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두논문 : 이미징 디바이스 및 웹의 발전에 대응한 디지털 카메라의 진화전략에 관한 연구

        안호성,변상영,김재범 한국감성과학회 2009 추계학술대회 Vol.2009 No.-

        본 연구는 인터넷의 진화 및 이미징 디바이스 전반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진화 전략을 다룬 논문이다. 오늘날의 카메라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다. 수동 필름 카메라에서부터 최첨단 하이브리드(hybrid) 카메라에 이르기 까지 카메라는 끊임없이 진화해 왔으며 사용자 계층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디지털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웹의 발전과 더불어 활용도가 다양해 짐에 따라서 기존에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계층으로 명확하게 나뉘던 사용자 계층도 그 경계가 모호해졌으며 사용자의 수역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수많은 사업자들이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던 컴팩트 카메라(compact camera)시장은 과포화기에 접어들어 성장성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전문가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DSLR 시장 역시 선발업체의 높은 진입장벽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후발업체의 지속적인 도전으로 인해 경쟁은 치열하고 이익은 내기 어려운 레드 오션(red ocean)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디지털 카메라가 활용될 수 있는 대표적 매체인 웹 역시 ``웹 2.0`` 이라는 용어가 생길 정도로 발전했다. 웹2.0시대가 본격화되어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컨텐츠를 공유하고 누구든지 쉽게 정보의 생산에 동참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웹에서 일어나지 않았던 다양한 변화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의 특징들을 살펴보기 위해 웹 2.0 시대의 대표적인 컨텐츠 공유 커뮤니티로 자리매김한 야후(Yahoo)社 플리커(Flickr)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들의 디지털카메라 사용패턴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의 진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인터넷이 발전하며 디지털 카메라와 관련 되어 나타난 대표적인 변화는 일반 소비자가 진화하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컨텐츠의 공유가 자유로운 웹 플랫폼의 등장, 카메라 기술이 결합된 소형 디지털 단말기의 발전 등으로 인해 비전문가 영역에 속해있던 일반 소비자 계층에 Flickr와 같은 웹 커뮤니티에서의 활동을 통해 준전문가 계층으로 진입하려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렇게 형성된 욕구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시장 역시 새로운 수요를 만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이 치열한 시장 상황 속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나누어 본 후, 이미징 디바이스 시장과 웹의 발전 형태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분류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바탕으로 웹 2.0 시대에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변화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감성적 및 이성적 측면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향후 전개방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가지는 논문이라고 사료된다.

      •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캡쳐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종욱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2000 啓明硏究論叢 Vol.18 No.2

        사진제작의 새로운 방식인 디지털 카메라촬영 기술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 사진관련 시스템은 전통적 은염사진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빠른 속도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디지털 카메라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고 앞으로 다가올 디지털 세대에 어떻게 사진가가 대처하여야 할 것인가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디지털카메라 촬영 방식의 구조적 특성을 중심으로 기존의 은염사진제작 방식에서 변화와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A new technique of photography using digital camera is rapidly developing nowadays. The new technique of photography using digital image process is totally different in technology from the existent system of photography which relies on traditional silver image process. Along with curr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digital photography will take the lion's share in the field of photography in the near future. Thus, it becomes prerequisite for photographer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digital cameras. This paper explores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s3ver image processing and new digital image processing photography by examining the photographic technique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digital cameras in use.

      • KCI등재

        디지털카메라의 유아교육기관 현장 활용

        김경철(Kim Kyung-Chul),박현진(Park Hyun-Ji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4 No.-

        본 연구는 디지털카메라의 유아교육기관 현장 활용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카메라의 특성을 즉각성, 편의성, 경제성, 활용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유아와 교사 모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록매체ㆍ교수매체로서 사용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특성을 가진 디지털카메라의 결과물인 사진을 교육사진으로 구분하여 그 교육적 활용을 평가용, 연구용, 학습용, 전시용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육사진이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 또한, 유아교육기관 현장의 각 대상별로 디지털카메라의 활용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카메라가 유아교육기관 현장 활용에서 갖는 교육적 의의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This article presents information on how and why digital camera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ently, digital camera is appealing technology to use in education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speed, convenience, economy, and variety application. Digital camera can empower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s a new teaching tool. Digital photography as an Educational photography, can be used a variety of resources for educational purpose. Variety ways of using educational photography are an assessment tool, using in research methods, documentation of learning and display. Digital camera and educational photography are effective learning tools and can enhance learning experience and energize many curricular activities.

