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의 기원을 찾아서 : 한국 상고 민족 담론의 창안

        오영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9 한국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근대역사학에서 한국 상고 민족의 기원에 관한 담론이 형성되어 나간 과정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20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된 민족 기원 담론은 신채호와 박은식으로 대표되는 저항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한 단일민족론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단일민족론은 식민 통치와 동화 정책을 뒷받침하는 제국 일본의 식민주의 역사학에 의해 부정당했다. 일제는 조선 민족의 단일성을 부정함으로써 민족 독립의 당위성을 부인하는 논리를 펼쳤다. 시라토리 구라키치에서 출발하여 이마니시 류 등으로 이어지는 대부분의 일제 관학자들은 조선사에서 북방민족과 남방민족을 구분하는 이원론을 주장하였으며, 한국사를 남쪽의 한족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1923년 이병도가 제시한 조선민족론은 해방 이후 한국사학계의 통설을 보여주는 맹아적 형태로서 주목되는데, 만주와 한반도에 거주하는 숙신과 예맥, 한을 모두 조선민족으로 설정하는 단일민족론을 견지하면서 동시에 일본 학계의 언어계통론과 문화전파론의 영향도 나타난다. 식민 지배 하에서 침잠되었던 이병도의 조선민족론은, 해방 이후 자주적 국민국가 건설이라는 과제 속에서 다시 부활하였다. 당시 한국사의 민족 기원론은 1923년 이병도의 논의를 수정하여 재론하는데서 그쳤을 뿐, 새로운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제시된 것은 아니었다. 연구 방법론적으로 중국 문헌에서 나타나는 선사 또는 원사시대 종족의 실체를 확인하고 이의 동질성을 인식하는 작업이 과연 가능한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민족 기원 담론이 삼국 이전에 이미 민족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고조선-삼국-통일신라-고려-조선으로 이어지는 선험적인 한국사 통사체계를 역으로 소급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the discourse on the nation origin of Korea in early 20th century. The discourse on the nation origin of Korea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homogeneous nation based on the resistant nationalism in the modern historiography. This discourse was denied by colonial historiography that supported the colonial rule and assimilation by Imperial Japan. Imperial Japan negated the justific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n people by denying the unity of the Korean people. The eminent historian of Prof. Shiratori insisted on the dualism that distinguishes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ones from Korean people in its history. In 1923, Yi Pyong-do, a Korean historian suggested ‘Korean Nation’ theory which included the theory of homogeneous nation as well as based on the cultural diffusionism and Ural–Altaic languages from Japanese academia. His opinion was sunke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e latent risk of the theory of homogeneous nation, and then it revived when the task of building a new independent nation-state was needed after the liberation. It is necessary to ask wheth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eality and the homogeneity of ethnic groups in prehistoric or proto-historic era which was written in Chinese literature.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discourse of the nation origin in early Korea was established on the premise that the Korean nation had already been formed before or after the Three Kingdoms and continued to the present day.

      • KCI등재

        한국에서 단일민족 인식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고찰 : ‘혈통중심적’ 사고를 중심으로

