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층 취학아동을 위한 디자인 창의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연구

        한지은(Ji Eun Han),남경숙(Kyung Sook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현대의 디자인은 인간의 삶을 더 편하고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위한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국가적으로는 소외계층중 저소득 취학아동을 위한 문화예술지원사업이 2004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기업의메세나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저소득 취학아동이 미래의 창의적인 인재로 육성되기위해서 국가적·사회적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노력들은 소극적이고 근시안적인 대처일 뿐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창의교육은 단순한지식의 전달보다 문제해결을 통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으며 심리적인 치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소득취학아동을 위한 장기적인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인과정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취학아동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치유하는 방법으로써 디자인 창의교육이 왜 필요한지 알아본 후, 그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제안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취학아동, 소외, 디자인 창의교육, 치유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학, 사회심리학,디자인학 등의 관련 국내외 전문서적과 학위논문, 학술발표논문, 정부보도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디자인창의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의 사례를 검토하여 미래 디자인 창의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국내의 경우 정부, 지자체, 초등학교, 기업에서 행하여지는 디자인교육프로그램, 국외의 경우 영국, 프랑스, 미국, 핀란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으로 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저소득 취학아동은 공통적으로 소외의 심리를 갖게 되어 쉽게 좌절감과 외로움에 빠지게 되므로 디자인 창의교육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게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창의교육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부의 치유의 과정 포함, 다양한 디지털 교육을 통한 팀워크작업 유도, 단발적 프로그램 지양, 교사의 열린 사고의 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Contemporary design has been mentioned as a way to relieve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as well as to enrich human life more comfortabl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business for lower class children since 2004, and a variety of socially Mecenat projects are being continued. However, these efforts would be passive and short- term solution in that national and social effort for lower class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them as a creative leader in the futur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an essential process for lower class children; because, psychological healing could be occurred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of mind rather than just the delivery of knowledg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lower class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 and find out the reason design creativity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After that, we proposed some standards for successful this education.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class children, alienation, design, creative education and healing; therefore, we referred the education, social psychology, specializing in foreign books and other related thesis, published academic papers, government report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s. In this study, we derive criteria based on preliminary Study about th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After that, by examining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education programs, directions of future creative education are suggested to move.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in the following; the psychology of alienation is inherent in lower class children in common and it is easy to fall in frustration and loneliness. The process of healing, team work program through various digital education, open minded of instructor must be carried for successful education for lower class children and avoid to carry out design education program as a just one-time event. In these long-term perspective of research for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 교육효과 연구

