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이창덕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이 글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대중매체(매스미디어)와 국어교육의 접점의 하나로서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토대로 라디오 방송을 국어교육에 어떻게 끌어을 것인가를 논의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 강력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매스미디어를 국어교육에서 적극 수용하고, 매스미디어를 어떻게 국어교육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의 국어교과에 방송을 비롯한 매스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국어교육을 위해서 바람직하기만 한가, 체계적 적용이 가능한가를 따져보아야 하고, 미디어 교육이 국어교육에 바람직하고 적용 가능하다는 판단이 내려진다면 다양한 대중 매체 들을 어떻게 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방송매체를 국어교육에 수용하되, 대중매체의 언어나 언어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다루고, 매체 일반에 대한 교육이나 매체에서 다루는 담론 내용들에 대해서는 국어 교과 외의 영역에서 다루거나 다루더라도 그 비중이나 중요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다룰 방송매체교육은 현장의 특성에 맞게 구체적 대상과 학습 방법을 개발해서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방송매체 교육을 국어교육에 도입한다면 방송언어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라디오 방송의 경우에도 라디오 방송언어나 그 사용의 원리 등을 국어교과에서 익히고, 학생들이 라디오 방송을 직접 듣고 라디오 방송에 참여하며, 나아가서 라디오 방송 제작 등을 해 보면서 다양한 언어생활을 경험해 보는 것은 반드시 국어교과에서만 다루어야 한다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통합 교과 수업이나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을 통해서 다룰 수 있도록 개방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라디오 방송을 비롯한 대중매체에 대한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필요하지만, 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매체교육은 그 대중매체들 전반에 관한 교육, 나아가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다양한 의미의 생성과 해석 과정 전반을 다루는 교육이 아니라 대중매체 언어와 언어사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 대중매체와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언어와 국어교육으로 층위를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과 국마교육의 관계를 세우고, 라디오 방송 이해 교육, 라디오 방송 언어 이해 교육, 라디오방송 체험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ive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with the language on the radio broadcastings in South Korea. Recently, the opinion that 'media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etting power of persuasion among schola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t needs to examine carefully t o include mass media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a education, especially radio program education, has to be dealt at the low level involved only with the language being used in radio broadcasting. A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an education focusing on the principles which can explain various aspects of broadcasting language usages. It is argu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ould be effectively performed not only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but in the integrated subjects classes such as ethics and language classes, sociology and language classes etc.. . In chapter two, it is argue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of broadcasting language in language education. The area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involved with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can be divided by many criteria, for instance, by the sorts of broadcasting network, characters of programmes, and purposes of education etc.. This paper suggests a series of categorie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by each criteria.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article classifies the various ways to adopt radio broadcast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divided into layers, radio broadcas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sorted into education to understand radio broadcasting system, education to learn radio broadcasting language, and education to experience radio broadcasting. And each layer gives concrete shapes of classes teaching and training broadcasting language and its principles of usage.

      • KCI등재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대중매체 언어와 러시아 표준어의 상관성에 관한 사변적 논의

