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선호도에 따른 광고모델과 자기개념의 일치성: 아파트브랜드를 대상으로

        송정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9 No.1

        Recently, apartment companies uses advertising model to enhance brand image and consumer's brand prefere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gruency between ad model image and consumer's self concept in an effort to give suggestion about advertising model strategy establishment based on consumer's self concept. Although ad model image dominates advertising effect, little empirical work has been conducted on such study as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congruency between ad model image and self concept.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propose it's effect of self concept in apartment brand. It was conducted by the survey research. In this study, housewives living in Seoul and Taejeon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Excluding non-appropriate 97 respondents, a total of 2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12.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average and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when there is a congruency between ad model image and consumer's self concept, consumers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also ideal self concept is more effective than actual self concept in apartment brand. This study suggest that advertisers or ad practitioners must use the ad model strategies in apartment brand focused on consumer's ideal self concept. Considering our advertisement practice of casting celebrities for ad models, this suggestions is very important for a apartment brand strategy. 최근, 국내 대부분의 건설회사들이 자사 아파트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브랜드선호도를 높이기 위 해 유명 광고모델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광고모델 이미지의 자사 브랜드이미지와의 일치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모델의 기용은 오히려 브랜드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본 연구 는, 이 경우에 브랜드이미지와 광고모델이미지 간의 일치 여부를 평가하는 주체는 소비자이고, 어떤 대상 이 좋고 싫음은 그 사람의 자기개념을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우선, 사전조사를 통해 아파트브 랜드와 광고모델의 일치도를 측정하여 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두 모델(‘자이’의 이영애, ‘푸르지오’의 김남주)을 선정하였다. 서울과 대전에 거주하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브랜드선호도를 조사 하고, 그들의 현실적 자기개념, 이상적 자기개념과 아파트브랜드 광고모델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 다. 조사결과, 두 브랜드의 광고모델은 피조사자인 주부들에게 각각 다른 이미지로 지각되고 있었고, 두 브랜드 선호그룹 간에 현실적 자기개념은 거의 유사하게 나온 반면, 이상적 자기개념은 많은 항목에서 유 의차가 있었는데, 이들 항목들은 두 모델의 이미지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 항목들이었다. 또한, 피조사자들 은 자신의 자기개념, 특히, 현실적 자기개념보다 이상적 자기개념에 일치하는 이미지의 모델의 브랜드를 선호하고 있었다. 즉, 주부들의 아파트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의 밑바탕에는 자기개념이 있었으며, 그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이상적인 상태로 높여줄 아파트브랜드를 선호하고 있었다. 아파트브랜드 광고의 경우, 광 고이미지를 통한 호의적인 브랜드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타겟소비자의 이상적 자기개념에 일치하는 이미 지를 가진 모델을 기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패션광고에서의 고령여성모델이미지 기호학적 분석 -해외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임민정 ( Im Min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광고 속 여성모델이미지는 이상화된 미적가치를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감성과 욕망을 자극하여 자연스럽게 소비의 이데올로기를 형성한다. 이 연구는 고령화에 따른 패션전략을 위해 패션잡지에서의 고령여성모델이미지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여성을 모델로 한 패션잡지광고를 수집하여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적 분석으로 광고의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를 분석한 후, FGI를 수행하고 플로슈의 소비가치유형으로 분류하여 고령여성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패션광고에서 고령의 여성은 독자와 동일시 대상으로서의 미화된 이상적 모델의 이미지가 아닌 현실적인 노인의 실제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유형에 따른 고령여성모델이미지 특성을 요약하면 실존적 가치 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고령여성을 사회적 성공이나 전문성의 이미지로 표현하여 사회적 경험과 연륜 있는 고급스럽고, 세련되고, 보수적이며 권위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실용적 가치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표현, 실용적 디자인과 스타일을 제안하고 나이와 상관없는 활동적인 캐주얼한 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비판적 가치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세련되고 지적인 이미지로 제시되며 실용적이며 동시에 세련된 도시적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으며, 유희적 가치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자신의 세계를 추구하는 적극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개성적 이미지로 섹시하고 도발적 스타일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emale model images in fashion advertisements naturally forms an ideology of consumption as they present idealized aesthetic values and stimulate readers`` sensitivity and desi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makes a semiotic analysis of the aged female models`` images in fashion magazines to identify fashion strategy in line with the aging society. It collects fashion magazine ads where aged female appears as a model and analyzes the denotative and connotative meaning of ads by using Roland Barthes`` semiotic analysis and then carries out FGI (focus group interview), sorts the results out into Jean-marie Floch``s consumption value model, and draws the images and styles of aged femal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aged females in fashion advertisements are expressed as realistic old women as they are, rather than idealized model who are identified with reader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aged female model imag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sumption value,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existentia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socially successful or professional image, that is to say, luxurious, sophisticated, conservative, and authoritative image with years of social experience;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practica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comfortable and natural image, that is to say, energetic and casual female image regardless of age who proposes practical designs and styles;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critica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sophisticated and intellectual image, that is to say, the image with practical and sophisticated urban style; and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playfu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the image with highly individual style who pursues her unique world and is very active and full of confidence, that is to say, sexy and provocative image.

