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도서(섬)학회의 지속가능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연구

        이웅규,이동신,김농오,김용완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to be performed as by a national society related to islands of Korea before deciding on future activities and project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his is the result of evaluating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scholars to the island communities but also the duty of chairman and edito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piece of research in that various theories and methodologies should be introduced in a wide range of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sociology, geography, physics, and ICT-related disciplines. It was, in addition, the basic rol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of specific areas called the islands. In particular, the basic role should be to find the roots of island area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societies in that they are the academic areas that are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sland resident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identity of islands area and inspire local residents with pride and affection for their insular homes. Ultimately, the basic role is to be the driving force for island development. Today's island science is a comprehensive field of study that understands the historical processes that have created and transformed island areas and seeks to build a better future for island areas.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esented six soci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he contents roles, and duties for conside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island integrators or project managers; second, the role of the coordinator of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island science archives; third, it serves as an expeditor for island development; then, it is the role of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the attractiveness evaluation of island tourist spots; next, it serves as a visionary and leader of island development; and finally, it has a role as a collaborator with other indust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본 연구는 미래 한국도서(섬)학회의 지속가능한 시‧공간적인 활동과 사업내용을 정하기 전에 우리나라 도서(섬) 관련 전국 학회로서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문헌적으로 탐구하였다. 이것은 도서(섬) 지역사회에 대한 학자로서의 책임뿐만 아니라 한국도서(섬)학회의 회장 및 편집위원장으로서의 의무에 대한 평가로 나타난 결과이며, 적응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목적으로 했던 한국도서(섬)학회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은 종합 학문으로서 경제학, 사회학, 지리학, 물리학, 그리고 ICT 관련 학문분과 등 광범위한 학문분야에서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이 도입되어야 하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도서(섬)학회가 도서(섬) 지역이라는 특정 지역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서(섬)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학문영역이라는 점에서 특히, 다른 학회와 구별되는 도서(섬) 지역의 뿌리를 찾는 작업을 시작으로 해서 도서(섬)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 지역주민에게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켜 궁극적으로 도서(섬)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그 기본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도서학(島嶼學)은 도서(섬) 지역을 만들고 변화시켜 온 역사적 과정을 이해하고, 그 기반 위에서 보다 나은 지역의 미래를 모색하는 종합적인 학문 영역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도서(섬)학회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도서(섬) 지역 통합가(Integrator) 혹은 사업관리자(Project Manager)로서의 역할, 둘째, 도서학(島嶼學) 아카이브의 수요와 공급체계 조정자(coordinator)로서의 역할, 셋째, 도서(섬) 지역 발전 촉진자(Expeditor)로서의 역할, 넷째, 도서(섬) 관광지의 매력성 평가에 따른 관광자원 개발방향 제시의 역할, 다섯째, 도서(섬) 지역 발전의 비전 제시 및 리더(Leader)로서의 역할, 여섯째, 타 산업 및 관계기관과의 연대자(Collaborator)로서의 역할이다.

      • KCI등재

        도서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4차 산업 핵심기술 활용방안 연구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중심으로 -

