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1) -[東方學講座] 이전 시기(1915-1957)를 중심으로

        최재목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2 No.-

        이 논문은 金鼎卨(1897-1966. 호는 凡父)(이하 범부)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 특히 건국대학교의 東方學硏究所長에 취임(1958, 62세)한 뒤 행하는「東方學講座」에서 동방학 개념을 자각적으로 천명하기 이전 시기(1915-1957)에 한정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① 범부 사상을 연대기적으로 추적하면서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또한 ②이 시기(1915-1957)에 그가 조선, 동양, 동방이란 개념을 비록 혼용하고는 있지만 이후 확립할 ‘東方學’의 이론적 기초를 다지는 매우 중요한 기간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범부의 동방・동방학이란 관점의 자각적 확립은, 그의「연보」등에서 잘 알려진 대로, 1958년(62세) 建國大學校에서 「정치철학강좌」를 담당하고 이와 동시에 같은 대학에 부설된『東方思想硏究所』소장으로 취임하여「易學」・「陰陽論」・「五行思想」등의「東方學講座」를 시작한 시기부터이다. 이때에 ‘卽觀(卽事觀)的’・‘陰陽論的’ 관점 등의 독창적인 ‘東方學 方法論’을 제창한다. 범부는 자신의 학문을 어느 시점부터 (‘東洋學’이 아니라) ‘東方學’이라 명명하고 자각적으로 그 개념을 사용하고, 아울러 그가 구상한 ‘동방학’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범부가 의도했던 ‘동방학’의 방법론과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범부는 의식적, 자각적으로, 일제강점기가 아닌 해방 이후 건국기에, 동방학의 확립을 지향하여 일반명사였던 동방, 동방학을 고유명사로 변모시켰던 것이다. 이렇게 그에게서 ‘동양・동양학에서 동방・동방학으로’는 단순한 용어나 레토릭의 변화를 넘어서서 범부의 학술상에서 매우 중요한「표현법의 변모」로 지적될 수 있다. 이 변모 속에는 지리적・문화적・민속적・정치적인 의미 정체성(아이덴티티) 즉 ‘경계’의 확립이 엿보인다. ‘동방’이란 경계는 개개인의 신체처럼 민족, 국가라는 ‘하나의(=한)’ 지리적・문화적・정치적・종교적인 신체적 동질성을 ‘넋과 얼(靈魂)・핏줄・핏줄기(血脈)’ 확인을 통해 얻어낸 이른바 ‘한 겨레’ 조선의 ‘고유 장소’인 것이다. 따라서 범부의 ‘동방’・‘동방학’ 논의는 안으로는 ‘건국-민족’, 밖으로는 ‘세계-인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을 갖는다. 이처럼 이중의 목표를 갖는 범부의 동방, 동방학 논의는, 민족 공동체의 ‘단합・융화’라는 목표를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인 경계설정의 기초가 되는 ‘언어의 동질성’에 근거한다. 범부에 의해 새롭게 의식적, 자각적으로 구축되는 ‘東方學’이란 범부가 우리의 전통을 새롭게 ‘闡明’함으로써 생겨난 것이며 동방학의 하부 개념인 신라정신, 풍류도, 화랑 등이 결국은 해방 이후 한국의 건국의 논리, 이념 구축과 맞물려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진행되어 온 여러 연구들에서는 이런 점들이 선명하고도 충분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범부의 학문 과정에서 보이는 동방・동방학이란 관점으로의 자각적 轉化에 초점을 맞추고 그 과정을 추적하면서 동방학 개념을 자각적으로 천명하기 이전 시기(1915-1957)에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This paper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Oriental Studies(Dongbanghak) of Bombu Kim Jeongseol(1897-1966. penname Bombu)(hereinafter beombu), focused on the previous period of his the Oriental Studies(Dongbanghak) Lectures, began at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Dongbanghakyeonguso) of Konkuk University in 1958. Before that, from 1915, he went to Japan for studying, to 1957, the previous period of his the Oriental Studies Lectures at Konkuk University, is very important times for the process of building his own thoughts, especially in view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is paper, for the study period is limited from 1915 to 1957,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ime and the number of paper. And so the next study period that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paper is from 1958 to 1966, that is, 1958 is the year that Dongbanghak of Bombu is established, 1966 is the year that he is dead. Bombu, before 1958, in his workes uses three types terms, first, Joseon and Joseon culture is related to the Joseon studies(Joseonhak), second, East and Eastern culture is related to the Eastern studies(Dongyanghak), third, Orient and Oriental culture is related to the Oriantal suudies(Dongbanghak). During this period, he have used a mixture of these three terms. It seems to show characteristic of syncretism in his terms. But since 1958, he becomes to use the terms, i.e. Orient, Oriental culture and Oriantal suudies, ano so he almost not used the term East, East culture and Eastern studies, but if he use these, clearly distinguish and strictly separates two. In addition, prior to 1958, he thought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is Hwarang who is the young boys group(in first girls), physically healthy and beautiful, sons of the nobility in Shlla. They find and play the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military training and were practicing singing and dancing. Furthermore they are a shaman involved in the national memorial events. Thus, in Hwarang there are three aspects, that is, the military, the religious, the artistic. They has the spirit of elegance, so called, Pungryu and Pungryujeongsin. He based on the tradition of Hwarang and Pungryu become to build a national ethics(Gukminyunri). As a result, since his Hwarang, Pungryu and Pungryujeongsin, and Gukminyunri will converge on the Eastern studies. Thus, we realize, Bombu's Eastern studies is established through a step-by-step in his life.

