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수술

        구본원,허동명,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이응배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11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2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4례(남자 9명, 여자 5명)의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질환을 수술하였으며, 환자들의 나이는 25세 에서 65세로 평균 50.4세였다. 진단은 급성 대동맥 박리가 6례(43%)로 4례는 파열이 되었으며, 상행 대동맥류가 4례(29%)로 1례에서 대동맥궁까지 확장되어 있었고 3례에서 파열이 되었으며, 대동맥 판륜확장이 3례(21%)로 1례에서 파열이 동반되었고, 대동맥궁류가 1례(7%)였다. 전례에서 심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관촬영은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5례, 급성 대동맥 박리 5례, 심한 울혈성 심부전 2례, 진행성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1례 및 동맥류가 커서 파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1례였다. 수술은 10례(71%)에서 응급으로 시행하였다. Cabrol 수술 6례,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Cabrol 수술 1례, 변형된 Bentall수술 1례, 상행 대동맥 치환 4례, 대동맥궁 치환 1례 및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상행 대동맥 치환의 경우가 1례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순환정지를 62분 시행한 환자가 경련을 보였고, 심방세동이 2례, 흉골 열개가 1례 그리고 종격동염이 1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2례(14%)에서 있었으며 각각 과다 출혈과 다발성 장기부전이 원인이었다.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만기사망이 1례(7%)에서 있었다. 11명의 생존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20개월로 전례에서 경과는 양호하였다. From Dec. 1993 to May 1995, 9 male and 5 female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25 to 65 years, were operated on for ascending aorta and/or aortic arch diseases. Six patients had acute aortic dissection, type A(ruptured in 4 cases); four had ruptured ascending aortic aneurysm; three had annuloaortic ectasia(ruptured in 1 cases); one had aortic arch aneurysm. The diagnostic procedures were echo cardiography and dynamic CT scan in all patients having acute dissection or rupture. The aortic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two cases. Indications for operations were rupture in five cases, acute aortic dissection in five cases, severe congestive heart failure in two cases, progressive aortic insufficiency in one case and impending rupture in one case. The emergent repair was performed in ten cases(71%). The surgical treatment consisted of 6 Cabrol operations, a Cabrol operation combined with arch replacement, a modified Bentall operation, 4 replacement of ascending aorta, a replacement of aortic arch, and a replacement of ascending aorta and aortic arch. Complications were a hypoxic encephalopathy, two atrial fibrillations, a sternal deheiscence, and a mediastinitis. Two early mortality(14%) were due to intractable bleeding and multiple organ failure, and one late mortality(7%) was due to ventricular arrhythmia. In eleven survivors, follow-up period was from 2 months to 12 months and the course was uneventful.

      • KCI등재

        A형 급성대동맥박리증에서 대동맥궁치환술과 상행대동맥치환술 후 잔존 원위부 대동맥의 변화에 대한 중기 관찰 비교

        조광조,우종수,방정희,최필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6

        배경: 급성A형대동맥박리증의 급성기 수술은 지금까지 상행대동맥만 치환하는 것을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수술 수기가 발달되어 대동맥궁치환술의 성적이 상행대동맥치환술과 별 차이가 없다는 보고가 늘고 있다. 이에 저자는 급성기의 대동맥궁치환술이 상행대동맥치환술에 비해 중단기 경과는 어떤지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수술받은 25명의 급성A형대동맥박리증 환자를 분석했다. 이 중 12명에서 상행대동맥치환술을 시행했고 13명에서 대동맥궁치환술을 시행했는데 대동맥궁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5명은 말초에 스탠트 인조혈관을 삽입하였다. 수술 후 외래에 추적 가능한 환자는 19명이었는데 대동맥궁을 치환한 환자군은 두 명이 탈락되어 11명이고, 상행대동맥만 치환한 환자는 수술에서 생존한 8명이었다. 평균 추적일은 756±373일이었다. 수술 후 최근까지 외래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치환 말단의 대동맥을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은 상행대동맥치환술군에서만 4명이 발생하여 전체 수술 사망률은 16%였다. 대동맥궁을 치환한 환자군에서는 추적한 11명 중 2명(18.1%)이 치환 원위부 대동맥 확대가 관찰되었는데 반해서, 상행대동맥만 치환한 환자군에서는 8명 중 5명(62.5%)이 관찰되었다. 대동맥궁치환과 함께 스탠트그래프트를 삽입한 환자 4명 중 한 명이 스텐트 직하방 하행대동맥 이하가 늘어나 흉복부대동맥치환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대동맥궁치환술은 급성대동맥박리증에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수술이다. 급성대동맥박리증의 수술은 대동맥궁치환술의 적극적인 적용이 만기 이차 수술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저체온순환정지와 역행성 뇌관류에 의한 대동맥궁을 침범한 급성 대동맥 박리증의 수술결과