        김도형,이승권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4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pecially on how to revitalize the cultures of 'islands area'.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influence our lives at different levels and it is obvious that it alters our environment decisively. As far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resolve the information gap, we should expect that it can change in innovative ways in different fields within the 'islands area' cultures. However, some experts warn that they could also deepen the information gap between areas and social classes. Korea is also representative of the 'islands area' cultures phenomenon and is a land with cultural and information blind spots. Fortunately, the ICT development can reduc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the mainland and the islands even though digitalization and capitalism carry a high possibility of exclusi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islands area' cultures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Bigdata as well as the emergence of mobile devices, all of which have been desig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 global village with ICT network. Paradoxically, these changes can resolve the im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areas that lag behind. According to our decisions, this research aims at stressing solutions for developing culture and art in the 'islands area' including using Bigdata,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 AR, VR and other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ould all be operated within the ISIQISA (Improvement System in life’s Quality of Island Area). This system would be activat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data, would share human resources and contribute to solve the lack of human labor and the aging of population. Furthermore, we can expect the chances for integrating the local youth to be beneficial as the culture is developed on the islands. Ultimately, clouding social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ICT will maximize the revitalization of 'islands area' cultures by carrying out measures that design a platform for boosting cultural marketing, museums of 'islands area' cultures, games and tour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여 소외된 도서(섬) 지역의 문화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우리의 삶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지를 속단할 수는 없지만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문화 소외지역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것만이 아니라 낙후된 도서(섬) 지역의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서(섬) 지역은 대표적인 소외 지역으로 문화 소외는 물론이고 정보화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다행히도 ICT의 발달로 육지와 도서(섬) 지역의 정보 격차가 줄어들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도서(섬) 지역의 정보화가 늦어지거나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가지고 도서(섬) 지역의 문화 소외를 극복하고 관광활성화를 통한 도서(섬)의 발전과 고유문화를 발굴하기 위한 방안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소외된 도서(섬) 지역에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도서(섬) 지역의 문화를 활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을 비롯한 IoT, Bigdata 등은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단기간에 지구촌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들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낙후되어 있는 도서(섬) 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판단에서 본 논문은 도서(섬) 지역을 홍보하는데 인공지능을 비롯한 Bigdata, IoT, Drone, AR, VR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하고, 도서(섬) 지역을 스마트한 환경으로 만들 수 있는 도서(섬) 지역 삶의 질 향상시스템(ISIQISA, Improvement System in life's Quality of Island Area)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및 빅 데이터 기술의 최적 함수를 적용하여 도서(섬) 지역의 인적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청년층이 도서(섬) 지역으로 유입되는 계기가 되어 도서(섬) 지역의 사회문화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소셜 데이터와 ICT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도서(섬) 지역의 문화 활성화에 필요한 플랫폼을 만들고 문화마케팅, 게임, 도서(섬) 박물관, 관광 등, 도서(섬) 지역 활성화에 필요한 방안(ISIQISA)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블록체인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 도서지역 문화를 중심으로 -

        김여진,최석만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4

        This study is going to propose a block chain system, which is useful for the culture of underdeveloped island areas, by stably handling the available data of the nationwide inhabited and the uninhabited island areas through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the key technology block chai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revitalization of culture in island areas. Based on this system,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by generalizing the trade data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infrastructure, marine fisheries’resources, and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of such island areas. Then by establishing the stable regional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revitalize underdeveloped island areas with the 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IAMS) fit for the 4th industrial era. The block chain technology is a distributed, public transaction ledger system that complements the security issues raised in the existing online system and that records and archives the same log for all those involved in the transactions, and the trend is that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a new technology together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ther words, this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underdeveloped island area cultures by steadily processing many transaction data distributed in the island regions. In addition, the block chain is a stable system that can protect the privacy of individuals in the island community, and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lives and culture of the underdeveloped island areas with various contents transactions and services. In this study, the status of Korean island areas and overseas island areas in the 4th industrial era are arranged and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the underdeveloped island area culture is understood. lsland area management system (IAMS), a solution model for the problem, is suggested by applying the block chain technology, a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age. In order to optimize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system designed a model to manage smart localization of island areas by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are core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age. These factors will be considered to find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of aging and underdeveloped management issues of island areas by implementing the aforementioned 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Also, the IAMS (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which is proposed as a stabilized block chain technology, will become a solution model for the difficult problems in managing island areas of our country due to being a peninsula, that is surrounded by the seas on three sides. This could become a global model for countries with similar geographies. 본 연구는 도서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블록체인 활용 방안 연구를 통하여 전국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지역의 가용자료를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낙후된 도서지역 문화에 유익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이 시스템을 토대로 낙후되어진 도서지역의 일반 현황 등 도서지역의 산업구조, 도서지역의 기반 기술과 해양수산자원 그리고 그 지역 특성에 맞는 유·무형 문화 자원 등 거래 자료를 종합화하여 수집하고, 정리하여 분석한 다음 안정적인 지역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최적화 도서지역관리시스템(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이하‘IAMS’)을 바탕으로 낙후된 도서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기존 온라인 시스템에서 제기된 보안 문제 등 보완한 시스템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같은 장부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분산형, 공공거래 장부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기술인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 등과 함께 새로운 기술로써 여러 분야에 활용 방안 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 활용함으로 도서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많은 거래 자료를 안정적으로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낙후된 도서지역 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도서지역 주민의 개인 맞춤형 및 개인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다양한 콘텐츠 거래와 서비스로 낙후된 도서지역 생활문화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할 것이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우리나라 도서지역현황과 국외 도서지역현황을 정리하고 분석한 다음 낙후된 도서지역문화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4차 산업시대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 기법을 적용하여 문제의 해결 방안 모델인 도서지역관리시스템(IAMS)을 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운영과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4차 산업시대 핵심기술인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에 적용하여 도서지역을 스마트지역화 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자 모델을 고안 하였다. 이는 도서지역관리시스템으로 도서지역의 고령화와 낙후된 관리 문제의 시스템 대안을 찾으려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삼면으로 둘러 싸여 있는 우리나라의 반도적 지역관리의 어려운 문제를 안정화된 블록체인 기술 도입 활용으로 제안된 도서지역관리시스템(IAMS)이 세계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서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홍순일(Soon-Il H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6 島嶼文化 Vol.28 No.-

