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해배(解配) 이후 교유관계에 대한 고찰(1) -前期(1818~1827)에 限하여-

        金奉楠 ( Kim¸ Bong-nam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본고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해배되어 고향에 돌아온 1818년 9월부터 1827년 12월까지 약 9년 동안의 교유관계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교유시에 나타난 시적 형상화의 주요 표현기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다산의 나이로 보자면 57세에서 66세까지이며 노년기의 전반부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를 통해 다산 노년기의 교유양상에 대해 알게 되었을 뿐 아니라, 다산 노년기의 삶과 사유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다산이 해배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교유한 인물은 모두 73명인데, 그 중에서 친족을 제외하면 66명이고, 66명 중에서 전반부에 속하는 인물은 39명이다. 본 논문에서는 39명 중에 비중이 높은 19명을 ‘親舊·尊丈·後輩’ 세 그룹으로 나누어서, 시에 나타난 교유양상과 시적 형상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친구 그룹에는 尹永僖·金商雨·尹書有·申綽·李載毅·韓益相·鄭元善·李魯和·李淵心·李舜卿·尹養謙·閔伯善·尹善戒 등 13명이, 존장 그룹에는 申景玄·趙可敎·李楘 등 3명이, 후배 그룹에는 金商儒·尹鍾遠·權永佐 등 3명이 속해 있다. 이 19명의 지인들은 다산이 해배 이후 고향에 돌아와 새로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큰 기쁨과 위로를 안겨 주었다. 다산이 그들과 교유하며 지은 시에는 갖가지 교유양상이 담겨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산 내면의 여러 가지 생각과 고뇌와 정회가 짙게 배여 있었다. 그리하여 지금으로부터 200년 전에 생존했던 다산의 노년기의 진면모를 눈에 보이는 듯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다산은 교유시를 지을 때 用事·點化·直敍의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시를 효과적으로 조직하였고, 그렇게 하여 자신의 心懷와 情感과 苦惱 등을 적절하게 시에 표현하였다. 다산은 用事를 통하여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뜻을 함축적이면서 비유적으로 표출하였고, 點化의 방식을 통하여 시를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原詩의 의미와 자신이 지은 시를 연관 지어 생각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자신의 진솔한 내면을 숨김없이 直敍함으로써 친구에게 자신의 眞正한 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ptember 1818 and December 1827, when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returned home from exile. In addition, the main expression techniques of poetic imagery that appeared in poems built during Yak-yong(丁若鏞)'s intercourse were considered. Jeong Yak-yong(丁若鏞)'s age ranges from 57 to 66 years old,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half of his old age.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not only about Jeong Yak-yong(丁若鏞)'s the aspect of fellowship in his old age, but also about his life and thoughts in his old age. A total of 73 people have met and played since Jeong Yak-yong(丁若鏞) was exiled from exile until his death. Among them, there are 66 people excluding relatives, and 39 of the 66 people belong to the first half. In this paper, 19 of them, who have a high proportio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riends, respected adults, and juniors,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 and poetic imagery that appeared in the poem. The group of friends includes Yoon Young-hee(尹永僖), Kim Sang-woo(金商雨), Yoon Seo-yu(尹書有), Sin jak(申綽), Lee Jae-ui(李載毅), Han Ik-sang(韓益相), Jeong Won-seon(鄭元善), Lee No-hwa(李魯和), Lee Yeon-shim(李淵心), Lee Soon-kyung(李舜卿), Yoon Yang-gyeom(尹養謙), Min Baek-seon(閔伯善), Yoon Gye-seon (尹善戒). In the senior group, there are three members Shin Kyung-hyeon (申景玄), Jo Ga-gyo (趙可敎), and Lee Mok (李楘). In the junior group, there are three members: Kim Sang-yu (金商儒), Yoon Jong-won (尹鍾遠), and Kwon Young-jwa (權永佐). The 19 friends brought great joy and comfort to Jeong Yak-yong(丁若鏞) in returning to his hometown and living a new life after he escaped exile. The poem,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wrote while meeting and playing with them, contained various images of fellowship, and the inner reasons and regular meetings of Jeong Yak-yong(丁若鏞) were deeply ingrained. As a result, I could feel the true face of Jeong Yak-yong(丁若鏞)'s old age, which survived 200 years ago. In addition, Jeong Yak-yong effectively organized his poems by using the expressions of yongsa(用事)·jeomhwa(點化)·jigseoui(直敍). And it could be seen that he successfully expressed his feelings and anguish in poetry by using the three expression methods appropriately. Jeong Yak-yong was able to express what he wanted to convey in a figurative and connotative way through the yongsa(用事), And through the jeomhwa(點化), the reader of the poem was encouraged to think in relation to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original poem. And he tried to convey his sincere heart to his friend by describing his true inner self without hiding it.

