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픽션 그림책의 기법 분석과 그에 대한 유아의 이해-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를 중심으로 -

        서정숙,김정화,유은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2

        현대 유아는 다양한 그림책을 접하고 있고, 최근 들어서는 메타픽션 기법이 사용된 그림책들도 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외에서 유아가 메타픽션 그림책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취학 전 유아의 메타픽션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메타픽션 형식인 ‘그림책 속 그림책’의 구조를 지닌 다섯 권의 메타픽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를 지닌 다섯 권의 그림책에 나타난 메타픽션의 기법을 분석한 다음, 이들 기법에 대한 유아의 이해 정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의 그림책에 가장 많이 나타난 메타픽션 기법은 다중 내러티브 기법이었고, 그 다음은 전통적인 시․공간 관계의 붕괴 기법이었다. 그리고 만 5세 유아는 다섯 권의 메타픽션 그림책에 여러 이야기가 들어있다는 점에 대해 대체로 잘 이해하고 있었고, 각 메타픽션 기법에 대한 이해 정도는 그림책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Today’s young children read picturebooks of various kinds and are exposed to picturebooks with metafictive techniques. However, domestic investigations of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metafiction picturebooks are rare and, in fact, there is no research on the evaluation of preschool children's responses to metafiction picturebooks. To remedy this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s of preschool children to five metafiction picturebooks exhibiting the 'picturebooks-within- picturebooks' structure. The metafictive forms appearing in the selected picturebooks were analyzed and the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each metafictive technique was analyzed. Analyisis of the children’s responses reveals that the most popular metafictive technique appearing in the picturebooks of the 'picturebooks-within- picturebooks' structure is the technique of multiple narratives and the next most popular one is the disruptions of traditional time and space relations in the narratives. Analysis of the children's responses shows that young children of age 5 years of age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multiple narratives. However, the level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chnique differs from one picturebook to another.

