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 연구

        홍성식 ( Hong Sung-si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이 논문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고 또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짧은 단편소설의 세계를 김승옥의 작품을 통해 조망하려 한다. 큰 틀의 목적은 최근의 초단편소설의 전 시대적 풍경을 살펴봄으로써 소설적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고, 본격적인 의도는 우리 소설사가 갖는 김승옥의 무게나 의미에 비해 그의 짧은 단편소설이 거의 논의되고 있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 있다. 연구대상이 될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은 60년대 이후부터 창작된 38편의 작품들이다. 그의 짧은 단편소설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가 소설창작의 세계에서 다소 이격(離隔)되어 있었던 지점에서도 그의 서사를 엿볼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과 그의 짧은 단편까지를 살펴봐야 그의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줄기를 잡아낼 수 있으리라는 점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을 분석한 후에 그것이 그의 기존 소설과 어떻게 연결되고 또 축소·확장되는지 살펴보았다. 그의 짧은 단편소설이 서 있는 자리는 크게 세 가지 지점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실세계와 밀착된 지점에서 자기 체험을 기반으로 상황을 직설적으로 풀어낸 것과 당대 세태문제를 중심으로 우회적으로 비판·풍자하고 있는 것이 첫 번째이다. 두 번째는 과부 등을 등장시켜 무기력하거나 희화화된 타자로서의 여성을 그린 것이다. 어떤 부류의 남성들도 대체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반면 여성들에게는 왜곡되거나 일천한 인식을 드러낸다. 셋째는 도시의 일상성에서 정체성이나 자의식을 찾고자 하는 작품들과 일상의 소소한 욕망을 드러낸 작품들이었다. 그리고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짧은 단편소설의 명칭과 장르적 특성, 그리고 최근 연구동향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그래야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이 가지는 다른 지점 혹은 특이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I studied Kim Seung-Ok's short short-stories. Kim Seung-Ok's weight and meaning are very large in history of Korean novels. However, his short short-stories are rarely discussed, so full-scale research is neede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38 short short-stories published since the 60's. The reason why Kim Seung-ok's short short-stories is focused is as follows. First, even when Kim Seung-ok does not perform his creative activities, his narrative can be seen. Second, it is necessary to look at short short-stories to understand the entire novel.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onte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short short-stories by Kim Seung-ok. I also looked at how it relates to his entire novel. And the names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short-story were studied in detail. His short short-stories ar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are criticizing and satirizing the reality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econd is to depict a woman as a helpless or comedian. The third is works that seek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in the daily life of the city.

      • KCI등재후보

        주술적 초월과 회화적 서사의 세계 - 황순원 단편소설의 서정성 재론 -

        강헌국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0 No.-

        Hwang Soon-won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s a poet. He had run twenty two poems on literary journals and issued two collections of poems before publishing his first short story. His career as a poet has been taken importantly by the researches which studied his short stories. As a result of such an interest, many papers have insisted that lyricism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his short stories. But lyrical character is not appropriated by his short stories. Short story as a genre generally contains lyricism. So those papers made a mistake that took a general matter as a special. I project this paper from critical review to those papers. And I propose ‘magical transcendence’ and ‘pictorial narrative’ as two characteristics of his short stories. The magical effect of folktale functions as an main structural element in his short stories. In the case of any folktale not to be cited, the magical effect as an episode or a constituting principle, serves to narrative. some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regard a real experience as a magical phenomenon, try to transcend torment of real life with the help of magic. In some cases, the narrative of his text are plot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magical rite. Magical transcendence is the name which this paper use to call such phenomena. The technique which substitutes impressive scene for narration, is frequently used in his short stories. I I call pictorial narrative the phenomenon that narrative process converges to such a scene. Lyricism is difficult to be used in an objective copy to reality, because it tends to head for subject. Hwang Soon-won’s short stories are no exception for this problem of realism. He copies not objective reality but the characters’ subjective attitude to the reality. The attitude goes from humanitarianism and endurance to nihilism. 황순원 문학의 시원에 시가 자리한다. 시인에서 소설가로 변신한 황순원의 문학적 이력은 그의 단편소설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주목되었다. 서정성을 황순원 단편소설의 개성이라고 강조하는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제출되었다. 그런데 서정성은 단편소설의 주요 속성이므로 황순원 단편소설의 개성으로 서정성을 지목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을 특별한 것처럼 말하는 격이 된다. 서정의 보편적 면모들을 열거하면서 황순원 단편소설의 개성이라고 주장하는 것도 그 단편소설의 개성을 희석시키는 결과를 빚는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의 그러한 오류를 반성하면서 황순원 단편소설의 서정성이 지닌 고유한 개성을 주술적 초월과 회화적 서사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전래서사의 주술적 효과는 황순원 단편소설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기능한다. 전래서사가 직접 인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주술적 효과가 삽화로서 서사에 복무하거나 더 나아가 서사의 구성 원리가 되기도 한다. 경험 현실이 주술적으로 이해되기도 하고 현실의 고통을 주술로써 초월하려는 시도도 보인다. 제의의 방식으로 서사가 짜이기도 한다. 인상적인 장면으로 서술을 대신하는 방법도 황순원의 단편소설에서 자주 사용된다. 장면이 그 전후의 서사적 전개를 집약하는 현상을 가리켜 본 논문은 회화적 서사로 명명하였다. 서사의 통시적 전개가 회화적 현재로 수렴된다는 점에서 회화적 서사는 황순원 단편소설의 서정성에 복무한다. 서정은 주관 지향적이어서 현실의 객관적 재현을 위한 방법이 되기 어렵다. 현실 재현에 관한 한 황순원의 단편소설도 그러한 일반론에서 예외가 아니다. 그의 단편소설에서는 개관적 현실보다 현실에 대한 주관적 태도들이 재현된다. 황순원 단편소설의 작중인물들이 현실에 대해 취하는 태도는 인정주의와 인고에서 시작하여 허무주의가 드러나는 지점까지 진행한다.

