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차이

        강민아(Kang, Min A),이영신(Lee You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의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 및 가정의 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 언어발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만 1, 2세 영아 409명과 그들의 어머니였으며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현황, 가정문해환경, 영아의 언어발달 검사지로 구성된 질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측정 변인의 특성에 따라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영상매체의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만 1세의 경우 디지털 영상매체를 적게 이용한 집단이 많이 이용한 집단에 비해 언어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이 같은 집단에서 가정문해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언어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만 2세의 경우는 디지털 영상매체의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이 언어발달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이 가장 낮은 수준 집단은 디지털 영상매체를 적게 이용한 집단보다 더 많이 이용한 집단의 언어점수가 더 높았으나 가정문해환경 수준이 중, 상집단에서는 디지털 영상매체를 더 많이 이용한 집단의 언어점수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 및 가정문해환경에 따라 영아의 언어발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toddler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igital media usage time of toddlers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level for one- and two-year-old toddlers. In this study, 409 toddlers aged one and two year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a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t-valid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wo-way ANOVA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frequency and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occurren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are First, based on differences in the digital media usage tim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higher th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digital media accessible to toddlers, the less time the infant spent on the digital medi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depending on the digital media usage time and the level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significantly higher language score was shown in those who used less digital media. In addition, in the group that used the same digital media usage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higher the language score. In the case of 2-year-old toddlers, an interaction effect in language development was revealed related to digital video usage time and the level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group belonging to the lowest home literacy environment showed a higher language score for the group that used more than the group that used less digital media. However, in groups with medium or upper level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language score of groups using more digital media was lowered.

      •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세대와의 의사소통

        심은혜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지평 Vol.31 No.-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세대와의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도 구는 무엇일까? 아마도 생명을 살리는 적절한 언어의 사용일 것이다. 행복을 주는 마 음(감정)의 언어, 즐거움과 생기를 주는 개방(치유) 언어, 감동과 변화를 주는 간접 언 어, 몸을 통한 사랑의 언어, 그리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동적 문자 언어는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여러 이점에도 불구하고, 언어로만 이루어지 는 의사소통이기에 상호신뢰에 많은 한계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회는 상황 에 따라 개인(대면)상담과 스마트폰을 어떻게 적절히 병행하여 디지털세대 청소년들 과의 사랑관계를 극대화 할 수 있는지 스마트폰을 통한 긍정적 의사소통의 방안을 모 색해 보았다. 교회는 예외없이 디지털세대 청소년이 진리를 탐색, 이해, 경험, 실천하 도록 가르쳐야 할 소명이 있기 때문이다. 교회는 마음(감정)의 언어, 개방(치유) 언어, 간접 언어, 문자 언어, 몸의 언어 등으로 청소년들의 신앙을 성숙시키고, 사랑관계를 형성하는데 의사소통의 중요한 도구로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다. What is the most important tool in communicating with the digital generation through smartphone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robably the proper use of language to save lives. Some words can have a huge effect because they give a variety of benefits such as happiness at heart, therapeutical pleasure and vitality, indirect touchingness and change, love, and touching text language on a smartphone. However, despite all of these benefits, it has many limitations to mutual trust in communicating only with words.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urches tried to find a way to communicate positively through smartphones so that we can maximize our love relationship with young digital generation by combining personal face-to-face counseling and on- the-smartphone counselling properly. Churches have a mission to teach young digital generation to search for, understand, experience and practice with truth. Churches can use a smartphone as a useful tool to communicate when we want to mature young people’s beliefs and build up love relationship with them in warm-hearted, therapeutical, indirect, text and body language.