      • KCI등재

        이청준의 메타픽션에 나타난 계몽과 신화의 반복

        나병철(Na, Byung-chul)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은 이청준의 메타픽션을 현실의 상처를 극복하고 능동적 주체를 생성하려는 반복적인 기억의 행위로 고찰했다. 그런 반복적인 기억의 과정은 프로이트가 논의한 심리적 반복충동과 연관된다. 반복충동이란 현실에서 상처를 경험했을 때 그 상처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무의식적 운동의 일종이다. 반복충동에서 자아는 상처의 고통을 재연함으로써 수동적 고통을 능동적인 위치로 전이시킨다. 프로이트는 반복충동의 예로 포르트-다 놀이를 말하고 있는데 이 놀이는 예술의 원리와도 연관된다. 포르트-다 놀이는 과거의 고통이 능동적인 에로스의 기억으로 되돌아오는 점에서 니체의 영원회귀의 시간과도 유사하다. 이청준의 메타픽션 중에서 『병신과 머저리』 와 『가수』는 각각 한국전쟁과 4.19 이후의 상처를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상처의 기억은 반복되지만 에로스의 생성에 실패함으로써 두 소설은 완결된 소설이 되지 못하고 고통을 반복하는 메타픽션이 된다. 이청준이 『줄광대』 와 『매잡이』같은 전통미 계열의 소설을 쓰게 된 것은 그 때문이다. 이 소설들은 잃어버린 신화의 기억을 반복함으로써 에로스의 기억을 회생시키려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과 근대의 틈새에서 전통미를 전하는 사람이 근대세계에서 소통이 단절됨으로써 이 계열 역시 신화의 기억을 반복하는 메타픽션이 된다. 두 계열의 메타픽션은 소설적 반복의 형식을 통해 비로소 우리의 내면에 에로스의 소망을 일깨워준다. 이청준은 두 계열의 메타픽션을 합치는 데는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다. 그 대신 그는 메타픽션의 목표인 능동적 삶의 회생을 위해 현실의 보이지 않는 심층을 깊이 탐사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그 가장 치열한 지점에 에로스의 열정에 근거한 권력의 기제의 탐구가 놓여 있다. 『소문의 벽』은 박준의 상처의 근원을 파헤치는 동안 에로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통해 능동적 삶에 대한 갈망을 전해준다. 『소문의 벽』 에서 ‘내’가 박준의 소설들을 통해 권력의 미시기제들을 탐구하는 열정은 ‘나’의 내면에 들어온 박준에 대한 애정과 다르지 않다. 여기서는 탈주자와 연대자의 에로스가 곧 능동적인 차이의 반복이다. 『소문의 벽』은 계몽이 변질된 미시권력의 극단을 보여주면서 메타픽션을 통해 예술적 차이의 대응을 암시한다. 『소문의 벽』을 정점에 둔 이청준의 메타픽션은 끝없이 반복되는 권력의 동일성에 맞서서 에로스를 회생하려는 차이의 반복에 의해서만 능동적 삶이 귀환할 것임을 암시한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fact that Lee, Cheong-jun’s meta-fiction is the fruit of repetitious memory in an attempt to overcome trauma, and create an active subject. The process of such a repetitious memory is associated with Freud-argued repetition compulsion. The repetition compulsion is a kind of unconscious exercise trying to tide over the pain of the trauma when one suffers a scar in reality. A self in repetition compulsion transfers a passive pain to an active position by reenacting the pain of reality. Freud sets the fort-da game as an example, and this game is linked with the Principle of Art as well. Also, this game is similar to Nietzsche’s time of ‘Eternal Recurrence’ in that the pain in the past returns as a memory of active Eros. Among Lee, Cheong-jun’s meta-fictions, “The Disabled and a Moron” and “Trance” represent an attempt to overcome the traumas after the Korean War and April 19 Revolution, respectively. However, the pain from traumas repeats, but the two fictions become meta-fictions repeating pain instead of becoming a completed short story due to their failure to create Eros. That’s why Lee, Cheong-jun came to write a fiction of traditional beauty series belonging to another meta-fiction like “Tightrope Walker” and “Maejabee,” etc. These fictions attempt to revive a memory of Eros by repeating a memory of the lost myth. However, these fictions of this series also become meta-fictions repeating a memory of myth as a person who delivers traditional beauty in a tight spot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times faced an obstacle to communication in the modern world. A meta-fiction enlightens the wish for Eros indwelling in our inner side at last through the form of fictitious repetition. Lee, Cheong-jun was not so successful in integrating the meta-fictions of these two series into one. Instead, he came forward in the direction of exploring the invisible depths of reality profoundly for the purpose of reviving an active life as a goal of a meta-fiction. Lee, Choeng-jun puts his inquiring focus on power mechanism based on Eros’ passion at the most intense point. The novelette “The Wall of Rumors” conveys a longing for an active life through the process of Eros creation while ferreting out the source of Park, Jun’s traumas. As portrayed in “The Wall of Rumors,” ‘My’ passion for searching for micro-mechanisms of power through Park, Jun’s fictions is not unlike the affection for Park, Jun, which held a place in ‘My’ inner side. Here, the Eros of an escapee and a collaborator is the very repetition of an active difference. “The Wall of Rumors” hints at the response to the artistic difference through a meta-fiction while showing the extreme of micro-power deteriorated from enlightenment. Lee, Cheong-jun’s meta-fiction, which puts “The Wall of Rumors” at its peak, alludes to the fact that the recurrence of an active life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repetition of difference attempting to revive Eros while standing against the endlessly repetitive sameness of power.

