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0년 도쿄올림픽과 도쿄 베이 존 : 부동산 주도 도시재생의 궤적

        김은혜(Kim, Eun-hye) 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학 Vol.21 No.2

        이 연구는 2020년 도쿄올림픽의 주요 개최지인 도쿄 베이 존을 둘러싼 부동산 주도 도시재생사업과 환경친화적 도시 정책의 궤적을 분석한 논문이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2020년 도쿄올림픽의 개최는 1년 연기되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경관은 계속 세계화되며 도시정책도 유사한 방식으로 재생산된다. 도쿄 사례는 유치 초반부터 런던 사례를 참고하면서 워터프런트 도시재생(집객도시 만들기)이 확장된 형태였다. 일본은 2020년 부흥올림픽을 위해 그린 올림픽과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며, 바다의 숲 조성이나 그린 건담 프로젝트 등 문화전략을 추진했다. 올림픽, 엑스포 등과 같은 메가 이벤트는 도심 공유지에 대한 투기적 개발 과정에서 중앙-지방정부 간의 정치-경제적 협력과 갈등을 겪으며 진행된다. 아베 총리는 도심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건설 및 부동산 경기부양책으로서 올림픽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도지사는 공유지 도쿄만의 도시재생에 대한 개입과 주도권을 행사해왔다. 올림픽 유치에 기초를 놓았던 이시하라 도지사는 교육과 복지 등의 재정 지출 삭감분을 도심의 인프라 정비로 전환했는데, 이는 도심에 민간자본을 투자하는 방식의 신자유주의 도시정책이었다. 결과적으로 세계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쿄 베이 존에 대한 선택과 집중 논리에서 추진한 부동산 주도 도시재생은 2020년 올림픽과 카지노 계획으로 수렴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jectory of eco-friendly urban policy and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rrounding the 2020 Olympics and Tokyo Bay Zone. Due to the recent prolonged COVID-19, 2020 Tokyo Olympics have been postponed until 2021. Originally, the urban landscape continues to be globalizing and the trend of urban policy is reproduced in a similar way. Tokyo Olympics were promoted as part of the waterfront urban regeneration(complex attracting city), which were promoted by referring to examples from London etc. The mega-events such as the Olympics and Expo are held through strengthening speculative development over public lands in the urban core area, the relationship national-local governments experience conflict or cooperation. Prime Minister Abe planned the cultural strategy of compactness and sustainability for the 2020 Recovery Olympics such as sea forest project or Green Gundam project, but the city-centered urban regeneration actively was utilized the Olympics as a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stimulus. The governor in Tokyo has took the initiative and intervention in urban regeneration in Tokyo Bay, a public land owned by TMG. The Ishihara regime, which laid the groundwork for the Olympic Games, was a neo-liberal urban policy by investing private capital in the city center by turning the cutbacks from the areas of education and welfare into infrastructure maintenance. As a result,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for Tokyo’s urban competitiveness toward a global city in Tokyo Bay Zone will converge in the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of the 2020 Olympics and Casino Plan.

      • KCI등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쿄올림픽에 관한 인식 분석

        김태훈,오응수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제32회 도쿄올림픽과 관련된 뉴스, 블로그, 카페, 지식인, 게시판 등 소셜미디어상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도쿄올림픽에 대한 전반적인 여론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일괄처리솔루션 TextoM을 사용하여 개막 전, 기간 중, 폐막 후(2021년 6월 16일~9월 9일)로 나누어 인터넷 포털사이트(Naver, Daum, Google)의 뉴스, 블로그, 카페, 지식인, 게시판에 나타난 도쿄올림픽 관련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 의미연결망 분석, CONCOR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쿄올림픽과 관련하여 주요 키워드 간의 관련성, 군집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대중의 인식을 살펴보면, 도쿄올림픽 개막 전에는 도쿄올림픽 개막, 올림픽 참가, 개막식 참가, 한국 경기정보, 선수촌, 한국축구, 국내관심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도쿄올림픽 기간 중에는 도쿄올림픽 폐막, 경기정보, 여자배구, 한국경기정보, 국내 관심으로 구분되었으며 도쿄올림픽 폐막 후에는 도쿄올림픽, 패럴림픽, 국내 관심, 북한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쿄올림픽에 대한 대중들의 여론 및 인식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1964년 도쿄올림픽과 도시개조