      • KCI등재후보

        문화적 특성에 따른 언어의 진화 및 산업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한일 사이버언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재범,김희진,허윤미 한국문화경제학회 2008 문화경제연구 Vol.11 No.2

        본고에서는 디지털언어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시각에서 탈피하여, 이를 역사적인 매체발전 단계에 따라 대두된 전자매체와 그 하이퍼텍스트적인 속성에 따라 성립되었다는 점을 조명하여 디지털언어의 독립적인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디지털언어는 하이퍼텍스트의 특성을 띠며 문자 외에 이미지와 소리에도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디지털언어의 특성인 이모티콘, 상징, 외계어, 언어의 축약, 변형 등은 이러한 견지에서 문자를 통한 구술성, 문자의 시각화로 이해될 수 있었다. 본고는 가치중립적인 시각에서 디지털언어가 가지는 효율성을 언어기능의 경제성, 표현성, 유희성측면으로 조명해보았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디지털 언어가 경제성, 그리고 베흐랑(verlan)등을 포함한 유희성등의 측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예들을 살펴봄으로써, 양국의 디지털 언어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더 나아가 이를 학문적,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실천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는데, 우선 가장 시급한 과제로 디지털언어의 사전화 작업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언어와 글로컬 문화콘텐츠 가능성

        구모니카(Gu, monika)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새로운 화두로 등장한지 오래되었지만 진지하게 연구된 적이 없는 디지털 분야는 기술결정론적 입장과 인문학적 입장의 대립으로 ‘근거 없는 낙관론’과 ‘대책 없는 비관론’ 사이에 머물며 그 이론이 확고하게 정립되지는 못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논의들을 종합하여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종합적으로) 디지털 언어를 정의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쓰기와 읽기가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면서 어떤 방식으로 텍스트성과 시각성을 혼합한 쓰기와 읽기로 재매개되는지(디지털 언어의 혼합성)를 살피면서, 서사성과 선형성 논란에서 벗어난 텍스트성이 ‘디지털 언어’의 중요한 속성임을 규정할 것이다. 또한 텍스트 자체가 오래 전부터 시각성을 내포해왔으며 문자적 텍스트와 회화적(시각적) 그림들이 시대를 관통하며 ‘혼합성’(텍스트성과 시각성의 재매개)으로 수렴되어 왔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렇듯 텍스트성과 시각성을 결합하여 새롭게 규정된 디지털 언어는 그렇다면 새롭게 부상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소비를 어떻게 촉발하는지, ‘글로컬’이라는 21세기의 새로운 문화 현상을 탄생시키는지를 고찰한다. 특히 최근 멀티미디어 통신 환경 아래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소비의 패러다임의 개혁으로 인한 ‘글로컬 문화콘텐츠’ 패러다임의 기회 요소를 다음의 관점에서 살펴볼까 한다.; 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국지적 논의의 확산; ⅱ)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을 통한 문화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ⅲ) 원격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문화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역동성 구현; ⅳ) 글로컬 하이퍼미디어를 통한 관심의 경제와 초문화의 실천. 결론적으로, 디지털 신인류의 사고와 소통의 체계인 디지털 언어를 이해하는 순간 우리는 보편과 개별, 절대와 상대를 넘어선 진정한 글로컬 문화의 세기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e digital field was emerged as a new discussion point a long time ago. But the digital field was never seriously studied with no further advance, just causing the technological determination approach and the humanistic approaches to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he trap of between ‘groundless optimism’ and the ‘measureless pessimism’. Therefore, I try to describe the digital language in a objective way, which is synthetic of the convention method. As the traditional writing and reading enter the digital era, I will investigate how the conventional reading and writing is remediated to a mixture of the textuality and the visuality(a mixture in the digital language), and I will prescribe textuality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language’ rather than narratives and linearity. Also, it examined that the texts have go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ity for a long time and that the texts and the pictures have been combined to make ‘a mixture’(remediation of the textuality and the visuality) through the ages. The digital language that was newly defined by combining the textuality and the visuality is moved newly emerging contents’s and creates the new culture of the 21th century called ‘glocal’. Especially I checked the opportunity factors of ‘glocal cultural contents’ paradigm from the four perspectives as below that is recently from paradigm innov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s creation and consumption under the multimedia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ⅰ) Expansion of the local discussio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ⅱ) Acquisition of the variety of the cultural contents through digital contents platform; ⅲ) Realization of the cre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active consumption through remote communications; ⅳ) Realization of the interested economy and the super-culture through glocal hyper media. Finally, when we understand the digital language, which is the system of the thoughts and communication of the digital new generation, we will truly go to the era of the glocal culture far beyond the scope of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absoluteness and relativity.