      • KCI등재

        디지털 자외선 사진을 위한 적정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이영규(Young-Kyu Lee),하동환(Dong-Hwan Har)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7

        자외선 사진은 범죄수사, 고고학, 피부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과거 자외선 사진은 일반적인 흑백필름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그 이유는 필름의 감광유제로 사용되는 할로겐화은(AgX)성분이 카메라의 센서인 CCD(Charge Coupled Device)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에 비해 자외선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외선 사진의 화질을 개선시키고, 자외선 사진을 위한 최적의 디지털 카메라 특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카메라의 적외선 차단 필터를 제거하고, 자외선 투과필터의 개조를 통해 자외선 사진의 화질향상 여부를 검증하였다. 또한 센서의 종류와 크기, 화소수에 따른 자외선 사진의 재현성을 화질측정 요소들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을 이용한 자외선 사진에 가장 적합한 카메라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을 통해 일반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한 자외선 촬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국 디지털 자외선 사진의 폭넓은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flected-Ultraviolet photography is applied to the evidence of crime, Archaeology, and Dermatology. In the past, Ultraviolet photography was done with standard black-and-white film. Because emulsion of film is more sensitive to near UV light than CCD(Charge Coupled Device) or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of digital camera. In this research, we purpose to improve qulity of ultraviolet photographs and to find out the best alternative digital camera by utilizing a cunsumer digital camera. To achieve theses, we removed IR cutoff filter from digital camera. And by using modified UV pass filter, we verified the increase of image resolution of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s. Also, we analyze reproducibility of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s according to type, size, pixel of image sensor. Furthermore, this resear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n practical digital camera system by utilizing a cunsumer digital camera. Eventually, it will contribute to practical use in the various field of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s.

      • KCI등재

        디지털 영화제작을 위한 레드 원 카메라의 활용성 연구

        고현욱(Hyun-Wook Ko),민경원(Kyung-Won Min)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9

        본 논문은 새롭게 개발된 레드 원(RED ONE)카메라의 장단점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기존 디지털 카메라와 비교 했다. 영화제작시스템이 디지털영화제작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필름카메라 회사인 Arriflex도 디지털 카메라인 Arri D21을 개발했고 고화질 디지털 카메라의 대명사인 Sony도 CineAlta F35를 통해 디지털 영화제작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영화제작의 기술적 진보속에서 레드 원 카메라의 등장은 필름메이커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Arri 와 Sony 같이 긴 역사적 배경을 가진 회사와는 다르게 개발 시작부터 현재까지 디지털 영화제작 스테프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발전시킨다는 점이 레드 원만의 독특한 장점 중에 하나일 것이다. 사용자를 배려한 디지털카메라의 개발은 영화제작 환경에 파급효과를 가져왔으며 상업용 디지털영화제작을 주도하게 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ewly invented RED ONE camera and its various advantages, and also a comparison of the results with already existing digital cameras. As film production systems have been converting to digital systems, Arri Camera, one of the existing film camera companies, has invented and developed the Arri D21.Sony, the leader of the high definition digital camera industry, is also securing its role as the leader of digital filmmaking by introducing the CineAlta F-900 series. With these advances in digital filmmaking, the advent of the RED ONE camera opens doors to new possibilities to digital filmmakers. The development of digital cameras with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its users has influenced the filmmaking environment immensely and has become the reason why it is playing a major role in digital filmmaking.