      • KCI등재

        메타픽션을 활용한 글쓰기 치료 기법 연구

        이명미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5 No.-

        Modern people have the desire to discover new values and lifestyles, rather than conforming to the order and rules of the existing society or dominant culture. “story about a story,” or “fiction about novel writing,” in terms of its ontological value.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aspects of this method of inquiry to utilize it as a mechanism to solve the pathological phenomena of modern people. Metafiction is not an unconditional objection to objective facts and a renunciation of reproduction, but writing connected to a rigorous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ies associated with reproduc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metafiction i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writing therapy, which leads to the integration of students’ accurate understanding and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ir experiences. Therefore, metafiction is a suitable writing therapy technique as a mechanism to help people heal their wounds and grow. The study to provide self-treatment based on the therapeutic aspects of metafiction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gain insights into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lives by allowing them to share their spontaneity and independence freely. In terms of the concrete methodology, participants, who majored in novel creation, experienced a therapeutic effect by applying the following stages of self-narrative writing; the completion of a novel; trauma; the metafiction writing therapy technique and description of feelings; and change. The specific metafiction writing techniques in the third stage included a method of dramatizing various genre variations, or the insertion of two readers as story characters and the handling of words directly.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participants disassemble their narratives to view them objectively using metafiction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ir story. This paper describes the first attempt to integrate metafiction therapeutically, and it will be possible to generalize the topic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Moreover, detailed treatment techniques will be developed to continue a concrete and detailed analysis of the effects. 현대인들은 기존 사회나 지배문화의 질서와 규칙에 순응하기 보다는 새로운 가치와 삶의 모습을 발견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결과가 문학계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소설, 메타픽션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야기하기에 대한 이야기’, ‘소설 쓰기에 대한 소설’을 통해 존재론적 가치를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존재에 대한 탐구 방식을 현대인들의 병리적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기제로 활용하기 위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메타픽션 글쓰기는 객관적 사실에 대한 무조건적 반대와 재현에 대한 포기가 아니라 재현 가능성에 대해 엄밀한 탐색 과정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글쓰기이다. 이러한 메타픽션의 탐색 과정은 자신의 경험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이해와 통찰을 얻어 통합에 이르는 글쓰기 치료의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기제로 메타픽션이 글쓰기 치료에 적합한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픽션을 치료적 측면으로 접근함으로써 글쓰기 주체자의 자발성과 독립성을 보다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자기를 이해하고 통찰하여 더 나은 삶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소설 창작을 전공으로 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1단계 자기서사 쓰기 → 2단계 트라우마를 포함한 소설 완성 → 3단계 메타픽션 글쓰기 치료 기법 → 4단계 변화에 대한 느낌 기술하기를 단계적으로 적용한 결과 치료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단계 메타픽션 글쓰기의 구체적 기법으로는 ① 다양한 장르 변용이나 삽입 ② 독자들을 이야기 등장인물로 극화해 직접 말을 건네는 방법 ③ 서술형 어미를 현재형으로 재구성하는 기법 ④ 괄호 넣기나 밑줄 긋기를 활용하는 방식 ⑤ 환상(꿈)과 같은 비합리적인 서사를 사용하는 방법 ⑥ 패러디 등을 제안한다. 1차, 2차에서 자신이 쓴 이야기를 다시 메타픽션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자는 자신의 서사를 해체하여 객관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메타픽션을 치료적으로 접목하려는 첫 시도로써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대상을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세부적인 치료 기법을 개발하여 효과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밀한 분석을 지속할 것이다.

      • KCI등재

        메타픽션(Metafiction) 그림책의 맥락화 읽기 - 에밀리 그래빗의『Wolves』를 중심으로 -

        이지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2

        그림책이 학문적 담론으로 부상한지는 40여년의 짧은 역사에 불과하지만, 문장과 그림을 조합한 특별한 예술형식으로서의 다층적인 해석을 포함하며 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진지하게 연구되어왔다. 독자 대상의 포괄성 부분에 대한 모호한 규정이 있지만 그림책은 예술의 한 형태로서 부각되어 다양한 논의와 시도를 통해 그림책의 특성과 형식을 규명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문학과 예술의 강력한 포스트 모던적 특징을 압축한 메타픽션의 수사적 전략과, 관습적 한계를 넘어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를 분석하면서 그림책의 본질적 개념과 관통하는 관점들을 살펴 보고자한다. 메타픽션적 특성은 새로운 양식과 실험성을 도입하여 여러 층위의 해석을 확장시키며 깊이 있게 주목할 만한 쟁점을 복합적으로 발생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에밀리 그래빗의 『늑대들』(wolves)은 메타픽션적인 형식의 독특한 특징을 갖추고 복수 결말을 제시하는 등 독자들에게 질문하고 의문을 던지게 하는 경험의 세계로 인도한다. 또한 반권위적이며 관습적 방식을 벗어나 다층적 상상력을 발동시킨다. 이 상상력은 메타픽션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는 관점을 갖기도 하며 이러한 복잡한 층위의 시각예술 실험에 게임과도 같은 방식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고정되지 않고 변주되는 이러한 다층적 코드들은 독자와의 상호 작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폭넓은 관점과 심층적 구조를 이해하는 패러다임을 갖게 한다. 그리하여 더욱 그림책의 경험을 미적 실험을 넘어 새로운 속성과 변형성에 대한 가치관을 깊게 형성하게 하는 의의를 두고 있다. 새로운 관점의 도입과 실험으로 적극적인 담화를 끌어 들이며 삶과 세계가 담긴 그림책의 관점과 맥락을 놀이처럼 이해하게 되는 예술의 본질적 도구로써 작동되기를 바라며 이 연구에 접근해 보았다. Although picturebooks are only a short history of academic discourse, they have been seriously researched in a form of visual art, including a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art, which combines text and image with a unique art form. There are ambiguous provisions of the comprehensive part of the reader, but the picturebook embossed as a form of art, and has been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 through various discussions and attempts.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tial concept of picturebook, which analyzes the powerful post modern features of literature and art, and examines the rhetorical strategy of metafiction that is controversial beyond conventional limitations of picturebook. The metafictive characteristic incorporate new forms and experimental qualities that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ple layers, generating a deeply remarkable issues in depth. In this sense, the Wolves leads readers to the world of experiences by asking question to present multiple conclusions with unique features in metaphorical form. Wolves are antiauthority and unconventional, and enabling multi-layered imagination. The imagination has the most closely connected viewpoints of metafiction and invites readers to play in the same way as games on this complicated level of visual arts experimentation. These multiplicational and non-fixed codes naturally induce interaction with the reader and have a paradigm that understands a broader perspective and in-depth structure. This experience can go beyond aesthetic experiments and have the significance of forming values for new attributes and deformability. I intend to approach this study with hope that will act as an essential tool of art which bring forth active discourse with the experimentation of new perspectives. Therefore It will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nd play the viewpoint and context of the world of picturebook as artistic play.

