반학습과 강의기반학습의 효과 비교연구

        유영미(Ryu Young Mi),김해진(Kim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and lecture-bas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94 2nd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who took pathology,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week of lecture-based learning was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spring semester in 2017. Then, another 6-week of team-based learning was provided. Data were collected in the 1st , 8th , and 15th week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Results: Attention, subarea of learning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eam-based learning.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eam-based learning compared to lecture-based learning. Problem solv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learning methods, however,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analysis of problem solvin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eam-based learning.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fter team-based learning than lecture-based learning. Conclusion: Although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lecture-based learning rather than team-based learning in pathology course, team-based learning needs to be introduced to nursing students for positiv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Gradual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r supplemental team-based learning with a lecture is recommended when adopting team-based learning in pathology. 본 연구는 간호학과 병리학 교과목에 팀기반학습을 적용하고 일반 강의기반학습과 비교하여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간호학과에서 2017년도 1학기 병리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으로 3회의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인 주의력과 의사소통능력은 강의 기반학습에 비해 팀기반학습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문제해결능력은 두 학습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 영역을 살펴본 결과, 팀기반학습 후에 문제 인식, 정보 수집 및 분석 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습만족도는 팀기반학습보다 강의 기반학습 후에 유의하게 높았다. 병리학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팀기반학습보다 강의기반학습에 더욱 만족하였으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같은 팀기반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고려할 때, 간호학생에게 팀기반학습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팀기반학습을 교과목에 처음 도입할 때는 점진적으로 적용하거나 팀기반학습과 강의를 병행하여 상호 보완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 KCI등재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장선영 ( Seonyoung Jang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스캐폴딩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캐폴딩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문헌 분석 및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타당성 검토가 수행되었다. 둘째, 팀기반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팀기반학습 수업을 수강한 5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검사가 수행되었다. 팀기반학습을 마친 후 학업성취도 점수를 도출하였으며,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함을 설명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성찰일지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팀기반학습 주요 단계별 스캐폴딩 전략과 팀기반학습 전체에 적용될 수 있는 37개의 스캐폴딩 전략이 개발되었다. 둘째, 팀기반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전체와 하위 요인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문제해결능력’ 전체와 하위 요인인 ‘문제이해 및 표상’과 ‘정당화 및 평가’ 능력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업성취도 측정 결과 42점 만점 중 평균 30.74점이 나왔으며, 학습자들은 팀기반학습에서 유의미한 학습을 하였다고 언급하였다. 끝으로, 주요 스캐폴딩 전략과 스캐폴딩 전략 사용 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and validate scaffold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TBL), and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caffolding strategie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scaffold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n, the expert review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twic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initial scaffolding strategi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scaffolding strategies was verified. To study the effect of scaffolding strategies on learning outcomes in TBL, a total of 54 college students who took a TBL class participated. Before and after the scaffolding procedur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scores were also examined. The reflective journals of learners were examined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ir academic progress i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7 scaffold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TBL were developed.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caffolding strategy in TBL,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blem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a sub-factor of problemsolving),” and “justification and evaluation (a sub-factor of problem-solving).” The mean of academic achievement was a 30.74 score out of 42. The learners presented their opinion in the reflection journal that they had meaningful learning in TB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practitioners on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TBL.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미 ( Mi Shon ),하정문 ( Jung Moon 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구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49편을 대상으로 총 9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에 대한 변인 간 차이는 ANOVA검정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 효과의 향상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81로 큰 편이었고, U3값이 79.16%를 나타내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29.16%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사회, 과학, 실과 등 비교적 전 교과영역에서 학습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중등, 고등, 성인 교육에서 비교적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면대면 학습환경 뿐만아니라 웹기반, 불랜디드 학습환경에서도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대상 인원과 관련하여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대상의 인원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의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인지적 효과가 .69, 정의적 효과가 1.10로 나타나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학습효과 및 정의적 학습효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verif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were carried out with F-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ect.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as big as .8819 and the value of U3 was 79.16%. The teaching-learning group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increased learning effect by 29.1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gnitive domain was .69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medium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ffective domain was 1.10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high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h, in terms of subjec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for social studi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others.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medium effect size of over .68. Fifth,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for all face-to-face, computer-mediated,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6591.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regardless of the treatment duration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74.

      • KCI등재

        생리학 수업에 적용한 팀기반학습,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및 강의기반 학습의 효과

        유영미(Ryu Young Mi),양영미(Yang Yo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생리학 교과목에 팀기반학습,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강의기반 학습을 적용하고 각각의 교수법이 간호학생의 학습 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간호학과에 서 생리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86명으로 팀기반학습 27명,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32명, 강의기반학습 27명 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28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ANOVA/Kruskal-Wallis test, ANCOVA,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팀기반학습의 학습동기는 학기 말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학습자질문중심 학습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23). 의사소통은 세 그룹 모두 학기 초에 비해 학기 말에 유의하게 증가하였 다(p<.001). 그러나 그룹별로 비교했을 때에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955). 문제해결능력은 세 그룹 모두 학기 초와 비교하였을 때 학기 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기 말 문제해결능력도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811). 학습만족도는 팀기반학습이 학습자질문중심 학습과 강의기반 학습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본 연구 결과 생리학 교과목에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 학습과 강의기반 학습이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적극 활용하길 추천한다.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student generated questions(SGQ), and lecture-based learning(LBL)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86 freshman nursing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who took physiolog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fall semester of 2017, TBL, SGQ, and LBL were provided to each group of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in the 1st and 15th week via online Google Forms. ANOVA/Kruskal-Wallis test, ANCOVA, paired t-test/Wilcoxon-signed rank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effect of each teaching-learning strategy using SPSS Statistics Ver. 22. Results: The levels of learning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after interventio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before intervention in three groups(p<.001). However, problem-solving 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level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fter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BL group than in the SGQ and LBL group(p=.044, p<.001 respectively). The levels of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after interven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groups. Conclusion: Learner-centered teaching strategies are necessary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education. SGQ and LBL could be useful in physiology course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간호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양승희(Yang Seung-Hee),이정은(Lee J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대학 간호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2018년 6월 23~30일 동안 자료를 수집하여 문제중심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물 37편과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물 2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438로 중간 크기였으며, 팀 기반 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830으로 큰 크기로 나타났다.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임상수행 능력에 큰 효과를 보이며, 전 공 지식, 창의성,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문제해결력의 순으로 중간 크기의 효과가 있었다. 팀 기반 학습은 학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 지식의 세 종속변수에서 거대 효과가 있었으며, 문제해결력에 큰 효과, 효능감과 대인관계, 자기주도적 학습에 중간 효과가 있었다. 또한 두 가지 학습방법 모두 전공능력 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으며, 개인역량과 학습태도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 영역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업에 활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and the team-based learning(TBL)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during 2018. 6. 23~30. For this meta-analysis, 37 studies related to PBL and 27 studies related to TBL were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verall effect size of PBL was 0.438, indicating medium size and that of TBL was 0.830, indicating large size. In the PBL, clinic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and medium effect was found in order of knowledge, creativity,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TBL, there was huge effect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knowledge, and there was large effect on the problem solving. In addition, both of the PBL and TBL showed the greatest effect in the area of nursing competence and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dividual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at PBL and TBL should be used more actively in the field of nur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