        이삼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

        Background: Acute thoracic aortic dissections involving the aortic arch differ in diagnosis, surgical procedures, and operative results compared to those that do not involve the aortic arch. In general cerebral perfusion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HCA) is performed during the repair of the aortic arch dissection. Here, we report our surgical results of the aortic arch dissection repair using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RCP) and its safety.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2002, 22 consecutive patients with aortic arch dissection underwent aortic arch repair. In 20 of them RCP was performed under HCA. RCP was done through superior vena cava in 19 patients and by systemic retrograde venous perfusion in 1, in whom it was difficult to reach the SVC. When the patient's rectal temperature reached 16 to 18oC, systemic circulation was arrested, and the amount of RCP amount was 481.1±292.9 ml/min with perfusion pressure of 20~30 mm Hg. Result: There were two in-hospital deaths (4.5%) and one late death (9.1%). Mean circulatory arrest time (RCP time) was 54.0±13.4 minutes (range, 7 to 145 minutes). RCP time has no correlation with the appearance of consciousness, recovery of orientation, or ventilator weaning time (p=0.35, 0.86, and 0.92, respectively). Ventilator weaning was faster in patients with earlier recovery of consciousness and orientation (r=0.850, r=926; p=0.000, respectively). RCP of more than 70 minutes did not affect the appearance of consciousness, recovery of orientation, ventilator weaning time, exercise time, or hospital stay (p= 0.42, 0.57, 0.60, 0.83, and 0.51, respectively). Conclusion: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time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during repair of aortic arch dissection may not affect recovery of orientation, ventilator weaning time, neurologic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recovery. 배경: 급성 대동맥 박리증 중 대동맥궁의 박리 및 수술을 요하는 경우 진단, 수술방법, 수술결과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동맥궁의 박리를 교정하기 위해서 저체온순환정지하에서 뇌관류를 시행한다. 대동맥궁의 수술이 필요한 대동맥 박리증에서 역행성 뇌관류에 의한 수술결과를 조사하고 그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대동맥궁을 침범한 급성대동맥 박리증의 수술 환자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2예 중 20예에서 저체온순환정지 하에 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하였다. 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한 20예 중 19예에서는 상대정맥을 통해 뇌관류를 시행하였고 1예에서는 상대정맥의 접근이 어려워 역행성 체정맥 관류를 시행하였다. 직장온도 16∼18도에서 순환정지를 시행했고 역행성 관류압 20∼30 mmHg에서 평균 관류량은 분당 481.1 292.9 ml이었다. 결과: 병원사망은 2예(9.1%)였으며 만기사망은 1예(4.5%)였다. 평균 순환정지(역행성 뇌관류) 시간은 54.0 13.4분(범위, 7∼145분)이었다. 역행성 뇌관류 시간은 의식 및 지남력 회복, 호흡기 탈거 시간과 상관관계가 없었고(각각 p=0.35, 0.86, 0.92), 의식출현과 지남력 회복이 빠른 환자에서 호흡기 탈거도 빨랐다(각각 r=0.850, r=926; p=0.000). 70분 이상의 역행성 뇌관류가 의식출현, 지남력 회복, 호흡기 탈거 시간, 운동력회복 및 입원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각각 p=0.42, 0.57, 0.60, 0.83, 0.51). 결론: 저체온순환정지하에 역행성 뇌관류로써 대동맥궁을 포함한 대동맥박리증 수술 시 뇌관류 시간은 의식회복과 호흡기 탈거, 신경학적 합병증, 수술 후 회복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흉부대동맥 질환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혈관내 성형술의 중단기 성적