      • KCI등재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 연구

        남현우(Nam, Hyun Woo),정성인(Jeong, Seong 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미술관에서 생성되는 미술 콘텐츠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저작권 서비스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창조산업에서 이미지저작권 콘텐츠 유통시장 활성화와 저작권 서비스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에 의해, 이미지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다학제적으로 진행된 융복합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1,000여개의 뮤지엄(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등)의 저작권료에 대한 산정, 분배, 정산, 모니터링에 대한 기준체계를 제안하여 이미지 저작물의 이용 활성화 및 재활용을 통한 미술콘텐츠 생태계 투명화 및 효율성 향상화를 위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우선,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내용설계 및 구조설계를 제안하였으며,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실현 시뮬레이션, 모델 가동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미술관 미술콘텐츠 유통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여, 미술 콘텐츠 저작권료 프로세스 모델을 설정하였다. 미술관 소장품 및 미술작품 유통 과금 기술 개발과 저작권 자동분배 및 정산 엔진 개발은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과금 체계 및 기술 개발이 미약하기 때문에 기본 프레임워크는 기존 콘텐츠 과금 프레임워크를 모델로 사용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미술작가, 미술관 학예사, 유통업체 등이 사용가능한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제안하였다. 사업화 전략에서는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틈새시장 침투전략(Niche penetration strategy)을 제안하였다. 판매확대 전략에서는 미술관 아카이브 시스템의 유동적 연결을 통하여, B2B, B2G, B2C, C2B 형태의 이미지 거래를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하며, 이미지 저작물의 관리가 통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수립되었다. 향후 혹은 앞으로의 과제는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 및 신규 창작 작품의 미술 콘텐츠 분쟁예방 및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미술작품에 대한 이미지저작권자와 소유자간의 분쟁 등을 최소화하고, 미술품 저작물의 관리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술관의 소장품 및 신규작품에 대한 아카이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 이미지저작권 등록 증대가 예상되며, 이미지저작권 유통 서비스에 대한 저작권료, 과금, 분배, 정산 등 다양한 융합적 비즈니스 활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multi-disciplinary convergent study is to establish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for Museums to protect image copyright and vitalize the use of images out of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copyright services over the life cycle of art contents created by the museums and out of the necessity to vitalize distribution market of image copyright contents in creative industry and to formulate management system of copyright services. This study made various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art contents ecosystem through vitalization of use and recycling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by proposing standard system for calculation, distribution, settlement and monitoring of copyright royalty of 1,000 domestic museums, galleries and exhibit halls. First, this study proposed contents and structure design of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and, by proposing art contents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for prototype simulation, execution simulation and model operation simulation, established art contents copyright royalty process model. As billing syste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image contents are still in incipient stage, this study used the existing contents billing framework as bas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billing technology for distribution of museum collections and artworks and automatic division and calculation engine for copyright royalty. Ultimately, study suggested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which can be used by artists, curators and distributors. In business strategy, study suggested niche market penetration of museum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In sales expansion strategy, study established a business model in which effective process of image transaction can be conducted in the form of B2B, B2G, B2C and C2B through flexible connection of museum archive system and controllable management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can be possible. This study is expected to minimize disputes between copyright holder of artwork images and their owners and enhance manageability of copyrighted artworks through prevention of such dispute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rt contents (of collections and new creations) owned by the museums.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line for archives of collections of museums and new cre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registration of image copyright and to make various convergent businesses possible such as billing, division and settlement of copyright royalty for image copyright distribution service.

