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일본의 대응: 북핵문제와 다자안보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백경남 한독사회과학회 2004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4 No.2

        탈냉전에 따라 냉전시기의 체제경쟁과 같은 대립이 해소되었고 동시에 동북아 안보를 위협하는 주요 요소였던 소련의 군사적 위협도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하지만 동북아에서는 여전히 군사력에 기반한 대치상황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과거 동북아의 안보가 양 체제의 세력균형에 의해 유지되었다면 냉전이후의 동북아 안보는 각 국가들 간의 다차원적인 관계에 의해 유지되어 지고 있다. 즉, 유동적 안보의 국면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동북아에서는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북아의 평화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자 또는 쌍무간 ‘안보대화’를 활발히 전개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협의들이 다자간의 안보협력기구 창설로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동북아를 전쟁의 위협으로 몰아넣었던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최된 6자회담이 안보협력기구가 부재한 동북아에 새로운 다자안보협력 틀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북한 핵문제는 무엇보다 일본에게 외교적 지평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일본은 북한을 비판하면서 미국의 전략적 틀 내에서 한반도 문제로부터 배제되지 않은 가운데 자국의 역할을 찾게 된 것이다. 동시에 패권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을 보다 능동적으로 견제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에서 경제대국의 위상에 걸맞는 군사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일본은 동북아에서의 다자안보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 입장과 정책을 밝히고 있지는 못하다. 따라서 동북아 안보체제 구축에 있어서 일본의 역할은 향후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역할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가 될 것이다. In the post cold war era, such a previous competing structure disappeared, and the Soviet Union's military force that threatened Northeast Asia national security lost its meaning. However, competing situation based on military strength is not solved yet in Northeast Asia.Regional security of Northeast Asia was kept through balance of power in the past. Yet, after the cold war, that balance of power is formed by multi- dimensional relations among each countries.Northeast Asia had unfolded 'National security conversation' that can secure Northeast Asia's national security, regarding the change of security environment. Six-nation conference that is held to solve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oblem and that conference is recognized as new model of in Northeast Asia.First of all,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offered an opportunity that widen diplomatic spectrum to Japan. Japan wants her military contribution that corresponds to her as a major economical power. Still, Japan is not in a definite situation and does not have any policy about that. Therefore, the role of Japan in Northeast Asia for constructing a security system may be able to be tested hereafter.

      • KCI등재

        동북아 안보질서와 TMD

        박광기 한국통일전략학회 2002 통일전략 Vol.2 No.2

        탈냉전이후 유일 초강대국으로 부상한 미국은 그 동안 이론적으로만 미국의 본토가 안보의 위협에 노출된다는 것을 상정하고 방위 및 안정책을 추구해 왔으나, 9.11 테러사건으로 인하여 이제는 미국 본토도 전면적인 공격이 아니라 단순한 테러에 의하여도 크게 위협받을 수 있으며, 바로 미국 본토에 대한 테러가 테러의 주 공격대상이 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레이건 행정부가 추구하였던 SDI와 클린턴 행정부가 수립한 NMD 및 TMD 방어망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부시 행정부의 MD 정책은 NMD와 TMD를 통합하여 미국의 본토와 동맹국의 방위를 구분하는 이원화된 정책으로부터 일원화된 정책으로 전환하려는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더구나 미국에 대한 안보위협이 무기체제의 변화에 따라서 북한과 이라크와 같은 몇몇 불량국가라고 규정한 국가들의 위협에도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효율적인 방위망의 구축이 바로 MD로 표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국의 정책은 미국이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있는 위협적인 북한이 위치한 동북아시아의 경우에 있어서는 단순히 이러한 맥락에서 동북아시아 안보환경이 설명되어지지는 않는다. 이것은 미국이 동북아시아에서 TMD에 대한 정책을 추구한다는 것이 반드시 동북아시아에서 평화적인 안보환경의 조성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오히려 동북아시아 안보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여 안보의 위협상황을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미국과 일본의 공조와 적극적인 협력에 의하여 동북아시아에서 TMD체계가 구축된다는 것은 TMD에 반대하고 있는 중국, 북한, 러시아에 대한 도전과 위협으로 간주되어, 이 지역의 안보상황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이 의도하고 있는 MD체계의 구축은 탈냉전기 군사·안보 및 방위체계에 대한 미국의 독점적 지위의 확보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구축된다고 하면 전세계적인 미국의 패권확보가 가능하게 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위협적인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미국의 정책과 이에 대한 한국의 입장은 반드시 서로 일치 하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것은 북한의 핵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원칙에 대하여는 한국과 미국의 입장이 일치하지만,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이것이 남북한의 문제에 국한하여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미국의 세계적 전략차원에서 근본적으로 MD와의 관련으로부터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의 핵 문제에 대하여 어느 누구보다도 직접적인 당사국인 한국의 경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배제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 핵 문제로 인하여 가장 큰 위협과 직접적인 피해를 감당해야 할 우리의 입장에서는 미국의 이와 같은 안보개념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려를 통하여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TMD에 대한 한국의 입장이 보다 정확히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방안