      • KCI등재

        茶山學團의 『주역』 해석 방법론 연구 -丁若鏞의 아들들과 舫山 尹廷琦의 『易傳翼』을 중심으로-

        서근식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This thesis examined how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and Jeong Yak-Yong(丁若鏞)’s grandchild, Yoon Jeong-Kee(尹廷琦), accepted Jeong Yak-Yong(丁若鏞)’s Yixue(易學).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showed their presence in Zhouyisijian(周易四箋) and “Chashanwenda(「茶山問答」)” of Yixuexuyan(易學緖言).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followed Jeong Yak-Yong(丁若鏞)’s ideas well. In fact, Chashanxuetuan(茶山學團) became better known to the world owing to Yoon Jeong-Kee(尹廷琦) who led his whole life following Dasan’s ideology(茶山學). In Yoon Jeong-Kee(尹廷琦)’s Yizhuanyi(易傳翼), only the core of Jeong Yak-Yong(丁若鏞)’s Zhouyisijian(周易四箋) was accepted and developed properly. Yilisifa(易理四法), consideration of “Wenyanzhuan(「文言傳」)” as an ancient book, and Shierpigua(十二辟卦) are some examples. However, they believed the hypothesis that Confucius authored Shiyi(十翼), did not accept “Shiguazhuan(「蓍卦傳」)” in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had borrowed some lines from “Xicizhuan(「繫辭傳」)”, and returned to ZhuXi(朱熹)’s divination.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lived in their father's shadow and did not get enough recognition. After Jeong Yak-Yong(丁若鏞)’s death, Yoon Jeong-Kee(尹廷琦) adequately fulfilled his role as a successor of Dasan’s ideology(茶山學). Yet, in his efforts to establish his own theory distinct from Jeong Yak-Yong(丁若鏞)’s, he seems to have rather gone backward compared to Jeong Yak-Yong(丁若鏞). 이 논문은 丁若鏞의 아들인 丁學淵․丁學游와 외손인 尹廷琦가 정약용의 역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정학연․정학유는 周易四箋과 易學緖言 「茶山問答」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윤정기도 평생을 다산학의 계승자로서 살았기 때문에 다산학단이 좀 더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윤정기의 易傳翼은 정약용의 주역사전의 핵심적인 부분만을 받아 들여서 잘 전개하고 있다. 易理四法이라든지 「文言傳」을 고대의 字書로 본 점이라든지 十二辟卦라든지가 그렇다. 그러나 공자가 十翼을 지었다는 설을 믿거나 정약용이 「繫辭傳」에서 독립시킨 「蓍卦傳」을 받아들이지 않고 朱熹의 占法으로 되돌아갔으며, 주희는 인정하였지만 정약용은 부정한 <文王八卦方位>도 실어 놓고 있는 점 등은 다산학의 발전과정에서 오히려 퇴보된 느낌이다. 정약용의 아들들은 정약용의 그늘에 가려져서 빛을 보지 못하였다. 윤정기는 정약용이 죽은 후에 다산학의 계승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였다. 그러나 일부 정약용과는 다른 학설을 내세우다 보니 오히려 정약용보다 퇴보된 느낌이 든다.