      • KCI등재

        DM-Font와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모델을 활용한 한글 글꼴 생성 연구

        정지은,변혁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generation of Korean fonts using an image style transfer model. Image Style Transf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mage conversion and generation technology that allows content and style images to be input into models, respectively, with the images that constitute the content remaining unchanged and with only style applicable to and learned in various image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new font based on the image of Yook-sa Lee's handwriting by applying this image style transfer technology to the generation of Korean fonts. In order to proceed, the study utilizes a basic image style transfer model, in this case the pix2pix model, and a dual-memory-augmented font-generation network model, useful when the absolute amount of font data required for learning is insufficient. The stud uses the DM-Font model to learn the handwritten image of a poet with a very small amount of handwriting data and finally to generate 736 target letters. It discusses the problems and future complementary points of the model application. 본 연구는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모델을 활용한 한글 글꼴 생성에 대한 연구이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Image Style Transfer)는 콘텐츠(Content) 이미지와 스타일(Style) 이미지를 각각 모델에 입력하여 내용을 구성하는 이미지는 변하지 않고 스타일만 다양한 이미지로 적용 및 학습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변환 및 생성 기술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기술을 한글 글꼴 생성에 적용하여 시인 이육사의 친필 이미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글꼴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모델인 pix2pix 모델과 학습에 필요한 글꼴 데이터의 절대량이 부족한 경우 유용한 DM-Font 모델(Dual Memory-augmented Font Generation Network 모델)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DM-Font 모델을 사용하여 실제 남아있는 필체 데이터의 양이 매우 적은 이육사 시인의 친필 이미지를 학습시켜 최종적으로 목적글자 736자를 생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기술하였는데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로부터 변환 이후의 후처리까지 전 과정의 자세한 기술과 함께 모델 적용 시 발생된 문제점과 향후 보완점에 대해 논하며 모델 활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여성패션모델 이미지의 외연화(外延化)

        정선옥(Jung, SunOk)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1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2 No.1

        이 연구는 해외 브랜드, 해외컬렉션에서 활동하는 국내 여성패션모델의 면면을 알아보고, 그 여성패션모델의 이 미지를 분석하여 국외 패션계 현장에서 요구하는 국내 여성패션모델의 이미지를 실증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 다. 자료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해외컬렉션과 해외브랜드 광고, 국내 패션전문사이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선행자료, 전문가회의, 연구자 참여로 이루어진 삼각검증법(triangulation)과 이후 동료 검증(peer debriefing), 재차 검증(test-retest)을 실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아하고 분위기가 있는 단아함 (elegance), 둘째, 서양인 눈에 신비한 이미지로 비춰지는 신비함(mystery), 셋째, gender의 모호함과 새로운 모 델상 발견으로 인한 희귀함(rarity), 넷째, 미래주의에 어울리는 사이버틱함(cybertic)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 외에서 요구되는 동양 패션모델 이미지는 기존 서양 패션모델 이미지와는 다름을 알 수 있었고, 해외진출을 모색하 는 국내 여성패션모델 또는 기획사에 차별화된 이미지 마케팅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identifies various aspects of Korean female fashion models involved in overseas brands and collections and then has an attempt to analyze and present their image empirically. Research materials include overseas collections, overseas brand advertisements, and Korean fashion websites from 2009 to 2015. For data analysis, triangulation consisting of previous research, expert meetings, and researchers' participation was conducted. After that, peer debriefing and test- re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Korean female fashion models are characterized by First, the elegance with graceful atmosphere, the mystery of the image from the Westerner's views, third, the ambiguity of gender and the rarity for discovering a new model, and fourth, the cyber atmosphere that fits with futurism.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mage of an Asian fashion model required overseas is different from the image of an existing Western fashion model. These results also meaningfully serve as basic marketing data for differentiated image marketing for Korean women's fashion models and agencies that seek to advance abroad.

      • KCI등재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 자기신체이미지가 20대 여성의 자기위협, 광고태도 및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김지호,윤원정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5 No.1