      • KCI등재후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의 디지털 이미지 전환

        왕성진,김경호,최광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5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필수적인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로 기존의 필름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초점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는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시 계측치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크기와 압축비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질에 의해서도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시 가장 중요한 과정인 계측점식별에 있어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OLPIX4500 디지털 카메라(Nikon, Japan)를 이용하여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시 최소한의 왜곡을 보이는 초점거리를 결정하고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보이는 수준의 정확한 계측점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디지털 카메라 셋팅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초점거리 16.4mm (35mm 필름 카메라로 환산시 79.4mm)에서 최소한의 상의 왜곡을 보였다. 초점거리가 16.4mm보다 짧은 광각(wide) 촬영시 상의 원통형 왜곡(barrel distortion)이 발생했고 16.4mm 보다 긴 망원(tele) 촬영시 상의 실패형 왜곡(pincushion distortion)이 발생했다.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직접 손으로 tracing한 필름 이미지 셋팅 수준의 정확한 계측점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디지털 카메라 셋팅은 2272×1704 pixel normal(1/8) compression 이었다. 따라서 COOLPIX4500 디지털 카메라(Nikon, Japan)를 이용하여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하는 경우 초점거리 16.4mm에서 최소한 2272×1704픽셀(pixel) 이미지 사이즈와 normal (1/8) 압축비의 셋팅을 설정하여야 한다. As computer programs for cephalometric analysis were developed in diagnosis & treatment planning, digital imaging of film-based cephalograms came to be needed. When a digital camera is used, a problem encountered is the image distortion produced according to the focal length, which causes errors in indentifying landmarks. In addition, changes in the image size and compression ratio will inevitably produce a low quality image, causing errors in identifying landmarks. Hence, we have found the focal length producing the least image distortion when digital imag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and the minimal digital camera setting which helps to identify the correct landmarks using the COOLPIX4500 digital camera (Nikon,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mage distortion was minimized at a focal length of 16.4mm (79.4mm when converted into a 35mm film camera) when digital imag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When wide imaging, with a focal length of under 16.4mm, barrel distortion was found and when tele imaging, with a focal length of over 16.4mm, pincushion distortion was found. The minimal digital camera setting was 2272×1704 pixel at normal (1/8) compression from which we can identify the correct landmarks at the same level as trac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manually. As a result, when digital imag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using a COOLPIX4500 digital camera (Nikon, Japan), the focal length should be 16.4mm, the pixel image size over 2272×1704, and the compression ratio over normal (1/8).

      • KCI등재

        수단-목적 사슬이론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의 소비자 가치단계도(HVM): APT 래더링을 중심으로

        송기인 ( Gee In So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주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단계도를 구성해 보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구조를 이해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제품 각각에 대한 소비자 가치단계도의 단계별 중요 항목 및 항목 간 연결 관계 규명과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제품 각각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단계도(HVM)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조사 방법은 새로운 래더링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는 APT 래더링이었고, 총 18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가장 중요한 디지털 카메라의 각 단계별 연결 관계는 속성과 기능적 혜택단계에서 <카메라 휴대성-휴대의 편리>관계, 기능적 혜택-심리적 혜택단계에서 <고화질 사진인화-촬영의 만족감>관계, 그리고 심리적 혜택-가치 단계에서 <촬영의 만족감-성취감>관계였다. 필름 카메라의 결과는 속성과 기능적 혜택단계에서 <카메라 크기 및 무게-휴대의 편리>관계, 기능적 혜택-심리적 혜택단계에서, <노출 조정의 손맛-촬영의 만족감>관계, 그리고 심리적 혜택-가치 단계에서 <촬영의 만족감-성취감>관계였다. 더불어,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가치단계도에서 가장 중요한 래더는 <카메라 휴대성-휴대의 편리-촬영의 즐거움-삶의 즐거움>의 래더였고, 필름 카메라에 대한 가장 중요한 래더는 <카메라 크기 및 무게-휴대의 편리-촬영의 즐거움-삶의 즐거움>의 래더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의 개인적 가치단계도를 구성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onsumer`s HVM(Hierarchical Value Map) about digital camera and film camera, and to understand the consum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to tes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of Means-end chain theory, and to construct each HVM about Digital camera and Film camera. The method of research is APT laddering which is evaluated with a new laddering technique, and data was collected from 189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a) the most importan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about digital camera is <carrying camera-convenience> association in attribute-functional consequence level, <having better picture-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 association in functional consequence-psychological consequen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accomplishment> association in psychological consequence-value level. And the most importan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about film camera is <size and weight of camera-convenience> association in attribute-functional consequence level, <hand feeling of exposure-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 association in functional consequence-psychological consequen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accomplishment> association in psychological consequence-value level. b) In HVM about digital camera, the most important ladder is <carrying camera-convenience-enjoyment of taking photograph- enjoyment of life>, and in HVM about film camera, the most important ladder is <size and weight of camera-convenience-enjoyment of taking photograph-enjoyment of life>.