        김은혜 ( Eun Hye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09

        1964년 도쿄올림픽은 전전 기획되었던 1940년 도쿄올림픽을 복원함과 동시에, 일본의 고도성장과 평화체제를 세계에 알린 아시아 최초 올림픽이라 평가된다. 고도성장기 도쿄올림픽 주도의 도시개발은 GHQ와 일본 정부 간의 접수지 반환 교섭을 촉진했다. 미군 가족용 숙사 워싱턴 하이츠 부지는 단게 겐조 설계의 국립실내 총합경기장, 선수촌(이후 요요기공원), NHK방송센터로 변화되었다. 도쿄올림픽은 안보투쟁이 정점으로 치닫던 정치의 계절에서 이케다(池田勇人)내각의 소득배증계획의 대중소비사회로 변화했음을 상징했다. 도카이도 신칸센은 태평양벨트지역(도쿄-나고야-오사카)을 연결한 메갈로폴리스를 형성했다. 수도고속도로는 에도의 수로를 매립해서 건설되었고, 하네다 공항과 도심은 모노레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부족한 생활기반 속에서 도쿄가 빠르게 팽창하면서, 도쿄 도지사는 IOC위원 아즈마 료타로에서 혁신자치체 미노베 료키치로 전환되었다. 도쿄올림픽은 도쿄의 도심과 주변 지역을 기존의 전쟁을 위한 군사적 공간에서 전후형 내셔널리즘의 공간으로 변화시킨 기폭제였다. The 1964 Tokyo Olympics restored the missing Olympics 1940, announced to the world the high growth and peace regime as the first Olympic games in Asia, and Tokyo Olympic-driven urban developments in high growth period provided new impetus to the negotiations for return of the requisition land between GHQ and the Japanese government. Especially, Washington Heights, U. S. Occupation Forces’ family housings have been changed by Olympics: Yoyogi National Gymnasium designed by Kenzo Tange, Olympic village (later Yoyogi’s Park), and NHK’s Broad Casting Center. Tokyo Olympics changed the Japanese society from the political period, ‘Anpo Toso’ - the national movement opposing the US-Japan security treaty in the early 1960s - to the Prime Minister Hayato Ikeda’s Income Doubling Plan, published in 1960 drastically. Tokaido Shinkansen (bullet) train linked the so-called Pacific Belt Zone, for Tokyo-Nagoya-Osaka megalopolis. The Metropolitan Expressway was built with waterway’s reclamation in Edo period, and the Tokyo Monorail linked between the urban core and Haneda Airport. Tokyo was expanding rapidly for the lack of life facilities, Tokyo governor was changed from IOC member Dr. Ryotaro Azuma to the progressive governor, Ryokichi Minobe after Olympics. Tokyo Olympics were the catalyst that has changed central and inner cities in Tokyo from the military space for war to space of nationalism in postwar Japan.

      • KCI등재

        2020년 도쿄올림픽과 글로벌 문화도시 구상‒긴자와 긴자식스의 사례‒

        조규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As the host of 2020 Tokyo Olympic, Japan puts emphasis on ‘Cool Japan’, an overseas development project for Japanese Culture, and looks forward greatly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nd tourist industry through policies such as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foreign visitors. Particularly for Tokyo as the Olympic host city, it is worthy to pay attention to its complex shopping mall project driven in association with its rec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investigated Japan’s culture contents strategy in association with Tokyo Olympic called ‘Global Culture City’ and ‘National Prosperity through Tourism’,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Ginza Six, the complex shopping mall newly opened in 2017. Ginza Six is newly redefin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Japanese culture in order to pave the way for ‘Global Culture City’ and ‘National Prosperity through Tourism’, bearing 2020 Tokyo Olympic in mind. Tokyo’s Ginza is trying to change its city brand image to Global Ginza and this means a formation of Japan’s new cultural platform that connects the world with region, evolving from Ginza’s history. AT the same time, Ginza is now reborn as a space of new luxury where domestic and foreign people can enjoy traditional culture and art in ‘Original Luxury 1st Street’.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in Japan’s various policies of urban regeneration and regional prosperity, region’s cultural transformation and new value creation shall be appearing in a form of implementing more from the aspect of foreign tourists.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를 맞이하여 일본문화 해외 개척사업인 ‘쿨 재팬(Cool Japan)’에 역점을 두면서, 해외 방문객 편의성을 높이는 정책 등을 통해 지방창생(地方蒼生)과 관광산업 활성화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특히 올림픽 개최도시 도쿄는 최근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복합쇼핑몰 추진이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에서는 2017년 새롭게 오픈한 긴자식스(GINZA SIX)라는 복합 쇼핑몰을 통해 도쿄올림픽과 연계한 ‘글로벌 문화 도시’ 및 ‘관광입국(觀光立國)’이라는 일본의 문화콘텐츠 전략과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긴자식스는 2020년 도쿄올림픽을 염두에 둔 ‘글로벌 문화 도시’와 ‘관광입국’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일본문화의 정수(精髓)와 의의를 새롭게 재구성하고 있다. 도쿄의 긴자는 세계의 긴자로 도시브랜드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는 긴자의 역사가 진화되어 세계와 지방을 연결하는 새로운 일본문화플랫폼의 형성을 의미한다. 2020년 도쿄올림픽은 관광입국을 위한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긴자는 ‘원조(元祖) 럭셔리 1번가’에서 내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전통문화와 아트를 체험하는 뉴럭셔리(new luxury)의 공간으로 재탄생되고 있다. 즉 긴자 지역도 지역 고유의 문화정체성에 방일 외국인 관광객의 관점이 수용되면서 도시문화의 변용 및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 KCI등재