          필자는 민속의 관점에서, 도서 · 해양문화의 생태적 생명성, 자연적 적응성, 개방적 다양성, 진취적 의식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바다와 연안에서 조기잡이를 하는 서해 도서민들의 구비전승물을 보고, 해양정서를 살폈다. 그 결과 도서의식 이, 도서적 인식과 해양적 실천의 산물인 구비전승불을 매개로 해양 정서화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부정적인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선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br/>   1) 구비전승물의 형성과 해양정서의 유통은 어장의 현재적 상황에서 구비 전승물이 구연되고, 이를 통해 해양정서가 구현된다. 그러나 시대 • 지역 · 상황면에서 볼 때 문화소통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서해 도서지역민의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어장의 현재적 상황’을 인식하는 도서정신의 구현과 해양문화장치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br/>   2)①생태적 생명성의 측면에서, 임경업 장군(위도지역)·최영 장군(추자도지역), ‘재수가 좋다, 재수가 나쁘다’(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신앙의 상상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임경업 장군과 조기잡이의 논리적 신격화를 보여주었다.<br/>   ②자연적 적응성의 측면에서, 어장운세(추자도지역), ‘고기는 돈’(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의례의 꿈을 통해 형성되었는데,선장과 어장일의 논리적 인격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③개방적 다양성의 측면에서, 영광군 법성포 · 진도군 의신면의 칠산어장놀이(법성지역)와 띠뱃놀이(부안군 위도지역), ‘법성포 굴비’(법성지역)의 자료는 놀이의 언어를 통해 형성되었는데, 조기 잡는 사람과 조기 파는 사람의 교차적 교류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④진취적 의식성의 측면에서,황도붕기풍어제 배치기(태안군 안면도지역)·조도의 닻배노래[조기잡이노래](진도군 조도지역), ‘물반 고기반’(서남권, 남해 및 제주권) . ‘물 한 말에 고기가 석 섬’(서해권)의 자료는 노동의 소리를 통해 형성되었는데,서남권 조도와 서해권 안면도의 문화적 확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3)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은 해양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구비전승물에서 해양정서가 구현되기 때문이고,구비전승물은 문화소통체계의 구축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특히 도서[섬]중심의 구비전승물은 들[평야] 중심 문화와의 협력과 교류를 가능케 할 것이기 때문이다. The ecological vitality,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open diversity, and the vigorous consciousness in isles/marine culture were watched within the framework of folklore. Further, the marine atmosphere was reviewed in view of oral heritages of people in the isles regions in the Seohae, in other words, the Yellow Sea who catch yellow corvinas. In result, the isles consciousness seemed to be become emotionalized through the oral heritage which is the fruit of isles consciousness and marine practice. In addition, this procedure was expected to be the momentum to transform the pessimistic marine atmosphere to optimistic one.<br/> 1) As for the formation of oral heritages and the circulation of marine atmosphere, the heritage is narrated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age/region/circumstance, the cultural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seem to be in operation.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isles spirit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ne cultural device which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are required to positively activate marine atmosphere of isles people in the Yellow Sea.<br/> 2) )①In a viewpoint of ecological vitality, the documents regarding the general Yim, Gyeong-Up (Wido regions)/the general Choi, Young(Chujado regions), ’fortune’, ’misfortune(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religion, which demonstrated the logical deification of the general Yim.<br/> ②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documents of the fortune of fisheries (Chujado regions), ‘Fish is fortune. (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a ceremony, which shows the logical personification of the captain and fisheries.<br/> ③ In the sense of the open diversity, the documents of Chilsan Fisheries Festival (Bupseon regions) and the group boating (Wido regions in Buan-gun) at Bupseongpo in Younggwang-gun/Eusin-myeon in Jindo-gun and ’A dried yellow coriva (Bupseong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language of play, which presents the human intersectional interchange between fishermen catching yellow corvinas and people selling yellow corvinas.<br/> ④ In the angle of vigorous consciousness, the documents of Hwangdo Island Bunggi Pungeoje (Anmyeondo regions in Taean-gun)/Datbae song (a song for catching a yellow corvina: Jodo regions in Jindo-gun), ‘Half the water, half the fish’ (southwest regions, Namhae, or the South Sea and Jeju regions)/’Three sacks of fishes in one mal of the water' (the Yellow Sea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labor songs, which demonstrates the cultural expansion of Jodo in southwest regions and Anmyeondo in the Yellow Sea regions.<br/> 3) The oral heritages in the Yellow isles regions can be said to maintain the marine cultural value, from which marine atmosphere is realiz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communication system is originated. Moreover, especially, the isles (islands)-oriented heritage seems to enable th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a field (a plain)-oriented culture.<br/>