      • KCI등재

        凡父 金鼎卨의 『東方思想講座』와 東方學에 대한 기초적 검토

        최재목(崔在穆)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2

        이 논문은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 1897-1966. 향년 70세)(이하 범부)의 『동방사상강좌(東方思想講座)』와 동방학(東方學)에 대해 기초적인 검토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여러 방면에서 범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의 생애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동방사상강좌』에 주목하고, 그의 동방학의 성격 및 내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한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범부의 ‘동방사상강좌’ 및 여기서 논의된 ‘동방학’의 실체를 건국대학교 부설 「동방학연구소」(1956년 설립)에서 진행된 이른바 ‘동방사상강좌’(제1강 1962년 9월 8일 시작) 13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범부의 ‘동방사상강좌’에 대해서는 〈설립 목적, 경위〉와 〈강의의 내용〉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범부의 ‘동방사상강좌’는 한국학 구축의 일환으로서 ‘동방학’의 특징을 새롭게 규정하고, 제시(천명)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범부가 제안한 동방학은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과 의미를 갖는다. 첫째, 범부의 ‘동방학’ 구상은 서방(西方)에 대항하고, 한계에 직면했다고 판단된 서방을 동방의 사상과 문화로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서양의 ‘물질-기계’로 인한 ‘인간의 상실’에 대한 ‘위기감’에서 출발한다. 둘째, 범부가 말하는 ‘동방’이란 한반도의 사유와 문화의 범위를 넘어서서, 중국(동이족 포함), 몽골, 시베리아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해양보다는 대륙 쪽에 종점이 놓여있다. 셋째, 범부의 동방학 강좌는 기본적으로는 동방사상문화의 특징을 ‘음양’(유무도 포함)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인식ㆍ파악하는 방법론으로서 직관(直觀). 나아가 즉관(卽觀)이라는 새로운 지(知)의 기법을 제시한다. 음양이라는 동방적 사유는 즉관에 의해 자연만물의 상(象. 이미지)을 캐치한 방법(=取象法)이라고 한다. 네째, 범부는 동방적 사상과 사유를 ‘순수, 고유’한 유형을 고층(古層)으로서 상정하고 그것이 현재로 전개한다는 식의 설명방식을 택한다. ‘고층→현대’라는 방식은 동방학의 시공간적 전개를, 어떤 전형이 있고 그것이 현재에까지 계승된 결과로서 보는 이른바 아키타이프 방식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범부의 ‘동방사상강좌’에서 살필 수 있는 새로운 한국학으로서의 ‘동방학’은 동서양철학을 포함하여 한의학, 건축학, 국어학, 국악 등의 방면에서, 아울러 당대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인물들(신채호, 최남선 등)의 역사관, 인문지리학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view on the Dongbangsasang-gangjoa(東方思想講座. Eastern Thought Lecture) and the Dongbang-hak(東方學. Eastern Studies) by Kim Jeong-seol.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because the studies on the Dongbang-sasang-gangjoa and Dongbang-hak, which is the core of his life, has not been paid attention, although research on the general public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Kim’s 13 lectures Dongbang-sasang-gangjoa were held at Dongbang-hakyeonguso(東方學硏究所. Eastern Studies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in 1956, of Keongug University. The lecture was held for about 3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1962. This study focuses on these lectures. In this study, the purpose and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ectures, as well as the form and content, were separately explained. Beobu’s lectures were a means of establishing his Korean studies. He tried to define and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Studies anew.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Eastern Studies suggested by Beombu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Lecture on Eastern Thoughts’ by Beombu is intended to newly define and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Education’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Korean studie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Eastern Vacations proposed by Beombu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 of Eastern Studies by Beombu was to oppose the West. He judged that Western civilization at that time was facing its limit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respond to the crisis of the West with the ideology and culture of the East. More fundamentally, Beombu start from the crisis about the loss of human beings caused by the material and machine of the West. Second, the East in Beombu’s terms goes beyond the scope of thought and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includes China, the Dongi people, Mongolia, and Siberia. It has an endpoint on the continent rather than the ocean. Third, Beombu’s Eastern Studies basically view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ideological culture as Yin-Yang(including presence and absence). In addition, a method to recognize and grasp it, a new technique of knowledge called Jikguan(直觀. Intuition), Jeukgan(卽觀. get it as it is), Chosangbeop(取象法. Get an image of an object). Fourth, Beombu assumes Eastern thought as ancient, pure and unique, and then it develops into the present, so this is a kind of archetype. Finally, it is presumed that Beombu’s Eastern Studies was influenced by and exchanged with the figures, for example Shin Chae-ho, Choi Nam-seon, etc.;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in relation to their view of history and human geography. Beombu’s Eastern Studies, as a new Korean studies, is newly illuminated and has the justification to be discussed, from the fields of Oriental medicine, architectu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music, including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 KCI등재