        올림픽을 통해 본 일본정부의 인바운드 관광전략과 국가이미지홍보전략 ─ 1964년과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중심으로 ─

        강성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일본의 인바운드 관광전략과 국가이미지 개선 전략을 1964년과 2020년 올림픽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1964년 도쿄올림픽은 일본이 일본 국가를 홍보하고 군군주의적인 국가이미지를 평화적인 이미지로 전환하는 변곡점이었으며 국제사회에 일본의 국가적 지위를 향상시킨 올림픽이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본은 2020년 올림픽을 통해 성취하려고 하는 명확한 전략과 아젠다를 가지고 있다. 일본은 올림픽 개최국으로 선정 된 것이 일본의 문화와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절호의 기회이며, 일본의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 중 하나인 인바운드 관광 정책 추진의 모멘텀(momentum)이라고 전제하고 외국인의 방일을 장려하는데 총력을 쏟고 있다. 또한 일본은 2020년의 올림픽을 일본의 이미 긍정적인 국가이미지를 더욱 강화하고 경제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3.11 지진과 쓰나미 재난 이후에 일본의 회복 모습을 전 세계에 발신하는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본의 인바운드 관광전략과 국가이미지홍보 전략을 1964년과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려고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Japan’s strategy for promoting inbound international tourism and enhancing its nation-branding via the hosting of the Olympics. The 1964 Tokyo Olympics was a turning point for Japan to increase inbound international tourism and to transform its image from a militaristic (or ultra-nationalistic) nation to a peace loving one. At the same time, Japan succeeded in elevating its international standing. Similarly, for hosting of the 2020 Tokyo Olympics Japan has a clear strategy and agenda.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2020 Tokyo Olympic Games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Japan to revitalize its economy and elevate its nation brand around the world. Also, through the 2020 Olympic Games,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s to boost inbound international tourism by promoting Japan as a tourism-oriented country. In the process, it hopes to recover Japan’s nation-brand, which has been tarnished due to two decades of economic slump and 3.11 disaster.

      • KCI우수등재

        언론 보도기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2020 도쿄올림픽 사회적 담론 분석

        김남규,김찬룡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본 연구는 도쿄올림픽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력을 폭넓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담론과 사회적 이슈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조망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TF 분석, TF-IDF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코로나19 발생 전, 올림픽 연기 발표, 올림픽 개막 전, 올림픽 개막 후로 구분후 시기별 분석을 수행해 도쿄올림픽과 관련된 담론과 사회적 이슈가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망하였다. 이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가 올림픽에 미친 영향과 올림픽 기간에만 집중되는 비인기종목에 관한 관심,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역사성에 기인한 도쿄올림픽의 특성을 중심으로 도쿄올림픽이 한국 스포츠계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ext mining, a big data analysis method, to broadly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Tokyo Olympics on our society and to examine how discourse and social issues have changed accordingly. Specifically, TF analysis, TF-IDF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divided into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announcement of the postponement of the Olympics, before the opening of the Olympics, after the opening of the Olympics, and analysis was performed by period to examine how discourse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Tokyo Olympics change over tim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process, we looked into the implications of the Tokyo Olympics on the Korean sports world, focusing on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Olympics, interest in unpopular sports that are focused only during the Olymp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kyo Olympics due to the historical nature of Korea and Japan.