      • KCI등재

        한국 근대 신년소설(新年小說)의 위상과 의미 -『매일신보(每日申報)』를 중심으로-

        김영민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매일신보』 등 근대 신문에 수록된 신년소설新年小說 의 계보와 그 변모 과정을 정리하고, 이들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 는 것이다. 신년소설은 『매일신보』를 비롯한 한국 근대 신문들에 수록된 기획 단편소설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새해 첫날 신문에 게재되었다. 신년 소설은 특히 『매일신보』의 단편소설 전개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근대 초기 단편소설사 정리를 위해서도 빼놓을 수 없는 자료들이다. 『매일신보』의 신년소설 게재는 한말의 주요 매체인 『만세보』와 『제국신문』 그리고 『대한민보』 등의 사례를 이어받은 것이다. 『만세보』의 <백옥신년>은 근대 매체에 수록된 최초의 신년소설로서 의미가 있다. 『제국신문』에 수록된 무서명 신년소설과 『대한민보』의 <화세계>는 신 문 발행진들이 지녔던 계몽의 의도를 직설적으로 드러낸 작품들이다. 『매일신보』의 단편소설 게재는 신년소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신년소설은 1910년대 매신문단每申文壇의 단편소설 전개사에서 주목할 만한 하나의 범주를 형성한다. 1910년대 『매일신보』의 신년소설은 신년원단의 새롭 고 희망찬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계몽소설로 기획된 것이었다. 이들은 대체로 미신타파의 주제와 부단한 노력을 바탕으로 성공을 이루는 성실 한 개인의 사례를 전하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이는 관념적 계몽성으로 일관하면서 총독부의 이데올로기를 추수하고 있던 1910년대 현상 응모 단편소설의 주제와도 서로 통한다. 『매일신보』 신년소설이 꼭 창작물로 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번안물도 포함되어 있다. 이는 『매일신보』 의 신년소설에서 중요한 것이 독창성보다는 계몽성을 드러내는 주 제였음을 새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매일신보』에서 신년소설의 형식을 지닌 작품의 발표는 1920년대 이 후에도 간헐적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매일신보』 신년소설의 역할은 실 질적으로는 1910년대 말에 마무리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920년 1월 이 후 신춘문예 제도가 도입되면서, 전문적 작가에 의한 신년소설의 게재가 독자 투고에 의한 신춘문예 당선작 게재 방식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전문적 작가에 의한 신년소설이 비전문적 작가에 의한 현상 응모 단편소설과 결합하고, 그 발표 시기를 신년 초로 확정하면서 정착된 제도가 바로 신춘문예 제도이다. 『매일신보』에서 신년소설이 실질적으로 사라진 시기 와 신춘문예 제도의 도입시기가 일치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이는 『매일신보』 지면에 독자들의 참여를 늘리고 매신문단 每申文壇 내지 조선 의 문단을 활성화시키려는 문화적·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결과이기도 했다. 『매일신보』에서 시작된 신춘문예 제도는 이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으로 이어진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신춘문예 제도는 본격 적인 작가들의 등용문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매일신보』의 신년소설은 이들 신춘문예 제도의 씨앗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문 학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本硏究の目的は、『每日申報』等に收錄された新年小說の系譜とその變貌の過程を遷り、その文學史的意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新年小說は、『每日申報』をはじめ、韓國近代のいろんな新聞に收められた企畵短編小說である。それらの多くは元旦、新聞に揭載された。『每日申報』における新年小說の揭載は、大韓帝國末期を代表する媒體である『萬歲報』、『帝國新聞』、及び『大韓民報』等の事例を受繼いだものである。『萬歲報』の「白屋新年」は近代の媒體に收錄された最初の新年小說としての意味を持つ。『帝國新聞』に收錄された無署名の新年小說と『大韓民報』の「花世界」は、新聞の發行人が持っていた啓蒙の意圖を直接的に表した作品である。1910年代に『每日申報』に揭載された新年小說は、元旦の新たな希望に滿ちた雰圍氣を作り出すための啓蒙小說として企畵されたものである。これらの作品は、主に迷信打破という主題と、絶えまぬ努力によって成功を收める誠實な個人の事例を傳える內容で埋められてい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は創作物とは限らず、飜案物も含まれてい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が擔っていた役割は、實質的には1919年頃終 了したものと見られる。1920年1月以降、新春文芸制度の導入に伴い、敷門的作家による新年小說の揭載が讀者の投稿による新春文芸の當選作を揭載する方式へと轉換されたからである。敷門的作家による新年小說の揭載が非敷門的作家による懸賞應募短編小說と結合し、その發表時期を新しい年の初めに確定することで定著された制度が新春文芸制度である。『每日申報』の紙面から事實上新年小說が姿を消した時期と新春文芸の制度が導入された時期とが一致しているのは偶然ではない。それは、『每日申報』の紙面への讀者の參加を增やし、每新文壇乃至朝鮮の文壇を活性化させようとする文化的·政治的意圖が反映された結果でもあった。『每日申報』で始まった新春文芸制度は、その後『東亞日報』と『朝鮮日報』等へと繁がる。『東亞日報』と『朝鮮日報』の新春文芸制度は、本格的な作家の登龍門としての役割を擔うことにな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は、こうした新春文芸制度の萌芽としての役割を擔ったという點で文學史的に意味があると言えよう。

