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우홍(Woo-Hong Cho),김준수(Jun-Su Kim),장영은(Young-Eun Jang),최대훈(Dea-Hun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서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에서 결혼이민자 중 여성의 응답을 SPSS 25.0, AMOS 2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활용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은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이용 역량과 활용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시정(Kim, Si-jeoung),최상옥(Choi, Sang Ok)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0 No.2

        디지털 기술의 범용화와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디지털 기술 이용 역량 및 활용 수준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및 1차-2차 단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이 디지털 정보 활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2016년 자료를 활용하고 패널회귀모형 고정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활용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디지털 역량, 디지털 활용 수준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도구적 역량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적 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활용 수준은 도구적 역량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나, 생산적 활용 수준은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지털 활용도 제고를 위해 디지털 역량 측면의 격차 해소 및 방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사용자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제도적 특성을 고려한 다층적 접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을 위해 사회적 활용 측면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 교육・훈련이 제공되어야 하며, 내용적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위험과 이에 대한 대응성을 같이 강화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Because of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effect of first-level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on privacy concern. The research analyzed 72,474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usage. In addition, while medium related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rivacy concern, the effect of contents related skill is questionable. Finally, social usage did moderated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kill and privacy concern, productive usage did not.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 시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5

        최근 3년간의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분석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 고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주요 효과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 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정보 활용 능력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상, 중, 하로 학생의 정보 활 용 능력 수준을 구분하고 각 수준별로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은 문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전체 점수에서는 ‘하’의 그룹이 사회적 역량에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상도 점수에서는 ‘상’의 그룹이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의사소통 능력 제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는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정보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last three years, it was turned out that student's ICT ability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Also, that is the basic ability required to use digital textbook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ICT ability on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after the level of learner's ICT ability w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effects of each level on social competency(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student's ICT ability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social competency(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a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ICT abi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y(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and the group with upper leve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at in score improve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various types of ICT literacy education are needed to use effective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디지털 정보 서비스와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세대별 디지털 격차 연구

        정병호,주형근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he application performance of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by generati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research model consists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of digital services, two mediator variable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dependent variables of digital application. Results: This digital life service, digital information sharing, digital social participation, and digital economic activity service were found to provide influence on both expectations and anxiety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addition, we were found that was a difference in influence on digital life information services between adolescents, MZ generation, and over 40s. Conclus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updating the foundation of business theory by the theory of digital competency and the digital gap.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e social promotion strategy for the digital society transformation will provide low anxiet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정보 서비스에 따른 활용성과에서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서비스의 고도화와 지능정보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사회적 시점에서 세대별로 디지털격차가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디지털 역량은 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탐색, 평가, 활용, 공유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디지털 격차는 새로운 ICT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 저장, 활용하는 데있어서 특정 정보를 소유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차이를 말한다. 지능정보사회는 지금까지 구축하고 발전시켜온 ICT 기반에서 지능정보 기술을 극대화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본 연구 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립하였다. 모형에서는 디지털 서비스를 네 가지 유형인 디지털 생활서비스, 디지털 정보공유, 디지털 사회참여, 디지털 경제활동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매개변수로 지능정보사회 기대감과 불안감으로 설정하고, 디지털 이용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생활 서비스, 디지털 정보공유, 디지털 사회참여, 디지털 경제활동 서비스는 지능정보사회 기대감과불안감에 모두 영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대별 차이에서 청소년과 MZ세대, 40대 이상에서 디지털 생활 정보 서비스에 대한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이론을 경영이론에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지능정보사회 불안감을 낮출 수 있도록디지털 사회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홍보 전략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보활용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소영 ( Park So-young ),정순둘 ( Chung Soondool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4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디지털정보접근성과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정보활용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파악한 뒤 이러한 관계가 연령집단과 거주 지역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고 이 조사에 참여한 중·고령자 710명을 대상으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정보활용능력, 사회적 네트워크와 우울 증상에 대한 디지털정보접근성의 영향력에 있어서 연령 집단 차이가 있었다. IT 기기 사용시간과 우울증상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정보활용능력의 매개효과는 중년집단에서만 발견되었고, 디지털정보활용능력과 우울 증상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는 두 집단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부로 구분한 거주 지역 유형별 차이의 경우, 디지털활용능력과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는 읍면부 거주자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정보접근성 차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and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information acc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and to analyze how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two age groups and among three types of residential areas. Data came from a survey conducted by Ewha Institute for Age Integration Research at Ewha Womans University with a total of 710 participants.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ults of the study corroborated the age group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access on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social network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mediating effect of IT competen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ime using IT devices and depressive sympto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the middle-aged group, while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association between IT competen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both groups. As for the residential group differ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association between IT competency and depressive symptoms only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Several measures for mitigating negative impacts of digital information access gap were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권선희 한국지식경영학회 2022 지식경영연구 Vol.23 No.4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의 접근성 문제인 디지털정보격차가 사회・문화 분야를 비롯한 다 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대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격차수준을 파악하고 정보의 접근성, 인구사회학적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특성이 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접근성 이 높을수록 정보격차는 감소하고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정보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세부적인 계층별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와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취약계층의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의 만 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디지털 포용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정보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중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의 관련성 분석