      • KCI등재

        다산茶山의 양호작괘법兩互作卦法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7 다산학 Vol.- No.30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주역사전周易四箋』에서 ‘사전四箋’은 추이推移ㆍ효변爻變ㆍ호체互體ㆍ물상物象의 역리사법易理四法을 가리킨다. 이 가운데 호체互體는 호괘互卦라고도 하는데, 상괘上卦와 하괘下卦가 아닌 위치에서 괘상卦象을 취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정약용은 다양한 호체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독특한 해석법은 양호작괘법兩互作卦法(혹은 양호법兩互法)이다. 양호작괘법은 3ㆍ4ㆍ5의 상호괘上互卦와 2ㆍ3ㆍ4의 하호괘下互卦의 두 개의 호괘를 위아래로 연결하여 별괘別卦를 형성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역학사易學史에서 양호법兩互法의 기원은 정현鄭玄과 우번虞翻의 연호법連互法에서 찾을 수 있다. 한역漢易의 연호법連互法에서도 정약용의 양호작괘법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호체互體를 조합組合하여 별괘別卦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양자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한역의 연호법連互法에서는 양호兩互를 취하는 범위를 중효中爻에 한정시키지 않으며, 초효初爻와 상효上爻도 포함한다. 반면에 정약용의 양호작괘법에서는 양호兩互를 취하는 범위를 오로지 중효中爻에 한정한다. 정약용은 한역의 연호법에 관해 아무런 언급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가 이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추정할 근거가 없다. 정약용이 양호작괘법의 선행先行 사례事例로 언급하고 있는 것은 두 가지 경우이다. 첫째는 태괘泰卦 육오六五 효사爻辭의 “제을귀매帝乙歸妹”에 대한 오징吳澄의 주注이며, 둘째는 완안량完顔亮(1122~1161)의 입구入寇에 관한 서례筮例이다. 완안량의 입구入寇란 금金의 군주君主 완안량이 남송南宋을 침공한 사건을 가리키는데, 이때 완안량의 운명에 관해 회계會稽의 선비가 점을 친 서례筮例가 송대宋代의 정형程逈의 『주역고점법周易古占法』, 명대明代의 하해何楷의 『고주역정고古周易訂詁』, 청대淸代의 모기령毛奇齡의 『중씨역仲氏易』과 『춘추점서서春秋占筮書』 등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완안량의 입구入寇에 관한 서례筮例에 양호법이 적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정약용이 이러한 단편적 서례筮例를 참조하여 곧바로 양호작괘법의 체계를 구상構想하게 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정약용의 양호법의 체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오징吳澄의 호체론이다. 역학사易學史에서 양호법兩互法은 정현鄭玄과 우번虞翻의 연호법連互法 이후로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원대元代의 오징吳澄에 의하여 다시 체계적 이론으로 등장하였다. 오징의 양호법의 체계는 정약용의 양호작괘법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정약용과 오징의 양호법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첫째, 오징의 양호법은 소옹邵雍의 선천역학先天易學의 토대 위에 성립된 것이지만 정약용은 오징의 양호법에서 선천역학을 제거하고 오직 양호관계만을 채택하였다. 오징의 양호괘가 질서정연한 규칙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서, 정약용의 양호작괘법에서 그러한 규칙성을 발견할 수 없다. 이것은 오징의 양호법에서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질서를 제거해 버렸기 때문에 생긴 불가피不可避한 결과이다. 둘째, 오징이 양호법을 적용하여 역사易詞를 해석한 것은 태괘泰卦 육오六五의 주注에 그쳤다. 반면에 정약용은 양호작괘법을 『주역』 전편全篇에 걸쳐 역주易注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였다. 그러면 양호... T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used four methods which included tuiyi(推移), yaobian(爻變), huti(互體) and wuxiang(物象) in his Zhouyisijian(周易四箋, Four Ways of Annotation for interpreting the Zhouyi). Among these four methods, the huti is the method of taking the nuclear trigram placed in the second, third, fourth and the fifith line of a hexagram. Among the various huti methods used by him, the method of lianghuzuoguafa(兩互作卦法) seems to be the most characteristic one. Basically, the lianghu hexagram(兩互卦) is made by overlapping two nuclear trigrams taken from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lines of a hexagram. The origin of this method can be traced back to the lianhu method(連互法) used by Zheng Xuan(鄭玄) and