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장의 의미 구성에 기반한 문장 의미 교육의 전망

        이동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In the current grammar area, sentence meaning has rarely been mentioned as an object of semantic education. Even though it was mentioned, it was only implied in the underlying meaning to reveal the expressive effect of the grammatical form, or only in the underlying meaning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utterance. However, sentences are a part of communication surrounding discourse, and sentence meaning plays a role in mediating a dynamic process of communication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entence meaning, it was possible to find a way to functionally educate sentence meaning by identifying the specific role of sentence mea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aker’s intention and to successfully communicate with the speaker, the sentence meaning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meaning must be explicit. However, neither the sentence meaning composed of the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 nor what is said by Grice is an explicit sentence meaning because it does not allow the hearer’s pragmatic reasoning. In the relevance theory, In the theory of relevance, based on the logical form derived by decoding the customary meaning of language expression, it was possible to derive an explicit sentence meaning by allowing pragmatic inferences such as disambiguation, reference resolution, saturation, free enrichment, and ad hoc concept formation. The reason why speakers and listeners could not communicate only in logical form was that language expression had a linguistic underdeterminacy. Therefor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a sentence can be said to be a problem-solving process that pursues successful communication by resolving the linguistic underdeterminacy. It was argued that by replac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sentence meaning with a problem-solving process, pragmatic reasoning should be used as the operator, and the ability to construct contex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ituation as the operator’s ability to use should be provided as the content of sentence semantic education to learners. 현행 문법 영역에서 문장 의미는 의미 교육의 대상으로 거의 언급되지 않거나, 표현효과를 드러내기 위한 바탕 의미로 암시되거나, 발화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바탕 의미로만 암시되었을 뿐이다. 하지만 문장은 담화를 둘러싼 의사소통의 한 부분이고, 문장의미는 의사소통의 맥락에 영향을 받으면서 역동적인 소통의 과정을 매개하는 역할을한다. 그래서 문장 의미가 구성되는 과정을 살핌으로써 문장 의미가 구체적으로 어떤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문장 의미를 기능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나아가 화자와 성공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의미 도출 과정에서 구성된 문장 의미가 명시적이어야 한다. 관련성 이론에서는 언어 표현의 관례적 의미를 해독하여 도출된 논리 형태를 기반으로 중의성 해소, 지시대상고정, 충족, 자유로운 의미 보충, 임시 개념 구성 등의 화용론적 추론을 허용하여 명시적인 문장 의미인 외축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논리 형태만으로 화자와 청자가 의사소통을 할 수 없었던 것은 언어 표현이 의미의 미결정성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문장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은 의미의 미결정성 문제를 해결하여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추구하는 문제 해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문장의 의미 구성 과정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 치환하여 화용론적으로 추론하는 내용을 조작자로 삼고, 의사소통 상황에 맞게 맥락을 주관적으로 구성하는 능력을 조작자의 사용 능력으로 삼아서학습자에게 문장 의미 교육의 내용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소유 의미 해석문의 유의 관계에 대하여

        도재학,최호철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7 No.-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and distinguishing types of sentence meanings and the synonymous relation of them. First of all, types of sentence meanings are divided into locutionary meaning and uttered meaning, and each can be subdivided into designative meaning and interpretative meaning.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s, six synonymous constructions that can mean typical [POSSESSION] in the dimension of locutionary meaning are illustrated and analyzed. In this process, it is verified that the meanings of sentences are not to have a homogeneous value in equivalent levels, but to have various kinds of semantic properties in different levels. Given the types of sentence by meaning, there are two kinds of sentential synonymous relation; between meaning-designating sentences or between meaning-interpreted sentences. Actually, six constructions that denote [POSSESSION] are synonymous in a level of meaning-interpreted sentence, not meaning-designating sentence. 본 연구에서는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논의되어 온 다양한 구문 구성을 대상으로 그들 사이에서 확인되는 문장의 유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문장의 유형과 문장 의미의 유형에 관해 논의하면서, 문장의 유형으로서는 ‘언표 문장’과 ‘발화 문장’, ‘의미 표시문’과 ‘의미 해석문’을 구별하였고 문장 의미의 유형으로서는 ‘언표 의미’와 ‘발화 의미’, ‘표시 의미’와 ‘해석 의미’를 구별하였다. 그리고 언표 차원에서 원형적인 소유 의미를 표현하는 여섯 가지 구문 유형을 다루면서 이들은 실상 ‘의미 해석문’으로서 유의 관계를 이루는 것이며 ‘의미 표시문’으로서는 세 가지 유형의 소재 구문만이 유의 관계를 이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문장의 의미가 동등한 차원에서 동질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이질적인 언어 내외적 요인들이 참조되는 것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장의 유의 관계는 어휘적 또는 통사적 방책으로만 성립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문장 구성 요소들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성립되는 다층적인 것임을 보였다.