      • KCI등재

        현상 단편소설 모집의 기원 『장학보(獎學報)』

        정영진 ( Jung Young-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근대 초기 저널리즘이 실시한 현상문예제는 문학의 대중화를 이끄는 한편 근대적 의미의 문학 상을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그 중 1908년 박태서(朴太緖)에 의해 창간된 월간잡지 『장학보(獎學報)』는 단편소설을 현상 모집한 최초의 잡지로서 근대 단편 정착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장학보』는 현상 모집을 통해 “순국문단편”을 호명하면서 단편소설의 문체를 순국문으로 고정하여 근대단편 형성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당시 미분화 상태에 있던 논설, 소설, 문예의 범위를 구분하면서 소설을 전통적 문예로부터 해방시키고 서사적 논설의 영역을 뛰어넘을 새로운 문학 양식으로 규정했다. 『장학보』는 총5회의 발간기간 동안 13인의 단편소설 당선자를 배출하였고 매호 3편 내외의 당선 작품을 실었다. 이들 작품들은 청년층을 주인공으로 삼아 학문과 사업에 힘쓸 것을 강조하는 교훈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근대적 일상생활의 감각을 현실감 있는 문체로 묘사하고 있다. 당선자 중 이후 작가로 활동한 사람은 「송뢰금(松籟琴)」의 작가로 유명한 육정수(陸定洙)와 심훈의 형이며 심천풍(沈天風)이란 필명을 쓰기도 한 심우섭(沈友燮)을 들 수 있다. 특히 3회에 걸쳐 중복 당선된 육정수의 작품들은 근대단편의 요건들을 다수 수용하며 완미한 기법을 선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장학보』게재 단편소설들은 이후 1912년 『천리경(千里鏡)』이라는 단편소설선집에 수록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장학보』의 단편소설은 근대 단편의 초기적 형태로서 또한 그 변화상을 추적하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Literary contest of early modern literary journalism has led to the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and to build a modern meaning of literature. Among them, the monthly magazine founded in 1908 by ParkTaeseo has laid the foundation for a modern literary as the first magazine of literary contest. Janghakbo call short story of Korean language through literary contest and tried to dismantle the not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the modern short story. range of fiction, literary fiction and liberation from traditional literary transcend the realm of narrative discourse that at the time of the undifferentiated state. Janghakbo was discharged 13 persons for a period of five published and every number of a magazines carried the election of three pieces outside work. These works are depicting a sense of modern life based on the didactic content to young people as protagonists try to emphasize the academic and business in realistic style of writing. After working as a writer who has a Yook Jeongsu written by the famous author “SongRoegeum” and Shim Useop. In particular Yook Jeongsu duplicate the work of elected three times will accommodate the multiple requirements of the modern short story and the attention it serves the mature techniques. The short stories of the Janghakbo were published in short story anthology called “Chun Rigyeong” after 1912. The short stories of the Janghakbo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also that its critical data to track changes in appearance as early forms of the modern short story.

      • 단편소설 수업의 세 가지 모형

        김병섭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9 No.-

        소설은 재밌다.소설은 독자가 자기 삶의 인물과 상황을 성찰하며 상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 성찰과 상상 속을 거닐다 보면 독자들에게 소통의 힘이 자란다. 성찰과 상상이란 스스로 묻고 답하는 시간, 곧 자신과의 '소통'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의 재미를 고등학교 학생들과 나누는 수업 기획이 내게 필요했다. 그래서 나는 교사가 소설의 기본내용과 배경지식을 정리하여 보여주고, 학생들이 직접 작품을 비판하고 상상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로 소화하는 과정 나는 이러한 기준에 의해 선정한 단편소설을 활용하여 세 가지 모형의 수업-<선택>, <질문>, <상상>을 기획하였다. 이것은 중학교 학생들과 함께했던 옛이야기 수업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옛이야기란 우리에게 익숙하고 평범하고 당연한 '이야기'이다. 단편 소설은 낯설고 복잡하며 정교한 '이야기'이다. 둘은 다르지만, 결국 '이야기'이다. 학생들이 이야기를 체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업이라면 나는 옛이야기 수업을 진행한 방식이 단편소설수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옛이야기 수업 방식을 수업시간에 진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중요한 것은 소설을 고르는 것이다.그것은 학생들이 함께 읽을 만큼 적절한 분량이면서도 학생들의 삶에 가까이 있으며 학생들이 호기심을 느낄 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고,교사의 안내가 있다면 더 풍요롭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을 고르는 일이다.이것이 내가 여러 소설들 가운데 단편소설을 고른 이유이다. 을 단편소설 수업에도 적용하였고 학생들과 교사 모두에게 재미있으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그 경험을 바탕으로 세 가지 수업 모형-<선택>, <질문>,<상상>에 따라 사례를 정리하였다. 나는 이 모형과 사례들이 교사들의 단편소설 수업 기획에 영감을 주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번역문학의 재생(再生)과 반(反)검열의 앤솔로지 - 『태서명작단편집(泰西名作短篇集)』(1924) 연구

