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에 기초한 도덕과에서의 시민교육 개선 및 발전방향

        이철훈 ( Chul Hoon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도덕과교육은 우리 사회의 도덕적 전통 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중핵적 교과로서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과교육의 위상은 교육과정의 개정시기 때마다 강화되기 보다는 약화, 홀대되는 수모를 당하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1987년 6월 항쟁이후, 즉 우리 사회가 본격적으로 시민 사회의 토대를 마련한 이후의 도덕과교육에 대한 비판이 더욱 강하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실정이다. 이러한 도덕과교육의 비판의 핵심은, 보살이나 군자와 같은 이상적 인간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비판도 아니며, 준법성을 전제로 한 합리적이며 비판적 타산성을 지닌 시민으로는 오늘날의 다양한 도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도 아니다. 비판의 핵심은 도덕과교육에서의 시민교육 혹은 정치교육이 권위주의 정치권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고, 그 결과 반공교육과 권위주의 독재 체제를 옹호하는 교과내용으로 구성된 점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개인의 자유, 권리와 책임과 의무가 국가와 대칭적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민주시민교육과는 큰 괴리가 있는 데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속되어 온 도덕과교육의 위기의 원인을 정치 권력에 따른 도덕과교육에서의 민주시민사회의 역행 혹은 비일관성으로 보고,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하면서도 정치권력의 변화에도 흔들림 없는 도덕과교육이 되기 위한 방안으로 우리 시민사회의 가치 규범을 규정하는 헌법을 통하여 도덕과 시민교육의 개선 및 발전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Although moral subject education has played roles as a core subject for moral tradi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ur society, the status of it has been weakened rather than being strengthened in each time for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 has suffered from being neglected. What`s even more regretful is that after the Contention in June, 1987 when our society began to lay the foundation for civil society, they have criticized moral subject education even more severely and constantly. The core of this criticism against that moral subject education is neither that it is impossible to realize ideal character in reality such as the Buddhist saint or man of virtue nor that citizens having rational and critical self-interest based on law observance cannot solve various moral issues today. The core of the criticism is that citizenship education or political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has not been freed from authoritative political power, and as a result, the subject consists of contents supporting anticommunist education and the authoritative autocratic system, and this has a great gap with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emanded by the civil society in which each individual`s freedom, right, responsibility, and duty should be harmonized symmetrically with the nation. Thereupon, this article sees as the cause of the risk in moral subject education that has continued the retrogression or inconsistency of democratic, civil society in moral subject education affected by political power. And it aims to grope for directions to improve and develop moral subject`s civil education through the constitution prescribing the values and norms of our civil society as a means to take charge of desirable democratic, civil education demanded by the civil society and maintain moral subject education that can be firm despite the changeful political power.