      • KCI등재

        문장의미 구조에서 바라본 부사어의 유형

        한주희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In Korean, adverbs are syntactically modified nouns or used as essential adverbs, which are also essential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entences. Therefore, there is a part where it is difficult to define adverbs as simply adverbs that modify sentences or other components. Adverbs are explained by other components in the sentence or by their relationship to the sentence. This is because it seems clear that adverbs modify other components. Therefore, even if essential adverbs are not mentioned, adverbs play a certain role in interpreting sentence meanings, and their types need to be set in terms of sentence meanings. Therefore, we looked at how the type and word order of adverbs can be set in the sentence semantic structure. The units that make up a sentence have their own meanings and functions and influence each other. It was described that the formation of sentence meaning should be grasp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sen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can b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t that constitutes the sentence. Accordingly, it was pointed out that basically, the sentence has a propositional meaning, and the meaning can be grasped only by considering the utterance situation. The meaning of the sentence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objective information and subjective perception, which was set as ‘proposition' and ‘modality'. In terms of sentence meaning interpretation, Korean adverbs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adverbs belonging to subcategories of aspects and content adverbs with lexical properties, and this was explained as a pan-lingual phenomenon. Functional adverbs can be classified into mode, tense, and upper adverb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meaning, and it was found that they correspond to the grammatical form that binds to the verb.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d order of adverbial words appeared in the order of “modality> tense>aspect" from the head of the sentence to the sentence. Likewise, ‘form, tense, and phase' as grammatical elements that bind to predicate (verb) were combined in reverse order of functional adverbs. It was combined between the words of the predicate in the order of “modality> tense>aspect” 한국어에서 부사어는 통사적으로 명사를 수식하거나 필수 부사어로 사용되어 문장의 의미 해석에 필수적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사어를 단순히 문장이나 다른 성분을 수식하는 부가어로 규정짓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부사어는 문장에서 다른 성분들 혹은 문장과의 관계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이다. 부사어가 다른 성분을 수식하는 것은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수 부사어를 언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부사어가 문장의미 해석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그 유형 또한 문장의미 차원에서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부사어의 유형이 문장의미 구조에서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는 나름의 의미와 기능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문장 의미 형성은 문장 전체의 관점에서 파악되어야 하며, 문장을 구성하는 부분과의 관계 속에서 각 성분의 특성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기술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문장은 명제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발화상황을 고려하여야 그 의미가 파악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문장의미는 객관적 정보와 주관적 인식의 틀로 이뤄지는데 이를 ‘명제와 양상’으로 설정하였다. 문장의미 해석의 차원에서 한국어의 부사어를 양상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기능적 부사어와 어휘적 속성을 지닌 내용적 부사어로 나누었으며 이것은 범언어적인 현상임을 설명하였다. 기능적 부사어는 그 기능과 의미에 따라 양태, 시제, 상 부사어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동사에 결합하는 문법적 형식과 호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사어의 어순은 문두부터 문중까지 ‘양태> 시제> 상’의 순서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서술어(동사)에 결합하는 문법 요소로서의 ‘양태, 시제, 상’은 기능적 부사어의 역순으로 결합하고 있었다. ‘상>시제> 양태’의 순서로 서술어의 어간에 결합하고 있었다.