        본 연구는 이상적 체형의 모델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인 개인에게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노출되면 자기위협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자기위협은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에도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위협을 완화할 수 있는 광고방식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실험은 2(자기신체이미지: 긍정적 vs. 부정적) × 2(모델체형: 이상적 vs. 현실적) × 2(모델제시유형: 실상 vs. 실루엣) 참가자 간 설계로 구성하였으며 자기위협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모델의 복부를 향한 시각적 주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이 실상으로 제시될 경우,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일 때 자기위협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모델의 이미지가 실상으로 제시되는 각각의 조건에서 광고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복부를 향한 시각적 주의는 현실적 체형의 모델 복부를 향한 최초응시까지의 시간이 더 빠르고, 응시횟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적 체형의 모델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자기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실루엣이라는 새로운 변인을 사용했다는 점, 자기신체이미지,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에 따라 시각적 주의를 측정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또한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자기위협을 높이지만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이상적 체형을 지닌 모델의 사용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deal model body on consumers as the spreading usage of the ideal model body. In general, self-threat occurs when an ideal body type of the model is exposed to an individual with a negative self-body image, and this self-threat causes a negative reaction to advertisements in which the ideal model appea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n advertising method that can alleviate self-threat. In a 2 (self body image: positive vs. negative) × 2 (model body type: ideal vs. realistic) x 2 (model presentation type: reality vs. silhouette) between-subject design, we teste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self-threat and advertising attitudes, and measured visual attention to the model’s abd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 First, when the model is presented in reality, it was found that when the self-body image is negative, self-threat increas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dvertising attitude was higher under each negative self-body image condition, and in the condition in which the image of the model was presented as reality. Third, the visual attention to the model’s abdomen confirmed a faster entry time, more fixation count towards the target region. This study’s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it used a new variable called silhouette to alleviate self-threat that can be caused by models of ideal body types, and measures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self-body image, model body type, and model presentation type, which yield the same results as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using models of ideal body types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models of ideal body types increase self-threat but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KCI등재후보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국내 남성모델 이미지의 변천

        박은혜(Park, EunHye)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0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1 No.1

        이 연구는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남성모델들의 이미지를 시대순으로 분석하고 변화의 흐름을 살펴 현대 사회에서 추구되 는 남성이미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사회, 문화적 현상을 문자와 이미지화된 형태로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잡지를 연구 자료로 선택했으며 연구 방법은 1995년 국내 최초로 창간한 해외 라이선스 남성잡지인 Esquire를 창간호부터 10년간인 2005년까지의 화보를 취합하여 전문가 회의 및 워크숍을 통해 국내 남성모델의 이미지 변천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5년부터 1999년까지는 강인한 남성이미지로 정장, 에스닉, 히피, 시스루 패션이 유행하였고 모델들 은 넓은 얼굴선, 어깨 골격과 근육이 발달한 체형으로 올백 헤어스타일의 터프한 이미지의 화보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2000년부터 2002년까지는 부드러운 중성적 이미지로 모노톤과 스포츠 캐쥬얼이 유행하였고 서구화된 신체와 날렵한 얼굴선, 깨끗한 피부톤과 바람머리 헤어스타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와 부드러운 이미지의 화보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차분한 여성적 이미지로 여성 복식의 영향을 받아 파스텔 톤과 레이어드 패션이 유행하였고 남성모델은 차분 한 여성적 이미지로 긴 신장, V라인의 작은 얼굴형과 하얀 피부톤, 여성적이고 차분한 미소년 이미지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적으로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남성모델 이미지 변화는 젠더(gender) 차이에 따른 권위, 정치참여 정도, 소비층 변화 등 다 양한 함의를 유추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and evaluate the changes in the image of domestic male models over time due to the increased diversity in the public of image of m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t a time through both textual and visual representations from a neutral perspective, the study is based on observations of a magazine. Esquire, the first foreign licensed men’s magazine, is selected as the medium of representation to analyse the changes in the image of domestic male models in fashion photos over a decade from its first issue in 1995 to 2005.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at from 1995 to 1999 suits, ethnic, hippies and see-through were the dominant trends with evidently masculine models featuring large facial and shoulder lines as well as muscular physiques and slicked back hairstyle to create ‘tough guy’ looks. Second of all, from 2000 to 2002, monotones and casual sportswear led the trend with unisexual male models featuring slim, westernized body builds, sharper facial lines, smoother skin tones and messy curls to create a more natural and ‘nice guy’ looks. Finally, from 2003 to 2005, a further feminine influence affected the trend, producing pastel colors and layered styles. The models were feminine in many aspects such as slim and tall body types, small whitened faces with steep V lines along the jaws and natural hair styles, together which presented calm, ‘pretty boy’ looks. In conclusion, the male models image changes appearing in the men's fashion magazine can be inferred by various implications such as authority,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nsumption class change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이미지 및 광고카피의 맥락이 화장품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여영준 한국융합학회 2023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2 No.3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 일치여부에 따른 화장품 광고효과와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 카피 간을 조화롭게 지각하느냐 여부에 따른 화장품 광고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화장품 광고에서 맥락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 가치유형(3)×광고카피유형(3) 요인설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의 일치여부에 따른 광고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델의 이미지와 브랜드의 이미 지가 일치할 때 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카피유형의 일치도 지각여부에 따라 광고효과에서 차이가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카피유형이 일치한다고 지각하는 소비자들이 불일치한다고 지각하는 소비자에 비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화장품 광고 카피 전략을 세울 때맥락효과를 접목하여 카피전략을 세워야 하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context effect in cosmetics advertisements by examining the cosmetics advertisement effect according to whether the brand image and the model image matched, and whether the brand image and the advertisement copy were harmoniously perceived.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brand value type (3) × advertisement copy type (3)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the matching of the cosmetic brand image and the model image, it was found that both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 model image and the brand image matched. Seco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dvertisement effect according to whether the cosmetic brand image and copy type matched. As a result, consumers who perceived that the cosmetic brand image and copy type matched had significantly higher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an consumers who perceived that the copy type did not mat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validity as to whether the copy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by incorporating the context effect when setting up a copy strategy for cosmetics advertise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스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지원,오희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ar advertisement model’s image on the outdoor brand image and the purchasing behavior. Survey was conducted wi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which 232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chi square 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with the collected data was using SPSS 17.0 for Windows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n the impact of star advertisement model’s image on brand image showed that trust, hardiness, familiarity and specialty factors of model imag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ialty, practicality and familiarity factors of brand image. However, the attractiveness factor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rand image. Second, analysis on the impact of star advertisement model’s image on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all factors of model image, which are trust, hardiness, familiarity, specialty, attractiveness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kability, attention, purchasing intention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Third, analysis on the impact of brand image on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trend, specialty, trust factors of brand image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kability, attention, purchasing intention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racticality, familiarity factors of brand image on purchasing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의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 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시내 거주하는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232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분석에는 SPSS 17.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χ2검정, 요인분석, 신뢰도,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를 구성하는 차원 중 신뢰성, 강인성, 친근성, 전문성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의 전문성, 실용성, 친근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고모델 이미지의 매력성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를 구성하는 차원인 신뢰성, 강인성, 친근성, 전문성, 매력성 모두의 요인이 구매행동의 요인인 호감, 관심,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차원 중 유행성, 전문성, 신뢰성 요인은 구매행동의 요인인 호감, 관심,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 이미지의 실용성, 친근성 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잠재적 오분류 데이터를 고려한 이미지 분류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 방법