        윤영남,김관욱,홍순창,이삭,장병철,송승준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5

        Background: A hybrid procedure using an open surgical extra-anatomic bypass of aortic arch vessels and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 is less invasive than open surgery, and provides a suitable proximal landing zone.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a hybrid TEVAR procedure at a single center.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onsecutive patients with thoracic aortic disease who received a hybrid TEVAR procedure between August 2008 and January 2010. Patients’ data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and mean follow-up was 10.8±5.5 months (range 3∼20). Result: Nine patients (7 males and 2 females) with a mean age of 63.8±15.8 years (range 38∼84) underwent a hybrid procedure. Five patients had an arch or a proximal descending aortic aneurysm, two had a dissecting aneurysm of the descending aorta, and two had an aneurysm of the ascending arch and descending aorta. Mean expected mortality calculated by logistic EuroSCORE was 21%. Six patients underwent debranching and rerouting from ascending aorta to arch vessels, 2 had carotid-carotid bypass grafting, and 1 underwent carotid-axillary bypass grafting. Mean operation time was 221.4±84.0 min (range 94∼364). Deployment success of endovascular stent grafting was 100% with no endoleak on completion angiography. There was no mortality, and a small embolism in the branch of the right opthalmic artery in one patient. During follow-up, one intervention was required for the endoleak. Actuarial survival at 20 months was 100%. Conclusion: Early and mid-term results are encouraging and suggest that hybrid TEVAR procedures are less invasive and safer and represent an effective technique for treating thoracic aortic disease. 배경: 대동맥궁 분지 혈관의 해부학적 외 우회로술(extra-anatomic bypass)과 흉부 혈관내 대동맥 스텐트 도관 삽입술을 같이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식적인 완전 개방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며, 스텐트 도관 삽입술 시 안정된 안착지점(landing zone)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술식의 중단기 성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를 위해 하이브리드 술식을 시행한 일련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수술 전 후 데이터는 전향적으로 수집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8±5.5개월(3∼20개월)이었다. 결과: 9명의 환자(남:여=7:2)에서 하이브리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3.8±15.8세 (38∼84세)였다. 5명에서 대동맥궁 혹은 근위 하행대동맥류가 있었으며, 2명의 환자에서 하행대동맥에 박리성 동맥류가, 2명에서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및 하행대동맥에 광범위한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수술 전, logistic EuroSCORE로 계산한 평균 예측사망률은 21%였다. 6명에서 상행 대동맥으로부터 대동맥궁 분지혈관으로 탈분지화 및 재혈관화를 시행하였으며, 2명에서 경동맥-경동맥 우회로술, 1명에서 경동맥-액와동맥 우회로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221.4±84.0분(94∼364분)이었다. 수술 후 100%의 환자에서 전산화 단층 혈관촬영을 통하여 스텐트 도관의 성공적인 안착을 확인하였으며, 총 평균재원일수는 15.2±4.6일이었다. 수술 후 사망은 없었다. 1명에서 우측 안동맥 분지에 색전증이 발생하였고 이외 합병증은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1명에서 스텐트 근위부의 endoleak으로 재시술을 시행하였으며, 20개월 생존율은 100%이었다. 결론: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 하이브리드 술식은 덜 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본 연구의 중단기 성적을 토대로 보아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무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장정호,박종삼 대한방사선과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mm 이상인 군이 10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 KCI등재

        비정형적인 대동맥궁 축착 환자에서 상행 대동맥과 하행 대동맥간 우회로 조성술 -1예 보고-

        김관창,김창영,최세훈,손국희,조광리,김경환,안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4

        대동맥궁의 형성 저하증과 비정형 대동맥궁 축착을 가진 환자에서 정중 흉골 절개술과 좌측 개흉술하에서 인공 심폐 바이패스 없이 상행 대동맥-하행 대동맥간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상행 대동맥-하행 대동맥간 우회로 조성술은 복잡한 대동맥궁 재건술이 필요한 경우에 다른 술식으로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동맥궁 이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에서 국소 순환을 이용한 일차 완전 교정

        장우성,김웅한,임청,임홍국,민선경,곽재건,정의석,김동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6

        배경: 대동맥궁 이상 수술 시 완전 순환정지 방법은 신경학적 문제나 심근의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저자들은 대동맥궁 이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 수술 시 뇌 및 심장의 국소 관류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를 통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대동맥궁 이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으로 양심실 일차 완전 교정을 시행한 62명의 신생아 및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맥궁 이상은 축착이 46명, 대동맥 단절이 12명, 좌심실 저형성 증후군 2명, 총동맥관 2명이었으며 동반된 심기형은 심실중격 결손 51명, 총정맥 환류 이상 1명, 부분 정맥 환류 이상 1명, 방실 중격 결손 2명 있었다. 수술시 대동맥궁 기형 교정하는 동안 모든 환자에서 무명동맥과 관상 동맥 혈류를 유지하였다. 결과: 국소 관류 시간은 평균 28 10분이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고, 평균 11개월의 관찰 기간동안 1명의 만기 사망(1.6%)이 있었다. 술 후 신경계 합병증은 1명에서 일시적인 무도증이 발생한 것 외에는 없었다. 대동맥궁 기형 교정과 관계된 재수술은 없었다. 1명에서 대동맥궁 기형 교정과 관계되어 기관지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대동맥고정(aortopexy)으로 교정되었다. 결론: 국소 순환법을 이용한 대동맥궁 기형 교정 방법은 완전 순환 정지 사용 시 야기될 수 있는 신경 및 심근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KCI등재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Yeong-Han Kang) · 장정호(Jeong-Ho Chang) · 박종삼(Jong-Sam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 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군이 10 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 association between aortic calcification view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 : Retrospective review of all chest radiography obtained from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Chest PA images were reviewed by technical radiologist and radiologist.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imag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ronary angiography. In addition,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smaller and the larger than 10 mm. Results : Among the total 846 patients, the number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s total 417 (88.3%) in males and 312 (83.4%) in female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relation between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was 91.4% and the relative risk of the group with aortic arch calcification to the opposite group was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91.9% and the relative risk between two groups was 1.04.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ortic calcific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f the aortic calcification is notifi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we strongly recommend to consult with doctor.

