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발전 방안 : 우수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성낙돈,김창엽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2008 열린교육실행연구 Vol.- No.11

        우리나라에서의 대학 평생교육은 1980년대 평생교육원이 설립이 이루어지면서 적극화되기 시작하였다. 대학 평생교육원은 그간 지역 사회 주민들에게 중등 후 계속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대학 평생교육원은 전통적인 대학 교육 과정을 대학의 울타리 밖으로 확장하는 것은 물론, 사회 변화로부터 요구되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보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대학 평생교육은 그 발전의 잠재력과 20여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 사회의 주된 연구 관심의 밖에 놓여있다. 특히 대학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이 추구해야 할 사명과 방향,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일천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대학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평생학습대상 수상 프로그램과 한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에서 추천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우수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학 평생교육원의 우수 프로그램은 지역사회과 연계하고 있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수 프로그램은 대학의 축적된 가치와 역량을 지역사회에 제공하여 발전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대학의 역량을 활용하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고, 대학사회와 지역사회가 연계된 상호 발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의 향후 발전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향후 대학 평생교육원은 적극적인 '지역사회로의 관심(community outreach)'을 활용할 것이 권장된다. 동시에 대학 평생교육원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수익성, 경제성, 직업취득 편향에 경도되지 않고 지역사회의 전면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균형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기반을 확충시켜 나갈 것이 권고된다. 더불어 궁극적으로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사람의 삶의 질의 유지와 향상', '완전한 인간'이라는 평생교육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개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김영준,김화수,이근용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적인 경향의 프로 그램 자체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학생들의 전공 학습 및 취업 연계를 비롯한 각종 지역사회 연계형 문제해결학습 역 시 포괄할 수 있는 성격과 이점을 가진다. 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지역 연 계 장애인평생교육”을 주요 주제와 내용으로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방략을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 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간 협의를 통한 연구 내용의 모델 정립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 그램 운영에 대한 종합체계”로 제시되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은 조선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와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기타 위원회 및 부서 등이 상호 협업 및 소통하는 절차가 상세히 도식화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은 비교과프로그램에서 구성되어 야 할 학습 내용과 방법 및 절차가 구체적으로 도식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 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종합체계”는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근거요소들을 로드맵의 차원으로 종합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양 대학 간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을 통한 지 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심화적으로 연계 추진 가능한 사업과제를 조망할 수 있었다. Based on the MOU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operation strategy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the them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community connection. In front-line university sites,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are often recognized as forms and procedures to assist in subject learning at the major or liberal arts level, but they have a very important status and identity considering that they are classified as learning competency reinforcement support, career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subject-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Accordingly,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has the nature and advantage of covering not only the level of the one-time trend program itself, but also various community -linked problem-solving learning, including students' major learning and employment linkage. As part of the abo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with the main theme and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viewing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largely presented as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operation strategy of curriculum between two universities, and comprehensive system for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First, the first research content, Organized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was schematized in detail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and communicating with Chosun University's cent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Daegu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other committees and departments. The second research content, The Curriculum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is a detailed schematic diagram of the learning contents, methods, and procedures to be organized i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The third study, Comprehensive System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peration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wo Universities, presents the results of synthesizing the basis elements essential for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at the level of a roadma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ject tasks that could be promoted in-depth through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MOU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 KCI등재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대학 중심의 아웃리치 프로그램