      • KCI등재

        文章意味形成의 인드라(Indra)網的 解釋

        최상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4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the formation of the sentence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ra Net, which is the Buddhist concept of the nature of the universe. The Indra Net illustrates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y of everything and everyone in the universe. Since a word or a morpheme in a given sentence has a certain lexical semantic relation in the sentence, the concept of Indra Net is very suitable for interpreting the interconnected semantic relations of constituents in the sentence. According to the Indra net, the universe (whole) is composed of everything (part), which in turn has its own cosmos (everything). This complementary whole-to-part (or part-to-whole) relation is very conducive for us to understand that the whole sentence meaning is formed by the sum of interdependent and interconnected part meanings, and that each part meaning is also projected by the whole sentence meaning. 이 論文은 文章意味가 어떻게 形成되는가를 東洋 佛敎의 世界觀인 인드라(indra)網的 觀點을 통해 解釋해 보고자 쓰인 것이다. 인드라망은 모든 宇宙萬物이 서로 相關關係 갖고 連結되어 있다는 緣起的 原理를 가지고 있다. 일정한 문장에 關與하는 단어나 형태소는 문장 안에서 일정한 意味關係를 지니게 되는데 인드라망은 문장의미형성에 있어서 문장 안 文章構成素의 의미관계를 해석하는 데 매우 適合한 方法論이다. 인드라망은 一中多 多中一의 世界觀을 反映하는 우주적 존재들의 關係網이라 할 수 있다. 우주라는 全體는 우주를 형성하는 部分인 森羅萬象의 존재들의 相補的 關係로 형성되며 전체를 형성하는 부분 속에도 전체가 들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문장의미형성도 살필 수 있다. 문장의미는 문장의 全體意味와 文章構成素인 部分意味의 相互 依存과 相生의 相補的 意味關係로 형성되며, 각각의 부분의미에도 전체의미가 共有 投射되는 인드라망적 관계망으로 형성된다.

      • KCI등재

        러시아어 접미사 -ник 파생어의 조어의미구조 연구

        이용권(Lee, Yong Kw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우샤코프(Д.Н. Ушаков)의 해석사전에 수록된 접미사 -ник 파생어 464 단어를 풀어쓰기 문장구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2R1X 구조를 가진 어휘가 전체의 28.23%(131단어)를 차지하고, R2R2X 구조를 가진 어휘가 전체의 71.77%(333단어)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R2R2X 그룹에서는 63.96%(213 단어)가 행위자 자질을 나타내고 36.04%(120 단어)가 대상 자질을 나타내고, 그리고 R2R1X 그룹에서는 85.5%(112단어)가 행위자 자질을 나타내고, 14.5%(19단어)가 대상 자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파생어의 통사구조체인 풀어쓰기 문장구조가 조어의미 그룹을 결정하고, 풀어쓰기 문장구조의 하부유형에 따라서 조어의미의 구체적인 유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려 하였다. 명사에서 파생된 -ник 파생명사 중 행위자 의미그룹에서는 ‘직업적 행위에 따른 행위자’ 의미 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1(v)ad, P1(v)o, P1(vo)ad 등으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대상의 의미그룹에서는 ‘숲, 관목, 나무’의 의미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1(v)s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그리고 동사에서 파생된 파생명사 중 행위자 그룹에서는 일반적 행위에 따른 행위자 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1v, P2v 등으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대상의 의미그룹에서는 ‘도구 또는 기구’의 의미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2v(o)으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그리고 -ник과 -щик의 두 접미사 파생어의 풀어쓰기 문장구조의 대조를 통하여 두 파생어의 직업군 종사자의 풀어쓰기 문장구조와 의미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고, 특히 두 접미사 공히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그룹’, ‘단순노동자 그룹’ 영역에서 유사의미를 조성하는데 생산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мастер, который занимается чем》, 《рабочий, который производит что》, 《тот, кто изготовляет что》, 《тот, кто делает что》 등과 같은 풀어쓰기 문장구조가 공통적인 조어구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접미사 -ник 파생어의 다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당 접미사의 다의어 의미확장 원리에도 신체화의 원리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다의어의 기본 어휘가 행위자이면 또 다른 행위자로 의미가 확장되고, 다의어의 기본 어휘가 대상인 경우에도 행위자의 영역으로 확장이 두드러지게 실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그림의 동작성과 문장의 의미유형에 따른4~6세 일반아동의 단순 문장 수용과 표현 능력