      • KCI등재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법을 이용한 대동맥궁 치환의 임상성적

        김동진,김경환,나용준,정동섭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

        배경: 대동맥궁 치환 수술 시 뇌 보호법은 필수불가결하며,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중 순행성 뇌관류법의 이용은 완전 순환 정지시간을 최소화하고 뇌관류를 가능하게 하여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를 이용하여 대동맥궁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 결과를 조사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대동맥궁 치환 시 대동맥궁 분지의 전부 혹은 일부를 치환 후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를 시행하면서 대동맥궁 치환을 한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환자는 9명, 여자 환자는 2명이었다. 수술 당시의 진단은 A형 대동맥 박리(5/11, 45.5%), A형 벽내혈종(1/11, 9%), 대동맥류(5/11, 45.5%)였고, 평균 나이는 60.3 12.8세였다. 우액와동맥으로 삽관하여 심폐기 가동 후 초저체온 상태(평균 최저 비인두 체온 11.7 1.0oC)에서 완전순환정지를 시행하였고, 이 기간 중 일부에서 역행성 뇌관류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완전 순환 정지 시간은 31.1 16.9분이었으며 역행성 뇌관류 시간은 21 17.8분이었다. 뇌관류를 위한 각각의 도관과 대동맥궁 분지를 연결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은 24.1 9.3분이었다. 술 후 사망 환자는(0/11, 0%) 없었고, 영구적 신경학적 합병증 또한 없었다. 결론: 더 많은 수의 환자와 장기적인 성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를 이용한 대동맥궁 치환술은 대동맥궁 조작을 최소화하고 색전 및 전반적인 허혈에 의한 뇌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혈관륜 수술의 12년 경험 보고

        김윤석,구현우,장원경,윤태진,서동만,박정준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6

        Background: Vascular ring is a rare anomaly of the aortic arch. We did surgical repair procedures on 16 cases of vascular ring over the past 12 years. This article reviews our result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1995 and 2007, 16 patients (5 with double aortic arch, 7 with right aortic arch-left ligamentum, 4 with pulmonary artery sling) underwent surgical repair. Mea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ere as follows: double aortic arch, 5.7±5.5 years; right aortic arch-left ligamentum, 6.1±13.4 years; pulmonary artery sling, 2.9±2.6 years. Five patients (71%) with right aortic arch-left ligamentum had an associated Kommerell’s diverticulum. Two patients (40%) with double aortic arch, 2 patients (28.6%) with right aortic arch-left ligament and 4 patients (100%) with pulmonary artery sling had associated airway stenosis. Cardiac anomalies were present in 8 of 16 patients. Result: There was no peri-operative or post-operative mortality. The mean hospital stay was 27.1±38.2 days. None of our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 Conclusion: Vascular ring is rare, but, it needs surgical correction. It is important to suspect the diagnosis and to validate with echocardiograph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bronchoscopy are useful to evaluate the airway and surrounding structures. 배경: 혈관륜은 대동맥궁의 드문 기형으로 저자들이 12년 간 경험한 16예의 수술 결과를 정리하여 그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혈관륜으로 수술을 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중 대동맥궁(n=5), 우측 대동맥궁-동맥관 인대(n=7), 폐동맥 슬링(n=4)의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각 그룹의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이중 대동맥궁 그룹에서 5.7±5.5세, 우측 대동맥궁-동맥관 인대 그룹에서 6.1±13.4세, 폐동맥 슬링 그룹에서 2.9±2.6세였다. 우측 대동맥궁-동맥관 인대 그룹의 71% (n=5)에서 Kommerell 게실이 동반되어 있었다. 기관 협착은 이중 대동맥궁 그룹 중 2예(40%), 우측 대동맥궁-동맥관 인대 그룹 중 2예(28.6%), 폐동맥 슬링 그룹 중 4예(100%)에서 동반되어 있었다. 함께 진단된 심장 기형은 전체의 50% (n=8)였다. 결과: 사망한 예는 없었고, 증상 재발 및 문합부 협착 등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예도 없었다. 평균 재원 기간은 27.1±38.2일이었다. 결론: 혈관륜은 드문 질환이지만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므로,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호흡기 증상이 반복될 경우에는 심초음파 등으로 반드시 확인해 보아야 하며, 수술 전후의 전산화 단층촬영 및 기관지 내시경은 기도 협착 및 주변 해부학적 구조와의 관계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