        전재호 한국정치사상학회 2022 정치사상연구 Vol.28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ncept of a racially homogenous nation formed and evolved in modern Korea.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hanges and fissures that emerged as the concept was first constructed around an emphasis on bloodlines, rather than examining it linearly as a process of emergence, expansion, and decline. In Korea, this concept of a racially homogenous nation emerged in the 1920s, then fully expanded after liberation in 1945.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emerged as a symbol of the Korean people’s independence, emphasizing shared bloodlines, with reference to the mythical Korean forefather Dangun. However, it also derived from an emphasis on a homogenous language and culture, and was also temper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Korean people were a mixed race.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the concept gradually focused more heavily on bloodlines, in the midst of political turmoil and in order to justify national unity in the face of the crisis of foreign trusteeship a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Korean history textbooks delivered the message to new generations of Koreans that, since this nation is based on a homogenous lineage, it is racially homogenous. As a result, for several decades this understanding became a common belief in Korean society. Criticisms of this concept were raised in the 1990s, however, with the onset of several factors: the rise of globalization, an influx of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and medical studies revealing more extensive genetic hybridity. These developments resulted in the weakening within the Korean public space of the concept of a racially homogenous nation. Given this history and evolution, we expect the bloodlines-based understanding of a racially homogenous nation to weaken further, as long as current globalization trends continue. 이 글은 한국에서 단일민족 인식이 형성‧발전하는 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그것이 등장-확산-쇠퇴했다는 ‘단선적인’ 시각을 넘어, 어떻게 혈통중심적으로 구성되고, 그 과정에서 어떤 변화와 균열이 일어났는지에 주목했다. 한국에서 단일민족 인식은 1920년대 등장했고, 해방 후 본격적으로 확산했다. 일제강점기 그것은 한민족의 독자성을 드러내는 표상으로 등장했고, 단군과 결합하면서 혈통중심적 성격을 띠었는데, 당시에는 혈통과 함께 언어와 문화 등을 강조하는 인식과 혼합민족론도 공존했다. 그러나 해방 후 단일민족 인식은 신탁통치와 분단 반대, 통일의 당위성, 이승만 정부 중심의 일치단결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했고, 그 과정에서 혈통중심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특히 국사 교과서는 ‘한민족=핏줄/혈통의 동질성=단일민족’이라는 순혈주의적 단일민족 인식을 새로운 세대에게 전달했다. 그 결과 그 인식은 한국 사회의 ‘상식’이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지구화, 이주민의 유입, 학계의 탈민족주의 경향, 단일혈통을 부정하는 유전학과 의학 연구 등으로 인해 그 인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그 결과 2000년 후반 단일민족 개념은 교과서와 공적 영역에서 사라졌다. 앞으로도 지구화의 흐름이 지속하는 한, 그 인식의 퇴조 경향은 지속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재외동포 정책

        조정남 ( Chung Nam Cho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1

        일본은 천왕제가 확립된 명치유신 이후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민족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천황을 ‘親’, 국민을 ‘臣’으로 하는 가족국가관을 중심으로 하는 ‘단일 민족론’을 창안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본격적인 제국주의세력화 해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타민족집단을 일본제국의 신민으로 받아드리게 됨에 따라 기존의 단일민족론에 대신하여 제국주의 특유의 민족이론인 ‘복합민족론’, ‘통합민족론’등의 다양한 제국주의 민족론을 통하여 그들 제국 내에 새롭게 편입된 식민지 민족들을 새로운 ‘일본 민족화’하려 했다. 그리나 그 후 1945년 전쟁에서 패배하자 그들은 단번에 제국주의민족이론을 벗어던지고 다시 그들 고유의 황국사관에 입각한‘단일민족론’으로 회귀하면서 전후의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고 나섰다. 일본의 재외 일본인(일계인)들에 대한 정책적인 대응도 그들의 전통적인 민족정책의 연장선상에 있다. 단일민족론이 지배하던 전전의 천황제 가족국가 시대에 이뤄진 해외이민들에 대해서는 해외에 나가 있지만 몸과 마음은 언제나 천황가의 신민이어야 한다는‘천황 신민론’의 입장에서, 1945년 패전 이후로는 해외 동포들에 대해서 일단 해외에 나갔으면 그곳 현지가 무엇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이른바 ‘수입국 중심주의’의 입장을 강조하는 등으로 재외동포정책을 유연하게 펼쳐기도 했다.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는 남미 특히 브라질 등의 일계 후손들을 일본으로 불러드려, 이들을 부족한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등의 새로운 일계인 활용의 수단이 동원되기도 하고 있다. The Japanese diaspora, known as nikkei (日系), are Japanese emigrants from Japanand their descendants that reside in a foreign country. Emigration from Japan firsthappened and was recorded as early as the 12th century to the Philippines, but didnot become a mass phenomenon until the Meiji Era, when Japanese began to goto the Philippines, North America, and beginning in 1897 with 35 emigrants to Mexico. There was also significant emigration to the territories of the Empire of Japan duringthe colonial period; however, most such emigrants repatriated to Japan after the endof World War II in Asia.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Nikkei and Japanese Abroad,there are about 2.5 million nikkei living in their adopted countries. The largest ofthese foreign communities are in Brazil, the United States, Peru and the Philippines. Descendants of emigrants from the Meiji Era still hold recognizable communities inthose countries, forming separate ethnic groups from Japanese peoples in Japan. After World War II, most of these overseas Japanese repatriated to Japan. TheAllied powers repatriated over 6 million Japanese nationals from colonies and battlefieldsthroughout Asia. On]y a few remained overseas, often involuntarily, as in the caseof orphans in China or prisoners of war captured by the Red Army and forced towork in Siberia. During the 1950s and 1960s, an estimated 6,000 Japanese accompaniedZainichi Korean spouses repatriating to North Korea, while another 27,000prisoners-of-war are estimated to have been sent there by the Soviet Union; see Japanesepeople in North Korea. In the 1980s, with Japan``s growing economy facing a shortage of workers willingto do so-called three ‘K’ jobs (きつい kitsui [difficult], 汚い kitanai [dirty], and 危險kiken [dangerous]), Japan``s Ministry of Labor began to grant visas to ethnic Japanesefrom South America to come to Japan and work in factories. The vast majority -estimated at roughly 300,000-were from Brazil, but there is also a large populationfrom Peru and smaller populations from Argentina and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recession as of 2009, the Japanese government has offered ¥300,000for unemployed Japanese from Latin America to return to their country of origin withthe stated goal of alleviating the country``s soaring unemployment. Another ¥200,000is offered for each additional family member to leave.