        손성준 ( Son Sung-j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6

        『태서명작단편집』(1924)은 서양[泰西]의 여러 단편소설을 번역하여 엮은 책으로서, 한국 최초의 서양 단편 앤솔로지로 알려져 있다. 『태서명작단편집』의 근간은 홍명희, 진학문, 염상섭, 변영로 등 4인의 번역자가 과거 『동명』, 『개벽』, 『학지광』, 『신생활』에 역재(譯載)했던 단편소설 15편이었다. 번역자들은 주로 일역본을 경유한 중역(重譯)의 방식으로 서양 단편을 소개했지만, 변영로의 번역작 3편은 모두 영역본의 중역이었다. 기획 및 편집을 맡은 변영로는 우선 번역진을 구성한 후, 각자의 과거번역을 추적하여 모으는 단계를 밟았다. 그 결과 15편 중 9편이 러시아 소설로 편중되는 구성의 불균형이 나타났다. 이는 『태서명작단편집』이 철저히 발신자 중심의 기획이라는 것을 방증한다. 변영로와 동료들은 이미 각자의 기준에서 조선의 독서계에 필요하다고 판단한 서양 소설들을 선보였고, 현재는 그것을 한 데 엮여 재차 선보이고자 할 따름이었다. 최초 발표된 원고의 형태와 『태서명작단편집』으로 재편집된 판본을 비교해보면, 일부 표기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다. 기점이 된 4개의 잡지는 합법적 영역에서는 최고 수준의 ‘불온함’을 장착하여 검열체제와의 갈등이 일상화되어 있던 잡지였다. 검열의 강도가 격화되고 있던 시기적 특수성을 감안하면, 『태서명작단편집』은 과거의 문제적 번역들을 ‘태서명작’의 이름으로 ‘재생’시킨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사전검열의 결과 비록 최남선이 번역한 「마지막 課程」(알퐁스 도데 원작)은 삭제되었지만 활자화된 15편의 소설 역시 상당수가 식민지 조선의 억압된 상황에 대한 은유, 애국심과 독립정신의 고취, 계급투쟁의 당위성 등 검열의 기준에 저촉될 만한 여러 가지 요인을 내재하고 있었다. 나아가, 『태서명작단편집』의 수록작 가운데 10여 편은 공통적으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오는 깨달음’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일관된 메시지는 이 앤솔로지가 1923년 9월 1일에 발생한 관동대지진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적이다. ‘타자’였던 탓에 죽임당해야 했던 조선의 비참한 역사 직후에, 공교롭게도 『태서명작단편집』은 ‘타자가 틀린 것이 아니다’라는 목소리를 집결시킨 형태로 등장했던 셈이다. 『태서명작단편집』은 결국 식민지 조선에 대한 발화였다.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Anthology of Occidental Short Story Masterpieces)(1924) is a compilation of translated Western short stories, and is known as the first anthology of Western short stories in Korea.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is based on 15 short stories previously translated and published in Dongmyeong, Gaebyeok, Hakjigwang, and Sinsaenghwal by four translators of Hong Myeong Hui, Jin Hak Mun, Yeom Sang Seop, and Byeon Yeong Ro. While the translators mostly introduced Western short stories by second-hand translation via Japanese, Byeon Yeong Ro’s three translations were all translated from English versions. Byeon Yeong Ro, the planner and editor of the compilation, selected the translators, and then tracked and collected their past translations. As a result, the compilation showed such an imbalance of composition that Russian short stories were predominant with 9 of the 15 short stories. This corroborates that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was planned on an entirely sender-centered basis. Byeon Yeong Ro and his colleagues had already introduced Western stories judged by them as necessary for the reading public of Joseon according to their own criteria, and then only intended to publish them again in the form of a compila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xts of the manuscripts initially published and their re-edited versions in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shows no great difference except for some expressions. The four magazines that originally had published the works were routinely in conflict with the censorship system due to their top-level ‘rebelliousness’ within the legal limits. Give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when the intensity of censorship was increased,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had the significance that it ‘regenerated’ problematic translations of the past under the title of ‘Occidental masterpieces.’ Although only The Last Lesson (originally written by Alphonse Daudet) translated by Choi Nam Seon was removed as a result of the censorship, most of the 15 stories put into print also included factors that might be in conflict with the criteria of censorship, such as a metaphor for the situation of oppressed colony Joseon, the infusion of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the justification for class struggle. Further, 10 works in the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commonly dealt with the issue of ‘realization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uch a consistent message was more problematic in that the anthology was planned shortly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September 1, 1923. For the appearance of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as much as gave voice to ‘The other is not wrong’ just after the miserable history of Joseon where Joseon people had to be killed because they were the others.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was utterances about the colonial Joseon after all.

