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이지,정신영,김지애,김지윤,이동귀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oping strategies(problem 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 and avoida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Significant mediational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ere found in the paths from problem solving and avoidance strategies to career decision level, but not for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when the entire sample was of interest. For male college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i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increa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but no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was found. For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only problem solv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no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was show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검증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있어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인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전략, 회피형 대처전략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체모형 검증결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세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 회피형 대처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수준 간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모형검증 결과, 여성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회피형 대처전략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남성 집단은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전략만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셋째, 학년별 모형검증 결과, 저학년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회피형 대처전략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고학년 집단은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을 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고선옥,고진옥,고미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On how to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in a positive step to establish a coping strategy for stress from the viewpoint of pre-service education is required, the study for any coping strategy for stress that they experience aimed at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what about the courses and training to overcome in the analysis. this was about to be proposed to be added. Questionnaire survey was a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529 people in the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 located in Jeonbuk. Sub-factors of coping strategy for stress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factor with such physical coping, mental coping, destructive coping, direct coping, psychological coping. The t-test, F-test (one-way ANOVA) method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variables by using coping strategy use level of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were training institution, age, personality, marital status.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when faced with stress ‘direct coping strategy’, the most and are commonly used. Married and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in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 are physically or destructive coping strategy, rather than direct, mental and psychological coping strategy. When the credit bank system and child educare training center such a relatively age than college or university that many see higher the proportion of married women, unmarried young pre-service educare teachers are using more direct and mental coping strategy while it was found that more actively cope with the stressful.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suggested that individuals in the way of positive institutional level to cope with stress, as well as actively supporting measures have to be established to look at a personal level.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ere proposed to be added to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information on adaptation and coping in pre-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양성단계에 있는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을 수립하는 방안에 대한 사전교육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어떠한 대처전략으로 극복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에 소재한 보육교사 양성기관의 예비보육교사 5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스트레스 대처전략 질문지의 하위요인은 물리적 대처, 정신적 대처, 파괴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 등 다섯 가지로 구성하였다. 예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용 수준에 대한 배경특성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의 차이검증인 t-test와 F-test(one-way ANOVA)방법을 실시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배경특성변인으로는 양성기관, 연령, 성격, 결혼여부 등의 변인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은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직접적 대처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정신적 대처전략’, ‘심리적 대처전략’, ‘파괴적 대처전략’, ‘물리적 대처전략’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 직접적이고 정신적·심리적인 대처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육교사 양성기관의 주류를 이루고 비교적 연령이 많고 기혼여성들의 구성비가 높은 학점은행제와 보육교사교육원의 예비보육교사들은 물리적 대처전략과 파괴적 대처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보육교사 개개인이 스트레스에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양성기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모색하도록 지원하는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보육교사의 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백은주(Baek, Eun-ju),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교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자료 중 총 19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학생활적응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취업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취업스트레스 관리에 적극 적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aggressive-passive stress-coping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study, 193(male = 88, female = 105)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D university w ere selected to conduct a survey job -seeking stress, school life adjustment and stress-coping. Than the correlation analysis w as performed to figure out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Baron and Kenny suggested in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employ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coping between the jo b -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eeking stres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y.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i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adapt their university life successfully to work stress management, and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job stress management.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 효과

        허아림(Hoe Arim),이희영(Lee Heey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유치원 교사는 직무특성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정신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 문제는 교사 자신은 물론 유아들의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와 이들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의 교사 30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Hayes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지지중심 대처전략과는 부적 상관을 회피중심 대처전략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정적 상관,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과 정신건강은 상관이 없었으며, 지지추구 중심 대처전략과 정신건강은 부적 상관, 회피중심 대처와 정신건강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지지추구 중심 대처전략과 회피 중심 대처전략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한 만약 현실적인 이유로 이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점검해 보고 필요한 경우 이들의 대처 전략에 대한 상담이나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이들의 정신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던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ecause of job characteristics,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a great deal of stress and therefore mental health problems. Mental health problems of kindergarten teachers have nega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s well as teacher themselves.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have persistently investigated variables that influence mental health of kindergarten teachers. Along the same line,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kindergarten teachers. Three hundred kindergarten teachers in P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ayes’ PORCESS Macro.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support pursuit centered coping strategy, positively related to avoidance centered coping strategy and not related to problem solving centered coping strategy. Job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mental health.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centered coping strategy, negatively related to support pursuit centered coping strategy and positively related to avoidance centered coping strategy. Second, support pursuit centered coping strategy and avoidance centered coping strateg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but problem centered coping strategy did no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investigating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kindergarten teachers which has been remained unclear.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정체성 지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조애리,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ccording to their ego identity statuses. 336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ong-k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Extended Objective Measure of Ego Identity Status Ⅱ(EOM-EIS Ⅱ) and the Korean Version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 are in the achievement and moratorium statuses used more problem-solving focused strategy than those who were in the diffusion and foreclos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ing social support seeking and avoidance strategie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achievement status was related with problem-solving focused strategy, and inversely related with avoidance strategy, while diffused status was related with avoidance strategy and inversely related with problem-focused strategy. The foreclosed status was inversely related with problem-solving strategy, and moratorium status was related social support seeking and avoidance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dividuals in more mature ego identity status would cope with stressful situations more actively and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성 지위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를 검증한 연구이다. 경기도와 서울에 소재한 교육대학과 일반대학의 학생들 3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성 지위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정체성 지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자아정체성 지위와 학교 유형,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아정체성 지위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정체성 성취 지위와 유예 지위에 있는 학생들이 조기완료, 혼미 지위에 있는 학생들에 비해 문제해결중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전략과 회피 전략에서는 자아정체성 지위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성 지위와 학교 유형,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자아정체성 지위와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성취 지위의 경우는 문제해결중심 전략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회피중심 전략과는 역상관을 보였다. 혼미 지위의 경우는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는 역상관이, 그리고 회피중심 대처전략과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기완료 지위는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는 역상관이 있었으며, 유예 지위는 사회적지지 추구 전략과 회피전략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살펴볼 때 성취나 유예와 같이 성숙한 자아정체성 지위에 있는 개인들이스트레스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대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함경애,변복희,천성문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gratitud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401 male and female third grade students from 4 middle schools in Busan. The data analysis were use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titud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following stress coping strategies: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Gratitude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and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atitud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influence of gratitude on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high and low level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Therefore,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it is important not only to promote their gratitude but also to provide enough support for them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of active problem solving in stressful situations. In additi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in counseling situ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감사성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역할을 규명하려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곳의 중학교 3학년 남녀 401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감사성향은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나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높은 관련성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혜택을 떠올려 감사를 느끼고 표현하게 하는 활동들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감사성향이 낮다 하더라도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하며 주변의 충분한 격려와 지지는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문제들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감사성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녕감이 증진되고,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지만 감사성향과는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비록 문제 해결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감사성향을 높여주면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안녕감을 느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활동을 개발할 때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정서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덧붙였다.