        박홍석,이현경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지역에서의 미 · 일 · 중 · 러의 각축을 살펴보고.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 창설에 대한 관련국들의 입장과 그 형성 방안을 제시한다. 아시아 태평양의 전 지역을 비교해 볼 때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자협력 구도는 아직 미미한 상태다. 미 · 일 · 중 · 러 및 남한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점을 위해 다자안보협력체의 창설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이 기구 창설을 위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 지 않다. 그런데다 이 지역은 역내 국가들간 힘의 분포, 군비경쟁, 공통의 안보이익 부재, 각기 다른 안보적위협인석, 지역분쟁 및 영토분쟁 상존, 정치군사적 이해가 상충되어 있다. 더군다나 역사 · 정치 · 문화적 전통 등에 대한 공통성이 부재하고 상이한 문화 와 가치관이 존재한다. 그래서동북아시아 지역에 유럽형의 다자안보협력체를 형성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지역에 다자안 보협 력체가 구성되면 영전의 구도를 허물고 분쟁예방, 위기관리 갈등해소, 비군사적 안보위협 대처에 기여할 것이다.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이 현 단계에선 어렵다하더라도 역내 국가들이 CSCAP,ARF, NEACD 등 비정부간 안보협의체와 공동보조를 취하고 대화의 장을 넓혀 나간다면 다자안보협력체 창설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이러한 토대 위에 역내 국가 들이 경제 · 환경·과학·기술 등 비정치군사적 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상호 신뢰를 구축 해 나간다면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는 구축될 것이다. 그것은 동북아시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사전 단계이며, 세력균형의 틀 내에서 지역의 평화와 안점을 추구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방안에 관한 고찰

        김종민 ( Jong Mi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3 인문사회 21 Vol.4 No.2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동북아시아 지역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방안을 모색해 본것이다. 동북아시아 지역은 남북한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일·중·러 등의 주요 강대국간 패권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역내 국가들간 공동안보를 보장하는 다자안보협력체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역내 국가들간 전쟁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동북아시아 지역은 역내 안보를 공동으로 보장하는 다자안보협력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동북아지역은 강대국간 또는 적대국들간 군사적 충돌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북한의 핵문제와 미사일 문제가 해결되고있지 않은 상황에서 남북한간 첨예한 군사적 갈등과 긴장은 동북아지역의 안보상황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동북아지역의 안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럽과 같은 역내 다자안보협력체 구축이 필요하다. 그동안 다자안보협력체 구성을 위한 역내 국가들간 노력들도 있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역내 다자안보협력체를 구성함으로써 예상되는 국가들간 이해득실 때문이었다. 이에 가장 현실성 높은 방안은 북핵 6자회담을 동북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로 진전·발전시키는 방안이라고 본다. 북핵 6자회담이 북핵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북핵문제 해결을 통해 동북아시아 안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6자회담은 그 어떤 안보협력 대화 채널보다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gropes the northeast asia region many people security cooperative body scheme of construction after the detente. As to the northeast asia region, while the military tension of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continued, the hegemony struggle deepens between the major powerful country including the U. S, Russia, Japans, China and etc. In the case of Europe, because many people security cooperative body guaranteeing the joint security between the station countries is constructed, the possibility for war thins between the station countries. However, as to the northeast asia region, many people security cooperative body guaranteeing the station security communally is not formed. The Northeast Asian region can be said to be the area where the military collision possibility is high between powerful country or the hostile countries in that it is like this. Particularly, the military discord and tension which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sharp threatens the state of national security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at the situation in which North Korea``s nuclear issue and missile issue is not solved. Northeast Asia in order to improve the security environment in the region, such as building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like Europe is needed. Meanwhil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efforts among the countries in the region for the configuration also reap great results, but were not. The reason is that by constructing a regional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mong the countries expected to understand because of the trade-off. This approach is the most realistic high six-party talks on North Korea in Northeast Asia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s ways to see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six-party talks on the nuclear issue, but basically focus o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will improve. In this regard, the six-party talks is that any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dialogue than likely can be built.