        이연숙 ( Lee Yeunsook ),안소미 ( An Somi ),박재현 ( Park Jaehyun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공공디자인 진흥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민의 참여와 이해를 돕는 공공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공디자인 교육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 시민 참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 그러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공공디자인 교육은 이전에는 없는 교육과정이며, 이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들도 이에 대해 배운 경험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을 계획하고 이를 시범운영한 결과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초등교육의 효과를 증명하고 논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교육의 첫 시범교실을 주내용으로 하며,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평택시 S초등학교 4학년 학생 19명이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한 질적연구에 해당한다. 연구기획의 틀은 실험연구 설계방법과 유사하게 계획되었는데, 독립변인 성격인 처치는 공공디자인 교육을 위한 ‘수업내용’이며, 수업에 활용된 교육콘텐츠와 제시 방법을 포함한다. 종속변인으로서 분석된 내용은 시범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변화와 반응, 그리고 공공디자인 실습결과와 후속활동 결과이다. 공공디자인 교육효과 분석을 위해 공공 디자인에 대한 인지, 관심, 중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거수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실습과 후속활동에서 얻어진 학생들의 결과물을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공공디자인 시범교육은 학생들에게 노인, 임산부, 자전거를 탄 학생 등 다양한 공공환경 이용자의 특성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이용자와 환경을 연계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으며 공공디자인의 주요개념인‘생활 안전을 위한 공공디자인’,‘모든 이를 위한 공공디자인’,‘생활 편의를 위한 공공디자인‘, ‘생활품격을 높이는 공공 디자인’ 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학생들은 일러스트레이션과 플래시파일 등 시범수업에 활용된 다양한 교육콘텐츠에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도된 공공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회구성원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환경 계획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를 경험하게 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공공디자인 교육이 더욱 개발되고 널리 보급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public design, a national public design promotion policy has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nd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public design education that helps people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Since public design education promotes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living together, education that can be naturally experienced and learned from an early age is important. However, public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 not have any experience learning about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implement,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first public design education class fo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Method)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e first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orresponds to a qualitative study through a case study, and the research framework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method. Treatmen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s the “class content” for public design education, and includes educational content and presentation methods used in the clas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tudents' perception change and reaction through demonstration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public design practice and follow-up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public desig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students raising their hands on the perception, interest, and importance of public design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public design practice, while follow-up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The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had the effect of providing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ublic environment users, such as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students on bicycles. It also made it possible to connect users and the environment, and to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main concepts of public design, such as “public design for life safety,” “public design for all,” “public design for living convenience,” and “public design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The students expressed interest in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used in the pilot class, such as illustrations and flash files. (Conclusions) The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attemp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by enabling them to understand members of society and to experienc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regarding environmental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public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의 디자인교육의 본질과 내용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김향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The key word in the modern society focuses on the creativity. The demand of these times - the nurture of creative talent across the educational world is highlighted. As this trend has been recently incorporated, the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design thought has been recognized to be very effective to improv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the design education is being magnified. Under the assumption that design should be educated from childhood that has strong intellectual capacity and curio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nsider the essence and content of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examine the problems of current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and find how to implement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in the future. The design education in the past was mostly concentrated in higher education to nurture design specialis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fine art education, one of basic curriculums, has been limited in expression activities regarding visual design such as adornment and making. However,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corresponding to the modern society, the design education method centered to a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essence of desig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issue,the continuous research and review for systemat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esign education in schools are required. Further, the new systematic design education system including the purpose and content of design education being proposed in the current education process needs to be established. To achieve this, the design education emphasizing on design process, and the systematic and structural education content applying the principle of design as a problem finding learning, and various curriculums are first required to be concretized. 현대사회에서의 핵심 키워드는 창의성에 집약되어 있으며 교육 전반에 걸쳐 창의적인재 육성이라는 시대적 요구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며, 디자인적 사고과정에 기반을 둔 디자인교육이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디자인교육의 필요성과 의미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디자인은 호기심이 강하고 지적 능력이 왕성하게 발달하는 아동기부터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디자인교육의 본질과 내용에 대해 재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디자인교육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향방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두었다. 종래의 디자인교육은 주로 디자인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에 편중되어 왔으며 초․중등학교의 경우 기본교과인 미술교과 내에서 주로 꾸미기와 만들기 등으로 대변되는 시각디자인 관련 표현활동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본질에 기초한 사고과정 중심의 디자인교육 방안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에서의 디자인교육의 체계화 및 제도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검토가 요망된다. 나아가, 현행교육과정에 제시되고 있는 디자인교육의 목적과 내용에서 확장하여, 새로운 계통적 디자인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 우선은 디자인프로세스를 중시한디자인교육과, 문제발견학습으로서의 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한 체계적, 구조적인 교육내용 및 다양한 커리큘럼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자인일반교육의 현황 및 정책 제안

