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담수유입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 후의 연안 수질변동 특성

        이영식,박영태,김귀영,최용규,이필용,Lee Young-Sik,Park Young-Tae,Kim Kui-Young,Choi Yong-Kyu,Lee Pil-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2 No.2

        연안해역의 수질특성 및 일차생산 증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담수 유입 후 규조류가 대량 번식한 상태와 담수가 유입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해수의 수질특성을 조사차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호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된 해역에서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와 Thalassiosira spp.가 각각 $1,200{\sim}5,000cells/mL,\;750{\sim}1,200cells/mL$의 농도로 관찰되었다. 2)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수온, PH, 용존산소농도가 높게 조사되어, 두 곳 사이의 거리가 20m 정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두 곳의 수질특성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질소 인, 규소의 농도가 낮게 조사되어, 호우로 질소, 인, 규소보다는 규조류가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미량원소가 육지로부터 풍부하게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DIN/DIP, $DIN/SiO_2-Si$ 비는 모두 규조류가 대량 증식한 정점과 그렇지 않은 정점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water and mechanism of phytoplankton blooms, factor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diatom bloom area due to rainfall event and no diatom bloom area Diatom blooms occurred after heavy rain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Skeletonema costatum($1,200{\sim}5,000cells/mL$) and Thalassiosira spp.($750{\sim}1,200cells/mL$). In diatom bloom area, water temperature, pH, and dissolved oxygen were observed at higher level than in no diatom bloom area Although these two areas were only 20 meters apart from each other, sharp difference in coastal water quality between two areas was observed. In diatom bloom area, concentrations of nitrogen, phosphorus, and silicate were observed at lower level than in no diatom blooms area. This seems to be due to inflow of much trace metal such as Fe, Mo, Se and so on than nitrogen, phosphorus, and silicate by rainfall events. However, distinct differences in DIN/DIP and $DIN/SiO_2-Si$ between these two areas were not observed.

      • KCI등재후보

        오옥신과 사이토키닌 호르몬 처리를 이용한 칼라 기내식물체 대량증식체계 확립

        이상화,김영진,양환래,김종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천남성과에 속한 칼라는 생육 조건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이 가능한데 그 중 꽃 모양과 화색이 다양한 유색칼라는 절화로서 인기가 매우 높다. 그러나 유색 칼라는 자연 번식률이 매우 낮고 개화구근을 얻기 까지 오랜 시간이소요되어 우량 품종의 대량 번식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라 기내 식물체의 생육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식물 성장 호르몬을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뿌리 발생은 기본 MS 배지에서 81.5 %로 가장 높았고 신초 및 다신초 발생률은 BA 2.0 mg/L와 IBA 1.0 mg/L 혼용 처리구에서 100.0 %와 36.4 %로 가장 높았다. 또한 생체중에서는 BA 2.0 mg/L 단일 처리구에서 11.2배가 증가하여 모든 처리구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Auxin과 cytokinin 혼용 처리 실험은 이전 연구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고 칼라 식물 생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줌으로써 미소대량증식체계 확립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re are two kinds of calla belonging to the Zantedeschia spp. depending on the growing condition. Between them, various colored calla with flower shape and flower color are very popular as cut flowers. However, colored calla is very low in natural reproduction rat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obtain a flowering bulb. So it is urgent to establish a large breeding system of good varieties. In this study, various plant growth hormone treatment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growth of the plants in calla. Root formation was the highest at 81.5 % in basal MS medium, and the formation of shoot and multiple shoots were the highest at 100.0 % and 36.4 % in the combined treatment of BA 2.0 mg/L and IBA 1.0 mg/L, respectively. In fresh weight, the highest growth rate was observed with 11.2 times increase in BA 2.0 mg/L single treatment. Auxin and cytokinin mixed treatment were widely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positive effects on the growth of calla plants will help to establish the micro-propagation system.