      • KCI등재

        유아들의 자발적인 디지털 카메라 놀이 속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 이해하기

        동풀잎(Pool Ip D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발적인 디지털 카메라 놀이의 경험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디지털 카메라를 이해하고, 카메라를 활용하여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4개월 동안 만 5세 유아들(21명)과 함께 놀이하며 바깥놀이시간 유아들의 다양한 카메라 놀이들과 그 변화과정들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자의 필드노트, 인터뷰 전사본, 사진, 짧은 영상 등을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유아들은 디지털 카메라, 자신들의 몸의 움직임, 주변 인적 물적 환경, 친구들의 움직임, 방향, 빠르기, 거리, 각도 등을 고려하여 신체적, 물리적,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이미지의 왜곡을 즐겼다. 유아들은 때론 예측 불가능한 형태로 놀이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카메라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담론들과 이미지, 게임 경험 등과의 가상적, 사회적,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만의 독창적이고 즉흥적인 카메라 놀이를 즐기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발적인 카메라 놀이 속 디지털 카메라는 신체적, 사회적, 일상적 실천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이자, 유아들의 신체적, 물리적, 사회적, 가상적, 복합적으로 상호 연결시켜주는 영향력 있는 주체자이며, 유아들의 독창적이고 즐거운 놀이공간이자 학습의 공간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와 디지털 카메라와의 관계를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며 유아들의 디지털 놀이문화와 다양한 학습 가능성을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촉구한다. This study is about how young children understand, interact with, and create their play culture in spontaneous digital camera play. To examine these interactions, I focused on 5-year-olds’ (21 children) outdoor plays for four months. As an assistant teacher and a co-player, I traced and analyzed the diverse, complicated, and unexpected process of digital play by observing and participating in their emerging play with a digital camera. As a result, young children physically and socially interacted with a digital camera, peers, environments, momentary body movements and tempos in their emerging camera play. In addition, they enjoyed their distorted images by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changing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camera as a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with a digital camera in their everyday lives. Finally, young children also enjoyed creative camera play by virtually and socially interacting with their gaming experiences,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s in their daily practices. In children’s camera play, the digital camera is not only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to their physical, social, and everyday practices, but also an effective agent for physically, socially, and virtually interacting with peers and creative playful learning spaces. In doing so, this study urges teachers, parent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to look into contemporary young children’s use of digital camera in a new light for understanding their diverse and complicated learning and play culture.