        김용화 한국노어노문학회 2023 노어노문학 Vol.35 No.4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정치·경제 체제의 일대 전환과 글로벌 현상으로서 뉴미디어시기의 도래가 맞물리며, 사회문화의 전면에 대두된 대중문화, 그리고 언어생활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 대중 소통의 양상이 전례 없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대중문화에 대한 엘리트 문화와 대중 소통 언어에 대한 표준어의 관계 및 위상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대중매체 언어(язык СМИ)와 러시아 표준어의 상관관계, 그리고 현대러시아어에서 대중매체 언어의 위치 및 역할에 관한 논의이다. 소비에트 시기의 ‘저널리즘체 ⊂ 대중매체를 매개로 한 표준어 ⊂ 표준어 ⊂ 러시아어’ 관계가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에 ‘저널리즘체 ⊂ 표준어 ⊂ 대중매체 언어 ⊂ 러시아어’로 이행하였다는 것이 본고의 기본 가설이자 결론이다. 본고는 대중매체 언어의 기능을 ‘대중성, 공통성, 평균성, 통합성’으로 규정하고, 대중매체 언어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사용의 고빈도성이며, 이와 더불어 조어 구축망과 어휘결합력 역시 주요 자질로 보았다. 21세기 뉴미디어 시기는 언중 및 언어생할에서 기능이 축소되고 위상이 약화한 표준어의 시효성과 상징성에 관해 숙고하며, 평균적 소통을 지향하는 대중매체 언어를 기반으로 한 공통어(общий язык) 중심의 언어 정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As a major transformation of the Russian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and the advent of the new media period as a global phenomenon became interconnected in the post-Soviet period, popular culture, which came to the fore of social culture, and public communication, which came to be at the center of linguistic, developed in an unprecedented way, and cracks began to appear in the relationship and status of elite culture with respect to popular culture, and literary language with respect to the language of mass communi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Russian mass media language and Russian literary language in the post-Soviet period, and the position and role of mas media language in modern Russia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relationship among “journalistic style ⊂ literary language of the mass media ⊂ literary language ⊂ Russian” during the Soviet period transitioned to “journalistic style ⊂ literary language ⊂ mass media language ⊂ Russian” in the post-Soviet period. This study defines the functions of mass media language as “popularity, commonality, averageness, and integration,” and the most important quality of mass media language as high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lexical construction network and lexical cohesion are also important qualities of mass media language. The 21st century new media period is a time to reflect on the validity and symbolism of literary language, whose function and status has been weakened in speech and language life, and on language policies centered on a common language based on mass media language aimed at average communication.

      • KCI등재

        대중 매체 언어와 국어 연구

        구현정 ( Koo Hyun J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70 No.-

        대중 매체 언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발달한 것으로 그 파급력은 의사소통 방식뿐만 아니라 언어 체계 자체에도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 연구에서는 대중 매체 언어의 유형을 인쇄 매체 언어, 방송 매체 언어, 디지털 매체 언어로 나누어 현대국어 연구의 자료로 전자화된 자료와 연구 내용을 살피고, 매체 생태학, 매체 언어학, 용법-기반 언어학으로 나누어 대중 매체언어를 연구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이와 같은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방향을 문체적 다양성 연구, 현대국어 구어 연구의 확대, 잠정적 문법의 발견이라는 관점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형식적, 관념적, 문어적, 문장 중심적, 규범적, 사변적 언어 연구방법으로부터, 기능적, 용법 중심적, 구어적, 담화 중심적, 의사소통적, 문화 중심적 연구방법으로 전환함으로써,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언어의 본질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Mass media language is a recent development that was made possible by the advances made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powerful impact of the mass media language is such that it brought forth change not only in the modes of communication but, more fundamentally, in the language itself as a linguistic system. Classifying the types of mass media language in three subtypes of media, i.e., printed, broadcast, and digital media. This paper overviews the digit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of mass media and digital communication, introduces newly emerging subdisciplines of linguistics as a consequence of change in communication modes and means, i.e, media ecology, media linguistics and usage-based linguistics, and their research methods for mass media language. The discussion assumes the perspectives involving stylistic diversity, expansion of colloquial language research, identification of emerging grammar. This paper calls for a shift from the traditional formal, abstract, literary-based, sentence-centered, prescriptive and speculative research methods, to more functional, usage-based, colloquial, discourse-centered, communication-based, and culture-centered research methods. It is argued herein that resulting analyses can enable us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essence of language as a tool of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정현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19 No.-