Yu Fan(虞翻). Like Jeong Yakyong, they also used the way of making an additional hexagram by overlapping two nuclear trigrams. However, the difference lies in that Zheng Xuan and Yu Fan made use of all the line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line in a hexagram, while Jeong Yakyong restricted it to the middle yao(中爻) which consisted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lines. There i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Jeong Yakyong’s method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m. Instead, he mentioned two instances as the previous examples in the exegetical tradition of the the Zhouyi text. The one can be found in Wu Cheng(吳澄)’s comment on the “Di Yi Kuei Mei(帝乙歸妹)” phrase of the Tai(泰) hexagram. The other can be found in the divinatory example referring to Wanyan Liang(完顔亮)’s invasion on the territory of the Southern Song in 1161. But it is not likely that the fragmentary divinatory example on Wanyan Liang could have led Jeong Yakyong to conceive the lianghu method. In my opinion, it is Wu Cheng’s huti theory that had a decisive effect on Jeong Yakyong. In broad outlines, Wu Cheng’s huti theory accords with Jeong Yakyong’s lianghu method.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irst, Wu Cheng’s huti theory is laid on the foundation of Shao Yong(邵雍)’s prenatal image-number theory. In contrast, Jeong Yakyong adopted only the lianghu relation removing Shao Yong’s prenatal logic from Wu Cheng’s huti theory. Although Wu Cheng’s lianghu hexagrams are arranged in a very logical manner, one cannot find a logical arrangement from Jeong Yakyong’s chart of lianghu hexagrams. The loss of logical order is inevitable because Jeong Yakyong removed Shao Yong’s prenatal order from Wu Cheng’s lianghu hexagrams. Second, Wu Cheng applied the lianghu method once when he commented on the the “Di Yi Kuei Mei” phrase of the Tai hexagram. In contrast, Jeong Yakyong used the lianghu method more than thirty times in his Zhouyisijian. By the way, is there a sufficient reason to use the lianghu method? According to Jeong Yakyong’s view, there are two reasons. Firstly, the divination should be used so as to meet the people’s various needs. Secondly, the divination should not be abused for the immoral purpose. The former belongs to the practical reason, while the latter belongs to the ethical or moral reason. In short, the lianghu method is an alternative method that could be used when the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original hexagram(本卦, bengua) fails. Jeong Yakyong held that the lianghu method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skillful manipulation. Nontheless, it is hard to cast off the doubts about the deliberateness of this method. In my opinion, the use of alternative method should be restricted only to the cases in which the interpretation by the bengua cannot be applicable. However, the lianghu method is used too frequently in his Zhouyisijian. The excessive abuse of the alternative method can undermine the confidence about Jeong Yakyong’s interpretive method in general.

