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임교차효율성모형을 이용한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및 클러스터링 측정방법 소고

        박노경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brief efficiency and clustering measurement way by using the game cross-efficiency model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this paper for 13 container ports during 3 years(2009, 2010, and 2013) with 3 input variables(depth, total area, and number of crane) and 1 output variable(container TEU).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rankings of game cross-efficiency model are Ningbo, Hongkong, Shanghai, Dubai, Singapore, Qingdao, Kaosiung, Busan, Tokyo, Incheon, Nagoya, Manila, Gwangyang ports in order. Second, according to ANOVA analysis, three models show the similar results in terms of the efficiency rankings. Third, in the clustering analysis using dendrogram, group A(Shangahi and Busan), group B(Ningbo and Nagoya), and group C(Incheon and Manila) show the common clustering ports during 3 or 2 years.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Korean port policy planner should introduce the game cross-efficiency method when measuring the individual port efficiency. Also port authority should consider the merits of the clustering ports for improving the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s. 본 논문에서는 첫째, 국내의 기존연구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던 게임교차효율성 모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둘째, 게임교차효율성모형을 이용하여 2009년, 2010년, 2013년과 13개 항만을 대상으로 3개의 투입요소(수심, 총면적, 크레인 수), 1개의 산출요소(컨테이너화물 처리량)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고 효율성 순위를 측정하였다. 셋째, 또한 기존의 교차효율성 모형에 의한 효율성 및 CCR모형에 의해 효율성을 측정하고 그 효율성 수치에 의한 순위를 측정하였으며, ANOVA분석을 통해서 그러한 순위가 게임교차효율성 모형과 모형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넷째, 게임교차효율성 메트릭스의 상관계수 값을 구한 후에 평균연결을 사용한 덴드로그램에 의한 방법으로 클러스터링을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교차효율성 모형에 의한 효율성 순위를 3개년도의 효율성 수치 평균값에 근거하여 평균적으로 순위를 측정해 보면, 4번(닝보항), 2번(홍콩항), 3번(상해항), 1번(두바이항)(12번; 싱가포르항), 5번(칭타오항), 13번(카오슝항), 8번(부산항), 6번(토쿄항), 9번(인천항), 7번(나고야항)(11번; 마닐라항), 10번(광양항) 항만의 순서였다. 교차효율성모형과 CCR모형에 의한 순위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율성 순위를 검정한 ANOVA검정분석에서는 세 가지 모형[게임교차효율성모형, 교차효율성 모형, CCR모형]사이에 순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클러스터링 분석에서는 그룹별로 공통적(3개년 또는 2개년)으로 클러스터링되는 항만들을 살펴보면, A그룹에서는 3번(상해항), 8번(부산항)항만, B그룹에서는 4번(닝보항), 7번(나고야항)항만, C그룹에서는 9번(인천항), 11번(마닐라항)항만들로 나타났다. 본 논문이 갖는 정책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 클러스터링항만들로서 나타난 항만들에 대한 항만개발, 운영에 대한 내용을 세밀하게 검토하고 해당항만들의 장점 부분은 도입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특히 부산항은 상해항과 인천항은 마닐라항과 전략적인 제휴관계를 맺고, 컨테이너화물처리 면에서의 혜택을 부여해야만 한다.