        안성훈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8 창의정보문화연구 Vol.4 No.3

        본 논문에서는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이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과 정보 활용 능력을 검사하여 두 변인 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서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관분석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은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하의 그룹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보 활용 능력은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에 전체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활용 능력 향상도 역시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에 전체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이 높아질수록 스마트기기 활용 역기능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교육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포함한 ICT 활용 교육을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을 높여줄 수 있는 소양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how ICT literacy is related to the sid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 To do this, teenagers who are using digital textbook were tested for ICT literacy and sid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 The relation between ICT literacy and the sid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CT literac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id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 In particular,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to be strongest in the bottom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CT literac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sid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 And ICT literacy improvement was also the same. In conclusion, the higher ICT literacy, the lower the side effect of smart de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o carry out ICT literacy training that can enhance students 'ability to use ICT in order to reduce the side effects of using smart devices.

      • 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윤희정 ( Yoon Hee-jeong ),신혜리 ( Shin Hye-ri ),김영선 ( Kim Young-sun )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정보화정책 Vol.27 No.4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을 파악하고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서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55세 이상 중고령자에 해당하는 1,662명이다. 분석자료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높고 사회적 자본 수준, 연령이 높으며, 여성, 비독거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더불어 사회적 자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of the middle-aged or elderly people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social capital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data of 1,661 people aged 55 or older from the 「2018 Survey on Digital divide」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he mu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1986)’s steps for media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capital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ged people have a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are women and older, do not live alone, have higher levels of digital informatization usage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social capital also revealed to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social capital needs to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s a way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people.

      • KCI등재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이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니어를 중심으로

        정현경,유연우,김정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o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 change through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The survey data of 4,377 people aged 65 or older, which was conducted in the 2021 Digital Divide Survey, was used.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onducte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 changes.Second,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Third,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and changes i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cy measures for strengthening seniors' digital (PC, mobile) use capabilities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 important for the change in seniors' perception of digital technology. 본 연구는 시니어의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이 디지털 정보 활용을 매개로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2021년 정보격차 실태조사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만 65세 이상 4,377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은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은 디지털 정보 활용과의 사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정보 활용은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니어의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과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의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 활용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시니어의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를 위해서는, 시니어의 디지털(PC, 모바일) 이용의 역량 강화와 디지털 정보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준수(Jun-Su Kim),조우홍(Woo-Hong Cho),장영은(Young-Eun Jang),최대훈(Dea-Hun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결혼이주여성 응답을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 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일수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정보화기기 활용 역량 중 PC 활용 능력은 부(-)적 영향을 미쳤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디지털 정보활용 역량 중 취미여가에 활용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사회자본 중 가교형 사회자본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