      • KCI등재

        茶山・舫山 詩經說이 지닌 복고적 성격과 그 경학사적 의미-「周南」과 「召南」을 중심으로-

        홍유빈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0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reconsider of 茶山 丁若鏞 and his grandson, 舫山 尹廷琦’s 詩經學. in terms of restorative perspective. In fact, restoration in 詩經學 means 毛詩說 of Han dynasty and 魯・齊・韓’s 三家詩說. And 舫山 also succeed 茶山’s this restorative pattern in his 詩經說. The previous researchers thought 丁若鏞’s 詩經學, which based on mainly 諫書論,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However, when we see the commentary of 周南 and 召南 in this paper,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refer 毛詩序 and 三家詩 and there were scholarly characteristics with little political characteristics. 詩經講義補遺, which was considered as 丁若鏞’s the latest part, had 諫書論’s suggestion, however, since 丁若鏞 had plenty of time in exile period and he studied about the ancient commentary such as 毛詩序 and 鄭玄’s theory. Therefore, this suggestion may put 丁若鏞 and 尹廷琦’s works in the field of scholarly works. On the other hand, 尹廷琦, who succeeded in 丁若鏞’s 補遺說, used more various and vast works such as 先秦諸家’s theory. And he approached 西漢今文學 with more restorative aspect in ancient commentary. And these restorative trends are as same as 詩經學 in 淸 dynasty which have restorative trends. In addition, when we examined of the interpretation of 詩經, 尹廷琦’s comments present the ancient’s commentary as well as his own opinion. For example, in 周南 芣苢’s case, 尹廷琦 thought even if someone had the weakness, the king should choose him because he had the strength. This opinion is the one that collaborates with 韓詩說 and 毛詩說. And in 召南 何彼穠矣’s case, the previous researchers considered it as “praise poem,” however, 尹廷琦 confirmed it as “satire poem” which followed 丁若鏞’s 補遺說. (This point of view was very rare and 方玉潤 in 淸 dynasty also had this perspective. This is very remarkable.) 尹廷琦’s 詩經說 was respect of the ancients’ commentary, but he proposed his own perspective as well. In the conclusion,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are far from of their political characteristics. We can understand it with scholarly view. With given view, we need to examine in the field of 經學 itself.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인 茶山 丁若鏞(1762~1836)과 그의 외손인 舫山 尹廷琦(1814~1879)의 시경학이 가진 복고적 성격의 의미를 되짚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복고성이란 시경학에 있어 다산의 후기설이 입론의 근거를 漢代의 ‘毛詩說’ 및 그보다 이전에 정립된 魯・齊・韓의 ‘三家詩說’에서 취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방산의 詩經說 역시 다산의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여 보다 견고하게 다듬고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간서론을 위주로 한 다산 시경학의 이러한 경향에 대해 기존의 평가의 경우 그것을 다산 경학의 ‘정치성’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周南」과 「召南」에 대한 주석을 보았을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모시서」와 「삼가시」를 두루 참고하는 등 기본적으로 ‘학술적 성격’을 띠며, 그 안에는 정치적 색채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다산의 후기설이라 할 수 있는 『시경강의보유』에는 간서론의 주장이 강하게 피력되고 있지만, 이 역시 유배기의 시간적 여유 속에서 「모시서」 및 鄭玄의 설을 재음미 하는 가운데 그 주장이 성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학술적 영역 안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방산 윤정기는 이러한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선진제가의 설들을 참조하는 가운데 古注 안에서도 한층 더 복고인 西漢 今文學에 맞닿는 논의를 펼쳤다고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고적 특징은 동시대인 청대 시경학에서 점차 古注를 중시하는 복고적 경향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시편 해석을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방산의 설시는 古注를 참고하면서도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설을 개진하기도 하는데, 예컨대 「周南・芣苢」의 경우 방산은 『속집』에서 냄새가 고약한 질경이를 따는 것이 사람에게 나쁜 질환이 있지만 그럼에도 쓸 만한 재주와 덕행이 있으니 그것을 뽑아야지 버리면 안 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韓詩의 설(⇐三家詩)’과 ‘求賢審官의 설(⇐毛詩)’을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召南」의 「何彼穠矣」편의 경우 이 시를 찬미시로 보는 ‘漢代의 古注’와 ‘朱熹의 新注’의 견해에서 탈피하고, 이 시를 풍자시로 본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여 이 시를 풍자시로 확정하였다. 이 시를 풍자시로 보는 견해는 드물다 할 수 있는데, 청대의 방옥윤 역시 이러한 시각을 가졌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淸代의 自得 계열과 조응하는 방산의 시경설의 의미를 논한다면, 방산의 시경설이 古注를 존중하여 삼가시와의 접점을 이루긴 하였지만, 그것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독자적인 설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그들의 經世論에 결부시키기에 앞서, 그 본연의 經學的 맥락에서 보다 자세히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茶山’의 초상과 남ㆍ북한의 ‘實學’ 전유