        장지원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music collage-centered outreach program as a plan for mutual growth with community i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a collage as the platform and researched the general meaning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outreach service and the program. Also it investigated ongoing outreach programs in the US and UK collages. Based on this, the application methods of the outreach program to the Korean music collage was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should be able to be executed as a role and function of the platform. Second th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and performance experience for current music students should be kept on track and provided consistently through the program. Thir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should take full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offered through the university’s outreach programs and the University-wide promotion should be required for this. Forth, motivation of participation and consistent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rewards such as credit recognition beyond the service concept. Lastly,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governments, universities, foundations and businesses regarding program operation costs should be required. If the music collage-centered outreach program is promoted, the linkage between the collage and the community will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Also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collage education such as training human resources and social contribution of collage resource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지역사회와의 동반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음악대학을 중심으로하는 아웃리치 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제안함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음악교육 활성화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계거점(Platform)으로서 대학의 필요성과 역할을 밝히고아웃리치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일반적 의미와 국내·외 아웃리치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미국과 영국 내 4곳의 음악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국내 음악대학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연계거점의 역할과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재학생들을대상으로 한 교수(teaching)와 연주(performance) 기회에 대한 정보가 프로그램을 통해 꾸준히 파악되고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초,중,고등학교나 기관들은 대학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통한 기회제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한 대학 차원의 홍보가 요구된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 재학생들에게 봉사 개념 이상의 학점 인정과 같은 보상을 통해 참여 동기 부여와 꾸준한 체험을 유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비용에 있어 정부와 대학 그리고 기업 및재단의 인식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아웃리치 프로그램를 통해 지역사회는 수준 높은 음악교육과 음악적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고, 나아가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확대, 강화되며 대학 자원의 사회 환원이라는 대학교육의 목적 달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고교-대학연계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자 인식조사

        김상유 ( Sang Yu Kim ),박소연 ( So Yeon Park ),박여진 ( Yeo Jin Park ),박윤경 ( Yun Kyoung Park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에서는 주요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수 요자인 고교생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을 학습형과 진로형 등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교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교-대학 연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대학에서 주관하는 주요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유형별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각 대학에서는 진로형 연계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학습형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식도 조사 결과에 의하면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진학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또한 수요자에 따라 매체별 선호도와 활용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 제공의 대상에 따라 매체별 내용 구성을 달리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s and surveying the re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 programs, we intended to adduce a operating direction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s. First of all, we analysed the programs by making a classification in two types: study type and career type. On this,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 looked into their recognition about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s, and grasped their preference of the major programs of each type hosted by universities. The majority of universities were working on mainly the career type programs, therefore the vitalization of study type programs is needed more. An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urvey results, the need-based programs should be vitalized more. On the access method of university admission informations, the different preferences and utilization of media were dependent on consumer types. Therefore, we recognized that the content configuration of each media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umer types of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미국 대학의 방과 후 비교과 아웃리치 프로그램 탐색 연구