        신희경 ( Keek Young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디자인일반교육은 디자인 직업교육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통 사람 누구에게나 필요한 일반교양을 습득하는 디자인교육을 의미한다. 이는 장차 디자인을 제작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교육이 아닌, 디자인을 향유하고 수용하는 수용자를 기르는 교육부분이다. 기존 디자인 교육이 전문계 고교, 대학 이상의 전문가 교육이 중심을 이루어져 왔으나, 오늘날 디자인은 일상생활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전 국민의 관심대상이 되었으며, 소비자 안목의 향상에 따른 디자인 시장 확대를 위해서라도 디자인 수용자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일상생활의 미적 스타일 형성 개념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하고 창의력 증진 개념으로 디자인에 대한 인식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디자인일반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디자인일반교육 연구가 초등학교의 디자인 교육에 한정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생애주기에 맞추어 초·중·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디자인 교육과 함께, 대학교의 교양 교육까지로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2013년 디자인현황보고서에서 디자인일반교육을 집필하였으며, 이때 취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였다. 디자인은 이제 생활의 일부이기에, 디자인 교육 또한 제작자뿐 아니라, 수용자까지를 포함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general education in design is a relativ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in design; and this type of education in design translates into a process, where any person may acquire the necessary subjects of general education. The general education in design does not necessarily educate designers that will engage in creating designs in the future because this type of education also accommodates people that enjoy and embrace designs as consumers. In the past,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or students seeking a higher degree in education. Today, the concept of design has expanded to our daily lives, becoming an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Moreover, the expansion of design market fosters future design consumers. Design education creates practical designs, nurture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increases creativity in daily lives; therefore, the weight of design education has increased as well as in general education.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studied the general education in design as a design present condition report researcher of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in 2013. This paper is based on the data that the author conducted.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general education in design provided by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s general education. Because design has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desig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creating designs to educating consumers.

      • 실과를 통한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 개발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3 No.-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for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This research theoretically studied design education and field tested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PDIE’s course material development model process, to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ir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5th grade practical arts,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our lifestyle」, 「work and job search」, etc. contains many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and are corresponded to visual design, product design, aesthetic · symbolic, practical · functional, scientific · engineering, social · emotional area, which explains design education is well reflected to 5th grade practical arts. In 6th grade practical arts, 「software in life」, 「invention and robot」 and etc. contains many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and also corresponded to visual design, product design, aesthetic · symbolic, practical · functional, scientific · engineering, social · emotional area, which explains design education is wall reflected to 6th grade practical arts. Second, from validity test by expert group,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learning material is evaluated appropriate for creative design education. Third, from field test, satisfaction level to the education was scored average over 4.32. This explains that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learning material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o increase satisfaction level. From the results,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learning material is considered appropriate and has positive effects for elementary creative design education by expert group and elementary students, and is meaningful material for to increase interest and intelligibility to design 본 연구는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디자인 교 육, 실과에서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PDIE의 수업자료 개발 모형절차에 맞추어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장테스트를 실시하고 수업 만족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학년 실과는 「수송 기술과 우리 생활」,「일과 직업 탐색」등 단원에서 디자인 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각전달 디자인, 제품 디자인, 미적⋅상징적, 실 용적⋅기능적, 과학적⋅공학적, 사회적·정서적 영역에 상당히 해당되어, 실과 5학년 교과를 통 하여 디자인 교육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6학년 실과는 「생활 속 소프 트웨어」,「발명과 로봇」등 단원에서 디자인 교육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시각전달 디자인, 제품 디자인, 미적⋅상징적, 실용적⋅기능적, 과학적⋅공학적, 사회적·정 서적 영역에 상당히 해당되어, 실과 6학년 교과를 통하여 디자인 교육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음 을 알 수 있다. 둘째,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통해 창의적 디자 인 교육에 적합할 것이라고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장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의 모든 항목이 평균 4.32 이상으로,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는 초등학생들이 해결하기에 알맞은 자료로 학생들로 하여금 학 습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도움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과 학생들로 하여금 초등학교 창의적 디자인 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여 긍정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서울특별시 중학교 교과서 「디자인 이해」의 교육 내용에 대한 적합성 평가 연구