      • KCI등재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박장호(Jang-Ho Par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PISA 2009의 참여 국가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도덕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reading)와 역경극복능력(resilience) 성적에서 중상위 40개 국가의 67.5%가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을 필수교과로 가르치고 있다. 또 이 40개 국가 가운데 가장 강력한 형태의 도덕교육인 <종교교육>만을 실시하는 국가까지 포함하면, 도덕교육을 의 무적으로 실시하는 국가는 80%에 이르며, <종교교육>교과가 <윤리학>교과로 대체되는 경향 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윤리학>이나 <종교교육>을 배제하고 <공민성>을 필수로 규정하는 국가는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공민>교과의 경우에도, 도덕과 성격을 담고 있는 교과가 늘 어나고 있는 반면, 사회과 과목의 일부로서의 사회과학적 교과를 가르치는 국가는 제한적이 다. <철학>교과의 경우, 초, 중학교에서 다루는 국가는 전무하고, 일부 극소수 국가에서 고등 학교 상급학년에서 가르치는 정도이다. 둘째, <도덕교육>이나 <윤리학>이 특정 학년에 집중 이수되는 국가는 보이지 않으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나선형 교육과정을 통 해서 단계별로 교육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셋째,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 교과의 국 가교육과정에서의 필수화 현상은 최근 들어 크게 확산되고 있다. 넷째, <도덕교육>의 유형에 있어서 동양권의 <도덕․윤리>유형와 북유럽의 <종교/윤리학>유형을 실시하는 국가의 성적 이 북미와 프랑스의 <사회/공민>유형의 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그간 우리가 실시해온 <도덕>이나 <윤리>교육에 대해 스스로 정당성과 긍 지를 갖게 해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도덕>과 <윤리>교과를 홀대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와 세계에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mong the nations or cities participated in PISA 2009 through analyzing those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67.5% of 40 nations or cities which ranks 1-40 grade in terms of reading or resilience, subject matter <moral education> or <ethics> is stipulated as a requisite or independent subject matter. Having included the five nations which imposes <religious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which is considered as strongest type of moral education against secular moral education, there would be about 80%. Meanwhile, the nations which excludes either <moral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but imposes only <civics> or <citizenship> as a requisite subject matter, remain only 15%. Second, There is no nation which has so called 'the short term intensiv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which students should learn it only during one or two semester or one school year grade, instead of studying it every semesters or grades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In general, almost nations have the spiral curriculum that students gradually should learn it step by step through 1~6 or 1~10 grades. Third, it is recent trends in europe countries that <moral education> or <ethics> subject matter becomes a requisite subject matter or a subject matter in national curriculum. Last, oriental type of <morality/ethics> education as well as Northern European type of <religion or ethics> education seem to have more positive relationships to high scores in PISA than American types of <civics> education. These phenomena seem to give academic legitimacy to korean moral education system which traditionally has continued to keep <morality/ethics> as a requisite and independent subject matter, but leav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would go against this direction a task to re-exam and reflect itself seriously.

      • KCI등재후보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저 탐색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이 논문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저를 이루고 있는 도덕교육의 이론적 원리들을 탐색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의 세 가지 중심 축,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접근법, 도덕과의 목표 설정, 도덕과의 학습 내용, 도덕과 교육과정의 체제라는 여섯 가지 기준에 따라 도덕적 교육과정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rif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This paper was focused on delving into the rationale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finding out the problems of current theoretical viewpoints,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of moral education in a changing society. In a developing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we should enlarge the role of school teachers, pay heed to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orient our efforts to a consensus of opinion regarding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실재론의 최소성립조건