      • KCI등재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적 자기개념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다중매개효과 연구

        이미수(Mi-soo Yi),황혜정(Hey-jung Hw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긍정적 자기개념의 정도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들의 관계에서 다른 방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들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법 서울 소재 318명의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긍정적 자기개념,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대처전략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중매개분석으로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는 첫째, 현재 긍정적 자기개념을 가진 미용업 종사자들일수록 스트레스가 낮았다. 둘째, 긍정적 자기개념은 세 가지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사회적 지지추구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문제해결 대처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에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회피방식의 스트레스 대처에는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세 가지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지추구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문제해결 대처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회피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미용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반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긍정적 자기개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회피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적 자기개념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회피를 거치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높이기 위해 회피를 낮추고 긍정적 자기개념을 높이는 개입이 동시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self-concept and stress level among beauty industry worker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318 beauty industry work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25 program. Mediat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Process Macre of Hayes (Model 4).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was a significant effect of positive self-concept on stress level. Second, positive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Lastly, stress coping strategy using avoidanc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tress level while other strategi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tress coping strategies through avoidance wer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concept and stress respons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avoiding stress response changes the direction of impact on stress respon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concept and stress response of beauty industry workers, so intervention to reduce avoidance and increase positive self-concept is necessary at the same time.

      • KCI등재후보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관계

        전미애,임세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LH)' and 'Stress Coping Strategy(SC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 First, Wa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LH and SC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could it be typifi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CS? Third, Wa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LH factors and SCS type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on the above subjects, 603 students of 3 vocational high schools in Dae-jeon city were sampled for a survey. The questionnaire of the survey were constructed with the questions for the examination of Learned Helplessness(LH) and Stress Coping Strategy(SCS). The research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d the high level LH exercised the avoidance-centered stress coping strategy more than the low level LH students. And students who have the low level LH, exercised problem-solving stress coping strategy more often. Second, three types of the compounded stress coping strategy were identified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① low problem-solving, low social-support-pursuit, low avoidance-centered stress coping strategy, ② high problem-solving, high social-support-pursuit, high avoidance-centered stress coping strategy, ③ average problem-solving, average social-support-pursuit, average avoidance-centered stress coping strategy.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LH factors and SCS types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시에 소재한 전문계 고등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630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614매의 설문지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603매의 설문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회피 중심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회피중심 대처전략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생의 복합적인 스트레스 대처전략 양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 중심·회피 중심·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이 모두 낮은 집단(군집 1), 문제해결 중심·회피 중심·사회적지지 추구․회피중심 대처전략이 모두 높은 집단(군집 2), 문제해결 중심·회피 중심·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이 중간인 집단(군집 3)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양식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양식과 학습된 무기력 변인은 관계가 있었다. 즉 문제해결 중심·회피 중심·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이 모두 낮은 집단(군집 1)은 수동성, 통제력 결여, 과시욕 결여변인이 군집 2와 군집 3에 비해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문제해결 중심·회피 중심·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이 모두 높은 집단(군집 2)은 책임감 결여에서 군집 1과 군집 3에 비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문제해결 중심·회피 중심·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이 중간인 집단(군집 3)은 자신감 결여, 우울․부정적 인지, 지속성 결여변인에서 군집 1과 군집 2에 비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된 무기력 학생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유형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괴롭힘 주변인의 방어 및 동조 행동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

        오인수(吳仁秀),임영은(林伶垠),김서정(金瑞貞)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주변인 행동 및 집단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주변인 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이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4학년 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대처전략(적극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과 주변인 행동(방어정도, 동조정도), 집단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적극적 대처행동은 방어정도와, 공격적 대처행동은 동조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적극적 대처행동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방어의 정도가 높으며, 공격적 대처행동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동조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집단효능감은 적극적 대처행동과 정적 상관을, 공격적 대처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집단효능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 전략을 많이 사용하며, 공격적 대처행동 전략은 적게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집단효능감은 적극적 대처행동에 대한 방어정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격적 대처행동이 동조정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효능감은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ping strategies, bystander’s reactions, and collective efficacy. A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coping strategies and bystander’s reactions was examine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9 fourth grade students in four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Coping strategies(active coping, aggressive coping), bystander’s reactions(defending behavior and assisting behavior), and collective efficacy were assess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he initial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 and aggressive cop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ssisting behavior. Collective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ive coping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ve coping.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and defend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The relationship of aggressive coping with assisting behavior was not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Education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