        김숙이,고장완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3 방과후학교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대학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넘어서, 학생을 위한 교육활동이 지역사회로 확대되고, 나아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교육활동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에 기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의 비교과 활동이 방과 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활성화되고 있는 미국 대학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아웃리치 개념과 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문헌분석법과 대학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는 사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대학 확장과 아웃리치의 개념 및 비교과 활동 유형의 일환으로 미시간 주립대의 아웃리치 프로그램 특징, 운영 체계,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시간 주립대학은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기존과 같은 봉사 위주의 활동으로만 보지 않고 대학의 주요 기능인 교육, 연구, 봉사를 통합하는 정규교육 과정에서의 효과와 같은 성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미시간 대학은 지역사회와 연계에 있어 캠퍼스 기반 활동과 지역사회 기반 활동을 구분하였으며, 대학 내 전담 조직을 구축하였고, 교수와 학생의 활동을 지원하는 체계적인 행정 시스템을 제도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방과 후 비교과 활동이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사회 및 소외 계층을 찾아가는 적극성이 강화된 협력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활성화하 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that universities'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expand beyo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local communities, and furthermore, universities should provid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o this end, the outreach programs of U.S. universities, in which non-curricular activities at universities are active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after school,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outreach concepts and policies and a case study to analyze selected university case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perating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s outreach program as part of the concept of university expansion and outreach and the typ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s study found that MSU considers the outreach program a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bring about the same results as the regular curriculum. Thus, MSU established a dedicated organ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and institutionalized a systematic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 KCI등재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윤상,한동수,이주욱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lteration and realitie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o understand and investigate applicability about physical activities of Residential College(hereinafter, RC), which could be an example of creating education cultures and alternativ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sed as a method of study. The eigh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eb-site, literature, and field visits. Results: The results from South Korean Universities showed as follows. First, It has ‘Bottom-up curriculum’ that individual programs meet each universities’ educational goals. Second, It has various activities. Third, It has the intentional purpose about creating achievements promoting teamwork and fellowship among students. The results from oversea universities showed as follows. First, Facilities and systems for students are organized. Second, It’s connected to the local community and operates on leisure. Third, It has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concept about housing and there are no institutional controls. As a result, physical activity programs of domestic RC show small scope, lack of system, budget and facilities. It’s required that addition of school competition, league system, annual schedule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of abroad cases to home case’s strength. Conclusion: It implies that need to create domestic RC physical activity program discourse and in line with Educational Purpose. For that, it’s necessary to share about RC among school-living-professional sports areas, study excellent cases about RC physical activities, and survey on satisfaction of RC participa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의 변화와 현실을 살펴보고, 대학교육의 새로운 교육 문화 창출 사례이자 학령인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인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하 RC)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활용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사용했다. 연구대상은 국내·외 4년제 종합대학 홈페이지, 문헌자료, 현장방문을 통해 우수대학 8개교를 선정했다. 연구 결과, 국내 RC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각 대학 교육목표에 맞는 개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향식 교육과정 형태를 지닌다. 둘째, 활동내용의 다양성을 지닌다. 셋째, 특별한 성과 창출을 통한 문화기조 형성, 학생 간 팀워크 증진·유대감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국외 RC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학생을 위한 시스템·시설이 체계적이다. 둘째, 지역사회와 연계하며 여가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셋째, 안락한 주택 개념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제도적 장치에 따른 규제가 없다. 연구 결과, 국내 RC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체계화된 교육시스템 부재, 교육대상·범위의 협소, 예산·시설의 부족이 나타난다. 보완을 위해 인프라, 군집형태. 국가재정지원금, 지역시설을 바탕으로 학교 대항전, 전국단위 리그 제도, 연간일정, 지역주민 참여방안 도입이 필요하다. 이는 국내 RC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담론 형성과, 신체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RC에 대한 학교체육·생활체육·전문체육 영역의 공유, RC 신체활동 우수사례 연구, RC 참여자 만족도 조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구조문장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재성 ( Jae Seong Lee ),이윤빈 ( Yun Bin Lee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이 연구는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구조문장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별 텍스트` 개념을 도입하여 쓰기 과정 수행이 쓰기 결과 생산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과정 중심 교육의 한계로 지적되어 온 결과 경시의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둘째, 구조문장 작성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쓰기 전 단계에서 텍스트 전체의 의미구조를 생성하고 이를 개요로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창안-선택-구성`에 의한 내용 생성 전략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의미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특징은 이 프로그램이 <쓰기 과정-쓰기 결과-사회적 맥락(담화 공동체)>의 요소를 동시적으로 고려하는 가운데 <교수자의 강의 및 피드백-조별 협동학습-개인별 글쓰기> 활동을 상호 연계할 수 있게 하는 토대가 된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구성과 총점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llege writing program using structure-sentence` and examine the effect of it. This program intends to overcome the weakness of existing process-based writing program in the way of linking writing process with writing product. The traits of this program are following: First, this program invented the concept of `per-process text` and uses it linking writing process with writing product. Second, this program introduces the process of writing a `structure-sentence` which enables students to generate a macro-structure of the whole text before they begin to write their text. Finally, this program presents a new generating strategy that makes students construct the meaning in the way of negotiating various demands of `writer-text-audience.`