      • KCI등재

        테러와 비대칭 위협에 직면한 국제안보환경과 동북아 안보환경

        이헌경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4 평화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테러와 비대칭 위협에 직면한 국제안보환경과 동북아 안보환경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9·11 테러사건이후 국제안보환경이 변화하기 시작하자 국가들은 테러위협을 극복해야 하는 국면에 접어들게 되었다. 더군다나 세계는 비대칭위형에 직면해 있으며, 새로운 국제안보환경은 냉전시 미국과 소련의 역할에 의해 유지되었던 비확산 유지를 어렵게 하고 있다. 테러와 비대칭 위협과 같은 새로운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여러 나라와의 협조와 정보력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것은 미국의 독자적 힘과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며 중국, 러시아, 중동지역의 국가들을 비롯 세계 국가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틀을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조화된 안보 관리'가 필요하다. 동북아 지역의 안보환경은 여전히 냉전의 구도를 청산하지 못하고 있다. 한반도 지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그것은 동북아 지역에서 어느 일국이 정치군사적 사안에 대해 쉽게 양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동북아 지역의 안정을 위해서는 역내 국가들의 경제협력과 항께 위기관리에 대한 협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동북아 지역에서 「유럽안보협력회의」 와 같은 기구의 제도화는 한반도의 체제이념적 갈등과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분쟁 억지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and Northeast Asia security environment faced with terror and asymmetric threat. Nations entered upon a new phase to overcome terror threat as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changed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In addition, the world has been confronted with asymmetric threat, and the new international environment makes it difficult to keep the non-proliferation maintained by the US and the USSR. It is absolutely required cooperation and information construction among countries to remove terror and asymmetric threat. It is in short only by the US power and capability. It is in need of world countries cooperation including China, Russia, Middle East countries, and others. It also needs a coordinated security management to drive forward a new framework for coping a new threat. The security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has not been settled a cold war structure yet. There would be no exception In the Korea Peninsula. It is because a country has not been in a condition not to easily concede political military affairs in Northeast Asia region. It needs a crisis management cooperation as well as economic cooperation among Northeast Asia countries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region. Furthermore,institutionalization of an organization like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is not only to contribute to relax military tension and a systematic and ideological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but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and deter regional dispute.

      • KCI등재후보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분석과 대전략수준의 안보전략연구

        이홍기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2022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Vol.15 No.-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is fluctuating so roughly that it is difficult to gauge its direction and size, and it is difficult for anyone to predict what the consequences will be in the e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ad the nature and direction of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identify threats to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provide a foothold to establish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to prepare for the security situation and threats in Northeast Asia over the next 20 yea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t aims to accurately read the reality of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that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Korean security by 20 years, define its implications, determine the relationship changes of substructures, and derive threats to Korean security to secure long-term national security strategy. Finally, I would like to set a task at the strategic level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future strategy for Korean security according to the derivation of the analyzed threat factors and present its directi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for the state to promote national policies while maintaining consistency and continuity with a direct systematic, organized, mid- to long-term perspective. 동북아 안보상황은 그 방향과 크기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거칠게 요동치고 있으며 종국에 가서는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 누구도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안보 환경 변화의 본질과 향방을 분명히 읽어 내고 대한민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요인을 식별한 후 향후 20년의 동북아 안보상황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안보 대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그 발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연구의 목적으로 첫째, 향후 20년까지 한국안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보환경 변화의 실체를 정확히 판독하여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그 함의를 규정하고 둘째, 안보상황의 변화로부터 촉발될 수 있는 하부구조들의 관계변화 양상을 판단하고 한국 안보에 대한 위협요인을 도출하여 장기적인 국가 안보전략 판단의 준거를 확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위협요인 도출에 따른 한국안보의 장기적인 미래 전략을 세우는 데 필요한 대전략 수준의 과제를 설정하고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써 국가가 직접 체계적이고 조직적이며 중·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일관성 및 계속성을 유지하면서 국가정책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국제정세의 변화와 통일교육의 발전방향