      • KCI등재

        단일민족사관의 사회사적 형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강창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4

        The nation concept did not exist before modern society. It is a historical product of modernization. The nation concept was sparked off by Shin Chae Ho, but the origin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of history is unclear. Nevertheless, it has had strong influence on us as imprinted in our world of consciousness. Recently it has faded under the growing influence of multiculturalism under globalization.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of history and multiculturalism are two extreme value systems contradicting each other. It is reasonable to hold either one of the two standpoints due to their merits. That is, even if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of history cannot embrace multiculturalism due to its insistence on purity of bloodline, it serves as a ideological mechanism to increase the nation cohesiveness in the harsh world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On the other hand, multiculturalism strives for the universal values of freedom and equality based on human dignity, but may undermine the national consciousness. But, it is our position that the two paradoxical positions,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of history and multiculturalism, must be both accepted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effectively. To achieve this, we must embrace the Hongikingan ideology, rather than the Dangun's ideology of blood descendant. Since the ideology of Hongikingan, the founding principle of our nation, aims at building a community based on freedom, equality and human dignity, the Hongikingan ideology as a universal value is able to embrace differences in race, language, area, culture, religion and etc. So, the community nation view of history of Hongikingan ideology, which emphasizes community harmony, must be sought. The community nation view of history promotes an open democracy by adopting the universal value of Hongikingan ideology, and not of blood descendant. The community nation view of history increases national cohesiveness, while embracing multiculturalism at the same time. In short, the community nation view of history offers the ideological cornerston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multicultural differences. 근대사회 이전에는 민족이란 개념은 없었다. 민족은 서구 근대화의 역사적 산물이다. 우리의 민족 개념은 단재 신채호에 의해 촉발됐지만, 단일민족사관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단일민족사관은 우리의 의식 세계에 깊게 각인되어 근ㆍ현대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 단일민족사관은 세계화에 의해 비롯된 다문화주의에 의해 퇴색되고 있다. 단일민족사관과 다문화주의는 서로가 상충될 수밖에 없는 양극단의 가치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한 입장에서 주장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매우 쉬운 일이다. 즉 단일민족사관은 적자생존의 냉혹한 국제상황에서 민족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이념적 기제라는 장점이 있지만, 혈통적 폐쇄성으로 인해 다문화주의를 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문화주의는 인간존엄에 기초한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장점이 있지만, 민족의식을 약화시킬 수 있는 단점이 함께 내재해 있다. 그러나 우리의 입장은 국제 정세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역설적 위치에 있는 두 가치 체계를 모두 수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군의 혈통적 자손보다 홍익인간을 이념적 단서로서 출발해야 한다. 단군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은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간존중에 기반한 인류공동체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홍익인간은 인종, 언어, 지역, 문화, 종교 등의 차이를 포용하는 보편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인류의 공동체적 화목을 강조하는 홍익인간을 이념적 실마리로 하는 공동체민족사관을 지향해야 한다. 공동체민족사관은 단군의 혈통적 자손보다는 홍익인간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는 열린 민족주의를 수용한다. 공동체민족사관은 민족의 응집력을 높이면서, 동시에 다문화주의를 포용한다. 공동체민족사관은 다문화적 차이를 포용하는 다문화교육의 이념적 초석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중국과 한반도에서의 ‘민족’ 개념의 인식과 갈등구조