      • KCI등재

        유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에 대한 질적연구 : 유아 예술교육 도구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장유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이 연구는 두 명의 유아가 1년 4개월 동안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놀이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가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어떠한 놀이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놀이가 유아의 미디어 교육 및 예술교육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익숙한 놀이를 하였고, 스스로 다양한 방법의 새로운 놀이를 발견하여 놀았다. 둘째, 디지털 카메라 놀이는 유아의 경험 구성과 재구성의 기회, 소통의 도구, 자유로운 예술 활동의 수단, 디지털기기 사용의 유능성 증진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디지털 카메라는 유아의 예술교육에 있어 유용한 도구이다. 이 연구는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능동적 창조자로써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유아의 모습을 드려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how children use digital cameras, and to discuss what significance their use of digital cameras has for media and ar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s, two children’s playing with digital cameras were observed for one year and four months. Observational records, photographs and videos produced by children,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wo children were given a digital camera to play with, and they found various playing with digital camera by themselves. They played with the digital camera by taking pictures, documenting themselves playing, and producing videos of what they had seen and experienced. Furthermore, these experiences were creative processes in their entirety, and were useful recording means instead of written words. The two children discovered new ways to use a digital camera such as recording and re-viewing television programs, editing photos arbitrarily, composing music, and making images using their imagination. Playing with digital cameras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 configuring and re-configuring of experiences, and children looked at and thought about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through their experiences playing with digital cameras. This activity was also a communication tool; in other words, it has symbolic meaning and potential as a language. In addition, playing with the digital camera was a free art activity; therefore, the children freely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reely played, freely imagined, and created using the digital camera. Playing with a digital camera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motes children’s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using digital equipment. A digital camera is a useful tool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children with more chances to use digital cameras as naturally as possible. This study may offer some insight into children’s use of digital cam

      • KCI등재후보

        디지털카메라 대중화에 따른 문화행동 양상 연구

        윤태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dvent of the digital camera as a digital device, outline the background to its popularization, define its concept and examine certain aspects of cultural behavior which have arisen from its popularity. The success of the digital camera as a consumer product was assisted by a confluence of technical and socio-economic elements. The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influenced by the rapid development and commercial success of personal digital media, was the decisive factor. These new applications benefited from advances in computer and internet technology, and their commercial success boosted further developments in those fields. The digital camera's popularization had several important cultural consequences. It led to a rediscovery by its owners of the possibilities of mass-produced images: unlimited reproduction, fre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images. It also transformed hitherto passive consumer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the underlying processes. The cultural aspects of these developments merit further examination. My examination of the effects on popular behavior produced by the digital camera's popularization will focus on three areas. Firstly, cultural behaviour as producer and consumer; secondly, the transformation from passive to active consumer, and thirdly, enthusiastic personal expression. The digital camera transformed the public's approach as a consumer of photographic images from passive recipient to active, enthusiastic producer and participant. The key factors in this new era of so-called digital-democracy and electronic-democracy, are also important elements in its popularization. 이 논문은 디지털기기로서의 디지털카메라의 등장과 대중화의 배경을 살펴보고, 그 개념을 정의하며, 대중화로 인하여 파생되는 사용자들의 문화행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디지털카메라’ 대중화는 기술적인 요인과 경제적인 요인이 결합하여 양적인 측면의 대중화와 질적인 측면의 대중화라는 양방향으로 진전되어 왔다. 여기에 더하여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이 뒷받침되는 시대적 환경과 개인 미디어의 발달은 대중화에 결정적인 요인이자, 상호 영향을 미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카메라의 대중화의 결과 디지털카메라가 갖는 이미지의 대량생산 가능성, 무한복제와 자유로운 변형 및 유통 등의 가능성은 일상을 재발견하고 수동적 개인을 능동적 주체 내지 참여자로 전환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특징적인 문화행동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디지털카메라의 대중화에 따른 대중들의 문화행동 양상의 특성에 대해 결론적으로 첫째,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의 문화행동 둘째, 수동적 소비자에서 능동적 참여자로서의 문화행동 셋째, 적극적인 자기표현 행동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디지털카메라는 이미지의 소비자로 머물던 대중을 적극적인 생산자로 변모시켰으며 수동적인 위치에 머물렀던 대중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자로 전환시켰다. 이는 소위 디지털민주주의, 전자민주주의라고 불리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데 단초가 되거나 그 핵심 구성요소로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