      • KCI등재

        Parent Survey on the Effects of Digital Instrument on the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Children

        이희란(Hee Ran Lee),이승복(Seung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3-7세 아동의 부모가 인식하는 언어발달과 부모-아동 상호작용 전반에 미치는 디지털 기기 사용의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언어교육서비스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디지털 기기 노출과 관련한 언어발달과 상호작용 영향요인에 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여, 300부를 배부하였다. 질문지 수거율은 65.3%였으며, 총186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자녀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76.3%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이 가장 많았고, 70%가 하루 30분 이하로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언어발달에 컴퓨터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65.4%였고, 스마트폰은 73.5%로 대부분의 부모들은 디지털 기기가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항상 곁에 있는다고 답한 경우가 더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사회성과 교우관계 발달에 디지털 기기가 도움이 되는지의 질문에서도 확인되었는데, 컴퓨터는 47%,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63.4%의 부모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해, 스마트폰의 악영향에 대해 더 많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통제에 자녀가 순종하는 경우는 52%로, 많은 부모가 기기 사용과 관련한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논의 및 결론: 디지털 기기 사용의 언어발달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므로, 가정과 교육기관 모두 그 장단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도와 협력이 필요할 것이며, 노출 정도와 언어발달 각 영역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연령대에서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oung children’s parents perceive the effects of digital instrument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interaction of their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eighty-six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3 questions asking how many digital instruments are used at home, how they are being used and the attitudes towards the effect of digital instruments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76.3% of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ir children use the digital instruments. Some answered that the children used smartphones more than other digital instruments and 70%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ir children use the smartphones less than 30 minutes daily. Second, 65.4% of the parents answered that computer is harmful for their children, and 73.5%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smartphones are not helpful for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 parents joined their children more often when using the smartphones than the computers. The par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smartphones than the computer. Third, the parents worried about the negative effect of the smartphones, particularly their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 We discussed the needs of pervasive surve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using the digital instruments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parents as a role model to their young children need to reflect on the use of digital instruments in daily life.

      • KCI등재

        디지털 네트워크와 사이버 언어의 미래

        시정곤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한국학연구 Vol.20 No.-

        본고는 디지털 시대에 사이버 언어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해 고찰하자 한다. 특히 사이버 언어의 내적인 탐구보다는 사이버 언어가 존재하게 된 외적인 배경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는 사이버 언어에 대한 거시적 고찰이라고 할 만하다. 디지털 사회의 등장과 함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탄생했고, 이 가운데 사이버 언어가 대두하게 되었다. 새로운 대중 매체를 놀이문화의 관점으로 이해할 때, 사이버 공간은 최신의 놀이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사이버 언어는 놀이문화를 운영할 수 있는 최선의 도구가 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사이버 언어는 사이버 공간의 필수적인 요소라 할 만하다. 사이버 언어는 제 3의 언어로 새롭게 규정될 수 있는데, 과거 문어성과 구어성이라는 두 부류의 언어성이 한 데 어우러져 제 3의 새로운 언어 형식을 만들어 냈다고 보았다. 특히 문어적 공간을 구어적 속성으로 바꾸고자 하는 노력이 언어의 일탈현상으로 나타난다고 진단하였으며, 사이버 언어의 미래는 구어적 속성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보았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meaning and role of cyber language and to preview the future if it in the digital age. In especially, I focus on the external background in which cyber language is, rather than the internal research on cyber language. In this sense, this paper is on the basis of broad approach. As you know, digital society bears digital communication, and they again affect cyber language. Cyber space is understood as a new play space, in the perspective of play-culture. Cyber language plays key roles on operating the cyber space.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cyber language is the third language and it has both properties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nd I predict that the property of spoken language will be growing in the cyber language.

