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자기조절학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레아,양명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Recently, university collegues have pondered the importance of adjustment of college life. Core competenci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re fairly new constructs in research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self-regulated learning hav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Second, what effects do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hav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40 college students (170 male, 170 female). For data analysis SPSS 21.0 program was used and research method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30% of total variance of college life adjustment can be explained by core competencies they have. Second, 32% of total variance of college life adjustment can be explained by self-regulated learning they adop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to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심을 두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핵심역량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총 340명(남학생 170명, 여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확인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대학생 핵심역량은 대학생활적응도 전체 변량의 30%를 설명하며, 핵심역량의 하위 차원(인지역량, 감성역량, 사회문화역량) 모두가 대학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언해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은 대학생활적응의 전체 변량의 32%를 설명한다.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차원 중 인지조절이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은 그렇지 못하였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1단계에는 개인특성, 2단계에는 대학생 핵심역량, 3단계에는 자기조절학습을 추가하여 증가된 설명량을 살펴보았다. 성별이나 학점과 같은 개인특성은 대학생활적응에 7%를 설명하며, 핵심역량을 추가할 때 설명변량이 30%로 올라가며, 자기조절학습을 추가하게 되면 총 설명변량은 3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자기조절학습과 핵심역량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을 더 잘 하고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대학생일수록 자기조절학습과 핵심역량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는 개인의 자기조절학습과 핵심역량을 고려한 교육적 처치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유민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concern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support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factors. To fulfill this aim, we selected and analyzed 401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5 to June 2023. These articles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and university adjustment, and were chosen based on the criteria and content of this study. First,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by considering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variables and factors, and suggestions in the research articles as the analytical criteria. We also conducted a specif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o collect foundational data that could be beneficial for future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search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college adjustment was most common in 2021,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redominantly used. Regarding variable settings, studies that identified college adjust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made up 80.2% of the total. Among the related research variables and factors, resilience factors classified as self and personality factors were the most extensively researched, and numerous suggestions emphasized the need to broaden research methods. Second, research focusing on nursing students in the context of resilience and college adjustment was the most frequent, and many suggestions were made about the creation and provision of programs to boost resilience and university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interpreted the overarching significanc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adjustment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련한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 중 심리정서적요인과의 연관성을 통해 관련 연구와 지원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3년6월까지 국내 학술등재지에 게재된 대학생활적응 연구 중 심리정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총 401편을 본연구의 분석기준과 내용에 따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논문의 발행연도, 연구방법, 연구변인 및 요인, 제언사항을 연구분석 준거로 설정하여 전반적인 분석을 하였으며, 향후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지원에 도움이되는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심리정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련한 심리정서적 요인과 관련한 연구는 2021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변인설정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연구가 전체의80.2%였다. 관련 연구변인 및 요인에서는 자아 및 성격요인으로 분류한 회복탄력성 요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제언사항으로는 연구방법확대의 필요성 제시가 다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에 관한 제언사항이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한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한 거시적인의미를 해석하고, 향후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연구와 지원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신입생 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영주(Jee Young-Ju),양승경(Yang Seung-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C시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으로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이며 최종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은 신입생 세미나 시간을 활용하여 확장된 오리엔테이션, 전공세미나, 진로세미나 3가지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총 12주 동안 운영하였다.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참여 전후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2일 사전설문조사와 2019년 6월 4일 사후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WIN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참여 후 자기효능감(t=-2.41, p=.018)과 대학생활적응(t=-5.33, p<.001)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진로정체감(t=-0.21, p=.833)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ege adjust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career ident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freshme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84 first-year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C city participated in the college adjustment program. This program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extended orientation, major seminar, and career seminar, using freshman seminar hours, and was operated for a total of 12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self efficacy (t=-2.41, p=.018), adaptation to college life (t=-5.33,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t=-0.21 and p=.83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successful college adaptation.

      • KCI등재

        체육전공자의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상윤,엄대영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체육전공자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진로스트레스, 진로준비행동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체육 전공자의 대학생활적응의 중요성과 진로준비행동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 대학의 체육전공자 326명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고, PASW22.0 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 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자의 대학생활적응 변수 중 학업적대학생활적응 요인과 심리적 대학생활적응 요인이 진로스트레스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체육전공자의 대학생활적응 변수 중 사회관계적대학생활적응 요인과 심리적대학생활적응 요인이 진로준비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 학업적대학생활적응 요인과 사회관계적대학생활적응이 진로탐색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사회관계적대학생활적응 요인이 진로상담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체육전공자의 진로 스트레스 요인이 진로준비행동 요인의 진로준비노력 요인과 진로상담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stress,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majoring in college physic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necessity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majoring in college physical education. The data of 326 physical education majors of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22.0. In conclusion, the burden of major learning and the personal psychological adaptation of overall college life among the 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llege physical education majors were a lot of burden on career str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who can utilize the social relation network about career decision is smoothly perform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 요인