      • KCI등재

        가는쇠고사리의 대량번식에 미치는 배지구성물질과 배양토의 영향

        조주성(Ju Sung Cho),한지현(Ji Hyun Han),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원예학회 2017 원예과학기술지 Vol.35 No.1

        본 연구는 면마과 가는쇠고사리[A. aristata (G. Forst.) Tindale]의 각 생육단계에 적합한 기내 대량증식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자를 1 / 8 ‚ 1배로 조절한 MS 배지와 Knop 배지에 파종한 결과, Knop 배지에서 최종 발아율이 87.1%로 가장 높았다. 또한 전엽체를 배지의 종류, sucrose와 활성탄의 농도, 질소급원의 농도 및 비율을 다르게 처리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실험의 결과, 가는쇠고사리의 전엽체는 sucrose 3%의 MS배지에서 NH₄Cl과 KNO₃의 비율을 20 : 40mM로 하여 총 농도를 60mM로 조절한 배지에서 증식이 가장 왕성하였다. 토양 종류에 따른 포자체 형성을 관찰한 결과, 상토:펄라이트를 2 : 1(v / v)로 혼용하였을 때, 단위면적 당 발생한 포자체의 수가 73.8개 / 7.5 × 7.5㎝로 가장 많았다. 반면 피트모스를 단용 및 혼용처리한 조건에서는 전엽체 발달 및 포자체 형성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가는쇠고사리는 MS 배지에서 전엽체를 증식시킨 다음 상토 : 펄라이트(v / v = 2 : 1) 혼합토양에서 포자체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인 증식법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 vitro mass propagation methods suitable for each growth stage of A. aristata (G. Forst.) Tindale, from spore germination to sporophyte formation. Among spores germinated in 1/8 - 1 × MS medium and Knop medium, Knop medium yielded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87.1%). We cultured prothalli obtained from germinating spores for 8 weeks on media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active carbon, as well as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ratios of nitrogen, to select a suitable growth medium. A. aristata (G. Forst.) Tindale prothalli grew most actively in MS medium with 3% sucrose and 20 : 40 mM of NH₄Cl and KNO₃ (total concentration of 60 mM). We investigated sporophyte formation according to soil type, finding that bedding soil mixed with perlite at a 2 : 1(v / v) ratio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sporophytes per pot (73.8 / 7.5 × 7.5 ㎝ pot). By contrast, when peat moss was used alone or mixed with other substrates, prothallus development and sporophyte formation were suppressed.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propagation method for A. aristata (G. Forst.) Tindale is to grow prothalli in MS medium and to induce sporophyte formation in a mixture of bedding soil and perlite (v / v = 2 : 1).

      • KCI등재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의 액아배양으로부터 다신초 형성을 통한 대량증식

        서영롱,김용덕,박동진,송현진,김학곤,양우형,정미진,임현정,최명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1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는 단풍나무과의 약용식물로 기내 대량증식 및 발근에 적합한 최적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농도를 구명하고, 순화조건을 검증하여 대량생산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겨릅나무의 종자 소독 후 1.0mg l-1 GA3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발아시켜 기내식물체를 확보하였고, 생장에 적합한 최적배지 구명을 위해 7종류의 다양한 식물배지에서 4주간 배양한 결과, WPM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액아배양을 통한 대량증식에 최적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의 cytokinin의 다양한 농도별 처리를 통해서 8주 동안 배양한 결과, 1.0mg l-1 Zea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평균 3.3개의 다경줄기가 유도되었다. 기내발근에는 0.5mg l-1 2.4.-D가 단독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 수가 높았고, 다신초 개체는 기외의 토양으로 이식하여 환경적응을 유도한 후 배양묘 대량생산 조건을 확립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in vitro culture of Acer tegmentosum Max(Aceraceae), a medicinal plant. For mass propagation, the optimal medium and plant growth regulators for rooting, and conditions for hardening were established. Seeds were sterilized, and then germinated on MS medium containing 1.0mg l-1 GA3 for obtaining in vitro plantlet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ulture medium, the plantles which were inoculated in WPM media showed the best growths. The largest number of multiple shoots from axillary buds were obtained in the treatment of 1.0mg l-1 Zeatin(3.3 shoots per a stem segment). High numbers of roots were developed in the treatments of 0.5mg l-1 2.4.-D. The plantlings were transferred into soil to be adapted to in vivo condition.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for propagating A. tegmentosum.