        공재영 ( Jae Yeong G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정보화와 국제화 등 급속한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시대를 리드하기 위해서는 지식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고 새롭게 재창조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창의적 인력 양성의 주요 전략으로서 디자인 교욱의 가치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디자인 조기 교육에 각별한 관심과 역량을 집붕하고 있는 외국의 디자인 교육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독립적인 디자인 교과과정 없이 미술 교과 내에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중학교의 디지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과정이 부재한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서울특별시 「디자인 이해 」 교과서의 개발 및 보급은 ``디자인``의 학문겆 위상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시도와 발전적인 노력의 결과불이다. 본 연구자는 「디자인 이해」교과서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현직 디자이너를 대산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설문 결과, ``디자인``이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 인정받고 체계적인 교육으로서의 시발점이 된 점이 긍정적으로평가되었으며,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좀 더 충실하고 다양하게 반영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디자인 이해」 교과 구성 내용의 평가로 체계적인 디자인 기초 학습의중요성과 굿 디자인을 선택할 수 이쓴ㄴ 안목의신장을 위한 다채로운 학습 내용이 강조되었다. 우리나라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도약인 동시에 길잡이가 될 서울특별시 「디자인 이해 」 교과서가 적합한 학습 교재로 인정받고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구.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나아가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의 정립과 교육 환경 조성에기여하고자 한다. In order to lead future generation and actively manage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computerization and globalization, an ability to efficiently utilize knowledge and reinvent such information is deeply required. As a major strategy for such an innovative manpower training, the value of design education is now being recognized of its importance more than ever. Unlike foreign design educations where concentrate great interests and resources on early education of design, Korea has conducted design education within art classes without and independent design curriculum. In the reality of Korea`s education where systemic design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absent,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a design textbook “Understanding design” by Seoul Special City is an output of a new challenge and appraised its suitability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by conducting surveys on designers in the field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textbook. As the result of the survey, this textbook wa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model, and its being the starting point of systemic education earned positive reviews. The result of surveys also stressed the need for more sincere and diverse reflections of contents related to learners` actual lives. Moreover,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ystemic basic design education as an assessment for the curriculum contents of “Understanding design” and diverse learning contents to develop discernment of good designs. In order to promote the textbook “Understanding Design” by Seoul Special City as a new guide and the start of Korea`s design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need for constant research development for the textbook to be recognized as a qualified studying material and to increases its practical value, and it also would like to contribute in the establishment of systemic desig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Z세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학문의 교육목표에 관한 연구

        최인영(Choi, Albert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세월이 지나면 사회가 변화하듯이 사회에 맞게 디자인도 변화해 왔고, 이에 디자인 교육도 발전하였다. 2000년도 초반에 태어난 Z세대는 기존 세대와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Z세대는 정보기술 붐과 함께 유년 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을 경험하여 신기술에 민감하고 정보를 쉽게 정리하는 능력이 있어 학습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세대로 기본 2개국을 구사하고 해외 진출이 가능하다. 이런 Z세대의 본격적인 대학교육에 앞서 이들을 위한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세우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Z세대를 위한 교육목적은 Z세대 학생들이 미래에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고 그 직종에서 평생 근무 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Z세대 디자이너를 육성하는 데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교육을 조사하고 교육목표의 기능과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Z세대 학생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분야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교수 및 디자이너 100명을 설문조사하였고 그 중에 60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18개의 질문을 통해 학연산 융합교육과 국제화 교육 및 산학 네트워크 중심 교육이 Z세대 학생들에게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교육목표 수립요소인 개인중심적 입장, 사회중심적 입장, 통합적 입장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제 급변하는 기술과 사회의 인지를 바탕으로 디자인 학문은 바우하우스 교육 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결과가 불확실한 새로운 것을 만들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디자인 교육과 국가 디자인 인력 자원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연구해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이 디자인 교육 발전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 When the society changed with a time, the design changed with it and the design education developed its needs. The Generation Z (birth after 2000’s)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an previous generations. Gen Z experienced the ini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ir adolescent age, thus they are easy to adopt the new technology and has ability to organize meaningful information that leads to have faster learning ability. Also, Gen Z strongly uses social media as their life style that they can communicate least 2 languages fluently and they can locate their job placements worldwide. The first group of Gen Z will be entered the University in year 2019 and this research is a preparation for it. The Goal of the Education for the Gen Z is help they can find their career field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find their life long career path within same career fiel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for finding the Objectives of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and propose it. First, the researcher studied today’s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the function and attributions of the Objectives of Education,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Z. With that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tinued with a survey. It surveyed about 100 university educators and designs with least 10 years’ experience in the Communication Design field and carefully selected best 60 surveys to analyze its result. Through 18 questions, the researcher finalized that Education-Research-Industry based education and global integration education with live project network can benefit educating the Gen Z students. Therefore,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Objectives of the Education by analyzing Individual Factors, Society Factors, and Total Factors. We need to formalize a new design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new technology and society; and we need to de-emphasize the Bauhaus education system. To make new approaches with unpredictable result is hard, but we need to continue our study for increasing our new labor force and its effective education system. This study can benefit and initiate its development.