      • KCI등재후보

        메타픽션 그림책 분석 및 그에 대한 아동의 반응 연구

        구한나 ( Han Na Gu ),현은자 ( En Ja Hyun ),유정아 ( Jung Ah Yo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그림책은 어린이들이 처음 접하는 책으로서 쉽고 간단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어린이용 책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출간되고 있는 그림책들에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기법인 메타픽션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메타픽션은 작품은 만들어진 것이라는 인위성을 강조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학 기법을 그림책에 도입한 메타픽션 그림책에 대한 7세와 9세 아동들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메타픽션 그림책에 대한 7세와 9세의 아동의 반응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9세 아동에 비해 7세 아동은 이야기에 대한 이해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7세 아동들의 인지적 성숙도가 9세 아동들에 비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에도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반응 연구 및 메타 픽션에 대한 아동들의 순수한 반응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alysis on the Metafictive Devices in Picture books and Children`s Response on the Metafiction Picture books. This study tried to observe how 30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0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and respond to picture book with metafictive devi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7 years and 9-year-old child`s response was different to metafiction picture books. Major factor in the metafiction ``intertextuality`` and ``parody`` about the age difference was the response. I believe this is because 7-year-old cognitive maturity is lower than the 9 years of age. In this study, based on the future of a study of the response of various ages are needed.

      • KCI등재

        메타픽션을 활용한 창작자의 자기치료 -김영하 『아랑은 왜』의 패러디와 대화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이명미 ( Lee Myoung-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작가는 창작물을 통해 타자 즉 독자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창작은 힘든 고뇌와 고통의 과정이며 그래서 많은 작가들은 누구나 작품 창작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작가로서의 정체성과 존재적 불안을 야기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가의 내면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기법으로 메타픽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시도로 김영하의 『아랑은 왜』에 나타난 패러디와 독자에게 말을 거는 대화적 글쓰기 형식의 메타픽션 기법을 통해 메타픽션의 치료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독창적이고 예술성을 갖춘 소설을 써야 한다는 창작자로서의 고민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민을 치료하기 위한 과정 역시 수반되어야 한다. 패러디를 통해 문학적 상상력의 한계를 고백하고 독자와의 대화적 글쓰기를 통해 창작의 어려움을 독자와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는 심리적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메타픽션 글쓰기 방식이 어떻게 효용되고 있으며 이것이 창작자에게 치료적 효과가 있다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이 연구 과정은 궁극적으로 문학치료와 글쓰기 치료 분야에서 메타픽션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 앞으로 이를 토대로 메타픽션 기법에 대한 구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일반 내담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것이다. The artist has a desire to be recognized by the other, that is, the reader, through his creative work. Creation is a difficult process that leaves so many writers anxious and having to deal with the existential crisis of identity. In this paper, we propose metafiction as a technique that can heal the artist's inner world. In an attempt to achieve this, the therapeutic effect of metafic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parody of Young-ha Kim's “Why Arang” and metafiction technique in the form of conversational writing that speaks to the reader. As a creator, it is natural to think about writing novels with originality and artistry. However, a process to treat these concerns must also be followed. By confessing the limits of literary imagination through parody and sharing the difficulties of creation with the reader through conversational writing, the artist will be able to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of his own. This thesis looked into the origin of the metafiction writing method and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that it has a therapeutic effect on the creator. This process is ultimately the first step to utilizing metafiction techniques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and writing therapy.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will systematically develop a scheme for metafiction techniques and continue research so that they can be applied by everybody.