      • KCI등재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신화와 현실

        김재한,정기웅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3

        This paper review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Olympic Games co-hosted by two Koreas. First, the authors analyze the effects of Olympic Games hosted by three different cities of Northeast Asia, respectively: Tokyo in 1964, Seoul in 1988, and Beijing in 2008. The effects are organized on politics, society, economy, industry, and foreign relations. Next, the effects of the Olympic Games hosted by the divided countries are discussed. Co-hosting the Olympic Games would lead Korean people to meet a critical juncture in their history. This review will provide narrative, justification, destination, and strategic direction for co-hosting the Olympic Games. 본고는 올림픽 남북한 공동 개최의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먼저, 동북아시아 국제질서 현장을 베이징, 서울, 도쿄 즉 이른바 베세토로 보고 1964년 도쿄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등에 집중하여 올림픽 개최의 효과를 분석한다. 올림픽 개최의 효과 분석은 정치·사회, 경제·산업, 대외관계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다음,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가 가져올 북한 및 남북한관계에 대한 파급효과 등을 검토한다. 올림픽 공동 개최는 남과 북 모두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침으로써 한민족 역사 전개에 있어 결정적 분기점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올림픽 남북 공동 유치의 내러티브와 전략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올림픽 공동 개최의 당위성 검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도쿄올림픽 4위가 주는 인식적 함의: 야구와 여자배구를 중심으로

        권헌수 ( Gwon Heon-su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6

        연구목적: 이 연구는 도쿄올림픽에서 보여준 야구와 여자배구의 4위에 대한 인식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과중심의 ‘금메달 지상주의’에서 벗어나, 과정중심의 ‘스토리텔링’에 더 주목하게 된 일련의 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YouYube에서 ‘도쿄올림픽 야구’와 ‘도쿄올림픽 배구’를 키워드로 설정하였으며, 2021년 7월 23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의 관련 게시글 및 댓글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인 에스노 그라피(Internet Ethnography)를 적용하였다. 결론: 이와 같이 수행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프로야구에서 ‘호텔 술판’이라는 방역법 위반으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도쿄올림픽에서 불성실한 태도 논란으로 대중들의 비난 여론을 쏟아 내었다. 둘째, 여자프로배구에서 쌍둥이 자매의 학교폭력으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노장의 투혼과 부상에도 몸을 내던지는 경기에 ‘원팀’이라는 칭호를 받기에 충분하였다. 셋째, 야구와 여자배구 두 종목 모두 4위에 머물렀지만, 대중들은 최선을 다한 배구대표팀에게 위로가 아닌 환호를 보내고 있었다. Pupose: In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cognitive implications of 4th place in baseball and women's volleyball at the Tokyo Olympics. To this end, we wanted to explore a series of processes that focused more on process-oriented ‘storytelling’, away from the result-oriented ‘gold medal supremacy’. Method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searched for the name ‘Tokyo Olympic Baseball’, ‘Tokyo Olympic Volleyball’s in the YouTube and analyzed related posts and comments from 23 July 2021 to 30 September 2021. The analysis employed the Internet Ethnography method in order to facilitate the analysis of discussions and opinions from many people in this online space. Conclus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caused controversy in professional baseball for violating the quarantine law called “hotel drink”. Since then, he has been criticized by the public for the controversy over his unfaithful attitude at the Tokyo Olympics. Second, the twin sisters' school violence in women's professional volleyball caused controversy. However, it was enough to receive the title of 'one team' in the match where the veteran player threw himself away despite the fighting spirit and injuries. Third, both baseball and women's volleyball were ranked 4th, but the public was cheering rather than consoling the volleyball team that did their best.