        장윤미 ( Jang Youn Mi ) 현대중국학회 2018 現代中國硏究 Vol.2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국가의 주체인 ‘민족(nation)’의 개념과 범주, 형성과정을 둘러싼 정치적, 역사적 과정을 통해, 과거 동일한 문명을 공유했던 중국과 한반도가 근대국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민족 인식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그 차이점을 비교하고, 남북한과 중국 지역에 내재된 갈등구조를 파악하는데 있다. 동아시아 문명권이 서구 제국주의의 침략과 함께 기존의 왕조체제가 붕괴되고 근대주권체제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중국에서는 ‘중화민족론’이, 한반도에서는 ‘단일민족론’이 형성된다. 중국은 청 왕조가 몰락하면서 지배층인 만주족에 맞선 한족 중심의 중화민족관이 형성되지만, 한족 중심의 혁명을 추진할 경우 중국이 분열되는 문제에 봉착하며 결국 ‘중화민족’이라는 총체성을 강조하는 관념을 창출하게 된다. 그러나 ‘중화’ 안에 내장되어 있는 한족의 민족 상상으로는 완전한 ‘중화민족 국민 만들기’가 불가능한 근본적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현재 중화민족론은 안으로는 소수민족을 억압하고, 밖으로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부정하는 세력을 누르는 ‘힘’을 통해 강력한 국가주의의 양태로 표출되고 있다. 한반도의 경우 민족 개념은 처음에는 문명적 요인을 강조했지만 식민지로 전락한 뒤에는 점차 혈연적, 종족적 의미의 민족관이 강조되었고,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단일민족’론은 저항적 민족운동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분단 이후 남북한이 한민족/조선민족이라는 서로 다른 호칭을 사용함으로써, 냉전이란 환경 속에서 각자 체제의 정치적 목적에 맞게 ‘민족’을 만들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족적으로는 동일 민족이라 상상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nation이 만들어졌고, 동시에 완전히 다른 nation은 서로 다른 문화적 ethnie를 복원하며 서로 다른 계보의 전통을 발명해나갔다. 근대적 민족(nation)이란 지정학적 위치와 정치적 투쟁 과정에 따라 형성되고 만들어진 것이며, 끊임없이 변화되는 것이다. 중국에선 중화민족이 “하나의 국가” 원칙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고, 한반도에서는 “통일”이란 정치적 목표를 위해 단일민족 상상이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중국은 국민국가화가 불가능한 역사적 유산과 문화적 조건을 갖고 있으며, 한반도 역시 하나의 국민국가로 담을 수 없는 이질적 nation을 형성해왔다. 이러한 역사적 현실과 다양한 주체를 인정하지 않는 국민국가 이데올로기의 일방적 확산은 내부적 갈등과 반발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종족 중심의 하나의 민족국가를 지향하는 통일담론은 바뀔 수밖에 없으며, 한반도 내외에서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민족 담론을 창안해나가야 할 과제가 놓여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processes surrounding the concept, category, and formation process of ‘nation’ i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differences of what kind of national consciousness was formed in the transformation to modern times of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which were sharing the same civilization in the past, and understand the conflict structure inherent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In the course of the collapse of the dynastic system of East Asian civilization and its incorporation into modern sovereignty system, ‘Chinese nation(中華民族)’ is formed in China and ‘Single nation(ethnic group)’ concept is formed in the Korean peninsula. China has formed a ‘nation’ concept centered on the Han Chinese, but when the Han-centered revolution is pursued, China faces a problem of division and eventually creates the notion of emphasizing the collective nature of the ‘Chinese nation’. However, the imagination of ‘Chinese(中華)’ in the center of the Han(漢)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is impossible to create a complete ‘Chinese nation’.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ncept of ‘nation’ first emphasized civilization, but after becoming a colony, it gradually emphasized kinship and tribal meaning. The ‘Single ethnic group(단일 민족)’ concept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sistance national movement. However, after the divisio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have used different titles of Han nation(한민 족)/Choson nation(조선민족) to create a ‘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urpose of each system in the cold war environment. In this process, a nation that is ethnically the same as the race, but a completely different nation was created politically, and at the same time a completely different nation restored different cultural ‘ethnie’ and invented a different lineage tradition. The modern nation is formed and made according to the geopolitical position and political struggle process, and it is constantly changing. In China, ‘Chinese nation’ are being used as a means to maintain the principle of ‘one stat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ingle nation’ imagnation has been pursued for the purpose of ‘unification’ as a political goal. However, China has historical heritage and cultural conditions that make nationalization impossible, and the Korean peninsula has also formed a heterogeneous nation that can not be regarded as a nation-state. The unilateral spread of the nation-state ideology, which does not recognize such historical reality and various subjects, is bound to bring about internal conflict and repulsion. The unification discourse that aims at a nation-state is bound to change, and we are faced with the task of creating a new nation discourse that can coexist peacefully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민속학=민족문화학’의 탈신화화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40