      • KCI등재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가격결정모형

        김동회 ( Dong Hoe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4 금융공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시장요인에 규모요인, 가치요인, 이익요인, 투자요인 등을 추가하는 여러가지 요인모형에 기초를 둔 자산가격결정모형 중에서 어느 모형이 한국주식시장의 평균수익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1997년 7월부터 2013년 12월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보통주 종목 (금융업 종목 제외)을 표본으로 하였다. 우선 보통주의 시장가치와 B/M비율, 자기자본이익률, 총자산증가율 등의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구성한 요인과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는 규모효과와 투자효과와 같은 이례적 현상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치효과는 대규모 주식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익효과는 나타나지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증권시장에 적합한 자산가격결정모형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Gibbons, Ross, and Shanken(1989)의 검정통계량에 기초한 검증에 의하면, 시장요인에 규모요인을 추가하지 않은 어떠한 모형에서도 절편계수가 모두 0이라는 가설이기각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시장요인과 규모요인에 대한 민감도들을 포함하지 않는어떠한 가격결정모형도 평균수익률을 추정하는데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분석대상 포트폴리오들의 절편계수 각각에 대해 그 크기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시장요인에 규모요인, 가치요인, 이익요인, 투자요인 등을 모두 추가한 5요인 모형이라고 해서 평균수익률을 더욱 잘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투자요인을 시장요인과 규모요인에 추가한 모형이 그 요인을 추가하지 않은모형에 비해 평균수익률을 더욱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각 요인을 다른 요인들에 대해 회귀 분석한 결과로부터 가치요인은 다른 요인들이 평균수익률에 대해 설명하지 못하는 정보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검토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모형으로 기대 수익률이 시장요인, 규모요인, 가치요인, 그리고 투자요인 등의 민감도에 의해 주어진다는 4요인 가격결정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find an empirical asset pricing model which can explain the average returns in Korean stock market. To conduct some empirical analyses, this paper uses monthly data of common stocks of all non-financial company, listed in KOSPI market and KOSDAQ market, for the period from July 1997 through December 2013. During the sample period, there are evidences that size effect and investment effect are predominant, but value effect exists only for the big stocks. After examining the GRS-statistics and estimated alphas of regression models, added various factors to the market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paper shows that the four-factor asset pricing model, consisting the market factor, size factor, investment factor, and value factor, explains the average returns best in Korean stock market. Although the value factor is not a priced factor in Korean stock market,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common factor because it contain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verage returns beyond the other common factors.

      • KCI등재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스키 리조트 방문객의 수요결정요인 분석 -하이원 스키 리조트를 중심으로-

        송학준 ( Hak Jun Song ),문지효 ( Ji Hyo Moon ),이충기 ( Choong Ki Lee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스키리조트 방문객의 수요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스키리조트 산업 발전을 위한 마케팅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모형의 종속변수로서 ‘지난 1년간 방문횟수’ 및 ‘지난 3년간 방문횟수’가 사용되었는데 가산자료인 종속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산자료모형이 분석방법으로 이용되었다. 구체적으로, 자료수집이 하이원 스키리조트 현장에서 이루어졌기에 현장조사의 특성상 방문횟수가 ‘0’이 나타나지 않는 표본절단을 고려할 수 있는 절단된 포아송모형과 절단된 음이항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 추정결과 과산포 존재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은 TNB모형으로 나타났으며, 2개의 TNB모형 중 방문횟수를 3년으로 측정한 TNB모형이 모형적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추정결과를 중심으로 스키리조트 방문객의 수요특성을 분석해보면, 스키리조트 방문객이 남성일수록, 연령, 스릴.일상탈출 동기, 지각된 행동통제감과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그리고 소득, 사교성 동기, 자연.도전 동기가 낮을수록 스키리조트 방문횟수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demand for ski resort visitors using count data model. To this end Truncated Poisson(TPOIS) Model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TNB) Model were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count data with truncated zero.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ki resort visitors the construct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desire were also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Furthermore, the time periods of dependent variable (frequency of visiting a ski resort) were specified with two categories (past one year and three years) because previous studies using count data model only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 in a singl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NB Model having the dependent variable with ‘the frequency of visiting a ski resort in the past three years`` was preferred to other model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gender, age, motivation of escape & thrill,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demand for skiers, whereas income, motivation of sociability, and motivation of nature & challenge had negative effects on demand for skiers.

      • KCI등재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서해 태안군 유어객의 편익추정

        최종두 ( Jong Du Choi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4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서해에 위치한 태안군을 방문하는 유어객의 방문 편익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별여행비용법과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하여 수요모형을 추정하고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였다. 여행객방문속성을 감안하여 분석모형으로 포아송모형(Poisson Model, PM), 음이항모형(Negative Binomial, NB), 절단된 포아송모형(Truncated Poisson Model, TPM), 절단된 음이항모형(Truncated Negative Binomial, TNB)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추정계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이론에도 부합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과산포(overdispersion)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형적합도검정을 통하여 절단된 포아송모형이 적정모형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서해 태안군 해역내 유어활동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유어객의 연평균 출조횟수와 최적모형으로 선정된 절단된 포아송모형(TPM)으로 분석한 결과 1인 1회 출조당 경제적 가치는 254,453원이며, 1인당 연간 총 경제적 가치는 1,536,896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the recreational sea fishing in the Yellow Sea using count data model. For estimating consumer surplus, we used several count data model of travel cost recreation demand such as a poisson model(PM), a negative binomial model(NBM), a truncated poisson model(TPM), and a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TNBM). Model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exist the over-dispersion problem and a NBM was statistically more suitable than the other models. All parameters estimate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oretically valid. The NBM was applied to estimate the travel demand and consumer surplus. The consumer surplus pre trip was estimated to be 254,453won, total consumer surplus per person and per year 1,536,896won.