      • KCI등재

        최인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최인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김기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is researcher focused on Choi In-hun’s short story which is being neglected. The researchers set the goal of studying the subjects shown in his short stori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f subjectivity, I examined the discourse, main characters and author's recognition of the world of Choi In-hun short story. In addition, I examined a writer's thinking about novel and art is revealed as a subj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k, a reader, and a writer. First of all, I put 「Gray Club History」, 「Life of Raoul」, 「Su(囚)」 in the works corresponding to <subject of bondage>. The main content is the main subject caught by the desire of the imaginary system. Therefore, the first human type of Choi In-hun, DNA (Closed Stable), was inserted and analyzed.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imaginary system in order to enter the symbolic world which is the world of language and symbol. The characters of 「Gray Club History」, 「Life of Raoul」, 「Su(囚)」 look inside the mirror and stay inside. They see society through ‘windows’ like mirrors. Judgments about the outside reality can not jump directly into reality through the window. Second, it is <the subject of conflict>. I put the 「House of Idols」, 「Laughter」 and 「Dalaria of the September」. The core contents are the subjects corresponding to Choi In-hun's DNA' (open instability) as a subject who is troubled to enter into the symbolic system. Though it is the subject who is active in the world of symbols, the longing to the imaginary world is still. In reality, She know that she can not go back to the imaginary world, so she assume the vain thing and return to the time of love as she imagined. Even if the love is vain, it is precious. It is another self, and it is someone who protects me. Therefore, the reality of the woman's laughter was her own. In other words, the vanity was the one she made. The third is <the subject of freedom>. 「The letter of the sea」 corresponds to the subject which deviates from the world of the symbol. It is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DNA ∞ (open stability) among three types of human being. Choi In-hun breaks away from long silence after 『Topic』 and publishes a short novel 「Letters of the Sea」. The 60-volume 「Letter of the Sea」 is a short story with the same weight as 4000 pieces of novels, 『Topic』. The 「Letter of the sea」, which begins with the unfolding of the consciousness of the skeleton, the speaker, proceeds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principle of ‘the generation of involuntary memory’. 「Letter of the sea」 can be said to be the same epic as the one described in the memory of 『Topic』 conver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 skeleton. The speaker, skeleton, digs through deeper memories through involuntary memory and finds a true subject. The end is the subject of freedom, knowing me with no me. 최인훈 문학에 대한 논의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의 시각으로 이루어져 왔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 또한 적지 않다. 하지만 그 대부분은 최인훈의 장편소설이나 희곡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최인훈의 단편소설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제까지의 최인훈 문학에 대한 연구에서 단편소설은 상대적으로 외면당해온 것이다. 그러나 작가 스스로 밝힌 대로, 그의 단편소설은 『광장』 『화두』 등 최인훈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들의 원형질에 다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바다의 편지」는 『화두』의 압축본이라 할 수 있는데, 작가 스스로 자신의 소설 전체를 3부작으로 읽히기를 바라고 있는 것도 여기서 연유한다. 이 글은 바로 이 점에 주목, 최인훈의 단편소설들이 내보이는 ‘주체’의 모습들을 분석하여 주체성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최인훈 단편의 담론과 작중인물, 그리고 작가의 세계인식, 나아가 최인훈 소설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인훈은 그의 「인간의 Metabolism의 3형식」에서 인간을 세 가지 차원의 주체성을 지닌 생명으로 보고 있다. ‘생명주체’ ‘문명주체’ ‘환상주체’가 그것인데, 이를 라캉의 주체 개념을 원용하여 규정해보면 ‘속박의 주체’ ‘갈등의 주체’ ‘자유의 주체’로 바꿔 정의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라캉의 주체 개념을 원용하여 최인훈의 단편소설을 세 가지 주체로 나눠 살펴보았다. 기호와 이데올로기에 속박되어 체념하는 작중인물들의 주체, 즉 ‘속박의 주체’(「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라울전」 「수(囚)」), 사회와의 연계를 자신의 실존과 결부하여 갈등하는 주체, 즉 ‘갈등의 주체’(「웃음소리」 「우상의 집」 「구월의 다알리아」), 그러한 갈등을 처절하게 겪어내고 해방되어 진정한 자유인이 되는 주체, 즉 ‘자유의 주체’(「바다의 편지」)로 분류하고,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로부터 「바다의 편지」에 이르는 주체성의 변이 과정을 통해 최인훈 단편의 주체가 사회 상황에 어떻게 대체하고 극복해 나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심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의 ‘속박의 주체’는 상상계로 회귀하려는 욕망에 갇혀 있는 주체이며, 최인훈이 말한 ‘DNA(닫힌 안정)’ 층위에 속하는 주체이다. 의 ‘갈등의 주체’는 상징계 진입에 고뇌하는 주체로서, DNA'(열린 불안정) 층위에 위치하는 주체이며, 의 ‘자유의 주체’는 기호 세계를 벗어난 주체, DNA∞(열린 안정) 층위의 주체이다. 다시 말하여, 최인훈 단편소설의 주체성은 ‘속박’에서 ‘갈등’을 거쳐 ‘자유’의 주체로, ‘닫힌 안정’에서 ‘열린 불안정’을 거쳐 ‘열린 안정’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성의 변화 양상은 그의 장편소설들에 원형적 인자로 기능하고 있다.