        <P>이 글에서는 민족문화의 본질과 정체성 탐구를 강조한 ‘민속학=민족문화학’의 계보를 그 선도 주자들을 중심으로 추적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일제 식민지기 혼합민족설에 기초한 북방문화론을 추구하다가 해방공간에서 단일민족신화로 전화(轉化)한 손진태의 민속학, 그의 해방전의 문제의식과 관점을 계승한 조동탁의 민족문화학과 그것을 민속의 조사 연구 실천으로 구체화한 김택규의 ‘한국기층문화영역론’ 그리고 손진태의 단일민족신화를 이어받아 최근 일련의 자생적 민족문화론을 왕성히 펼치고 있는 임재해의 연구 성과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문화민족주의 민속 담론들의 존립 기반과 논리 구성 및 배후에 있는 사상성의 일단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았다.</P><P> 나아가 마무리를 갈음하여, 종래의 본질주의 민속학이 민족문화의 중핵으로 자리매김한 민속의 동질성과 지속성을 재고해보았다. 민속학=민족문화학의 동어반복(tautology)을 뒷받침해온 암묵적인 대 전제가 다름 아닌 이 ‘민속의 동질성’과 ‘민속의 지속성’으로서, 본론에서 고찰한 전파론적 민족문화론이나 자생적 민족문화론 모두 그 신화적 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P>