        이영우,송민주,채흥석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8 No.6

        이미지 분류 딥러닝 모델은 이미지가 변형되었을 때 이미지의 유형을 잘못 분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 정확도 평가 방법은 이미지가 변형되어 잠재적으로 잘못 분류될 수 있는 이미지들을 고려하지 않아 이미지의 유형을 정확하게 분류했다고 하더라도 평가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잠재적으로 잘못 분류될 수 있는 데이터를 고려한 이미지 분류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델과 데이터 셋 별로 잠재적 오분류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경계 비용을 측정하고, 경계 비용을 바탕으로 잠재적 오분류 데이터를 식별하였다. 그리고 잠재적 오분류 데이터를 고려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잠재적 오분류 데이터 식별 결과, 0.1~4.2%의 데이터가 잠재적 오분류 데이터로 식별되었으며, 이 중 18 ~60%가 실제로 잘못 분류되었다. 정확도 평가 결과, 정확도가 높은 모델은 이미지 변형에 대해 강건하며, 정확도가 낮은 모델일수록 이미지 변형에 대해 강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mage classification deep learning models have a problem of misclassifying the type of image when the image is modified. As the existing accuracy evaluation methods do not take into account images that can potentially be misclassified due to modification of the image, it becomes to trust the evaluation result even if the type of image is accurately classified.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image classification deep learning models considering the potentially misclassified data. We have measured the boundary cost to identify potentially misclassified data for each model and data set and identified potentially misclassified data based on the boundary cost. Also, we have measured the accuracy considering the potentially misclassified data. As a result of identifying potentially misclassified data, 0.1~4.2% of the data were identified as potentially misclassified data, of which approximately 18~60% were actually misclassified. As a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higher-accuracy model was more robust to image modification, and the lower-accuracy model was less robust to image mo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