        최윤하(Yun-Ha Choi),채민정(Min-Jeong Cha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mental health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is purpose, 192 nursing students in G city were surveyed about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from May 1 to May 15, 2017. The SPSS WIN/PC 22.0 program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Major finding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finding shows that the higher social support and the lower mental health are the better college adjustment to nursing students. Second, professor’s support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mental health have more influ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Regression analysis showed 22% of the variance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h the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of continuous counseling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variety of policy research, development of program for a better adjustment to college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G시의 간호학과 학생192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에서 15일까지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대학생활적응은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의 교수지지, 정신건강의 대인예민증으로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2%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지속적인 상담관리와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Sung, So-Yeon),김은영(Kim,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을 선정하고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 충청도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내생변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변인을 선정하고, 설정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 검증 실시 및 적합도 지수(CFI, TLI, RMSEA)를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인과관계파악을 위해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첫째, 세 개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양호한 수준의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의 직⋅간접효과 분석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401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good. Third, a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positive psy chological capital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has a di rect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mediator between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t suggested the intervention as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Won, Juyoen),성귀복(Seong, Guibok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감 능력, 그릿(grit), 대학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그들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국내의 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네 가지 영역에 대한 검사를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그릿 및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 그릿과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그릿과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의 전체가 심리적 안녕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44.0%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대학생활적응이 33.8%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대학생활적응과 그릿 등의 유효 요인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psychological well-being, their correlations, and the effects of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on th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205 university students taking general courses at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ests were administ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mpathy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their grit and adjustment to college followed, and their well-being score was the low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found that adjustment to colle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grit and adjustment to college, and gri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effect of all of the three factors altogether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44.0%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adjustment to college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that can explain 33.8%. The results of the study promote our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rovide baseline data fo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nd ca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factors like adjustment to college and grit that were found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서명자(MyeongJa Seo),오진주(Jinjoo O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4개 간호대학의 248명이다. 자료는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부트스트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2.68점, 사회적지지 4.11점, 대학생활적응 3.5점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아지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 모형 모델 4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부적 영향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248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at 4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PSS 24.0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ction, and Bootstrapping. Results: The study found 2.68 points for academic stress, 4.11 points for social support, and 3.5 point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ocial support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odel 4, fir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the analysis of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they were all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a partially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소영(So-Young Mi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일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240명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r=.18, p=.005)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와는 부적인 상관관계(r=-.5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β=.16, p=.002)과 생활스트레스(β=-.58, p<.001)는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유의한 예측인자로, 이들의 설명력은 35.9%였다(F=67.84,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의미 있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더 나는 대학생활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small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1 program. As a result,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r=.18, p=.005)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tress(r=-.58, p<.001). In addition, communication(β=.16, p=.002) and life stress(β=-.5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9%(F=67.84,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as college students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reduce life stress and develop programs that can lead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과 학업계획의 차이

        박선주(Park Sun-Joo),박수정(Park Soo J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유형화하고 대학생활적응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 며, 학업계획에 있어서의 차이를 알아보고, 개인․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2011년도 7차 데이터를 분석 하였고,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 )을 실시하였 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은 4집단으로 유형화되 었으며, 대학생활적응 하위 요인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집단을 특 성에 따라 1) 학업-관계지향, 역량개발중시, 2) 학업-관계지향, 교류활동중시 3) 학업지향, 역량 개발중시, 4) 학업지향, 교류활동중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유형에 따른 학업계획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학업지향, 교류활동중시’ 집단의 경우, 대학생활 및 학업에 대해 소극적 계획을 가지고 있는 반면, ‘학업-관계지향, 역량개발중시’와 ‘학업-관계지향, 교류 활동중시’ 집단의 경우, 학업계획에 있어 적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셋째, 개인 특성(성별, 입학 전형, 현 대학 입학희망순위, 현 전공(계열)희망순위, 전공계열)과 대학 특성(대학 유형, 설립 유형, 대학 소재지)에 따른 대학생활유형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 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based on adjustment to university of freshmen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academic plan between the classes. For this, Latent Class Analysis,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with 7th data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05』.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4 types of latent classes were examined and named as 1) academic-relationship, competency development oriented class, 2) academic-relationship, exchanging activity oriented class, 3) academic, competency development oriented class, 4) academic, exchanging activity oriented cla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academic pl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While the class of ‘academic, exchanging activity oriented’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their academic plan, the classes of ‘academic-relationship, competency development oriented’ and ‘academic-relationship, exchanging activity oriented ’ showed a positive attitude.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variables(gender, type of university admission, past preference of the university and the major, major field) and university variables(type of the university, type of foundation, location of the university) were found. At the end of the articl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