      • KCI등재

        도서지역 청소년의 교육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교육지원기구(가칭)를 중심으로 -

        서용완,이충민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island area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urban a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teenagers living in the island area.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ates in paragraph 1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education equall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Equal education means not only ensuring for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also ensuring that adolescents receive equally high-quali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adolescents should be both established and maintained where they can receive equal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Because of the geographical nature of islands, it is clear that inequality in education is forcing adolescents living in islands into a relatively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ct, the study shows that the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in the island area is significantly behind that of the urban youth. Inequality in education between urban and island areas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found. Despit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Book and Wallpap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1967,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ject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olicy to support education in island regions, such inequality is intensifying. Some have pointed out that they have not even yet been fully implemented. An interview with a teacher working at a school in an island area confirms that the school's facil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modernization.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after school, the environment for education, career, and leisure for young people is not far from the primitive level. Most island teenagers spend time playing games or watching You-tube after school. After school, young people claim that nothing exists but neglection. Now, when investing in facilities or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appropriately injecting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to counseling and activities for teachers and teenagers with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d implement institutional devices for practical use.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and confirm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island area, and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upport organization as a way to subsequently improve them. 이 연구는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이 도시지역의 교육환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1조는 제1항에서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균등한 교육은 형식적인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청소년이 놓인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맞추어 양질의 교육을 균등하게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청소년 누구나 차별 받지 않고 균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을 설치·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에 놓이도록 하는 것은 분명한 교육의 불평등이다. 실제 연구결과에도 도서지역의 청소년 학업성취도가 도시지역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시지역과 도서지역 간의 교육의 불평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경향이다. 1967년에 도서·벽지 교육진흥법을 제정·시행하고,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특별사업의 신설과 도서지역의 교육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였음에도 이처럼 불평등이 오히려 심화되는 것은 도서지역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한 정책들이 시행되지 못하였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개선방안으로서 교육지원기구의 설치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의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시설 및 설비 등은 현대화 사업을 통해 상당 수준으로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에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진로, 여가 등을 위한 환경은 원시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도서지역 청소년의 대부분이 방과 후에 게임을 하거나 유튜브(You tube)를 보는 것으로 시간을 보낸다. 방과 후에 청소년들은 ‘방치되는 것이다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이제는 시설이나 설비에 투자하는 시점에서 교육경험이 풍부한 교원 및 청소년 상담과 활동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자원을 적절히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의 실질적인 이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도서지역의 시설 및 설비 등 물적 교육환경은 현대화가 상당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나 여전히 교육인적자원의 부재는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도서지역의 상황에 맞게 정책적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이를 지방자치제도의 장점을 살려 각 지방의회에서 해당지역에 알맞은 조례를 제정하여 주민들의 정책적 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에서 법적근거에 따른 기구의 설치 ·운영은 도서지역 내외에 유관 공공 및 민간 기관의 협력체계를 갖추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의 여가 실태 및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