      • KCI등재

        Bioreactor를 이용한 사계성 딸기 기내대량증식과 경제성

        이종남(Jong Nam Lee),김혜진(Hye Jin Kim),김기덕(Ki Deog Kim),권영석(Young Seok Kwon),임주성(Ju Sung Im),임학태(Hak Tae Lim),용영록(Young Rok Yeoung)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5

        본 실험은 여름딸기 무병묘 대량증식을 위해 bioreactor배양의 증식 및 경제성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양방법은 반고체, 고체, 현탁배양 및 bioreactor 배양 등 4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배양 6주 후, 식물체의 초장은 고체배양이 3.6㎝로 가장 짧았으며, bioreactor 배양이 8.3㎝로 가장 길었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bioreactor 배양이 2,261㎎과 525㎎으로 다른 배양방법에 비하여 가장 무거웠다. 액아는 반고체, 고체 및 현탁배양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bioreactor 배양은 주당 7개의 액아가 발생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기본식물 생산 시 bioreactor배양이 303원/주으로 고체배양의 845원/주보다 542원/주 적었다. 따라서 딸기 무병묘 생산시 bioreactor배양이 대량증식 및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various culture methods and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of each method for mass propagation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Four different methods such as semi-solid culture, solid culture, liquid suspension culture and bioreactor culture were compared. The solid culture and bioreactor culture showed the shortest and longest root length, such as 3.6 ㎝ and 8.3 ㎝, respectively. Fresh weights of plants cultured in bioreactor were 2,261 ㎎, which were heavier than those of cultures. Dry weights of plants cultured in bioreactor were the heavier compared to those in other cultures. The number of axillary bud developed in bioreactor was seven, but axillary bud was not developed in other cultures. Production cost through bioreactor culture was calculated to be 303 won per plant which was 542 won less than that of solid cultur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bioreactor culture was the most cost effective culture method for in vitro mass propagation in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 KCI등재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Fabricius))에 대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감염력 및 증식력

        한상찬,이성섭,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199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8 No.3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기주 증식을 위해 실내 대량사육이 용이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 (Fabricius))유충에서 병원성과 증식선충수를 조사하였다. 반수치사 병원선충수는 두 기주간 또는 발육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기주내에 증식된 선충수는 기주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온도에 따른 선충의 증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주내 최대 감염태 선충수(담배거세미나방 5령충에서 약 500,000마리, 파밤나방 5령충에서 약 100,000 마리)를 보이는 소요기간이 $25^{\circ}C$에는 접종 후 6일이나 $20^{\circ}C$에서는 12일로 길어졌다. Pathogenicity and multiplic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ere analyzed in two insect hosts, Spodoptera exiga (Hubner) and Sp. litura(Fabricius). The estimated ${LC}^{50}s$(lethal concentration of the infective juveniles to kill 50% of the host insect popula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ow insect species or amo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on the filter paper assay, thought the actual numbers of the infected nematodes were varied among them. The significant variation, however occurred in nematode multiplication between tow inset hosts. Temperature also gave sosignificatn effect on nematode multiplication rate that it took 6 days after infection at $25^{\circ}C$, but did 12 days at $20^{\circ}C$ to show the maximal nematode population peak($\approx$500,000 infective juveniles(IJ) in a 5th instar larva of Sp. litura and $\approx$-100,000 IJ in a 5th instar larva of Sp. exigua).