        ‘東’의 誕生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이 논문에서는 경주가 낳은 두 사상가 즉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을 ‘東’의 탄생이라는 ‘視點’에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다시 조명해보면서 범부는 신라 -경주로부터 내려오는 풍류를 잇는 수운의 혈맥을 다시 잇고 있는 것이라 보았다. 먼저 수운과 범부의 ‘東’이란 은유의 배경 찾기로서 다양한 ‘東’의 의미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근대기 일본의 논의까지 안목에 두고 살펴보았다. 즉, 〈‘東’ - ‘日出’ 지역 쟁탈전〉, 〈‘西’에 맞선 ‘東’이라는 시점〉, 〈‘東洋’의 의미〉,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 〈‘빛은 동쪽에서’(Ex Orient Lux) - 한국의 ‘동/동방’ 찾기: 元曉, 塞部〉, 〈타고르가 말한 ‘東方의 등불’ 코리아(조선)〉, 〈‘東’의 우월성’, ‘東洋思想’의 등장〉, 〈근대기 동아시아의 ‘동양’ 논의 -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일본의 ‘동양’-‘아시아’라는 개념논의 - 이 그것이다. 이것은 최치원 등에 의해 ‘동’으로 대표되는 ‘신라 -경주’-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으로 전승되는 문화사적 고리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어서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이 서로 소통하고 있다는 것을 몇가지 증거를 들어 논의하였다. 즉, 〈최근 신라-경주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 〈수운, 범부의 ‘해동’-‘신라’-‘경주’로의 눈돌림〉, 〈수운의 ‘다시개벽’에서 범부의 ‘동방르네상스’로〉, 〈신라, 경주 문화의 특수성 규명의 방법-범부의 ‘오증론(五證論)’〉, 〈‘血證’論의 확대-범부의 「崔濟愚論」: 무속(巫俗), 계시(啓示), 한울님[天主]의 강림(降臨)에 주목-〉, 〈범부의 ‘사우맞음(대조화)=풍류’는 수운의 ‘內有神靈外有氣化-侍天主造化定’의 부활〉, 〈수운의 ‘仙道+武道+巫俗’(「劍訣」)와 범부의 ‘花郞道’=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가 그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수운과 범부에게서 공통되는 요소들 ①신라-경주에의 주목, ②‘다시개벽’론-‘동방르네상스’론, ③‘내유신령외유기화’-‘시천주조화정’과 ‘사우맞음(대조화)’=‘풍류’, ④ 예컨대 「劍訣」에서 보이는 ‘仙道+武道+巫俗’의 특질과 ‘花郞道’의 ‘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의 특질이 지적되었다. 이렇게 수운과 범부의 연결을 통해 ‘동-동방’ 논의의 평가와 그 의의를 되짚어 보는 것은 이제 시작일지도 모른다.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은 ‘동=동방의 탄생’을 통해 우리 민족의 근저가 되는 ‘문화전통’의 본질적 요소들을 당시의 상황에서 재현하려는 하나의 노력이거나 운동이었음을 우리는 기어갈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노래와 영화 ‘신라의 달밤’ 등은 모두 신라-경주의 발견과 재탄생을 의미했고 신라-경주가 근-현대 한국적 맥락에서 또 다른 ‘시공간’으로 새롭게 탄생되던 것처럼 말이다.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two thinkers i.e. Suun Choi Jewoo and Bombu Kim Jeongsol who are born in Gyonju of Korea. Suun advanced Donghak(the east studies) against Seohak(the west studies). And Bombu advanced Dongbanghak(the orient studies) against Seobanghak(the occident studies). The Dongbanghak of Bombu, basically, succeed the Donghak of Suun. Suun is known as a close friend with Bombu’s grandfather in Gyonju. And so, Bombu seems to have many chance to hear from his grandfather or the neighbors about Suun. This study, especially, focus on how to born the viewpoint of the east in Suun and Bombu. The two thinkers pay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values and traditional ethos in korean, from the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o their days, because of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Pungryu(taste for the arts and a romantic turn of mind)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i.e. Jujahak(Zhuxi studies) one of the Neo-confucianism, the Christian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Then Suun’s Donghak against Seohak in spirit a shamanist custom as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仙道/巫俗). And Bombu’s Dongbanghak match for west in ancient and medieval culture, Pungryu of Silla, that i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for building nation morals and ethics strategies. Thus, the two thinkers, who is as a tradition-minded person, asserted each Donghak and Dongbanghak studies, as the main purpose of alternative cultural vision for survival strategy in modern korea under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 KCI등재