      • KCI등재

        ‘민속학=민족문화학’의 탈신화화

        남근우(Nam Kun-Wu)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40

        이 글에서는 민족문화의 본질과 정체성 탐구를 강조한 ‘민속학=민족문화학’의 계보를 그 선도 주자들을 중심으로 추적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일제 식민지기 혼합민족설에 기초한 북방문화론을 추구하다가 해방공간에서 단일민족신화로 전화(轉化)한 손진태의 민속학, 그의 해방전의 문제의식과 관점을 계승한 조동탁의 민족문화학과 그것을 민속의 조사 연구 실천으로 구체화한 김택규의 ‘한국기층문화영역론’ 그리고 손진태의 단일민족신화를 이어받아 최근 일련의 자생적 민족문화론을 왕성히 펼치고 있는 임재해의 연구 성과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문화민족주의 민속 담론들의 존립 기반과 논리 구성 및 배후에 있는 사상성의 일단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았다. 나아가 마무리를 갈음하여, 종래의 본질주의 민속학이 민족문화의 중핵으로 자리매김한 민속의 동질성과 지속성을 재고해보았다. 민속학=민족문화학의 동어반복(tautology)을 뒷받침해온 암묵적인 대 전제가 다름 아닌 이 ‘민속의 동질성’과 ‘민속의 지속성’으로서, 본론에서 고찰한 전파론적 민족문화론이나 자생적 민족문화론 모두 그 신화적 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trace the genealogy of 'folklore=logic of national culture' centering around its forerunners that emphasized the inquiry of national culture's essence and identity. Definitely, Son's folklore who pursued the northern culture theory based on mixed nation's viewpoint in colonial period, but changed to the homogeneous nation's viewpoint in liberation period ; Cho's theory of national culture, who succeeded Son's subject and viewpoint in colonial period ; Kim's theory of korean bottom culture, who gave shape to Cho's theory ; Lim's research work, who newly unfolds energetic the series of autogenous theory of national culture. Making them the object of this investigation, I examined critically the basis of cultural nationalistic folklore, its logical composition and ideology behind. Lastly, I questioned the homogeneity and continuity of folklore that the former salvage folklore located to the cote, instead of conclusion. Because these ate just the tacit prerequisite that suppose the tautology of 'folklore=logic of national culture.' And as previously examined, the diffusionist theory and the autogenous theory of national culture ate never free from the mythical ideology.

      • KCI등재

        단일민족의식이 다문화 한국사회의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함의

        하진기 ( Jin Kee Ha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단일민족의식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그 유효성을 살펴 보고 보편적 다문화주의개념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요인 및 영향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종계층화형성이 갖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한국의 단일민족의식은 근대 역사과정 속에서 한민족 사상이나 계급, 지역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민족단결 및 민족정체성을 확립하게도 하였지만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사회로의 발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인식의 중심에서 인종계층화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이 주창하는 다문화 주의는 다문화주의의 본래 의미를 고려함이 없이 강제동화주의 이데올로기를 다양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한국적 변형으로서 타자가 포용대상이 아니라 관리대상으로서 그리고 수동적인 객체로 전락하게 하면서 인종계층화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고에서 인종계층화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문화적 요인으로 언어, 생활방식, 관습을 사회구조적 요인으로는 인종주의와 법적 제도를 제기하였다. 또한, 서구의 보편적 다문화주의관점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인종계층화형성이 갖는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다문화 한국사회에서 단일민족의식이 여전히 강조되고 있는데 포용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개념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는 한국사회는 타민족에 대한 인식을 평등관점에서 출발해야 하고 이들과 관련한 다문화정책들도 포용적인 동화주의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는 한국사회와 외국인 이주민집단 간의 평등적 관계에서 인종주의 및 법률 제도적 정비를 고려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ethnically ho mogeneous nationalism in multicultural society by arranging Korean soc iety's concept of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and investigate impl ications of racial stratification by reviewing factors and effects of ethni 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on racial stratification in the concept of universal multiculturalism.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of Korea established national unity and ethnic identity beyond the Korean race's thought, class, and local interests in the course of modern history, but has had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ation in the center of negative perceptions that interferes with Korean society's development into multi 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ism that Korea advocate does not con sider the original meaning of multiculturalism and is just a Korean version which just used compulsory assimilation transformation as a term called diversity. In Korean multiculturalism, other persons are subject to contr ol, not the persons to embrace. And it had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 ation as it became an passive object. In the study,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racial stratification were raised as follows: Cultural factors are languages, lifestyles, and customs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are racism and legal systems. And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multiculturalism, implications of racial stratification of ethnically homog eneous nationalism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thnically homo geneous nationalism has still been emphasized in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The scope of the concept needs to be enlarged from the view point of inclusive multiculturalism. Second, Korean society must start perceptions about other ethnic groups from the viewpoint of equality and multicultural policies related to them must b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inclusive assimilation. Third, institutional reorganization of racism and laws must be considered in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ociety and immigrant groups.