      • KCI등재

        김소진 엽편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최재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김소진(1963-1997)은 1991년 29세의 나이에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쥐잡기」로 등단하여 6년 동안 작품을 발표한 후, 소설가로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가던 시기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작가다. 김소진은 전업작가로서 생전에 엽편소설을 많이 썼다. 그에게 있어 엽편소설을 쓴다는 것은 단지 일회적으로 쉽게 읽고 잊혀지는 소설 창작을 넘어서는, 새로운 창작을 위한 밑그림으로서의 구상이면서, 촌철살인 같은 느낌을 담은 하나의 완결된 작품을 창작한다는 의미가 함께 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이 쓴 엽편소설의 장르를 확장해 인물을 추가하고 사건을 재구하여, 주제를 강화하거나 새롭게 전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창작 방법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면의 제약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주제를 확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작가가 애착을 가지고 선택한 엽편소설의 제재나 소재들을 버리지 않고 문학적 완결성이 높은 작품으로 재구해 나갔다는 것은 김소진의 독특한 소설 창작의 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작가는 사소한 이야기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생명을 불어넣고자 했으며, 엽편소설의 경구나 교훈, 아이러니나 풍자, 해학을 넘어서는 어떤 웅숭깊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엽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와 단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 1」의 비교, 엽편소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와 미완의 유고 소설 「내 마음의 세렌게티」를 비교하여 그가 엽편소설을 단편소설로 재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김소진은 단편소설 속에 대조적인 등장인물을 창조하여 인물들 사이의 갈등을 조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 세태를 반영하고 쓴 웃음 속에 현실을 잊게 하는 엽편소설의 평면적 주제가 단편소설에서는 인간이란 얼마나 변화무쌍한 존재인지, 인간의 다면적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심화된다. 엽편소설과 제재는 동일하나 밀도 있는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구성, 새로운 사건의 발생과 위기를 예상하게 하는 긴장과 암시 등이 확장된 소설 형식 속에 나타난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가 치열한 경쟁의 세계를 희화적으로 그리며, 유머러스한 결말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웃음을 통해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게 한다면, 「내 마음의 세렌게티」의 주제는 보다 심도 있게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를 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주 인물인 최기석의 유서를 통해 보여주는‘나는 똥이다’는 글은 김소진 문학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하는‘똥’에 대한 작가의식, 작가의 소설 쓰기의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소진은 엽편소설에 사용된 인물, 배경, 소재와 제재 등을 단편소설 혹은 중․ 장편 소설에 사용하면서 자신이 의도한 주제의식을 심화, 확장시키는 소설 창작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the change and the spread in the sense of subject that the author tries to address are covered by looking through the extens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to a short story. It is also examined how significant this kind of writing method means to Kim, So-Jin’s literature. Kim So-Jin shows his writing method by enlarging his Yuppyun-Sosul; he adds more characters and reconstruct the incidents of the story to strengthen the theme or to develop a new storyline. He became a prolific writer of Yuppyun-Sosul due to economic reasons. Nevertheless, for him, Yuppyun-Sosul meant more than a mere short-short story. It was a completion of a creation, as well as a firm footing for further creations. Kim, So-Jin’s writing method is very unique in a way that he does not forsake the topics and materials of his Yuppyun-Sosul, where he could not expand the topics nor could develop the story due to page restriction, and uses those materials to reconstruct a more highly-integrated literature. In other words, he strives to bring the story to life by caring about every single thing and to create something deep that is far beyond Yuppyun-Sosul’s message, irony, satire, and humor. Hence, looking at the new story creat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is to discover a clue of the author’s innermost method of creation. Comparing Kim, So-Jin’s Yuppyun-Sosul 「The man on the roof」 and the short story 「The man on the roof 1」, Yuppyun-Sosul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and the unfinished posthumous work 「Serengeti in my heart」, it is analyzed that Kim So-Jin creates contrasting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to build the conflicts. By doing so, he thoroughly presents his ideas. The banal themes of Yuppyun-Sosul (reflections and satires of the social conditions) no longer exist in his short stories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lthough the topics of Kim, So-Jin’s short stories are from his Yuppyun-Sosul, short stories contain more organized storyline and character compositions, along with tension and foreshadowing of outbreak and crisis of incidents. For instance,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burlesquely expresses the world of fierce competition and humorously conclude to relieve the tension and to leave the optimistic feeling. Compared to that, 「Serengeti in my heart」 embodies the author’s intended purpose more profoundly. Above all things, it is very important how Kim So-Jin reveals the meaning of writing as an author by showing the will of the main character, Choi, Kee- Suk.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Kim So-Jin uses unique techniques or formats to capture a slice of life in her Yuppyun-Sosul, and reuses the topics and materials in his short stories to intensify and enlarge the themes and lessons that he wants to express.