        김남준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3 No.-

        본고의 목적은 도덕반실재론과 비교되는 도덕실재론의 이론적 특성을 밝히고, 현대윤리학의 지형도에서 도덕실재론의 위치를 가늠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고는 “도덕실재론이란 무엇인가?” 또는 “도덕실재론의 최소성립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현대윤리학에서 도덕실재론과 도덕반실재론은 서로 간의 논쟁을 통해 발전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종류의 도덕반실재론과의 비교를 통하여 도덕실재론의 최소성립조건을 논구하였다. 현대윤리학의 도덕실재론-도덕반실재론-논쟁에서 산출되는 도덕실재론의 최소성립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실재론은 비인지주의와 비교했을 때, 도덕 판단의 진위여부를 확정지을 수 있다는 인지주의적 입장에 서 있다. 둘째, 도덕실재론은 오류이론과 비교했을 때, 우리의 도덕 판단들 중 적어도 일부는 ‘참’일 수 있다는 성공이론을 철학적 토대로 삼는다. 셋째, 도덕실재론은 도덕 판단의 진리치를 확정지을 수 있는 기준으로 인식론적이지 않은 존재론적 근거(도덕적 사실, 가치, 성질 등)를 제시한다.넷째, 도덕실재론은 도덕 판단의 진위여부를 확정지을 수 있는 도덕적 사실과 도덕적 가치가 개인의 주관적 이해관계, 욕구, 선호 등으로 환원될 수 없으며, 인식주관의 역할에 전적으로 의존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도덕실재론은 도덕적 사실, 가치, 성질 등의 존재론적 지위와 성격에 대한 해석에 따라 ― 즉, 도덕적 존재와 인식주관의 관계에 대한 해석에 따라 ― 서로 다른 입장으로 구분된다. 즉, 도덕실재론은 도덕적 사실, 가치, 성질 등 도덕의 존재론적 근거가 인식주관의 사유(인식)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이라고 주장하는 강한 의미의 도덕실재론과 그것들이 인식주관의 사유(인식)에 전적으로 의존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약한 의미의 도덕실재론으로 구분된다. This thesis aims to explain the theoretical features of moral realism, which could be compared with moral antirealism, and to check the position of moral realism on the topography of modern ethics. This is to say,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moral realism?” or “What is the minimal concept of moral realism?” In this thesis, I have discussed the minimal concept of moral realism by comparing moral realism with moral antirealism, because a realistic position in ethics has been developed with a antirealistic position in ethics. The minimal concept of moral realism is as follows. (i) Moral realism agrees to the cognitive these, that we can decide whether moral judgment is true or false. (in contrast to non-cognitivism) (ii) Moral realism agrees to the success theory, that at least some of our moral judgments could be true. (in contrast to error theory) (iii) Moral realism lays stress on the non-epistemological concept, i.e. the ontological concept (moral facts, values, properties etc.), with which we can decide whether moral judgment is true or false. (iv) According to moral realism, moral facts or moral values, which make our moral judgments true, are not completely constituted by our cognition. We can distinguish between moral realism in a strong sense and moral realism in a weak sense, when we interpret differently the status of moral facts, values, properties et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ntities and subjectivity. Moral realism in a strong sense maintains that moral facts, values, properties etc. are completely independent of subjectivity. Moral realism in a weak sense maintains that moral facts, values, properties etc. are not completely dependent of subjectivity.

      • KCI등재

        초등학생용 도덕 딜레마 개발 연구

        김항인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ral dilemma as a basic study to develop the moral dilemm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ect moral conflicts among moral stories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nd analyze how the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dilemma.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lemma and the moral dilemma.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al dilemma were presented as five: moral dilemma background, protagonist, selection situation, moral issue inclusion, and “Should” question. The study pointed out that moral stories in elementary moral textbooks have some moral dilemma requirements, but do not reflect balanced moral issues and stimulate elementary students' moral reasoning on the conventional level and post conventional level. Finally, the importance of follow-up studies to develop the moral dilemm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esented.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도덕 딜레마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도덕 딜레마의 정의와 특징을 탐구하고,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도덕 이야기들 중 도덕적 갈등사태를 선정하여, 연구에서 제시한 도덕 딜레마의 특성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일반 딜레마와 도덕 딜레마의 차이를 살펴보고 도덕 딜레마가 가지는 특성을 도덕적 딜레마 배경, 주인공, 선택의 상황, 도덕 이슈의 포함, 당위적 질문 등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초등 도덕 교과서에 등장하는 도덕 이야기들이 일부 도덕 딜레마 요건을 갖추고 있는 데 반해, 균형 있는 도덕적 이슈를 반영하지 못하고, 초등학생들의 인습 수준과 인습 인후 수준의 사고를 자극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향 후 초등학생용 도덕 딜레마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 KCI등재