        정종현(Jeong Jong Hy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2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최익한의 「與猶堂全書를 讀함」에서 구성된 중층적인 정약용의 형상이 분단 이후 1950년대의 남북한에서 간행된 최익한의 『실학파와 정다산』(1955), 홍이섭의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1959)로 각각 어떻게 전유되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식민지 시기 최익한의 다산론에는 봉건제의 내부에서 모순된 질서를 재조정하려는 온건한 유교적 개혁가라는 관점과 사회주의적 경제이론을 선취한 혁명가라는 관점이 공존하고 있었다. 1950년대 분단과 냉전의 사상지리 속에서 발간된 『실학파와 정다산』에서 최익한은 이전에 만들었던 ‘유형원-이익-정약용’으로 이어지는 실학파의 계보를 보다 정교화했다. 그는 서경덕-이율곡-실학파로 이어지는 ‘기(氣)철학’의 계보를 주조하였으며, 자본주의적 화폐경제와 관련된 부정적 사상으로 북학파를 주변화하였다. 서학교파와 서학학파의 분리를 통해 기독교의 영향을 실학에서 배제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정약용을 체제 내부의 유교 개혁가에서 북한 사회주의를 예비한 자생적 혁명사상가로 전환시켰다. 정다산에 대한 관심이 식민지 시기 조선학 운동, 특히 최익한의 정다산론과 관련되었음을 밝힌 바 있는 홍이섭의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는 1950년대 남한이 위치한 냉전의 사상지리의 맥락을 잘 보여주는 저작이다. 홍이섭은 정약용을 체제 내적인 행정적 개혁론자로 이해한다. 특히 그는 북한에서 간행된 최익한 등의 저술이 다산의 전론을 사회주의권의 콜호즈를 선취한 혁명적 이론으로 파악하는 상황을 알고 있었으며, 그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에게 다산은 관료들이 유교적 윤리를 통해 도덕적으로 각성하기를 촉구했던 사상가였으며, 그의 사상은 국가기구를 개혁하는 ‘管理論’이었다. 홍이섭은 다산의 기독교와의 관련을 특히 강조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다산론은 저술의 출판을 지원한 미국의 민간기구 아시아재단의 이념인 반공과 기독교 복음주의와도 무관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실학이 ‘실재’로서만이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자기 시대의 의제를 투영한 담론으로서 이해될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This study examined how multi-layered ideas constituted in 「Reading Yeoyudangjeonseo」 written by Choi, Ik-han led to Silhakpa and Jeong, Da-san (1955) by Choi, Ik-han, Research on Political and economic ideas of Jeong, Yak-yong (1955) by Hong, I-seop(1959), respectively, since the division published i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 in the 1950s. Dasanron by Choi, Ik-han during the colonial times involved both the perspective of moderate Confucian reformer seeking to readjust contradictory order inside feudalism and that of reformer who achieved socialistic economic theory. In Silhakpa and Jeong, Da-san published in the ideological geography of the division in the 1950s and the Cold War, Choi, Ik-han elaborated the genealogy of positive school which featured ‘Yu, Hyung-won ―I, ik ― Jeong, Yak-yong’. He coined the genealogy of ‘Qi Philosophy’ which led to Seo, Gyung-deok ― Lee, Yul-gok ―Silhakpa and marginalized Bukhakpa through negative ideas related with capitalistic monetary economy. He excluded the effect of Christianity from positive science through the separation of Seohakgyopa and Seohakhakpa, and above all, transformed Jeong, Yak-yong from Confucian reformer inside system to voluntary revolutionary thinker who prepared socialism in North Korea. Research on Political and economic ideas of Jeong, Yak-yong (1955) by Hong, I-seop(1959), which illuminated the relation of the interest in Jeong, Da-san with the movement of Joseonhak during colonial times, especially Jeongdasanron by Choi, Ik-hyun, is the writing which shows well the context of ideological geography of the Cold War faced by South Korea in the 1950s. Hong, I-seop udderstands Jeong, Yak-yong as the internal administrative reformer in the system. In particular, he well aware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writings by Choi, Ik-han etc. published in North Korea regarded Dasan’s theories as the revolutionary one which took up kolkhoz in socialistic arena and therefore revealed his antipathy over it Dasan was a thinker who urged officials to awaken through the Confucian ethics to him, and his ideas were based on ‘Gwanriron’, reform of national organization. Hong, I-seop emphasized, especially, the relation of Dasan’s Christianity, and his Dasanron was not separated from Anti-communism, the ideology of Asia Foundation, America’s private organization, which supported the publication and Christian evangelicals. These discussions seek to represent the possibility for Silhak to be understood as discourse reflecting the agenda of its own era in the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as well as being ‘esse’.