      • KCI등재후보

        호르몬 및 배지 고형제를 이용한 알스트로메리아식물체 대량증식 체계 확립

        양환래,이상희,김종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Alstroemeria (Alstroemeriace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t flowers in international market. But, its characteristics such as low multiplication rates, time consuming process and high risk of carrying viral disease, in vitro propagation techniques based on rhizome meristems culture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is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mones and gelling agents on the growth for Alstroemeria in vitro tissue culture. The highest number of shoot and root formation were obtained from the growth medium contains BA 1.0 mg/L and NAA 0.1 mg/L. When 0.25% of gelrite was added up to 50% shoots and roots length were observed compared to other gelling agents. Using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ass production systems in Alstroemeria. 알스트로메리아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절화 작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낮은 증식률과 번식기간이 길고 바이러스질병 감염이 높기 때문에 대량증식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내 조직배양을 이용한 대량증식 시스템 쳬계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A와 NAA 그리고 여러 가지 배지 고형제를 이용하여 알스트로메리아 최적의 생장효율을 찾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BA 1.0 mg/L 와 NAA 0.1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신초 및 뿌리의 개수가 약 1.5배 증가하였고 비대한 신초와 뿌리를 나타내었다. 여러 가지 배지 고형제들 중gelrite 0.25%를 첨가한 배지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최대 50% 향상된 길이를 나타내었고, 근경 개수 및 생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도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스트로메리아 신품종 개발 및 대량증식 시스템체계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타우린 처리를 통한 칼라 기내 식물체 대량증식체계 확립

        이상화,김영진,양환래,김종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Zantedeschia spp. calla is very popular as a cut flower.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micro propagation system through plant tissue culture with the problem that colored calla with various colors are low in natural reproduction rate and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experiment by adding taurine to improve the growth of calla plant. When 20 mg/L of taurine was added with plant growth effect, 54.0 % of the cases of multiple shoots and 17.2 times of fresh weight were the most effective. Taurine 20 mg/L treatment showed 16.0 % and 39.2 %, respectively, than the untreated control. Taurine may contribute to mass propagation of elite breeding lines as well as an improvement of farm income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overall growth of calla plant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icro propagation system of calla shoot tips. 천남성과에 속하는 Zantedeschia spp. 칼라는 절화로서 매우 인기가 높다. 다양한 색상을 지닌 유색칼라는 자연번식률이 낮고 고온에 취약하다는 문제로 식물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 증식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칼라 기내 식물체의 생육을 향상시키고자 타우린을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물 생장 효과로 타우린을 20 mg/L 첨가했을 때 다신초는 54.0 %의 발생을 보였고, 생체중은 17.2배가 증가하여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식물 생장에 악영향을 주는 갈변화에서는 타우린 20 mg/L 처리구가 16.0 %로 무처리구의 39.2 %보다 약 2배이상의 갈변이 억제된 것을 보였다. 타우린은 전반적인 칼라 식물 생장을 촉진시켜 칼라 경정의 대량 증식체계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우량품종의 효율적인 대량증식 및 농가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의 액아배양으로부터 다신초 형성을 통한 대량증식

        서영롱,김용덕,박동진,송현진,김학곤,양우형,정미진,임현정,최명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in vitro culture of Acertegmentosum Max(Aceraceae), a medicinal plant. For mass propagation, the optimal medium andplant growth regulators for rooting, and conditions for hardening were established. Seeds weresterilized, and then germinated on MS medium containing 1.0mg l-1 GA3 for obtaining in vitroplantlet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ulture medium, the plantles which were inoculated inWPM media showed the best growths. The largest number of multiple shoots from axillary budswere obtained in the treatment of 1.0mg l-1 Zeatin(3.3 shoots per a stem segment). Highnumbers of roots were developed in the treatments of 0.5mg l-1 2.4.-D. The plantlings weretransferred into soil to be adapted to in vivo condition.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forpropagating A. tegmentosum.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는 단풍나무과의 약용식물로 기내 대량증식 및 발근에 적합한최적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농도를 구명하고, 순화조건을 검증하여 대량생산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수행되었다. 산겨릅나무의 종자 소독 후 1.0mg l-1 GA3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발아시켜 기내식물체를확보하였고, 생장에 적합한 최적배지 구명을 위해 7종류의 다양한 식물배지에서 4주간 배양한 결과,WPM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액아배양을 통한 대량증식에 최적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의cytokinin의 다양한 농도별 처리를 통해서 8주 동안 배양한 결과, 1.0mg l-1 Zeatin이 첨가된 배지에서평균 3.3개의 다경줄기가 유도되었다. 기내발근에는 0.5mg l-1 2.4.-D가 단독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수가 높았고, 다신초 개체는 기외의 토양으로 이식하여 환경적응을 유도한 후 배양묘 대량생산 조건을확립하였다.