        정다혜,장선아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ffects of picture and sentence semantic types on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easy sentences of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4- to 6-years-old. Methods :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58 (30 boys and 28 girls). The participants displayed normal language development, which was proven by standardized tests and teacher-parent reports. Each of the participants was administered the SIT (Sentences for Infants and Toddlers) test, which is composed of 2 to 4 syllables and 1 to 3 word combinations. The test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receptive and expressive test, accompanied by the picture stimuli, which included both static and animated pictures. Results : First, bo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Second, the animated pictures resulted in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expressive test scores than the receptive test scores. Third, the semantic types of sentences brought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tence expression than sentence comprehension, especially the action sentences in all age groups. The animated pictures benefited expression accuracy of ‘attribution’ and ‘action with the argument’ in the 5- and 6-year-old groups. In the 4-year-old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d expression accuracy of action sentences with and without the argument with the animated pictures. Conclusions : The animated pictures benefited expression rather than comprehension, while the action sentences were benefit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description sentences in easy sentences. 목적 : 본 연구는 그림의 종류와 문장의 의미유형이 단순한 문장의 수용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적인 언어발달을 보이는 4~6세 아동 58명(남 30명, 여 28명)을대상으로, 단순 문장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이 연령(4, 5, 6세), 그림자극의 동작성(동적인 그림, 정적인 그림), 문장의 의미유형(서술, 행위)에 따라 달라지는지 측정하였다. 결과: 첫째, 연령에 따라단순 문장의 수용 및 표현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그림의 동작성은 단순 문장의 수용능력보다 표현 능력에 더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문장의 의미유형에 따라 단순 문장의표현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서술문장의 경우 동적인 그림일 때 5, 6세 아동의 [상태서술] 표현 정확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나 4세 아동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행위문장의경우 동적인 그림일 때 4세 아동의 [논항이 있는 행위], [논항이 없는 행위] 모두에서 표현 정확도가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5, 6세 아동에서는 [논항이 있는 행위]에서만 표현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그림의 동작성은 단순 문장의 수용 능력보다 표현 능력에, 서술문장보다행위문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국어 문장의 중의성에 대하여

        도재학(Doh, Jae-ha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국어 문장의 중의성의 유형과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내용을 논의하기에 앞서 화맥과의 결부 여부에 따라서 언표와 발화라는 문장의 두 차원을 구별하였다. 그리고 중의성의 유형은 언표 문장과 발화문장이라는 문장의 차원, 그리고 각 차원에서의 중의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다고 보았다. 언표 문장 차원에서는 ① 어휘적 중의성(다의어, 동음이의어, 지시사의 조응), ② 구적 중의성(지시 해석), ③ 구조적 중의성(수식 구조, 접속 구조) 등 세 가지를 나누었다. 발화 문장 차원에서는 ① 화시 해석에 의한 중의성, ② 정보구조의 차이에 의한 중의성, ③ 참여자의 태도에 의한 중의성, ④ 발화 장면의 관여에 의한 중의성, ⑤ 사회문화적 배경지식의 관여에 의한 중의성 등 다섯 가지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화용적 중의성’으로 통칭되었던 것을 체계적으로 세분화한 시도의 결과이다. 이를 통해서 서로 다른 문장의 차원과 다양한 원인에 따라 중의성이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맥락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중의성과 모호성을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사실상 중의성과 모호성은 의미를 해석할 맥락이 얼마나 제한되어 있는가에 의존적인 상대적인 특성이며, 이 둘을 구별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ypes of ambiguity of a sentence and the significance of co(n)text. Prior to dealing with the main issue, two different dimensions of a sentence ― locution vs. utterance ― were divided based on whether a sentence is in connection with context or not. And then it was proposed that the types of ambiguity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a sentence and the causes of occurrence. In the dimension of locu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ambiguity, i.e. lexical (polysemy, homonymy, and anaphora of demonstratives), phrasal (interpretation of reference), and structural ambiguity (modification and conjunction). In the dimension of utterance, on the other hand, five types of ambiguity are subdivided by contextual factors; referents of deictic elemen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tructure, attitudes of participants, scenes of utterance,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s. Thus, it was checked out that ambiguities are made by various causes from different dimensions of a sentence. Especially in the cases that there are insufficient co(n)texual information,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ambiguity from vagueness because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an have an effect on the meaning of a sentence. Actually ambiguity and vagueness are relativ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degrees of co(n)textual restriction, and there is no absolute criterion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of them.