      • 觀光空間構造가 觀光需要에 미치는 效果 : 重力模型의 利用을 中心으로

        양광호 공주영상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5 No.-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중력모형이 학자들에 의하여 주목을 받기 시작한 이래, 연구자들의 관심은 주로 공간상의 상호이동을 설명하는 주요 인자로서 거리억제변수의 개선에 집중되었다. 이는 중력모형이 개개인들의 이동 행태를 거주지와 목적지들의 지역별로 집단화, 평균화하여 분석하는 대집단수준의 모형이기 때문에, 거주지와 목적지간에 변화하는 요소는 상대적인 거리요인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상의 이동현상을 절명하고자 하는 중력모형에서 이와 같이 중요한 거리억제파라메타가 편향되었다는 주장이 포더링헴 등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들은 이의 원인으로 기존의 전통적 중력모형에서 다양한 공간구조가 미치는 영향(곧, 공간구조효과)을 고려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적용지역간 안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심지어는 직관에 반하는 (+)의 계수가 산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공간구조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기존의 전통적 중력모형은 현실을 잘못 모형화하고 있어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모형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력모형에 있어서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이와 같은 주장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상의 이동현상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존의 연구결과와 모형의 현실적용에 있어 근본적인 수정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앞으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이동분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모형이 구성되고 분석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관광이동현상은 이주, 통근, 통학 등의 이동현상에 있어 본질상 이동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관광이동의 경우 이동목적 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 분야에서 고려된 공간구조효과를 관광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으며, 이를 향후 해결할 수 있는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관광이동현상의 경우, 이동의 대상이 되는 관광지의 명확한 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기회는 모형에서 고려하는 목적지 외에 다른 대안이 되는 목적지들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안 관광지를 어떤 범위로 한정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관광객들의 관광공간 분포에 대한 지각요소를 고려해 저야 한다. 이를 위해, 실제적으로 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의 관광공간의 지각수준에 따른 영향인자와 지각수준에 따른 연구를 통해 평균적 지각에 의한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일 것이다. 셋째, 관광공간 구조효과에 있어서, 기존의 목적지 입지적 분포정도에 따른 입지적 의존성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의 선호(preference)에 따른 경제적 의존성의 규명과 이들 입지적 의존성과 경제적 의존성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넷째, 목적지간의 상대적인 접근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접근성 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구조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석집단을 보다 세분화하여 모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 포더링헴과 김성일은 체재일수, 이동 목적 등에 의한 구분 없이 거시적으로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는 집단을 너무 대집단화 함으로서 연구자들에게 단편적인 행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보다 행태적인 이해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소집단수준의 공간상호작용모형(로짓모형 등)에 의한 형태적 원인 등에 대한 사전 연구와 결과의 축적이 요구된다. 공간상 이동현상간의 인과관계 파악과 예측을 위하여 중력모형이 폭넓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공간분포하에서 조사된 O/D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정책당국의 관심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오피스빌딩서비스품질 차원구조와 측정모형의 우수성 비교 : 1요인모형, 5요인모형 및 위계적 2차요인모형을 중심으로