      • KCI등재

        내건성 식물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배양배지와 생장조절제의 영향

        박동진,김학곤,양우형,용성현,임현정,최명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6

        The conditions of mass propagation of five plant species such as Lespedeza cuneata, Arundinellahirta, Rumex crispus, Silene firma, and Kummerowia striata. They were proved to be droughttolerant plants and investigated. Among the five species, L. cuneata showed the best lengthgrowth in WPM medium, A. hirta showed good stem growth in MS medium, R. crispus in LPmedium, S. firma in LP medium and K. striata in SH medium, respectively. The rootdevelopments we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lture media and the plant species. In thecase of L. cuneata, no root was induced in all media, A. hirta was the MS medium, R. crispuswas the WPM medium, S. firma was the MS medium, and K. striata was the best in the 1 /2MS medium. Leaf browning of L. cuneata, showed the highest browning in B5 medium, A. hirta in WPM medium, R. crispus in B5 medium and S. firma in LP medium. Survival rates ofL. cuneata, R. crispus and S. firma were 100% in all mediums whereas A. hirta was 25% inWPM medium, and K. striata was 25% in LP medium. In the case of treatments withcytokinins to induce multiple shoots of the selected species, 0.5mg/l TDZ treatment for L. cuneata, 0.5 mg/l BA for A. hirta, 0.1 mg/l TDZ for R. crispus, 0.5mg/l BA for S. firma, K. striata formed the largest number of multiple shoots at 0.5mg/l BA treatment. The cytokinintreatment affected stem growth, in vitro rooting and multiple shoot induction. The in vitrocultivated plants were successfully acclimated in four artificial soils. The results of this studycould be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and mass propagation of 5 kinds of usefulplants and drought tolerant plants. 내건성이 우수하다고 판명되어진 비수리(Lespedeza cuneata), 새(Arundinella hirta), 소리쟁이(Rumex crispus), 장구채(Silene firma), 매듭풀(Kummerowia striata) 5수종의 기내대량증식 조건을구명하였다. 5종의 선발종 중 비수리는 WPM배지에서 길이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새는 MS배지, 소리쟁이는 LP배지에서 장구채는 LP배지, 매듭풀은 SH배지에서 좋은 길이생장을 보였다. 뿌리발생도 수종에따라 배양배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비수리의 경우 기내발근은 모든 배지에서 뿌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새는 MS배지, 소리쟁이는 WPM배지, 장구채는 MS배지, 매듭풀은 1/2MS배지에서 가장 좋은뿌리생장을 보였다. 잎 갈변은 비수리는 B5배지, 새는 WPM배지, 소리쟁이는 B5배지, 매듭풀은 LP배지에서 가장 심한 갈변을 보였다. 생존율은 비수리, 소리쟁이, 장구채는 모든배지에서 100% 생존율을보였으며, 새는 WPM배지에서 25% 생존율을, 매듭풀은 LP배지에서 25%의 낮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선발종의 다경줄기를 유도하기 위해 cytokinin을 처리한 결과 비수리의 경우 TDZ 0.5mg/L 처리구, 새는BA 0.5mg/L, 소리쟁이는 TDZ 0.1mg/L, 장구채는 BA 0.5mg/L, 매듭풀은 BA 0.5mg/L 처리구에서가장 많은 다경줄기를 형성하였다. cytokinin 처리는 줄기생장, 기내발근 및 다경줄기 유도에 영향을미쳤다. 기내에서 배양된 식물체는 4종의 인공상토에서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은 내건성을 가진 5종의 유용식물의 품종개발 및 대량증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