      • KCI등재

        메타픽션 기법과 반전사상(反戰思想)— 커트 보네거트의『제5도살장』을 중심으로 —

        박형서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9

        제5도살장의 1장에서 작가 커트 보네거트는 ‘보고하기’ 방식에 대한 회의와 고민을육성으로 토로했고, 그 결과 이 작품은 반전소설로서는 드물게 메타픽션 기법으로 완성되었다. 그런데 메타픽션 기법과 반전소설 간의 관계, 메타픽션 기법이 ‘보고하기’보다 어떤면에서 나은지에 관하여 작가는 설명하지 않았으며 이에 주목한 별다른 연구도 없었다. 본고에서는 고전 전쟁서사가 전장과의 거리를 늘림으로써 흥미진진함에 복무해왔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현대 반전소설이 ‘보고하기’를 통해 거리를 줄이고 개개인의 고통에 접근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인본주의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대 반전소설이 흔히 동원하는 해부학적 묘사의 나열은 오히려 체계적 둔감화라는 반인본주의적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반면에 메타픽션의 자기반영적 화법이 이끌어낸 새로운 형태의 서술시점은 1인칭 주인공 시점보다 극단적으로 전장에 접근하고 독자와의 정서적 거리를 줄이는데, 이는 현대 반전소설의 성취인 ‘거리 줄이기’를 체계적 둔감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방향에서 더욱 강력하게 재현해낸다. 이러한 시도에 힘입어 제5도살장의 메타픽션 기법은 기존에 알려진 메타픽션 특유의 현실 재현 불가능성 등 전통적 소설쓰기에 대한 문제제기를 넘어 내용과 형식의 미학적 관계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게이밍 어펙트’의 순환 또는 변환: Archive Of Our Own(AO3)의 팬픽션과 정동적 인프라의 재구축

        권두현 ( Kwon Doo-hyu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4 한국문학연구 Vol.- No.74

        팬픽션을 매개로, 놀이로서의 삶을 추동하며 견인하는 Archive Of Our Own(이하 AO3)은 팬들을 위해, 팬들에 의해 개발되고 운영되는 팬들의 아카이브이다. AO3에서 접할 수 있는 수많은 팬픽션 가운데 특히 <오징어 게임> 팬픽션은 ‘게이밍 어펙트’의 흔적을 감지할 수 있는 유효한 경로를 제공한다. 일종의 도시 민속으로서의 ‘오징어 게임’은 메타게이밍의 장치로서 주어진 <스타크래프트>를 둘러싼 게이밍 어펙트의 맥락에서 <오징어 게임>이라는 회절 패턴으로 드러난다. 더 나아가, <오징어 게임>은 AO3라는 맥락에서 다종다양한 팬픽션으로 다시 한번 회절된다. 이 가운데 <jeju island>는 <오징어 게임>을 <원신>과 크로스오버한 작품이다. <jeju island>는 관계성의 퀴어링과 퀴어적 서사의 규범을 다시 한번 퀴어링하는 귀결을 보인다. 이는 아카이브의 기술 어포던스와 사용자들의 행위자성이 조응하면서 구체화된 결과다. 게이밍 어펙트는 다양한 기술적 장치를 통해 순환하는 동시에 변환한다. 이때, 정동은 감정의 문화적 표현을 둘러싸고 저항적 힘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AO3는 바로 이러한 가능성을 텍스트의 변형과 정동의 변용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Promoting life as play through the medium of fanfiction, Archive Of Our Own (AO3) is an archive of the fans, by the fans, for the fans. Among the many fanfictions available on AO3, Squid Game fanfiction in particular provides a valid route to detect traces of gaming affects. Among the many fanfictions available on AO3, The Squid Game fanfiction in particular provides a valid route to discovering traces of ‘gaming affect’. The “squid game” as a kind of urban folklore is revealed as a diffraction pattern of Squid game in the context of the gaming affect surrounding StarCraft, given as a device of metagaming. Furthermore, Squid Game is once again diffracted into various fanfictions in the context of AO3. Among these, jeju island is a crossover between Squid Game and Genshin Impact(原神). jeju island culminates in the queering of relationality and the queering of queer narrative norms once again. It is the result of the alignment and embodiment of the technical affordances of the archive and the agency of its users. Gaming affects are circulated through and transformed by various technical devices. In doing so, affects have the potential to form resistant forces around cultural representations of emotion. AO3 embodies this potential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ext and affect.