        김동환(Kim, Dong Hwan) 한국부동산학회 2015 不動産學報 Vol.63 No.-

        오피스빌딩서비스품질 구조방정식 측정모형의 우수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서 실증 분석한 연구로서, 연구 모형은 모형1(1요인 모형), 모형2(5요인 모형), 모형3(위계적 2차 요인모형)을 설정해서 비교분석했다. 연구결과 모형1(1요인 모형)은 적합도지수가 기준에 많이 못 미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모형이었으며, 모형2(5 요인 모형)는 적합도 지수가 높게 나타나서 좋은 모형이었고, 모형3(위계적 2차 모형)도 높게 나타나서 좋은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모형3은 모형2와 비교해서 적합도 수치의 차이가 아주 미미한 수준이어서 아무런 손색이 없는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시사점으로는 오피스빌딩서비스품을 연구하는데 구조방정식 모형이 다양 하게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특히 임차인과 임대인의 상호작용을 모형화 하는데 위계적 2차 모형과같은 고차 차원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점이며, 오피스빌딩서비스품질이나 부동산서비스는 하나의 현상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유형이 복합적이고 위계적으로 얽혀 이루어진 다면체적인 현상임을 밝혔다는 점이다. 특히 부동산자산관리가 각광을 받고 있는 시점이고 부동산임대차시장도 임대인 시장에서 임차인시장으로 Trend가 변화해 감에 따라서 임대인과 임차인의 상호작용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오피스빌딩서비스품질에 대한 차원구조와 측정모형의 우수성 비교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investing the superiority of construct and measurement model for 1-factor model, 5-factor model, hierarchical multi-factor model.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employed hierarchical factor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ata for SEM analysis was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rom 314 tenants in CBD, KBD, YBD for Seoul office buildings. (3) RESEARCH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research found that model 1(1-factor model) was not up to the standard fit indices, so it was difficult to accept the model, but the fit indices of model 2(5-factor model) were higher, so it was a good model, and model 3(2nd hierarchical model) also appeared to have a good fit in the figures showing over the standard. Especially, model 3(2nd hierarchical model) has come a very insignificant difference in fitness levels then, two models (model 2 and model 3) also turned out to be no comparison with any comparable model. 2. RESULTS The implications include that study of office building service quality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firmed one-dimensional planar model as well as a variety of models exist, and especially the point to the model laid the foundation to use the high-order-dimensional structures, such as hierarchical multi-factor model for the tenant and the landlord secondary interactions.

      • KCI등재

        제품디자인 모형제작의 교육적 효과와 새로운 활용방향 제안 -더미모형의 대안을 중심으로-

        이희명 ( Hee Myoung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기계식 제품에서 전자제품으로 제품의 내용, 형태, 사용성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데 반해 더미모형의 프로토타입은 실무 현장이나 교육현장에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디자이너가 제품의 외형을 담당했던 것과는 다르게 현재는 디자이너에게 인터랙션부터 서비스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능력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 하기위한 발전된 모형제작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의 역할변화에 프로토타입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고찰하고, 현재의 모형교육의 현황과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완된 모형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제품디자인에서 프로토타입의 발전과 역할을 시대적 배경에 따라 살펴보고, 설문을 통해 현재의 모형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찾아보았다. 참가자는 산업디자인학과 2-3학년 재학생 93명으로 모형제작의 효율성, 모형제작의 역할, 모형제작의 교육효과, 어려운 점 및 개선점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에 응답했다. 그 결과 모형제작이 주는 효과로 “장인정신”, “예술적 감각”에 대해서는 관련있다는 응답이 나왔으며, “논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 “융합적 사고”에 대해서는 관련없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모형의 역할은 형태 설명과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주지만, 콘셉트 설명, 사용성 설명, 아이디어 발전에는 역할을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설문결과를 기반으로 보완된 모형교육 프로그램을 11개팀으로 이루어진 29명의 재학생이 진행했다. 인터뷰를 통해 제안한 모형교육이 창의력 향상과 융합적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반응을 얻었다. Although product design is changing dramatically in terms of usability, form and production, a dummy style prototype called mock-up is still used in the design education as well as design industry field. Now designers are responsible for products’ visual appearance as well as interaction and usability. However, dummy prototype is not enough to cultivate ability for designers’ new rol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ole of prototyping and its educational effect in the product design. 9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swered in the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efficiency, role, educational effect and difficulty & supplement points of prototyping. The survey shows the current prototyping education is more related in “craftsmanship” and “specialized knowledge” and is less related in “log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nvergence thinking”. Also the role of prototyping is related in appearance and communication but is less related in concept, usability and ideation. Based on this result, the new prototyping program was designed. 11 team of 2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y interviewed when completed. The results show the program is related in cultivat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inking.