        17-20세기 러시아 만주학 연구의 시작과 전개과정 -북경교회사절단을 중심으로

        강인욱 ( Kang In U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본고에서는 북경교회사절단을 중심으로 만주학의 연구를 일괄하고 그 전후 러시아의 만주족 연구에 대한 학사적 검토를 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난 300여 년 간의 러시아 동방학연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하고 중요하다. 한문 중심의 중국사가 아니라 그들과 외교관계를 맺은 청나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빨리 만주어 연구에 돌입했고, 그 이해 수준도 매우 높았다. 즉, 극동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인식되는 대부분의 만주연구와 달리 러시아에서는 청나라와 국경을 접하는 첨예한 외교관계 속에서 발달되었으며, 한문의 보조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정식 외교언어로 만주어가 연구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18-20세기 초반 사이에 제정러시아의 북경교회사절단 및 그들이 양성한 학자들의 의해서 상당수의 만주는 물론 중국 전반에 관한 역사와 언어가 번역되어서 러시아 동방학의 기초를 수립했다. 이후 제정러시아의 동방학은 20세기 이후 고고, 역사 등으로 확대되어서 독특한 러시아 동방학의 전통은 물론, 구 사회주의권의 동방학 형성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이와 같이 조선이 나선정벌로 대표되는 러시아의 극동 진출은 북경교회 사절단으로 이어졌고, 러시아는 물론 사회주의권의 만주학을 발달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서 북경교회 사절단의 역할은 국내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바, 본고에서는 북경교회 사절단의 주요한 업적을 소개하고, 그들이 20세기 이후 러시아의 만주학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author analyses the beginning of Manchu study in Russia from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 BCE. It is worthwhile to notice that Sino-Russian borderline conflict and diplomatic relation with dynasty Qing promoted the development of manchu study in Russia. After the Albazin ostrog was stormed by Qing troops in 1685, some of Cossacks moved to China and relocated to Dongzhimen of Beijing. In spite of relocation, these Albazinian strongly withheld their own belief. Since 1713 year, Russia sent Russian Orthodox Church Missionary to Beijing to serve Albazinian. Contrast to catholic missionaries in China. Russian Missionary in Beijing didn`t engage in evangel to chinese and most of time they spent in translating manchu language to russian and occupied in researching chinese history and culture. Like this, manchu language was not regarded as a secondary, but official language for Russia. Until the Boxer Rebellion of 1898-1900, Russian Orthodox Missionary functioned as main source of manchu(=Jurchen) study in Russia. Although most of manuscript still remained unpublished, archive materials widely used during Soviet Era. Recently Larichev V.E. had been edited and published `Liaoshi(History of Liao Dynasty)`, `Jinshi(History of Jin Dynasty), `Yuanshi(History of Yuan Dynasty) and etc.. Furthermore, archaeological researches on Jurchen was also motivated by this Manchu study of Russian Orthodox Church Missionary. Ducher of upper basin of Amur river and Jurchen culture of lower basin of Amur river are identified as material remains of Jurchens(=manchus).