      • KCI등재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와 반성성: 「온에어」를 중심으로

        주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0 No.-

        The meta-language in the meta-television drama refers to reflexive devices used in the TV drama text to describe a television world itself. On Air which can be called a television drama on a television drama may be asserted as a meta-television drama. This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trying to reveal the aesthetic significance and limits of On Air as a meta television drama. The first section raises issues around narrative discontinuity and artificiality suggested from reflexive devices in the meta television drama such as cameo appearances, intertextuality and drama on drama. The production of meta-television text's meaning is also deeply involved in the acceptance of meta-television text's meaning. The second section thereby examines how components of fictional universe in the meta televisio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udience's acceptance in the real world and develop a critical claim for thinking about their complex relationship. Although the story of On Air deals with fictional universe related to television drama production, it even goes beyond the fiction and crosses the border between the fictional and the actual world. The more contents of On Air is tilted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ir own TV shows, the more it is attracting viewers external to the TV drama. Because it reminds viewers that fictional narrative of the television drama production of On Air is associated with the actual reality of a television drama production. The paradox of text refers to this point. However, the viewers do not only come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fictional world. As a meta-television drama, On Air deals with how to produce a television drama. Moreover, it critically comments about a television drama production process. When the existing conventions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are criticised in On Air, viewers are set outside the fictional world, perceive the fictional world as defamilized, and do rational thinking about the prior norms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Viewers generate move-trajectory comprised of a series of random steps outside-inside the fictional world. The paradox of viewers refers to this point. In the meta-television drama On Air, viewers are television readers, writer as co-producer and, at the same time, critics to intensely grip the issues of television industry.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메타언어란 텔레비전 세계 자체를 설명하기 위해 TV 드라마 텍스트에 사용된 반성적 장치들을 일컫는다.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텔레비전 드라마라 할 수 있는 「온에어」는 자신이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임을 명시적으로 표방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로서 「온에어」의 미학적 성과와 의의를 가늠하려 시작된다.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반성적 장치가 드러내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인공성과 그로 인한 서사적 불연속성을 실제 인물의 카메오 출현, 상호텍스트성 그리고 극중극 등 인물, 대사, 구조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의 의미 생산은 또한 의미 수용의 양상과 깊이 연루된다. 그래서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적 세계의 생산이 어떻게 실제 경험 세계에서의 시청자의 수용과 긴밀히 연결되면서도 복합적 양상을 띠게 되는지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고찰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생산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는 「온에어」의 세계는 허구일지라도 허구를 넘어 허구와 실제를 횡단한다. 「온에어」의 내용이 텔레비전 드라마 자신의 구성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동시에 그 관심은 시청자를 끌어들이면서 텔레비전 드라마 자기 자신의 외부를 지향하게 된다. 시청자가 「온에어」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현실을 실제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현실과 얼마든지 관련지을 수 있는 까닭에서다. 텍스트의 패러독스란 바로 이점을 지칭한다. 그러나 시청자가 극중 세계에 밀착하거나 동일화되는 양상만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온에어」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어떻게 생산되는지를 다루고 있지만 한편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 생산 과정에 대한 비평적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 제작 현실의 관행이 「온에어」에서 비판될 때 시청자는 극중 세계 외부로 물러나 생소화 효과를 경험하면서 이성적 사유를 거듭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청자는 극중 세계 내부에 있다가 외부로 물러나오는 식의 궤적을 반복한다. 시청자의 패러독스는 이점을 가리킨다.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 「온에어」에서 시청자는 공동생산자로서 작가이자, 텔레비전을 보는 시청자이며, 동시에 극중 세계에서 제기된 텔레비전 산업 현실의 문제를 고찰하는 비평가로서의 위상 등을 점하는 것으로 다변화되는 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