        도덕적 창의성 개념의 도덕 심리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도덕적 창의성은 창의적 행동을 선택하거나 그것을 통해 창의적 결과를 산출할 경우 도덕 적으로 의미 있는 것을 지향하고 선택하며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러한 도덕적 창의성은 고정된 것이 아닌 발달적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도덕적 창의성의 배 경은 도덕 심리학적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도덕 심리학 이론들을 도 덕적 창의성과 관련지어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신분석학은 창의성에 관하여 무의식 적 충동의 일환으로 이해하였는데, 이 관점에 따르면 도덕적 창의성은 도덕적 행동을 지향하 는 리비도 에너지의 투사 및 심리적 긴장으로부터의 해방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행 동주의 심리학은 창의성에 관하여 행위자 개인이 그에게 이미 주어져 있으나 인식하지 못하 는 심리적 자료를 재배열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이 관점에 따르면 도덕적 창의성은 외 부에서 주어지는 예상하지 못한 도덕적 자극에 대하여 행위자가 이미 지니고 있는 도덕 규칙 들을 새로운 형태로 재배열 하는 도덕적 반응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어서, 인지발달 심리학은 창의성을 후인습적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이 관점에 따르면 도덕 적 창의성은 도덕적 딜레마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본 주의 심리학은 창의성을 성장과 자아실현에 있어서 건강한 인간 존재로 나아가는 길로서 이 해하였는데, 이 관점에 따르면 도덕적 창의성은 인간의 성장에 있어서 학습․환경에의 적 응․내적인 가치감 형성 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덕적 창의성 의 도덕 심리학적 배경을 학교 교육과 관련지어볼 때, 학생들로 하여금 도덕적 창의성을 키 워가도록 하는 도덕과 교과 교육의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Moral Creativity is the ability and attitude to pursue, choose, and to realize what is being morally meaningful when one choses to do a creative act or produces a creative output through it. Moral Creativity is characterized as developmental rather than fixed. Thus, Background for the Moral Creativity can be understood with respect to the field Moral Psychology. Theories from Moral Psychology can be reviewed in relation to Moral Creativity as follows: First of all, Freudianism viewed creativity as unconscious impulses, and according to this view, Moral Creativity can be interpreted as the projection of the Libido toward moral act or the release from the psychological tension. Second, Behavioral Psychology viewed creativity as the acting individual rearranging the psychological data which have already be given to him/her but yet to be perceived. In this sense, Moral Creativity can be interpreted as a procedure of moral reactions rearranging the moral rules as he/she is exposed to an unexpected stimulus. Third, Cognitive Development Psychology viewed creativity as the post-conventional ability. In this sense, Moral Creativity can be interpreted as an ability of solving moral dilemma creatively. Fourth, humanistic Psychology viewed creativity as a way to become a healthy individual in 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this, Moral Creativity can be understood as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learning, adapting to the environment, and forming the self-esteem with regard to human development. When Moral Psychological background for Moral Creativity is related to school education as mentioned above, it could provide the theological bases for methodology of the ethics education in order to nurture Moral Creativity for students.

      • KCI등재

        도덕교육 내용으로서 덕의 초월성과 사서(四書)의 덕

        김봉제 ( Kim Bong-je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9 No.1

        덕(德)``은 도덕교육 내용의 본질이며 핵심이다. 따라서 덕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시작이며, 교육을 통해 덕의 본질을 구현하는 것은 바로 도덕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덕(德)``의 자의(字意)에 담긴 ``초월성``에 초점을 두고, 덕의 특성으로서 초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문헌에 나타난 덕의 초월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교육의 내용으로서 도덕교육이 가지는 고유의 영역을 확인하고 도덕교육이 본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초월성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덕의 본의(本意)에 초월적 특성이 담겨있음을 확인하는 것은 도덕교육에서 간과되었던 초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덕의 초월성이 덕의 본질에 관련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도덕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초월성이 덕의 본질에 속한다는 것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도덕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정하는 것은 기존의 도덕교육의 여러 제한점을 극복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덕을 교육의 핵심으로 하는 도덕교육이 본질의 구현을 위한 방향을 필요하지만 현재의 도덕교육에서 덕의 초월성을 간과한다면, 덕의 본의를 살리지 못하는 도덕교육이 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도덕교육이 실패하는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시도는 덕의 본의에서 초월성의 특징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될 것이다. 덕과 초월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서(四書)에 사용된 덕의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도덕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덕의 초월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덕교육이 나갈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Virtue (德) is the content essence of moral education, which is the core. Thus is the beginning of moral education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virtue characteristic, to implement a virtuous nature through education, it can be just for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irtue (德)`` contained in the party of Chinese meaning, presented as a basis for transcendence characteristic of virtue. To clarify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of the virtue that has been shown in the literature, as the content of education, transcendence, be sure to take into account in order to moral education to check the specific area with a moral education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it is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need. To confirm that it contains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to the real intention of "Virtue (德)" is going to b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cendence that had oversight of the moral education. Further, by confirming that transcendental properties of the virtue is related to the essence of virtue, it can lead to changes in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moral education. Then,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determine the direction and goals of moral education have a clear basis that can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oral education. Despite the need of direction for the essence of the implementation for moral education, if you have overlooked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there is possible to bring the phenomenon of moral education to fail.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will b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ranscendence of the virtue. By checking the meaning of virtue that have been used in Four Books(四書) in order to explain the virtues transcendence of the relationship, a new paradigm of moral education can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s of the virtues.