      • 非線形模型을 利用한 換率의 未來豫測分析 : 원화의 對美달러煥率을 中心으로 Won/Dollar Case

        李根營 成均館大學校 韓國産業硏究所 1995 韓國經濟 Vol.22 No.-

        本 論文은 非母數的 方法中의 하나인 LWR技法을 이용하여 非線型 自己回歸模型이나 製造模型이 원화의 月別 對美달러換率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確率步行模型보다 우수한가를 검토하였다. 우리의 경우 主要 先進國들과는 달리 1기간앞 標本外 豫測에 있어서 非線型自己回歸模型이 製造模型이나 確率步行模型보다 豫測成果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本 論文에서는 Eidbold and Mariano 檢定을 이용하여 두 모형간의 MSE가 같은가를 살펴보았는데, 非線型 自己回歸模型과 確率步行模型간의 MSE가 같다는 귀무가설은 1%의 유의수준하에서도 기각된다. The paper examines out-of-sample performances of nonlinear structural and autoregressive models using Locally Weighted Regressions(LWR). Nonlinear autoregressive models outperform random walk and nonlinear structural models in one-step-ahead out-of-sample comparisons. The Diebold and Mariano test also rejects the null hypothesis of equal MSE between the nonlinear autoregressive model and the random walk model without a drift.

      • KCI등재후보

        MCI모형과 Equity 추정방식을 이용한 마케팅믹스 변수들이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

        임병훈,김근배 한국마케팅학회 2004 ASIA MARKETING JOURNAL Vol.6 No.2

        본 연구는 마케팅믹스변수와 시장점유율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시장점유율모형 중 논리적 타당성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MCI (Multiplicative Competitive Interaction) 모형의 특성과 적용방법을 실증적 자료를 이용해 설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MCI 모형은 유인력모형의 한 형태이며, Nakanishi and Cooper(1982)에 의해 비선형모형을 선형모형으로 전환시켜 모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면서 활용가능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MCI 모형의 적용과정을 국내 소비재산업의 마케팅담당자가 입수가능한 다양한 원천의 마케팅자료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형화된 MCI 모형의 모수 추정에 있어 Equity 추정방식을 적용하여 독립변수로 활용된 마케팅믹스 변수들간 다중공선성 문제의 해결방안도 제시하였다. 국내 껌시장에 대해 적용된 분석결과, 시장점유율 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믹스변수들을 찾아낼 수 있었으며, 마케팅담당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었다. After Nakanishi and Cooper(1982) suggested a way of transforming the complicated nonlinear MCI model into a simple linear form, the application of MCI model has been increased. However, the use of MCI model in Korea is quite limited.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MCI(Multiplicative Competitive Interaction) model to a consumer goods industry. MCI model is a form of the attraction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marketing mix variables and market share. In this study, multiple sources of empirical data are incorporated in the model formulation stage. In the estimation process, the equity estimation is applied to solve the possible multi-collinearity problem among marketing mix variables. Results from the fitted model suggest meaningful manageri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brand equity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among marketing mix variables.

      • KCI등재

        허들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

        선지영,심정숙,정병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4

        In practice, count data often show a higher incidence of zero counts than expected for the assumed distribution. Such data are called the zero inflated count data. To analyse zero inflated count data, we consider th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hurdle model, and propose the Bayesian inference using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methods. Especially, the negative binomial hurdle model allows the overdispersion of dependent variable. In these models, we propose the MCMC algorithm compromising the metropolis hastings algorithm and Gibbs sampler to estimate regression parameters. In order to compare the efficiencies of the proposed models, we apply the proposed models to a well known the recreational trips data analysed by Gurmu, Trivedi (1996). The 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DIC) was used to compare the goodness of fit of each model. From the result of real data analysis, the negative binomial hurdle model show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oisson hurdle model, since the DIC of negative binomial hurdle model is smaller than that of Poisson hurdle model. 영과잉 개수형 자료는 개수형 자료에서 영(0)의 값이 가정된 분포에 비하여 과다하게 나타나는 형태의 자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본 연구에서는 포아송 및 음이항 허들모형을 고려하고, 이들 모형에 대하여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기법을 이용한 베이지안 추론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음이항 허들모형은 개수형 자료에서 흔히 발생하는 과대산포를 허용해주는 모형이다. 두 모형에 대한 회귀계수를 추정하고자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메트로폴리스 해스팅스 알고리즘(metropolis hastings algorithm)과 깁스 알고리즘(Gibbs algorithm)을 결합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두 모형에 Gurmu, Trivedi(1996)에 의하여 분석된 휴양항해 자료를 적용하여 두 모형의 효율성을 DIC(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음이항 허들모형의 DIC값이 포아송 허들모형의 DIC값 보다 작게 나타나 음이항 허들모형이 포아송 허들모형보다 잘 적합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