        “Media language education” is an operational term that is used in the context of incorporating media literacy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a language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language education in that it deals with reading and writing different types of texts, i.e., media texts. However, its approa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reading and writing: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oral and written languages, the language of the media includes visual signs and moving images. Media language education also emphasizes developing new skill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media as channels of transmitting messages, in terms of how these channels might be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the producers and receivers of the messages might interact.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relatively unfamiliar with these two aspects. However, they are important language abilities in the present age of digital media when ordinary people can become producers and distributors of their own texts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article, I propose five principles of approaching media language education not only as an extension of language education but also as a par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article also examines how the new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might reflect media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ve principles proposed. 매체언어교육은 기존의 읽기와 쓰기를 매체 텍스트에 확대한 ‘언어’ 교육이라는 익숙한 측면도 지니고 있지만, ‘매체 특성’을 고려한 읽기와 쓰기라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교육에서 낯선 측면도 지니고 있다.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지식 분야에서 ‘매체 특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매체가 달라지면 메시지를 표현하는 언어와 기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같은 텍스트라도 어떤 매체에 실려 전달되고 유통되는가에 따라 그 의미의 파급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생산한 텍스트를 소통의 목적과 파급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미디어를 통해 유통시킬 수 있는 능력까지도 국어교육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경우 미디어 텍스트를 쓴다는 것은 텍스트의 생산 뿐 아니라 유통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 된 것임을 말해준다. 이처럼 매체언어를 통한 소통 능력이 텍스트의 이해(수용)와 표현(생산) 뿐 아니라 유통 능력까지도 포함하게 된 것은 이와 같은 미디어 자체의 변화와 관련된다. 따라서 매체언어교육은 언어를 기호로 확장해 이해하는 관점 뿐 아니라 기호의 의미 작용에 있어 매체가 작용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소통적 관점 역시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을 수용하기 위해 이와 같은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을 바탕으로 매체언어교육의 목표를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매체언어를 바라보는 기호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 둘째 영상언어의 의미작용을 이해하는 것, 셋째 비판적 언어 인식을 바탕으로 미디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 넷째 심미적 미디어 텍스트를 문화적 관점에서 수용, 향유, 생산할 수 있는 능력, 마지막으로 새로운 소통 기술에 대해 성찰적으로 이해하고 사회적 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는 여전히 국어교육에서 다소 낯설게 여겨지는 매체언어교육이 국어교육의 영역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현대 러시아 대중매체 언어와 소통의 전략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현대 러시아 저널리스트는 자신의 주관적 시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의 의식에 작용하여, 그를 자신의 의견에 동조하도록 유도하려는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주관화, 민주화, 논증화, 지식화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소비에트의 대중매체와는 구별되는 다양한 언어 현상들, 곧 평가성, 감정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표현들, 선행텍스트의 인용, 대화구조가 폭넓게 관찰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들은 둘 이상의 소통 전략을 동시에 실현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조소적 평가성의 강화는 주관화와 지식화 전략의 실현수단이 된다. 대화성의 강화는 독자와의 언어적 근접을 목표로 하는 민주화 전략뿐 아니라, 논증화 전략의 실현수단이 된다. 선행텍스트의 인용은 지식화, 논증화 전략 뿐 아니라,민주화 전략을 실현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된다. 이렇게 다양한 언어 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소비에트 대중매체 언어는 러시아어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Петрова 외 20011:13)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생생한 구어형-집담체(устно-публичная речь)의 복원을 들 수 있다. 집담체란 개인간의 소통이 아니라, 대중을 상대로 하는 소통, 대중이 직접 참여하는 소통을 말한다. 여기에는 집회에서의 연설, 저널리스트의 기사, 인터뷰, 강의 등이 포함된다. 소비에트 시기에 구어형-집담체는 사전에 준비된 문어형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는 것에 불과했던 반면,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는 이전의 건조하고 교조적인 문체로부터 탈피한 생생한 표현력을 가진 공공-집담체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 외에도, 대중매체는 문체의 전반적인 수준 저하, 지나친 회화체 정향성, 비속어의 확산 등 러시아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2005년에 <러시아연방의 국어법>(Закон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язык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이 제정된 이후 대중매체 텍스트의 점차적인 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1990년대 말 사회의 변화가 대중매체 언어의 비규범성을 강화시켰던 반면, 2000년대에는 규범이 다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비규범적인 언어는 그 사용 동기가 명확한경우로만 제한되기 시작했고, 대중매체 언어의 공격성도 점차 약화되고 있다 (Беглова 2007:8). 본 논문에서는 대중매체 언어가 러시아어에 미친 영향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평가를 떠나서, 문체적 역동성과 언어규범의 확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언어 변화와 소통