      • KCI등재

        중등학교 도덕교육에서 바람직한 논술교육의 방향

        이영경 ( Young Kyu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논술교육의 열풍이 불고 있는 지금, 논술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대학입시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논술의 문제점에 대해 염려하는 시각도 조심스럽게 개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학 입시 중심으로 진행되는 논술의 흐름 속에서, 도덕과 교육에서 수행하는 논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행의 도덕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성찰한다.본고에서는 도덕교육이란 "자율적으로 바람직한 가치와 규범들에 대해 성찰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규정하고, 이에 입각하여 ``자율`` ``성찰`` ``실천``이라는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도덕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도덕교육에서 시행되는 논술교육이라면 마땅히 이러한 도덕교육의 본령을 구현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논술교육을 ``학생들의 자율적인 성찰과 실천의 문제를 강화하는 글쓰기 교육`` 이라고 규정한다. 이는 곧 논술교육이 ``성찰적 논술`` 혹은 ``삶으로서의 논술``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하는 입장인데, 그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상적인 형이상의 문제 자체에 대한 논의보다는 실제적 삶에서 고려될 수 있는 도덕문제에 대한 성찰이 논술교육에서 중심이 되어야 한다. 둘째, 도덕적 실천의 문제가 중심 테제로 분명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독서 토론과 현장 체험식의 포괄적인 수업과정을 통해 문제해결적 방향으로 논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학입시 위주로 논술의 방향이 결정되면, 논술교육의 유형은 논리적 글쓰기로 고착될 가능성이 있는데, 도덕교육에서의 논술교육은 삶의 문제에 대한 성찰과 실천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도덕교육에서의 논술교육은 도덕적 가치의 실천이라는 도덕교육의 본령이 무시되고 있는 중등학교, 특히 고등학교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기가 되어야 한다. 논술을 글쓰기라는 기능적 차원으로만 이해하고 접근한다면, 이는 도덕교육을 왜곡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되고 말 것이다. 이 점에서 도덕교육에서의 논술교육은 무거운 과제를 안고 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how to put in effect the discourse on the moral education, reckon with the essence of moral education. I define that the moral education is autonomous introspection on the value. and raising practical ability of value. Grounding on this definition, we present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centering around ``autonomy`` ``reflection`` ``practice``. I think that the discourse education should embody the essence of moral education. So, we understand the discourse education is which autonomously strengthen reflection and practice. The discourse education is defined as ``education of reflective writing`` ``education of life writing``. The directions of discours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ourse education is rather stressed considerable value problem than concentrated on metaphysical problem. Second, the moral practice problem must be proposed as core purpose in the discourse education. Third, we are taking serious view of reading, discussion, and actual experience in the discourse education.