      • KCI등재

        傅斯年의 역사연구 방법론과 역사인식 : ‘學術報國’이 남긴 것

        김창규(Kim, Chang-gyu) 한국사학사학회 201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1

        Fu Ssu-nian, who was one of the most famous historians of modern China, contributed to the scientization of Chinese historical research by transplanting the methodology of German positivism into China and thus made the historical science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n China. His remarkable research on Chinese archeology can also be considered as his important achievement. He cleared up the unsolved questions of the ancient Chinese history by unearthing Yinxu and constantly trained many leading archeologists. However his methodology had not any philosophical grounds for humanistic values because he excessively trusted the Western tradition of scientific positivism and adapted it to the Chinese history. He took no notice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essences of life, and moral values as well as the rules of historical change and development and its causal relations. It's a wrong opinion that Fu Ssu-nian transplanted the Ranke's positivism into China. Ranke would never try to expel philosophical ideas from history although it can be true that he considered historically positive materials as great important factors in his research. In fact, Ranke thought that the power of history depended on 'Ideas' or 'spiritual substances.’ Ranke's detailed and strict methodology cannot be considered as the final end of historical research but as an effort to find out the leading ideas of each historical stage. We can say that Ranke would not emphasize positivistic research exclusively but Fu Ssu-nian and a few modern Chinese historians would. China and its people were being threatened by the invasion of imperialism when Fu Ssu-nian worked in China. For this reason, his research and perception had a great tendency of nationalism. He was inclined to subordinate historical facts to his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In terms of his national problems, he tried to disregarded his usual conviction that he had emphasized the scientific and positivistic research before. Such an aspect says that Dong-bei-shi-gang(『東北史綱』) is a groundless and failed historical research. By the same reason, it seems that the contemporary Chinese Northeast Project(東北工程) also depends on an illogical basis traced back to his failed theory. We can make sure that the attitude of many contemporary Chinese intellectuals towards Northeast Project and national problems is not different from Fu Ssu-nian's. We ought learn from his mistake that historical researches can be easily reduced into an useful instrument to political powers and make historians lose their academic pride as well as produce misunderstanding of history if they cannot keep a good distance from his contemporary political issues.

      • KCI등재

        19~20세기 러시아의 만주 연구와 발해 인식

        김봉숙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8

        본 논문은 네르친스크조약 이후 러시아의 만주 연구 양상과 그에 따른 발해에 대한 인식 변화를 전반적으로 검토해 본 것이다. 러시아는 러시아 정교회 북경 선교단을 파견해 중국 변방의 역사 및 지역연구를 시작했다. 정교회 수사와 동방 학자들은 학술조사를 통해 발해를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고고학을 기본으로 한 발해사 연구를 병행해 이때부터 발해사의 러시아사화가 진행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는 만주 지역에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독점하기 위해 청에 동청철도 건설 특권을요구해 러시아 병력을 실질적으로 만주에 주둔시키는 황러시아 계획을 수립했다. 러시아인들은 자국의이익을 위해 동방학 단체를 조직해 만주 지역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를 하는 한편, 만주 지역의 유적을조사해 발해, 말갈, 선비 등의 실체를 고고학적으로 규명했다. 이는 근대 흑룡강 지역의 역사 및 고고학 방면에 관한 조직적인 연구 활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동성문물연구회는 흑룡강성박물관을 설립했으며, 발해 상경성 유적을 발굴했다. 상경성 발굴은 발해 고고학의 출발점인 동시에 한·중·러· 일의 발해 고고학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