        임수영(Lim Soo 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2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십여 년 동안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언어 변화는 러시아의 급격한 변화, 즉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도입과 자본주의 경제의 실현, 탈 이데올로기화, 반 전체주의(антитоталитаризм) 경향, 다양한 사회문화적 제약의 완화와 개방 등이 원인이 된 것이다. 이 시기의 러시아어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사용되는 소통 공간의 상황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직전 시기의 소비에트 러시아어와는 여러 측면에서 사뭇 대조적인 양상을 보인다. 소비에트 시기에는 언어가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일종의 ‘이데올로기의 소유물(идеологическая собственность)’ 혹은 ‘이데올로기적 현상(идеологический феномен)’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이 시기 러시아어는 매우 의례적(ритуальный), 즉 대단히 형식적이고 무미건조하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와 같은 성격의 전체주의 시기 러시아어 사용 환경은 당연히 러시아어를 문체적, 기능적으로 빈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어는 이른바 ‘деревянный’ 혹은 ‘дубовый язык’이라 불리기도 하며, 보통의 언어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혹은 색다른 점을 가지는 언어라는 의미의 ‘новояз’(new speak)나 그것의 비현실적인 모습을 강조한 ‘квазиязык’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소비에트 러시아어는 20세기 후반 페레스트로이카를 기점으로 하여 언어 사용 및 소통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즉, 언론매체나 집회 등의 소통 공간에서 공개 담화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발언과 표현이 이전 시기에 비해 현저하게 자유로워졌다. 이것은 곧 개인적, 사회적 소통의 상황 및 장르의 변화를 의미한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 발달 양상에서 큰 특징은 대중매체가 언어 변화에 전례 없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중 매체 언어는 현실 변화에 따른 다양한 언어적 소통 상황의 변화를 분명하고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이것은 또다시 일반 대중의 언어 사용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 어휘 변화 양상을 본 논문에서는 크게 다음의 네 가지 항목, 즉 어휘의 의미적 변화, 어휘의 문체적 변화, 속어ㆍ은어 사용 활성화, 외래어 사용 활성화로 나누어 관찰하고 있다. 어휘의 의미적 변화는 구체적으로 의미 탈락 현상, 의미의 탈 이데올로기화, 탈정치화, 정치화 등의 경향으로 나타난다. 어휘의 문체적 변화는 무엇보다도 중립화(нейтрализация) 경향으로 나타난다. 즉, 상문어체(высокий книжный стиль)의 단어들이 문체적으로 중립적 혹은 하급의(сниженный) 콘텍스트에 자주 사용되면서 중립적 문체의 성격을 새로 가지게 되거나, 반대로 비속어와 같은 하급 문체의 단어들이 중립적 콘텍스트에 자주 등장하면서 원래의 문체적 성격에서 벗어나고 있다. 완곡어법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에서 정치적혹은 사회적으로 부정적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어휘를 애매하게 혹은 우회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의 본질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에서는 속어와 은어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러시아어에서 속어, 은어 등의 비표준적 어휘는 언론매체를 통해 일반화 과정을 보다 신속하게 거치고 있다. 외래어 사용의 활성화는 급격한 현실의 변화로 새롭게 등장한 여러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명명과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의 필요성에서 비롯된다. 신조어 사용의 활성화 역시 러시아 현실 변화에 따른 명명의 필요성 때문이며,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조어는 러시아 사회문화적 현실을 보다 분명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이정복(Lee, Jeong-bok)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4