      • KCI등재

        도덕 판단의 정당화 기준으로서의 '공평성 논제'

        이재숭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0 No.-

        우리가 자신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하고자 한다면, 그 행위가 도덕적 원칙과 병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즉 도덕적 행위의 정당화는 보편적 관점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어야 한다. 근대 이후 많은 철학자들과 여러 윤리이론들은 도덕적 추론은 공평성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것을 우리는 ‘공평성 논제 impartiality thesis’라 부를 수 있다. 공평성 논제에 따르면 우리는 어떠한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자 할 때, 우리 자신이나 혹은 우리와 특별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의 욕구나 이익에 특별한 비중을 두어서는 안 되며, 공평한 관망자로서 중립적 관점에서 판단하려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또 다른 철학자들은 도덕 판단에 있어서의 이러한 공평성 논제에 동의하지 않는다. 이들은 사적으로 특별한 인간관계에서 요구되는 의무와 편향성(partialism)을 공평성 논제는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도덕 판단에서의 공평성에 대한 요구에 관해 브래드 후커(Brad Hooker)가 제시하고 있는 공평성에 대한 평가와 도덕 판단에서 그 적용 단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자는 결국 윤리적 판단의 정당화 근거를 위해서는 공평성에 대한 요구가 충족되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왜냐하면 도덕 규칙들에 대한 정당화 요구는 도덕 판단에 있어서의 비결정성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 도덕에 관한 공평한 권위를 부과하기 위한 도덕 체계 일반의 보편적 요구사항이기 때문이다. If we seek to justify our actions morally, we must demonstrate that the actions comport with moral principles. In other words, the justification for moral behavior should be accepted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In the modern period, many philosophers and ethical theorists have argued that moral reasoning should accept demands for impartiality. This is what we call the 'impartiality thesis'. According to this thesis, when we try to make any moral judgments, we should not base particular importance on the needs or interests of people with whom we have particular relationships, and should try to judge from a neutral perspective as an impartial spectator. Other philosophers, however, disagree with the impartiality thesis in moral judgments. They claim that impartialists can not account for the duties and partialities required in special human relationships. In this paper, I focus on Brad Hooker's argument regarding the demand for impartiality in moral judgments. Through this, I argue that the demand for impartiality should be fulfilled in order to uphold the basis for justification in the moral judgment. The reason for my argument is that the needs of justification for moral rules is the universal requirement of moral systems to impose impartial authority on morality by minimizing indeterminacy and uncertainties in morality.

      • KCI등재

        도덕적 창의성의 사례 연구

        곽병우(Kwak Byo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0

        창의성과 도덕교육은 서로를 필요로 한다. 도덕교육 없는 창의성은 개인과 인류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고, 창의성 없는 도덕교육은 인습 수준에 머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1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덕적 창의성은 도덕과에서 행하는 창의성 교육을 부르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이 글 은 문헌연구법을 통하여 도덕적 창의성의 개념, 구성요소, 그리고 사례를 탐색한다. 도덕적 창 의성은 "도덕적 문제 상황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새롭고 가치 있는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그리고 그 구성요소는 "도덕적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 작용(인지적 특성, 성향적 특 성), 도덕적 동기화"로 재개념화할 수 있다. 또한 도덕적 창의성의 사례는 인권운동, 시민불복 종, 비판적 지성으로서의 선비정신 등에서 찾을 수 있다. Creativity and moral education need each other. Creativity without moral education can lead an individual and the human race to danger, and moral education without creativity can be a slave to convention . 2009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and 2011 Revision Moral Subject Curriculum also emphasize creativity education. In this situation, moral creativity can be a useful concept that calls creativity education performed in moral subject. This paper investigates moral creativity's concept, constituent elements, and examples. Moral creativity is reconceptualized as discovering moral problem situation(moral dilemma) and making new useful products to solve it. Besides, moral creativity's constituent elements are reconceptualized as moral expertise, creative thinking processes(cognitive trait, personal trait), and moral motivation. Also, moral creativity's examples can be found in human rights movement, civil disobedience, and Sunbee's spirit as a critical intelligence(Sunbee is a Korean virtuous and well-informed scho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