      • KCI등재

        茶山(다산) 丁若鏞(정약용)의 經學(경학)과 "荀子(순자)"의 思想(사상) 간의 관계에 대한 一考(일고)

        정일균 ( Il Gyun Jung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7 No.-

        본 논문은 丁若鏞의 經學에 직 . 간접적으로 반영된 ‘荀子의 思想’을 구체적으로 추적. 정리해보는 데에 일차적 관심을 가지며, 결국 이를 통하여 표면적으로는 일관되게 ‘洙泗學’을 표방했던 茶山學이 실제로 내포한바 知的 淵源 및 그 性格을 보다 폭넓은 지평에서 새롭게 인식 하는 데에 일조하고자 한다. 우선, 丁若鏞의 經學에 직 . 간접적으로 반영된 ‘荀子의 思想’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性四等級’說과 ‘物理와 道理의 구별’로 대표되는 ‘存在’論의 요소, ② ‘性惡’說의 부분적 인정과 ‘人心.道心’說의 수용, ‘神形妙合의 존재’이자 ‘열린 도덕적 존 재’로서의 ‘人間’觀 및 ‘도덕적 실천의 결과’로서의 ‘聖人’觀으로 대표 되는‘人間’論의 요소, ③‘物理[Sein]와 道理[Sollen]의 구별’로대표되는 ‘認識’論의 요소, ④ ‘人倫의 成德’이자 ‘事功’으로서의 ‘德’ 개념, ‘합리적 인간관계’로서의 ‘孝’ 개념 및 ‘尊卑와 貴賤의 구별’에 초점을 두는 ‘禮’ 개념으로 대표되는 ‘倫理’論의 요소가 바로 그것이다. 한편, ‘茶山學의 知的 淵源 및 그 性格’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논점은 다음과 같다: ① 이상의 내용은 정약용의 世界觀 및 그의 經學 이 그 요체에서 ‘荀子的 思惟’의 요소를 분명하고도 심대하게 반영 .함축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바, 따라서 茶山學 일반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포착 . 이해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요소는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며, ② ‘茶山學’이란 기본적으로 ‘유교적 사상전통’이 ‘조선후기 의 사회 . 경제적 조건’과 나름대로 조응하며 비로소 구성 . 출현할 수있었던, 따라서 결코 유교의 특정 학파나 전통으로 완전히 환원 . 포섭되지 않는 ‘하나의 독자적인 사상체계’라는 사실이 새삼스럽게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③ 이상과 같은 사실은 ‘茶山學의 성격’을 둘러싼 기존의 연구경향들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전반적으로 성찰할 필 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 This paper firstly aims at pursuing and rearranging Xunzi(荀子)`s thoughts in the mirror of Jeong Yak-Yong(丁若鏞)`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ultimately being of a help toward new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Learning(茶山學) which consistently had claimed to stand for the doctrines of Confucius and Mencius to all appearances and so had been called as ‘Susa Learning(洙泗學)’ in a way by him. On the one hand, the contents of Xunzi`s thought in the mirror of Jeong Yak-Yong`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re as follows: ① Ontological elements: Jeong Yak-Yong`s theory of four grades in the nature of the whole creation and his distinction between Sein and Sollen. ② The elements of human being theory: Jeong Yak-Yong`s partial approval of Xunzi`s ethical view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evil, his acceptance of the theory of organic desire(人心) and moral mind(道心) which was introduced in 『Xunzi(荀子)』, his view of human being as the subtle combination of mind(心) and body(身), his indeterminism in human being`s ethical faculties and his view of sage as the result of ethical practices. ③ Epistemological element: Jeong Yak-Yong`s distinction between Sein and Sollen. ④ Ethical elements: Jeong Yak-Yong`s concept of virtue as the result of moral practice, his concept of filial piety as rational human relations and his concept of courtesy which emphasizes its function of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facts raise some topics of discussion relative to the intellectual origin and the characters of Dasan Learning. That is, ① The above-mentioned facts show well the fact that Jeong Yak-Yong`s world view and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ere reflective of Xunzi`s thoughts clearly and enormously, and the fact that in order to grasp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Dasan Learning synthetically and accurately, the above-mentioned facts should not be overlooked. ②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fact that Dasan Learning was an intellectual product of a fusion of Confucian thought traditio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and the fact that Dasan Learning is an independent thought system which cannot resolve itself into some established Confucian schools or traditions. ③ Finally, all the above-mentioned facts seem to demand whole re-reflection on the present-day tendencies in the study of Dasan Learning.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아동교육(兒童敎育) 개선(改善)에 대한 총체적(總體的) 고찰(考察)