      • KCI등재

        상거래의미 문장들의 연구

        김유진(Kim Yoo J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인지의미론을 바탕으로 하여 러시아어에서 상거래의미를 가지는 문장들을 화자의 인식적 측면을 부각시켜 연구한 것으로, ‘상거래’라는 특정 상황을 전달하는 러시아어 문장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화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문장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에서 형식’으로의 도출 원리를 증명함으로서 그 타당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며, 연구 방법은 인지적 이론으로 접근하되 문장구조를 의미의 결과로 도출하여 모델화 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도출원리가 가능한 것은 인지언어학에서 언어를 마음 또는 인지체계의 산물로 여겨 그것이 언어구조의 동기가 된다고 보기 때문이며, 이러한 방향은 본 논문의 취지에도 부합되었기 때문이다. 인간이 발화를 통하여 외부로 표출시키는 내적표상을 가시적으로 모델화시키기 위해서는 문장 차원에서의 분석이 필요하였다. 이에 화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특정 상황을 정의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술어이므로, 문장 속에서 상거래 의미를 반영하는 술어들을 화자가 해당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 이들의 의미 특징을 상세히 기술 하였다. 이들의 의미 특징을 분석, 기술하면서 이들을 활용하여 상황을 전달하기 위해서 화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어휘 결합 및 통사구조 또한 상세히 밝혔으며, 더불어 러시아어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활용측면을 고려하여 그들에게 코멘트가 필요한 부분들 또한 언급하였다. 화자의 관점을 부각시키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접근법은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다각도의 방면에서 언어 의미현상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접근법은 실질적인 외국어 교육 차원에서 또한 해당 외국어의 이해 및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語彙意味의 홀론(holon)的 意味屬性 硏究

        최상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4

        Using the notion of holon, this paper analyzes the ambivalent semantic property of vocabulary meaning. Holon refers to the state of any entity which has the quality of the whole yet that of the part as well; it is con- sidered useful as a method to analyze the state in which a word has both word meaning and context meaning. Contingent upon a local context, a word is given not only a semantic quality as a separate word but also a semantic quality as a sentence constituent. In terms of holon, a word has a semantic quality as a whole within it as a complete unit with multiple meanings, whereas a sentence constituent has a single yet partial semantic quality due to its interconnection with other semantic constituents. Word meaning is characterized by its undividableness, fluidity, and autonomy; Meaning of sentence constituents is characterized by its divergency, fixity, and dependency. The difference of semantic qualities as revealed in word and sentence constituents can be found also in such semantic elements as sememe, denotation, and connotation. 이 論文은 語彙意味의 兩面的 意味屬性을 ‘홀론(holon)’이라는 패러다임을 도입하여 分析해 보고자 쓰인 것이다. 홀론이란 어떤 個體가 全體와 部分이라는 두 가지 屬性을 同時에 가진다는 관점으로, 동일한 語彙가 서로 다른 單語意味와 文脈意味를 가지는 兩面性을 分析하는 데 매우 적합한 方法論이라고 본다. 한 어휘는 쓰임에 따라서 單語로서의 意味屬性을 가지고 文章構成素로서의 의미속성을 가진다. 홀론적 관점에서 볼 때, 單語는 단어 內部에 여럿의 의미를 담은 完結된 語彙體로서 全體의 意味屬性을 지니는 반면, 文章構成素는 문장 속의 다른 構成素와의 相互關係에 의한 單一意味를 가지는 部分的 意味屬性을 지닌다. 單語意味는 未分性, 流動性, 自律性의 의미를 가지는 反面, 文章構成素의 意味는 文脈意味에 의한 分化性, 固定性, 隸屬性의 意味를 가지게 된다. 單語와 文章構成素의 의미속성은 意味素, 內包와 外延 의미성분에서도 서로 差異가 나타난다.

      • KCI등재

        論理解句子意義的幾種因素

        范?(Fan Xiao),申敬善(Shin, Kyung-sun) 중국어문학연구회 2013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83

        문장은 어법의 최대 단위이기도 하며 담화의 최소 단위이기도 하다. 하나하나의 단어는 어법규칙에 의하여 구체적인 하나의 문장으로 탄생하고 구체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며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언어연구의 주요한 내용이다. 문장의 의미는 기본적인 사유를 표현하는 기본의미와 담화 맥락 차원의 화용적 의미 두 가지로 구성되며, 문장의 구성 역시 문장의 기본의미 혹은 주관적인 태도를 드러내는 핵심 부분과 담화 중 어기를 드러내는 화용적 부분으로 이루어 진다.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야 하며 본 연구는 구체적이고 전형적인 중국어 문장들을 통하여 어휘요소(vocabulary factors), 어법요소(grammatical factors), 담화요소(discourse factors) 가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