        김영란,이수애,권구영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0 사회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농촌과 도서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의 실태와 욕구에 대한 지역비교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대표적인 농촌지역인 M郡과 도서지역인 W郡에 거주하고 있는 조사대상자 712명에게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 모두 TV시청이 가장 주요한 여가활동이며, 화투, 낮잠 등의 정적인 여가활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화투는 농촌에서, 운동과 춤은 도서지역에서 보다 즐기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도서지역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여가시간을 많이 소요하고 있었으며, 생산적인 여가활동에 투입하는 시간도 농촌 노인에 비해 길었다. 셋째, 도서지역 노인이 농촌 노인보다 더 많은 돈을 여가활동을 위해 지출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지역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여가활동 참여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대체로 시간부족, 돈 부족, 교통불편, 정보부족, 시설부족 및 할 만한 여가활동이 없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만족도는 도서지역 노인에 비해 농촌 노인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시간, 돈, 건강, 정보 부족과 할 만한 여가활동이 없는 경우 여가만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여섯째, 농촌 노인과 도서지역 노인 모두 건강관련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여가활동을 위해 필요한 장비는 농촌 노인의 경우 안마기, 도서지역 노인의 경우는 운동기구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여가의 장소로는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 모두 마을회관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농촌보다는 도서지역에 더 많은 여가지원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과, 둘째, 농촌과 도서지역을 망라하여 건강관련 여가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함으로써 노인들의 여가욕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보다 예방적 차원의 노인복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셋째, 이상의 제언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재정자립력이 미약한 지방자치단체에 일임하기 보다는 중앙정부 차원의 대국민 노인 여가정책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과, 마지막으로 보다 세분화된 지역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삶이 연구주제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의 여가 실태 및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

        김영란․,이수애․,권구영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0 사회연구 Vol.- No.19

        이 연구는 농촌과 도서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의실태와 욕구에 대한 지역비교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대표적인 농촌지역인 M郡과 도서지역인 W郡에 거주하고 있는 조사대상자 712명에게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첫째,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 모두 TV시청이 가장 주요한 여가활동이며, 화투, 낮잠 등의정적인 여가활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화투는 농촌에서, 운동과 춤은 도서지역에서 보다즐기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도서지역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여가시간을 많이 소요하고 있었으며, 생산적인 여가활동에 투입하는 시간도 농촌 노인에 비해 길었다. 셋째,도서지역 노인이 농촌 노인보다 더 많은 돈을 여가활동을 위해 지출하고 있었다. 넷째,도서지역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여가활동 참여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대체로 시간부족, 돈 부족, 교통불편, 정보부족, 시설부족 및 할 만한 여가활동이 없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만족도는 도서지역 노인에 비해 농촌 노인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시간, 돈, 건강, 정보 부족과 할 만한여가활동이 없는 경우 여가만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여섯째, 농촌 노인과 도서지역 노인 모두 건강관련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여가활동을 위해 필요한 장비는 농촌 노인의 경우 안마기, 도서지역 노인의 경우는 운동기구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여가의 장소로는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 모두 마을회관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농촌보다는 도서지역에 더 많은 여가지원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과, 둘째, 농촌과 도서지역을 망라하여 건강관련 여가프로그램을개발․보급함으로써 노인들의 여가욕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보다 예방적 차원의 노인복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셋째, 이상의 제언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재정자립력이 미약한 지방자치단체에 일임하기 보다는 중앙정부 차원의 대국민 노인 여가정책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과, 마지막으로 보다 세분화된 지역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삶이연구주제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신지연,김유승,Shin, Ji-Yeon,Kim, You-Se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도서관법"을 통해 지역도서관 지원 협력사업과 자료수집 및 보존업무를 부여받고 있는 지역대표 도서관에 공동보존도서관 설립을 제안하고 설립 운영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동보존도서관과 지역대표도서관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권역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운영 중인 미국 공동보존도서관 사례들을 분석한다. 또한 지역대표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대표도서관의 자료보존 업무를 위한 조직, 인력, 예산, 보존공간 등의 필요성과 부재를 분석하고, 지역도서관 자료의 이관 및 보존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보존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을 전제로, 공동보존도서관 이관자료 선정 및 소유권은 참여도서관이, 공동보존도서관의 운영권은 지역대표도서관이 나누어 갖는 모형을 제시하며, 공동보존도서관의 이용과 서비스에 있어 참여도서관간의 공동이용을 보장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로까지 개방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at discussing issue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regional central libraries which not only support various types of regional libraries and conduct cooperative businesses with them, but also are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preserving library materials. The study analyzes concepts and types of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y literature review and explores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Futhermore, it conducts a survey and finds that the regional central libraries do not perform their preservation functions, due to the lack of their manpower and budget. As a result, the study provides an establishment plan for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which participant libraries hold ownership of transferred materials and regional central libraries own the right of management. Also, it suggests to expand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service coverage from participants to regional communities.