      • KCI등재

        작가의 형식 진화에 관한 소고

        이영미(Lee, Young Mi),김종회(Kim, Jong Hoi)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본고는 소설가에게 각각의 완결체로서 여겨지는 작품들이 그 하나의 단일형식에 있어서도 내적인 형식의 발전성을 나타내 보일 수 있는가 하는 문학적 혹은 문학사적 근원의 문제를 탐색하고자 하는 시론적 고찰이다. 다시 말하자면 그 구조적 진화의 특성을 집약하는 결절적 작품이 어느 작가의 하나의 형식 속에서 과연 존재하는 것인가를 분석하려 한다. 즉, 소설가가 단편소설에서 장편소설로 그 문학적 역량이 발전해 나간다는 한국 비평사의 관습적 이해의 틀을 넘어서서, 특히 내적형식으로서 단일화된 범주의 단편소설이라는 형식들 사이에서도 과연 작가의 의식이 상호 유기적으로 변화하고 성장되는 ‘형식적 진화의 문학성’이 확실하게 존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결국, 본고는 일반적으로 내용적, 주제적, 소재적인 측면에서 작가의 세계관이 발전되거나 변화하는 것을 살펴보려했던 기존의 작가론 연구에 문제제기하면서 향후 작가론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보려는 탐색이다. 본고는 이를 소설가 최은미의 단편소설들이라는 단일 형식들 사이에서 찾아보았다. 이 작가는 지금까지 17편의 단편소설을 창작해오면서 이를 두 권의 단편소설집으로 묶어 출판하였다. 전통적인 관행의 문학비평적 인식에서 보았을 때, 이 작가는 아직 장편소설로 형식이 확장되지 아니한 이니시에이션의 도상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최은미의 13번째 단편소설 「근린(近隣)」이 이 작가의 형식적 결절점, 즉 작가세계가 성숙해가는 도정 속에서 중간 매듭 혹은 성장의 마디와 같은 발전적 모멘텀의 ‘형식적 상징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 형식적 의미를 추리소설 기법의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그리하여 단편소설이라는 하나의 단일형식적 장르 내에서도 작가가 유의미한 형식적 진화의 특성을 터닝포인트로서 내보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작품을 기점으로 작가세계는 시공간을 통합하는 ‘토폴로지’로서 점차 심화되었다. 「전곡숲」「목련정전(目連正傳)」「한밤」 등에서 언뜻 보였던 추리소설적 기법과 공간의식은 크게 강화되고, 이전 작품들 속 등장인물이 지니는 ‘실명성’은 이 전환적 표지의 작품 「근린」을 시작으로 하여 이후 「겨울 고원」에서처럼 점차 ‘익명성’과 교직되면서 동일한 궤도 플롯의 패턴화로 진화된다. 그리고 환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교직 지점을 오가던 비극성과 그 공간은 「라라네」에서처럼 보다 현실화되어가기도 하며, 「나리이야기」에서처럼 장소적 분리가 보다 뚜렷해지기도 한다. 결국, 「근린」에서 구심력과 원심력을 활용하는 ‘궤도 플롯"의 형식적 실험을 거친 작가는 차츰 그 시공간 형식, 위상학으로서 ‘토폴로지(Topology)’의 형상화를 보다 뚜렷이 하면서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연출이 가능해지는 문학적 역량을 보여 주게 되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작가는 인간 삶의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복잡한 양상에 대해 내적 위상학에 바탕하여 스스로의 통찰적인 시각을 능숙하게 담아내게 되었다. 본고는 추리소설 기법 형식을 활용하여 작가 스스로의 문학적 성숙성을 확장시킨 이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해당 작가의 단일장르가 지니는 내적 형식의 동력과 그 발전 내지 변화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포착해낼 수 있었다. This article’s aim is to focus on how a writer as novelist shows a changing point of literary form and comes to maturity of art value on his/her evolutionary way of a literary genre, short story in Korean literary history. Generally, here in Korea has been a traditional literary misconception on which every writer progresses his/her literary wagon from short story to full-length novel. Moreover,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is step was the logical process for them, and most writers have to be analyzed their literary world according to internal materials, topics in their literary works without considering what has a better form as literature. Rather than most literary works of short story have been dealt within the reform of genre itself, most critics have had writers stay the same spots of literary topic within the same style of the genre over the writers’ consummate way to completion of his/her literary ultimate world. Our argument is that such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n the same genre such as short story needs to be diversified. Thus, as a exemplar of reform, its change within the same genre, we have recently found a writer’s special work as her knot of artistic growth, a turning point over her way of literary creation. Ch’oe Ŭn-mi, who is a rising author in South Korea and has 17 short stories to date, shows a leading literary conduct in Neighbors [Kŭllin] in respect of the expansive change of internal form. Namely, Neighbors has an important formal sign of profound change on her literary world within her short stories. We see the point of the popular literary style of mystery in the work as pure literature, which also evolves in her other short stories with the orbital plot of topology.