        Mass media such as newspaper, broadcasting and internet are the necessary companions of mankind and no longer inseparable from them in modern life. Language use in mass media leads people’s life to fun and lively condition. At the same time, it has powerful force to bring about linguistic changes. The internet as a multi-functional media has especially brought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way of language use. In this situation, various researches on the mass media language are increasing in Korea.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the mass media language in Korea, and consider the purposes and directions of the study on it. Firstly, in section 2,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elopment and language use is described. The fact is pointed that a new media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communication, and influence language use and linguistic change. In section 3, we review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mass media language. In quantitative terms, the studies on the language of internet media are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more than studies on the language of print media or broadcasting media. The accesses to the study on media language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as the normative approach, the descriptive/functional approach and the critical approach. The descriptive/functional approach is the main part of the study. In section 4, we suggest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mass media language. First, the normative research should proceed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particularity of the mass media. Second, the study on the mass media language should be carrying out to enrich the system of everyday language. Third, the language use in mass media should be described taking into account the various contexts or environments of mass media. Fourth, the critical study on the social functions of language in mass media should be increased.

      • KCI등재후보

        매체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애니메이션 서사 수용에 관한 연구

        남유미,정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변화된 매체 환경이 학생들의 서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수용 양상과 그 국어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서사에 대한 경험은 기존의 국어교육이 중시해 왔던 책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서 뿐 아니라 영상 매체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있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서사를 경험할 수 있는 매체 텍스트이며, 보다 의미 있는 서사 경험을 위해 교육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로 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중 <검정고무신>과 <아따맘마>를 선정하여 어린이들의 서사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들은 이미 대중적인 미디어 텍스트에 익숙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물의 시각적 형상화 방식이나 서사의 흐름을 비롯한 영상 언어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영상서사 이해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같은 대중매체 텍스트라 하더라도 어린이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인물에 대한 선호나 이해도에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이해나 주제에 대한 소화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애니메이션을 통한 서사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어린이들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하는 교육적 안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primary school children might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programs. Television animations are media tex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Children can learn about the aspects of multimodality and narratives of the moving images by watching television animations. Drawing on the children's responses after watching popular television animations, <Black Rubber Shoes> and <Atashinchi>, this article finds out that children need to learn more systematically about the ways in which moving images construct narratives.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children's abilities to understand the narrratives of animations are dependent on their ment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selecting animation texts for their learning.

      • KCI등재

        언어 문제에 있어서의 대중과 대중성 문제

        김하수(Kim, Ha-soo)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1

        Traditional linguistics has not been recognizing public as a principal body that uses the language but rather isolated them. Linguists had tried to manage and control language instead of accepting the public as a principal user. Therefore, it is time to treat them as a group of users and not call them an individual user such as “a speaker” it seems. Since turn of the last century, as members of the civilized society, public has started voicing their opinions by participating in politics, in the market place, public spaces, schools and workplaces, and has achieved and/or protected their interests. Nowadays, it is almost impossible to maintain social structure without keeping track of public trends in all the areas of education, markets, government, political parties, art and sports and so on. It demands to recognize power of public again as a new role of personal computer has emerged and become main-stream of mass media since the end of 20thcentury. On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new form of media is in the form of language that is used within, in which the public language overwhelms so called the elite language. It combines colloquial and written languages in one synchronized point of contact. Also, it not only exchanges messages but also does emotions as well. Accordingly, instead of being a lame combination of vocabularies and grammars, this new style language has become a multi-functional tool by which people would communicate feelings, expectations, and emotions altogether. Now, it is not the time for the elite group to manage and direct but the time for public to manage their own language as it serves their purposes. Hence, it also is a time for linguistics to change its own paradigm. Speech and text are unifying together and text and story are becoming a singular form of communicating tool. It is impossible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its language without understanding the language structure of the society in terms of its communication means that is being divided into two form of structures, face-to-face and media-based communication.

      • Radio and Television as the Media of Mass Communication

        Jocic, Mirjan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가장 영향력 있고 널리 퍼진 대중 매체인 라디오와 TV를 통한 컴뮤니케이션의 성격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분석한 대상은 컴뮤니케이션 모델, 컴뮤니케이션 코드(특히 인간의 언어), 대중 매체 영향력의 사회적 구조, 컴뮤니케이션의 상호관계등을 협의와 광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