      • KCI등재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김현희 ( Hyun-hee Kim ),김다빈 ( Da-bin Kim ),전철현 ( Chul-hyun Jeon ),김찬수 ( Chan-soo Kim ),공우석 ( Woo-seok K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4

        본 연구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도서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유인도 47곳, 무인도 194곳의 식물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귀화식물은 30과 134종이 분포한다. 분포역이 가장 넓은 종은 소리쟁이(Rumex crispus)로 모두 141곳의 도서에 분포한다. 도서별 평균 귀화식물 종수는 유인도 20.6종(±14.22), 무인도 3.7종(±3.89)이다. 도서별로는 여수시 금오도가 59종으로 가장 많다. 자생식물 대비 귀화식물의 비율인 귀화율은 유인도서 7.66%(±3.96), 무인도서 4.97%(±3.70)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서해 도서지역 귀화율이 5.92%(±4.49)로 남해 도서지역 4.96%(±2.15)보다 높다. 특히 유인도서 내 귀화율은 서해 도서지역 8.39%(±4.37), 남해 도서지역 5.80%(±1.41)로 그 차이가 더 크다. 도서지역 귀화식물 귀화율은 섬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관계(r=0.412, p<0.01)를 갖지만, 육지로부터의 거리, 해발고도와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다. 법정 생태계 교란종은 8종이 분포하며 종에 따라 분포역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도서 및 지역 간 차이는 물리적 환경 차이와 함께 육지와의 왕래 정도, 경작에 따른 토지 간섭 등 자연 및 인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도서지역은 서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지역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islands in Jeollanamdo from an island biogeographic perspective. As a result of a floristic analysis at 47 inhabited islands and 194 uninhabited islands, 30 families and 134 species naturalized plants are reported. The most commonly occurring naturalized plant from 141 islands was Rumex crispus. The averag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by islands is 20.6 species (±14.22) at the inhabited islands and 3.7 species (±3.89) at the uninhabited islands. Presence of fifty nine naturalized species at Geumodo in Yeosu-si is the largest in number. The naturalization ratio, which is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to native plants, is 7.66% (±3.96) in the inhabitable islands and 4.97% (±3.70) in the uninhabitable islands. The naturalization ratio among islands of the West Sea in Jeollanam-do is 5.92% (±4.49), and it is higher than 4.96% (±2.15) in islands in the South Sea. Especially, the naturalization ratio at the inhabitable islands, i.e., 8.39% (±4.37) at the islands of the West Sea is higher than 5.80% (±1.41) at islands in the South Sea. The naturalization ratio of naturalized plants at the island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island (r=0.412, p<0.01), but the correlations with distance from the mainland and altitude above sea level are not significant. Eight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designated by law are reported, and each species shows distinct distributional ranges.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seem to be a result of the complex reflection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traffic between mainland and islands, degree of cultiva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al differences. Since islands have limited habitats and resources, islands could be more vulnerable to the incoming species from outside,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n mainland.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against the naturalized plants in islands are needed.

      • KCI등재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for a small sized library to expand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utilizing information and public libraries by opening parted facilities to public and naming it a substitut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icher welfare system. In detail, the study discusses progression of the small sized library as well as budgeting and hiring staffs in Committee on Library and Policy.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in terms of capabilities because school library is different from public library target users, space, unit pla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small sized library as a function to find out type, plan, and space availability and size of ideal open school lib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