      • KCI등재

        고객 경험(CX)에 기반한 BX디자인의 융합 교육 프로세스 연구

        김세미(Kim, Semi)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고객 관계 지향적 기업경영의 추세와 경험경제로 인한 경험디자인 학문이 대두됨에 따라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UX디자인, 서비스디자인, BX디자인 등의 새로운 교육커리큘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융합패러다임으로의 변화와 가속화되는 디자인산업 변화에 따른 대응 등을 고려할 때 고객 경험(CX)과 브랜드경험(BX)의 융합을 통한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교육 방안의 가치를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험디자인 영역의 다학제 간 연구를 통해 실무적인 방안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융합교육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BX와 BX디자인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CX 및 BX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융합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선행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교육프로세스 개발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실증연구로 BX디자인 전략수립, BX의 고객경험 디자인 정립, BX디자인 개발의 세 가지의 체계에 따른 7단계의 융합교육프로세스를 고안하여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연구결과 고객 경험기반 교육 프로세스의 각 체계별 세부적인 단계는 BX디자인 테마 선정 - 기업의 비전과 목표파악 - 목표시장 선정 및 BX디자인 전략 수립 - 전략적 체험그리드 모형의 이해 및 분석 - 고객여정 맵을 통한 BX측면의 고객 경험의 정립 - BX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 BX디자인 터치포인트 개발의 7단계로 구성하여 이에 따른 교육목표, 내용 및 방법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CX와 BX의 학문 영역의 통합을 통해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구체적인 근거와 지침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디자인 융합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변화하고 있는 경험디자인 분야를 창의적 사고로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디자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BX디자인의 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As the trend of customer relationship-oriented business management and the study of experience design due to the experiential economy are emerging, new educational curriculums such as UX design, service design, and BX design are also required in design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nge to the convergence paradigm and the response to the accelerating change in the desig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value of systematic and innovative design education plans through the fusion of customer experience (CX) and brand experience (BX).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process based on practical plans through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the area of experience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brand experience (BX) and brand experience (BX) design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ustomer experience (CX) and BX design process were considered.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 cases in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and used as empirical data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s an empirical study, a 7-step convergence education process was devis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BX design strategy establishment, BX customer experience design establishment, and BX design development,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concluded. Result The detailed steps for each system of the customer experience-based education process are BX design theme selection-Company vision and goal identification-Target market selection and BX design strategy establishment-Strategic experience grid model understanding and analysis-Customer experience through customer journey map-BX Identity Design Development-BX Design Touchpoint development consists of 7 stages so that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can be presented.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pecific guideline for design convergence that can serve as a specific basis and guideline in the design education fiel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academic areas of customer experience (CX) and brand experience (BX) that have not been attempted so far. Could be found. In addition, based on this study, we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BX Design to cultivate design talents who can develop the field of experiential design that is diversifying through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UN의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 관한 디자인교육 연구현황 및 방향성

        이성애 ( Seongae Lee ),이진민 ( Jinmin Rhie ),장미정 ( Mijeong Ja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4