        김강녕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1 공공정책연구 Vol.28 No.2

        본 논문은 국제정세의 변화와 통일교육의 발전방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제질서와 동북아 정세의 변화, 남북분단의 극복논리와 통일의 과제, 통일교육의 개념과 발전방향 등의 순서로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탈냉전이후 국제안보환경은 급격히 변화됨으로서 국가안보개념이 변화되고 확대되었다. 그런데 한반도를 위요한 동북아의 경우는 냉전논리와 탈냉전논리가 혼합된 구조에 직면해 있다. 한반도에서 긴장과 군사적 대립의 지속은 동북아 평화에 커다란 장애요인이 됨은 물론, 북한의 잦은 무력도발은 동북아 안보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군비경쟁을 유발하는 촉매제로도 작용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상생공영정책이다. 이것은 한미동맹 강화를 기반으로 북한 핵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한다는 입장이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는 학교 통일교육에서 안보 강화와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통일은 남북한의 노력과 호응, 그리고 주변 관련 국가들 간의 국제협력이 함께 어우러질 때에야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 오늘날 통일노력의 당면 과제는 강대국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분명히 파악함은 물론, 남‧북한간의 이질화 극복을 통한 민족 동질성 확립으로서 민족화합의 과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우선적인 것이다. 1990년대의 통일교육이 ‘반공’이 아닌 ‘통일’을 표방하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었듯이, 지금은 통일교육에 또 다른 획을 긋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통일교육은 그 목표와 내용에 있어서 기초적인 남북관계와 국제정세 그리고 우리사회의 남남갈등의 문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련의 국제정세와 북한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이며 중장기적인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색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situa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searched for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order and Northeast Asia’s situation, overcoming logic of Korea division into north and south and tasks of Korea unification, the concep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oncluded. The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security has been changed rapidly after the beginning of post-cold war era, therefore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changed and enlarged. By the way, in the Northeast Asia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we are faced with the dual structure that is composed of cold-war logics and post-cold war logics. Lee Myung-Bak Government's policy on North Korea is the win-win and co-prosperity strategy. It aims that North Korea's nuclear issues are the first things to be considered with 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US. Lee Myung-Bak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stresses national security and objectivity on North Korea's unification education. The recent political chang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volving North Korea and adjacent countries indicate that there will be a great turnaround i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The settlement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possible without mutual collaboration among every party concerned. As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 the 1990s was developed through advocating ‘unification’ instead of standing for ‘anti-communism,’ this is a period necessary for epoch-making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ositively and efficiently executed with active and systemic responses to international circumstances, based on an exact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지역 환경거버넌스를 통한 평화협력체제 구축 가능성 연구: 월경성(transnational) 대기오염 사례를 중심으로

        안제노 ( Ahn Zeno ),박은주 ( Park Eun Jo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3

        이 연구는 새로운 안보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동북아지역 환경오염문제를 통해 역내 평화협력체제의 구축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높은 월경성 대기오염인 황사, 산성비와 같은 초국가적(transnational)인 환경오염문제를 중심으로 한 한ㆍ중ㆍ일 환경협력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동북아지역에서 효율적인 환경협력을 바탕으로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통합된 협력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하나의 방안으로써 ‘한ㆍ중ㆍ일 국제 월경성 대기오염 협력기구’의 설립과 더불어 환경협력체계의 형태, 업무시스템구조의 개선을 통해 한계점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한ㆍ중ㆍ일간에는 전통적인 안보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다는 점에서 통합된 환경협력의 주도국으로서 한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동북아에서 환경협력을 통한 평화체제 구축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가능한 평화체제 구축의 기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building possibilitie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System in Northeast Asia. First of all, this study was leading the current issue of Environmental Security and progres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System in Northeast Asia through Transnat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Transboundary Air Pollution (yellow dust, acid rain) which has had a high attention locally and abroad. After that analyzed the limitations about the issue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need for supportive organization of Air Pollu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discussion that focuses on form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system and business system structure as well as leading country in order to unify the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study showed much important value and meaning of building peaceful system through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it proposed a plan tha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sustainable peaceful system in global perspective

      • KCI등재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미국의 안보전략

        윤지원,심세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The paradigm shift in security, and changes in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represented by the rise of China caused a fundamental change in the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America’s reaction against the rise of China starts to be sighted in their changes in security strategy. In order to reach their goal of securing a strong and sustained American leadership in national security strategy, they are pursuing a new security strategy to keep China in check, trying to sustain their hegemony and leadership. If their security strategy changes while focusing on China, it means there is a high chance for them to change the policy in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regions. Therefore, as Korea is keeping a close relationship in terms of security, we need to consider the changing security strategies of the United States in more detail. 안보 패러다임의 변화, 중국의 부상으로 대변되는 21세기 안보환경의 변화는 미국 안보전략의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중국의 부상에 대한 미국의 대응은 안보전략의 변화에서부터 목격되기 시작한다. 미국은 “강력하고 지속가능한 리더십”의 확보라는 미국 국가안보전략의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중국을 견제하고 패권과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안보전략을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안보전략이 중국을 중심으로 변화한다면 이것은미국의 한반도 및 동북아 정책도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보적 측면에서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변화하는 미국의 안보전략을 더욱 세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