      • KCI등재

        디지털시론 형성을 위한 주요 논점들

        강정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0

        이 논문에서는 한국 디지털시론 형성을 위한 주요 논점 중에서 화자·언어·리듬을 우선적으로 검토했다. 2000년대 중반부터 한국문학에 출현한 디카시·댓글시·SNS시를 디지털시라는 장르로 범주화할 때에 필요한 것은 그 장르의 시적 논리였다. 기존의 디지털시 논의에서는 주로 그 출현배경과 특성이 중심으로 언급됐지만, 정작 장르 형성을 위한 디지털시론은 거의 없어 왔다. 이 글에서는 김준오의 서정시 시론을 참조하고 비교·대조하는 방식으로 디지털시에 나타난 화자·언어·리듬의 요소를 분석했다. 첫째, 디지털시의 화자는 실제 시인의 경험적 자아가 활용·변용된 화자였다. 디카시는 이상옥이 블로그 초기 형태인 <한국문학도서관>의 ‘이상옥 서재’에 자신의 일상을 시의 재료로 기록하면서 출현했고, SNS시인들 역시 그들의 경험·체험에서 시의 내용을 구성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디지털시의 언어는 예술성이 약화된 일상적인 기호 중의 하나였다. 이환천은 자신의 일상어를 별다른 예술적인 가공 없이 시로 옮겨놓았고, 그를 포함한 디지털시인들은 언어·사진·이미지를 구독자와 소통하는 다양한 기호로 채택했다. 셋째, 디지털시의 리듬은 단순한 형태로 반복됐고 다른 시인들과 공유됐다. 디지털시인들의 시적 리듬은 단순하게 분행한 내재율이거나 글자수를 쉽고 명확하게 규칙적으로 배열한 외형률이었고, 한 시인이 채택한 시적 리듬을 다른 시인들이 개성에 대한 자의식 없이 공유했다. 이렇게 볼 때 2000년대 중반 이후의 디지털시에서는 소셜미디어에 자신의 글을 별다른 제약 없이 게시하는 시인들의 출현으로 인해서 기존의 비(非)디지털시에 비해서 화자·언어·리듬의 요소가 변화됐음이 확인된다. In this paper, speakers, language, and rhythm were first reviewed among the major issues for forming Korean digital poetry theory. When categorizing digital poetry, comment poetry, and SNS poetry that have appeared in Korean literature since the mid-2000s into the genre of digital poetry, what was needed was the poetic logic of that genre. Firstiy, the speaker of the digital poem was a speaker who utilized and transformed the experiential ego of an actual poet. Deca-poetry emerged when Lee Sang-ok recorded his daily life as material for poetry in the ‘Lee Sang-ok Study’ of the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an early form of blog, and SNS poets also often composed the content of poetry from their experiences. Secondly, the language of digital poetry was one of the everyday symbols with weakened artistry. Lee Hwan-cheon translated his everyday language into poetry without any artistic processing, and digital poets, including him, adopted language, photos, and images as various symbols to communicate with subscribers. Thirdly, the rhythm of digital poetry was repeated in a simple form and shared with other poets. The poetic rhythm of digital poets was either a simple divided internal rhythm or an external rhythm in which the number of letters was easily and clearly arranged regularly, and the poetic rhythm adopted by one poet was shared by other poets without consideration of individuality. In this regard, it is confirmed that in digital poetry since the mid-2000s, the elements of speaker, language, and rhythm have changed compared to existing non-digital poetry due to the emergence of poets who post their writing on social media without any restrictions.

      • KCI등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프랑스언어학 교육제안과 논의

        손현정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2 프랑스어문교육 Vol.79 No.-

        Cette étude a pour objectif de proposer une méthode d'enseignement de la linguistique française en exploitant les outils numériques disponibles. Dès lors, l'exploitation des outils numériques pour l'enseignement de la linguistique française doit être distinguée des humanités numériques qui proposent de développer des techniques numériques adaptables aux diverses approches des sciences humaines, tout en s'appuyant sur la linguistique considérée comme l'une de ses principales sous-disciplines. Parmi les divers outils numériques existants, nous proposons de recourir aux logiciels tels que TreeTagger, Praat, Voyant tools, Hyperbase et ELIZA. Ces outils numériques sont accessibles et exploitables pour un enseignement de la morphologie, de la phonologie et de la phonétique, ainsi que pour l'analyse du discours, et offrent à ce titre un premier niveau de formation, indispensable à la linguistique française. Cette proposition, qui relève de la méthodologie, devrait non seulement contribuer à améliorer l'enseignement de la linguistique française, mais également répondre aux attentes, exprimées par la société coréenne, à savoir celles concernant le développement des compétences numériques de ses citoyens. 프랑스언어학 교육의 목표는 프랑스어의 체계와 현상을 이해하고 프랑스어와 관련된 언어학 이론을 배우며, 이를 활용하여 프랑스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의 현상들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프랑스언어학 교육은 이러한 교육 목표를 효율적으로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디지털 기술 인력 양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도구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고 해서, 디지털 도구 활용 프랑스언어학 교육을 디지털인문학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디지털 도구를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프랑스언어학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디지털 도구인 TreeTagger, Praat, Voyant tools, Hyperbase, ELIZA를 소개하고, 이들을 실제 프랑스언어학 강의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소통과 국어교육