        현대인들은 새로운 글로벌 사회에 살아가면서 인류공통의 공감대와 함께 지향해 가야 하는 지속가능 발전의 시대에 공존하고 있다. 이 시대는 인류 미래의 번영을 위해서 UN의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디자인교육을 체계적으로 함으로써, 차세대가 스스로 기술에 의해 급변하는 외부 환경과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창출해 가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SDGs에 기초한 환경,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연구현황을 연도별 및 분야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공통과제에 대한 관심분야의 집중도를 파악하고 지속가능 발전 목표달성을 위한 디자인교육 방향성 모색에 목적이 있다. SDGs와 관련한 국내 학위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째, SDGs는 학계에서 지속적인 관심 증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디자인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전무하였다. 셋째, 디자인의 본질적 전제를 근간으로 할때,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교육을 위한 연구키워드와 디자인교육 방향성을 모색하여 지속가능발전 디자인교육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결언하면,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지속가능발전 목표 교육강화 및 디자인교육 전망을 위해 연구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발전 목표달성을 위한 과제를 순차적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이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디자인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a universal keyword that is shared by people in the global community. Understand the UN's SDGs and designing them is essential for develop the ability of the next generation to create a wa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and new paradigm.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output of the various fields such as environment, economy, social sciences, and art which is specifically related to sustain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cent years, research output related to SDGs has increased in academia. Second, however, there was no study on design education. To foster research activities in design field, this study also suggested keywords that can be explored and researched from the design’s perspective. Furthermore,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of design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focus on sustainability. Last,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for design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The current study is believed to be providing a solid found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It also contributes to the design education by offering insightful suggestions for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hat has a strong focus on sustainability.

      • KCI등재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시민교육 프로그램 연구-해외 비영리기관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안성희,신윤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social problems, environmental threats, and an accelerating technological revolution have emerged in the 21st century. An upcycling design is rapidly emerging in response to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demand for sustainable life resulting from changes in society and industry. We are at the threshold of the age of design, thanks to a networked society connected by Internet broadband. Design educators—often the first to think about space—are also creating a demand for new content-oriented alternatives .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ave of change, the fields of design and design education have become tailored to a new integrated system, which represents a transformation from the early industrial format of the 20th century. This paper begins from the viewpoint that upcycling design is an innovation, not just as an environmental dimension or a professional designer’s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ise the value of upcycling design according to creative educational contents for citizens reflecting current trends—in other words, as a “social innovation.” (Research Method)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upcycling design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the content for an interesting alternative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 solving, social innovations (contributions), co-designs, and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and designers (educators).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ase studies and analyses. Based on the hypothesis, cases of overseas upcycling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surveyed, and relevant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and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this paper identifies the four characteristic elements of social innovation for a citizen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ase study). This paper presents a “characteristic map of the contents of the upcycling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a “characteristic model of the citizen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In summary, this paper provides the groundwork for a basic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of upcycling design concepts. It also gives direction for the practical alternative of desig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nov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of a suitable content governance system tha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planning of alternativ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and cultural spaces. (연구 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기술혁명은, 그동안 미루어 두었던 사회문제들과 가속화되고 있는 환경적 위협과 맞물려 사회와 산업의 총체적 전환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제 모든 사람이 디자인을 하는 시대의 문턱에 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점에 다다랐다. 또한 흔히 공간을 제일 먼저 생각하게 되는 디자인 교육 역시 공간보다는 콘텐츠 중심적인 새로운 대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 지나간 20세기의 산업의 분류에 맞추어져 있던 디자인과 디자인 교육의 분류체계는 이제 새롭게 통합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양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업사이클링 디자인(Upcycling Design)을 단순히 환경적인 차원이나 전문 디자이너의 차원이 아닌 시민 모두를 위한 디자인교육이라는 사회적인 관점을 담아서 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사회문제 해결에 니즈를 둔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시민교육 콘텐츠로 보고, 창의적 시민교육의 대안으로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새로운 가치를 연구를 통해 자리매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의 가설은, 환경적 가치에서만 다루어졌던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그 특성 상 최근 디자인에 있어 요구되고 있는 사회적인 기여, 공동 제작 등의 소셜 이노베이션적 요소들을 디자이너(교육자)를 비롯한 피교육자인 참여자 모두에게 경험하게 하는 흥미로운 대안적 디자인 조형 교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 방법론은 사례연구를 통한 정성연구 방법론이다. 본 논문은 가설을 기반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해외 비영리 기관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연구와 분석을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서 사례를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시민교육 콘텐츠로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소셜 이노베이션 시민교육 프로그램 요소’를 4가지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반영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특성 맵’과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 업사이클링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디자인 개념의 이론적․실제적 영역의 확장에 대한 유효한 기초연구를 제공할 것이다. 동시에 작금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 디자인 교육의 실천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방향성을 제공하고 향후 대안적 공공 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기획에 필요한 거버넌스 콘텐츠 디자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