      • KCI등재후보

        津田左右吉의 단일민족설과 고대 한·일 민족관계 인식

        박현숙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6

        Tsuda Shoukichi’s studies on Japanese history has been called“ Tsuda history,”“Tsuda’s history of thought,”taking the leading figure in studying Japanese history. His academic work covered various fields of historical studies such as historiographical study, critical study of Japanese classics, historical study of Japanese national thought, study of the history of ancient Chinese thought, etc.. This study examines his critical studies on Japanese classics and the problems of perception in Koran-Japan relationship and of distorted view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which resulted from Tsuda’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suda history”was in his poignant criticism on the prevalent method of historical studies focusing on folklore and social development. His studies on comparative started from thorough critical investigations of Kojiki (古事記) and Nihon Shoki (日本書紀). He drew his picture of East Asia based on the uni-race theory, and it seems that he had an ideal of the peaceful uni-racial nation without power authorities. His thought has been molded by the atmosphere of the times, i.e.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in 1905 and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Through the analysis of mythologies in Kojiki and Nihon Shoki, Tsuda refused the theories that Japan and Korea had a common ancestor and that the Japanese emperor came from Korean blood. With these refusals, he offered the basis of studies on ancient Japanese history after the World War II, and it was his theory of the uni-race by which he refuted another theory that the ancient Japanese arrived from Korean peninsula. Tsuda’s uni-racial nation theory, however, bore a seed that could grow into the exclusive historical view centering on Japan. Thus, before mentioning Tsuda’s historical positivism, it was a natural progress for completing the uni-racial nation theory that he tried to criticize the mythologies in Kojiki and Nihon Shoki, and to draw a distorted interpretation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His negation of early historical records in Samguk Sagi (三國史記) and his extensive distortion about ancient histories may not be free from the blame of coloni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津田左右吉의 일본사 연구는 ‘津田 史學’, ‘津田 思想史學’으로 불리우면서, 메이지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일본학계에서 第一人者로 자리잡고 있다. 津田의 학문적 업적은 문헌고증학적 연구, 일본 고전의 비판적 연구, 국민사상사 연구, 중국 고대 사상사 연구 등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본고에서는 그의 일본 고전의 비판적 연구와 이를 통한 한ㆍ일 관계사 인식 및 한국 고대사 왜곡 문제 등을 검토해 보았다. 津田 史學의 특징은 당시 새로이 유행하고 있었던 민속학과 유물사관적 역사연구 방법론을 강하게 비판하였다는 점에 있다. 그의 상대사 연구의 출발점은《古事記》와 《日本書紀》에 대한 철저한 사료 비판이었다. 그리고 津田가 그리고 있었던 동아시아상 형성에 단일민족설이 자리잡고 있었다. 津田는 평화적, 무권력적인 단일민족 국가를 理想으로 삼고 있었다고 파악된다, 津田의 사상은 1905년의 러일전쟁과 1910년의 한일합병이라는 시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형성되었다. 津田는 '記ㆍ紀’神話의 분석을 통해 日鮮同祖論과 천황의 조선계 혈통 유입설을 부정하였다. 日鮮同祖論 배척의 근거를 제공하여 전후 일본고대사 연구의 초석을 만든 연구자가 津田이고, 고대 일본인의 한반도 渡來說을 비판한 근거가 바로 津田의 단일민족설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津田의 단일민족론은 고대 일본인의 한반도 渡來說 등을 부정하고, 일본 중심의 배타적인 역사관을 형성할 수 있는 씨앗을 잉태하고 있었다. 津田의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론에 앞서서, 그가 일본 민족의 단일민족론을 완성하기 위해서 시도한 ‘記ㆍ紀’神話의 비판과 한국고대사에 대한 부정적 해석은 당연한 수순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三國史記》초기기록의 부정 뿐 아니라, 고대사의 전반에 걸친 왜곡은 植民史學의 테두리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 KCI등재후보