        임칠성(Im Chil-seong)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7

        국어교육은 기본적으로 소통 교육이다. 필연적으로 디지털 소통을 할 수밖에 없는 디지털 세대에게는 디지털 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을 국어교육에 중심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디지털 소통은 디지털의 속성 상 듣기 · 말하기, 읽기, 쓰기의 소통 양상이 문자 세대의 소통과 매우 다르다. 디지털 소통에 걸맞도록 변화를 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소통을 하는 디지털 세대들에게 국어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디지털 속성을 미디어 다중성, 하이퍼텍스트성, 쌍방향성, 사회적 연결성으로 정리하였다. 이런 디지털 속성에서 비롯된 디지털 듣기 ·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양상을 문학 교육을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디지털 소통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문자 세대의 소통 양상과 비교하여 국어교육의 변화 방향과 그 근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런 논의들을 통해 디지털 세대들을 위한 국어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어교육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금껏 국어교육의 근본 틀이었던 언어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어교육이 언어 중심주의에 기반을 둔 표현 · 이해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어교육이 디지털 세대에 걸맞게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사회연결망을 고려한 디지털 소통교육을 국어교육의 한 틀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결론을 맺었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asically communication education. There are great difference between analog communica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So,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o include the education of increasing digital communication ability for digital generation.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properties of digital and the aspects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I suggested some ways to chan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 ability to digital generation students. At first, I arranged the properties of digital as multimedia, hypertext, interactive, and social network. Based on the properties, I compared the aspects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which are digital listening and speaking, digital reading, and digital expression, with those of analog communication. At last, I pointed out the obstacle for teaching digital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logocentrism and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fram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cluding digital ability education, I sugges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o get out from logocentrism and have to change the frame as below; oral communication for human relationship and problem solving, written communication for thoughts, and digital communication for cyber network.

      • KCI등재후보

        ‘언어ㆍ문화ㆍ소통 기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의 고찰

        정현선(Jeong Hyeon-s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본고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요청되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언어, 문화, 소통 기술’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 때 언어란 기존의 문자 언어를 넘어선 다양한 기호, 즉 이미지와 소리 등을 포괄하는 ‘복합 양식(multimodal)’ 특성을 지닌 미디어의 언어를 뜻하는 것으로, 본고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러한 시각이 기존의 문자 언어 중심 언어관에 변화를 요청함에 주목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언어 주체가 수용하고 향유하며 생산하는 다양한 문화에 미디어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이해 또한 필요로 함을 논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자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들이 놓인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과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미디어 문화는 도덕적이거나 정치적인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와 지식, 심미적 의미 차원에서 향유의 대상으로도 이해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문화의 수용과 향유뿐 아니라 생산 역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음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소통에 있어서는 소통 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성찰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는 일반인들이 미디어 텍스트의 생산과 유통에 참여할 수 있게 된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것으로, 언어 능력 및 문화 능력과 더불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것으로 강조 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capabilities of operating languages, understanding and creating cultures, and reflecting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Languages' in media literacy are multimodal and include other kinds of signifying modes such as moving images. As such, media literacy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literacy which is print media-based and focused on verbal and written languages. Secondly, the emphases of media literacy lie not only on critical analysis but also 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media cultures,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meanings of media exist not only in the texts themselves but also in the social contexts of audiences. Creation of media cultures is also emphasized in digital media literacy. Lastly, reflection on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digital media literacy, particularly in the age of the Internet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and whose users are increasingly able to participate as producers and circulators of messages as well as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