      • KCI등재

        황순원 단편소설의 여성과 생태의식

        정연희(Jeong, Yeon-Hee)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1950년대 이후에 발표된 황순원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으로 여성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에코페미니즘적 의미는 남성이 여성/성을 만나는 서사구조로 구체화된다. 황순원의 남성 주인공들은 여성 만나기를 통해 인간성의 균형을 찾고 상처를 치유하며 반생명적인 세상을 감싸 안는 원리를 내재화한다. 그것은 남성중심의 문화가 배제하고 억압해온 여성을 이해하는 타자의 윤리학이 되는 것인데, 여성타자의 이해는 일거에 혹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요령부득의 타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방황과 갈등에는 인내의 시간과 돌봄의 수고로운 시간이 개입된다. 황순원 문학이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은 이러한 내면의 시간이 서서히 누적되는 서사구조와 깊은 상관이 있다. 인류의 이성적 문명은 여성과 자연을 벗어나려는 남성적 초월을 옹호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황순원 단편소설은 남근 공동체의 타자인 여성을 찾는 서사를 보여줌으로써 남성의 잃어버린 반쪽을 일깨워준다. 이는 전쟁과 전쟁 이후의 메마르고 어두운 반생명적인 상황에 대응하고자 하는 작가적 의식과 작가적 감수성의 반응으로 보인다. 그의 소설에서 여성성은 단순한 소재의 차원이 아니라 온전한 전체를 향한 깊은 욕구와 관련이 있으며 세상을 바라보는 심미적 시선의 근간이 되고 있다. 황순원 단편소설은 생명의 연결성이라는 관점에서 여성을 자기 문학의 중요한 기반으로 삼고 있다. 말하자면 ‘정복자 사회’를 지양하고 ‘양육자 사회’로 세상을 새로 짜고자 하는 문학적 지향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인데, 그것은 자기시대에 대한 문학적 응전방식이 에코페미니즘의 지향과 맞물리는 사례를 보여준다. 남성이 여성과 자연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남성 내부에 있는 여성성 혹은 영성을 일깨우며 돌봄과 책임의 관계 윤리를 체득하는 황순원 단편소설은 생태사회의 재건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의미와 현대적 가치를 가진다. This essay has examined women in the viewpoint of ecofeminism in the short story of Hwang Soon-won which were published since the 1950’s. Women’s ecofeminist implications are embodied in narrative structures in which men meet feminity. His male protagonists internalize the principle of finding a balance of humanity, healing wounds, and embracing a non-vital world through meeting women. It is the ethics of the other that understands women who have been suppressed and oppressed by men-centered culture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emale other is not made at all or easily. Tips and Wond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evitable other, wandering and conflict involve the time of patience and the hard work of caring. The warm gaze of the writer’s literature on the world has a deep correlation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such inner time gradually accumulates. The rational civilization of mankind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defending masculine transcendence to escape women and nature. His short stories reminds men of the lost half by showing narratives seeking women, the batter of the penis community. This seems to be the reaction of the artist consciousness and the artist’s sensitivity to cope with the dark and non-vital situation after the war and the war. In his novels, feminity is related not only to the dimension of materiality but also to the deep desire for the whole, and is the basis of the aesthetic gaze of the world. Hwang, Soon-Won short stories make women an important foundation of their literature in terms of life connectivity. In other words, it clearly shows the literary intention to refrain from ‘conqueror society’ and to create a new world with ‘care-giving society’. This shows the way in which the literary response method of his own age is intertwined with the fostering of ecofeminism. His short story, which realizes that men are dependent on women and nature and awakens feminity or spirituality inside men and learns the ethics of caring and responsibility, has a new meaning and modern value in terms of reconstruction of ecological society. 1950년대 이후에 발표된 황순원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으로 여성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에코페미니즘적 의미는 남성이 여성/성을 만나는 서사구조로 구체화된다. 황순원의 남성 주인공들은 여성 만나기를 통해 인간성의 균형을 찾고 상처를 치유하며 반생명적인 세상을 감싸 안는 원리를 내재화한다. 그것은 남성중심의 문화가 배제하고 억압해온 여성을 이해하는 타자의 윤리학이 되는 것인데, 여성타자의 이해는 일거에 혹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요령부득의 타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방황과 갈등에는 인내의 시간과 돌봄의 수고로운 시간이 개입된다. 황순원 문학이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은 이러한 내면의 시간이 서서히 누적되는 서사구조와 깊은 상관이 있다. 인류의 이성적 문명은 여성과 자연을 벗어나려는 남성적 초월을 옹호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황순원 단편소설은 남근 공동체의 타자인 여성을 찾는 서사를 보여줌으로써 남성의 잃어버린 반쪽을 일깨워준다. 이는 전쟁과 전쟁 이후의 메마르고 어두운 반생명적인 상황에 대응하고자 하는 작가적 의식과 작가적 감수성의 반응으로 보인다. 그의 소설에서 여성성은 단순한 소재의 차원이 아니라 온전한 전체를 향한 깊은 욕구와 관련이 있으며 세상을 바라보는 심미적 시선의 근간이 되고 있다. 황순원 단편소설은 생명의 연결성이라는 관점에서 여성을 자기 문학의 중요한 기반으로 삼고 있다. 말하자면 ‘정복자 사회’를 지양하고 ‘양육자 사회’로 세상을 새로 짜고자 하는 문학적 지향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인데, 그것은 자기시대에 대한 문학적 응전방식이 에코페미니즘의 지향과 맞물리는 사례를 보여준다. 남성이 여성과 자연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남성 내부에 있는 여성성 혹은 영성을 일깨우며 돌봄과 책임의 관계 윤리를 체득하는 황순원 단편소설은 생태사회의 재건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의미와 현대적 가치를 가진다. This essay has examined women in the viewpoint of ecofeminism in the short story of Hwang Soon-won which were published since the 1950’s. Women’s ecofeminist implications are embodied in narrative structures in which men meet feminity. His male protagonists internalize the principle of finding a balance of humanity, healing wounds, and embracing a non-vital world through meeting women. It is the ethics of the other that understands women who have been suppressed and oppressed by men-centered culture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emale other is not made at all or easily. Tips and Wond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evitable other, wandering and conflict involve the time of patience and the hard work of caring. The warm gaze of the writer’s literature on the world has a deep correlation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such inner time gradually accumulates. The rational civilization of mankind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defending masculine transcendence to escape women and nature. His short stories reminds men of the lost half by showing narratives seeking women, the batter of the penis community. This seems to be the reaction of the artist consciousness and the artist’s sensitivity to cope with the dark and non-vital situation after the war and the war. In his novels, feminity is related not only to the dimension of materiality but also to the deep desire for the whole, and is the basis of the aesthetic gaze of the world. Hwang, Soon-Won short stories make women an important foundation of their literature in terms of life connectivity. In other words, it clearly shows the literary intention to refrain from ‘conqueror society’ and to create a new world with ‘care-giving society’. This shows the way in which the literary response method of his own age is intertwined with the fostering of ecofeminism. His short story, which realizes that men are dependent on women and nature and awakens feminity or spirituality inside men and learns the ethics of caring and responsibility, has a new meaning and modern value in terms of reconstruction of ecologic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