      • KCI등재

        `96 도쿄 세계도시박람회 중지의 딜레마: 개발간담회를 중심으로

        김은혜(Kim. Eun-hye)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2

        1980년대 서구 세계도시들은 산업 재구조화로 인한 항만 지역의 쇠퇴를 극복하고자 ‘텔레포트’(teleport, 텔레커뮤니케이션과 항구의 합성어) 개발 프로젝트를 앞다투어 시행했다. 일본에서도 중앙정부 및 도쿄도와 민간자본, 그리고 유명한 건축가 단게 겐조 등이 연합해서 워터 프런트 개발 촉진을 위한 이벤트로서 `96 세계도시박람회(도쿄 프런티어)를 추진했다. 그러나 과열되었던 거품경제가 꺼지고 90년대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도쿄도(東京都, TMG)뿐만 아니라, 여러 광역 지자체들도 재정 문제를 겪게 되었다. 1995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당선된 무당파 아오시마 유키오 도지사는 도시박람회 중지 논의를 위해 ‘도쿄 임해부도심 개발간담회’라는 자문 기관을 설치한 후 총 17회에 이르는 회의를 진행시켰다. 개발간담회에서는 개발의 목적과 운영 책임, 그리고 토지이용과 처분 등 여러 쟁점이 논의되었고, ‘1일 도민 간담회’ 등을 통해 의견 수렴 과정도 거쳤다. 그러나 개발간담회는 합의점에 이르지 못한 채, 이례적으로 완전 재검토와 부분 재검토를 병기한 보고서를 제출한 채 종결되고 말았다. 이후 개발 계획은 큰 변경 없이 계속되어 갔지만, ‘생활 도시’를 지향하는 아오시마 도지사는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을 표방하는 중앙정부와 대립했다. 1999년 우파 포퓰리즘 성격의 이시하라 신타로가 도지사 선거에 승리하면서 도쿄만의 재개발 방향은 2016·2020년 도쿄올림픽 유치 활동으로 전환되었다. 이 연구는 최근 코로나 확산과 도쿄올림픽 개최 논란 가운데 재소환되는 ‘96 세계도시박람회 중지를 둘러싼 딜레마를 분석해 본다. The global cities rushed to develop a ‘teleport’ (a compound word of telecommunication and port) projects to overcome the urban decline of bay areas with industrial restructuring in the 1980s. The 96 Urban Expo (also known as the Tokyo Frontier) was the city boosterism to promote such a huge waterfront development project by coali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Tokyo, private capital, and architect Kenzo Tange. However, the Japanese economy in the 1990s suffered the prolonged recession that followed the collapse of the overheated economic bubble of the 1980s,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TMG) had the huge fiscal deficit. The non-partisan Yukio Aoshima won in 1995 Tokyo governor election, decided to stop the `96 World City Expo. To reconsider the development plan, the Governor’s advisory committee was held a total of 17 times. Various issues such as the purpose of development, responsibility, land use and disposal were discussed in committees. The round-table meeting for rethinking development plan which the citizens participated went through public comment to collect the opinions. But the committees were noted both complete and partial review, without reaching an agreement. Moreover, as the development plan continued without major revisions, the Aoshima governor oriented toward the resident-friendly city came up against the central government advocated for neoliberal structural reform. After that, the election of governor Shintaro Ishihara and his right-wing populism promoted the 2016/2020 Olympic Games in Tokyo. Amid the recent controversy over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hosting of the Tokyo Olympics, it needs to analyze the dilemma of cancellation in the World City Expo.

      • KCI등재

        2020 일본 도쿄올림픽과 소프트 파워 강화전략

        강성우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This paper examine how Japan brings about enhancing soft powe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oft power refers to the ability to change others (other countries) by the attractiveness of a nationals culture, ideals, and policies. The Olympic as a mega event has always meaningful economic, social impact on the host country. Based on awareness of needs for strengthening soft power,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making the most of the Olympics from the process of preparation. After Japan has succeed in its bid to host the 2020 Tokyo Olympic Game,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strengthening its policies on promoting Japanese cultural contents. “Cool Japan,” which has been the slogan of Japan's cultural policies and industries.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2020 Tokyo Olympic is set as the momentum of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to enhance Japan’s soft power in international arena. 본 연구는 세계화시대에 국제관계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소프트 파워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파워는 국가의 호의적 이미지 형성과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준다.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을 유치하고 이를 통해 일본이 미래 산업으로 주목하고 있는 문화정책과 산업을 강화하려고 한다. 이에 본고는 일본의 정부문서와 신문 자료들을 중심으로 일본이 2020년 도쿄올림픽을 통해 성취하려고 하는 바를 분석하고, 일본정부가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해온 ‘쿨재팬’으로 대표되는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진흥을 통한 소프트 파워와 강화에 도쿄올림픽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일본의 2020년 올림픽과 일본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 전략을 문화정책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에 대한 연관성을 고찰하려고 한다. 일본정부는 일본 문화를 상품화하여 세계에 일본의 이미지를 재고하게 하며, 국가의 이미지를 매력적으로 브랜드화 하는 전략의 일환으로서 대규모 국제행사인 2020년 도쿄올림픽을 유치하고 실행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 일본의 사례는 대규모 국제행사에 유치와 실행과 관련하여 우리에게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