      • KCI등재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원활한 쓰기 능력 전이를 도모하기 위하여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했다. 이 프로그램은 쓰기 교육의 연속성 확보, 학습 내용의 전이 가능성 증진, 학습자의 기본적인 쓰기 능력 및 비판적 문식성 함양 도모라는 세 가지 원리를 토대로 구성되었으며, <대학 입학 전 글쓰기 경험 진단 단계→구심적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단계→전공 장르 분석 교육 단계→장르 연계 및쓰기 전이 분석 교육 단계>의 총 4단계로 진행된다. 또한 <장르 분석표>를 활용한 3회의 장르 분석 활동(선행 경험 장르, 학술 에세이 장르, 경험예정 전공 장르)과 4회의 쓰기 수행 활동(상기 3개 장르 및 회고적 글쓰기 장르)이 상호 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이 프로그램을 실제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결과, 대학생들이 선행 경험 장르와 학술 에세이 장르, 전공 영역 장르의 공통점과 차이를 인식하고, 자신의 쓰기 전략을 전이하는 다양한 양상을 확인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장르 인식을 증진시키고 이들의 쓰기 능력 전이를 도모하는 데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Genre Awareness-Based College Writing Program’, to help effective transfer of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and navigate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is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Ensuring the continuity of writing education, Enhancing the transferability of writing skills of learners, Increasing the basic writing skills and critical literacy of learner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actual college writing classroom is following: Students were aware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rior experienced genre, academic essay genre, and genre of their major and they show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transition. Also, the program has a certain educational effect that enhancing genre awareness of college learners and increasing transferability of writing skills of them.

      • KCI등재후보

        구조 문장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재성,이윤빈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llege writing program using structure-sentence’ and examine the effect of it. This program intends to overcome the weakness of existing process-based writing program in the way of linking writing process with writing product. The traits of this program are following: First, this program invented the concept of ‘per-process text’ and uses it linking writing process with writing product. Second, this program introduces the process of writing a ‘structure-sentence’ which enables students to generate a macro-structure of the whole text before they begin to write their text. Finally, this program presents a new generating strategy that makes students construct the meaning in the way of negotiating various demands of ‘writer-text-audience'. 이 연구는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구조문장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별 텍스트’ 개념을 도입하여 쓰기 과정 수행이 쓰기 결과 생산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과정 중심 교육의 한계로 지적되어 온 결과 경시의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둘째, 구조문장 작성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쓰기 전 단계에서 텍스트 전체의 의미구조를 생성하고 이를 개요로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창안-선택-구성’에 의한 내용 생성 전략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의미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특징은 이 프로그램이 <쓰기 과정-쓰기 결과-사회적 맥락(담화 공동체)>의 요소를 동시적으로 고려하는 가운데 <교수자의 강의 및 피드백-조별 협동학습-개인별 글쓰기> 활동을 상호 연계할 수 있게 하는 토대가 된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구성과 총점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스마트의류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고교-대학 연계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전자섬유와 전사염을 적용한 감성에코백 개발

        강다예,이정순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1

        This study evaluates a program developed for a high school-university linked class. The program combines maker education and smart clothing technology, which has great potential. First,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dyeing design course incorporates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on smart clothing and maker education.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a program was developed to make emotional eco-bags by applying the transfer dyeing technique using transfer paper for inkjet printers and smart clothing technology using conductivity thread and LED bulbs. Thir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class was offered to 17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clothing and textiles. Lastly, the class was evaluated. The program had a 4.95 satisfaction level as measures on a five-point scale.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ed an advanced program with Lilypad Arduino.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co-bag development program applied with conductive yarn and transfer dye could more easily produce smart clothing technology, thereby expanding the thinking of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clothing major.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대학 연계 학과 전공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메이커 교육과 성장 가능성이 큰 스마트의류 테크놀로지를 접목시켰다. 첫째, P(준비) 단계에서는 스마트의류 및 메이커 교육에 대 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파악하여 스마트의류 테크놀로지를 염색 디자인 교과목에 접목하였다. 둘째, D(개발) 단계에 서는 잉크젯 프린터용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염, 전도성 실과 LED 전구를 이용한 스마트의류 테크놀로지를 적용하 여 감성에코백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I(실행) 단계에서는 의류학 전공을 희망하는 고등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E(평가) 단계에서는 스마트의류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 램의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4.95점으로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기존 프로그램에 릴리패 드 아두이노를 추가한 심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도성 실과 전사염을 적용한 감성에코백 개발 프로그램은 스마트의류 테크놀로지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의류학 전공에 관한 고교 학생들의 생각을 확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