        손진태의 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

        이정선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1 No.-

        본 논문은 1946~1949년 간행된 한국사 개설서를 중심으로 손진태의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손진태의 조선사 연구 방법론과 역사서술은 중간파의 현실 인식을 반영했다. 해방 이후 한반도는 미·소의 분할 점령과 좌우 대립의 소용돌이에 빠졌고냉전 체제가 형성되면서 남북이 분단되었다. 손진태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진정한 민족국가가 수립되기를 바랐다. 진정한 민족국가는 내부적으로는 무계급·민주주의 국가이고, 외부적으로는 민족자주·국제친선 국가였다. 이를 실현할 정치 이념이 신민족주의였다. 손진태는 신민족주의를 토대로 조선사를 서술하고 교육함으로써 민족국가 수립에 기여하고자했다. 둘째, 손진태는 당시에 존재하던 조선 민족을 단일민족이라고 했지만, 민족의 동질성이 민족의 우수성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단일민족인 조선 민족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했다. 손진태가 조선 민족의 기원을 단군이 아니라 원시 퉁구스족에서 찾은 것은 역사학과 인류학·민속학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 결과였으며, 역사를 왕조 중심이 아니라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아우르는 진정한 민족을 중심으로 서술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의 산물이기도 했다. 또한 원시 퉁구스족이 조선 민족으로 바뀌는 과정을 다루면서는, 조선 민족의 외양(집단·영토)과 민족의식을 모두 고려했다. 조선민족의 외양은 신라의 삼국통일과 조선의 영토 확정으로 완성되었지만, 민족의식은 외세와의 대립 또는 투쟁의 유무에 따라 강해지거나 약해질수도 있었다. 셋째, 손진태는 귀족지배체제가 진정한 민족국가 수립의 가장 큰 방해물이라고 보고, 그를 강력히 비판했다. 귀족지배체제는 삼국시대 이래 지배층이 민중의 정치적 권리를 빼앗아 형성되었고, 지배층이 서로 권력을다투며 피지배층을 착취하였으므로 결국 민족을 분열시키고 외세의 침략을 초래하여 국가를 멸망시키기에 이르렀다. 손진태는 귀족지배체제를 타파하려면, 선거를 통해 피지배층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토지 분배를 통해 재산을 평등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써 안으로 무계급·민주주의 국가를 이룩해야만 민족이 단결할 수 있고, 약소민족은 진정한 민족의단결을 통해서만 외부의 강대국에 대항할 힘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손진태의 역사학에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그의 개념에 따르면, 당시 사회는 여전히 불평등하고 가짜 민족주의가 지배적인 귀족국가체제였다. 무계급·민주주의 사회로 바꾸고 신민족주의가 실현된 진정한 민족국가를 만드는 일은 미래의 소망이었다. 손진태는 이 과정에 기여하기 위해 조선사를 서술하고 국사를 교육했다. 하지만 바람과 달리 무계급·민주주의 사회가 실현되지 않을 때, 그 와중에 강대국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단결해야 할 때, 피지배층이 평화적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것 외에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말해주지 않는다. 선거는 미래의 민족국가에서는 유효하겠지만 현재의 귀족국가체제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 이를 공백으로 남겨둔 채 현실에 개입하려는 손진태의 역사학은 무기력할수밖에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