        ( Bong Nam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3 No.-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았던 19세기 초 조선후기 사회는 깊게 병들어 있었다. 이 시기에 다산은 경상도 장기와 전라도 강진에서 18년 동안 유배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살려 낼 방안을 찾기 위해 힘을 다하였다. 특히 다산은 당시 사회에 만연된 잘못된 학문풍토와 아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그것을 통해 대중의 의식을 개조하고 참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발단과 전개과정에 대해 논의한 다음, 개선의 이유와 목표에 대해 조명하였다. 이어서 조선후기 아동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다산의 비판과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관련 저술을 인성교육·문자교육·지식확충·언어교육의 네 분야로 나누고 각 분야의 특징을 찾아 다산의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즉 인성교육 분야에서는 ‘文心을 키워주고 慧竇를 열어주는 교육방법’을, 문자교육 분야에서는 ‘觸類旁通의 교육방법과 字書를 통한 개별 字義 교육방법’을 지식확충 분야에서는 ‘一以貫之를 위한 一以串之식 교육방법’을, 언어교육 분야에서는 ‘改非矯俗식 교육방법’을 특징으로 잡았다. 그리고 맺음말에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의의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society of Joseon was deeply plagued in the early 19th century during its latter half when Dasan Jeong Yak-yong(1762~1836) was alive. He was exiled to Janggi, Gyeongsang Province and then moved to Gangjin, Jeolla Province during the times, being detained for 18 years. However, he managed to make the plans of Gyeongsejemin across many different sectors and put them in his 500 books. He particularly intended to correct the wrong academic climate widely spread around the society, improve children`s education with its problems, rebuild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and bring up true talents. Under the goal of examining his improvement projects of children`s education overall,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his improvement projects of children`s education and shed some light onto their orientation and objectives. The study then criticized the problems with children`s education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eory on children`s education. His books on children`s education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namely personality education, letters education, knowledge enhancement, and language education. Each of those areas was examined for its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e features of his educational theories. The area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characterized by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the literary mind and open up the source of wisdom"; that of letters education by "educational methods of Chokryubangtong and individual voluntary educational methods through Jaseo"; that of knowledge enhancement by "Iligwanji-style educational methods to penetrate everything with one"; and that of language education by "Gaebigyosok-style educational methods to correct wrong doings and set the mundane world straight." The conclusion mentioned the significance of his improvement projects of children`s education.

      • KCI등재후보

        다산학의 재조명을 위한 시론

        손흥철 ( Heung Chul So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5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학문적 성격을 탈성리학과 근대성이라고 본다. 그리고 다산의 철학을 실학實學이라고 부른다. 이 글은 다산의 철학에서 탈성리학의 중요 내용과 사상의 근대성을 요약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다산학의 학문의 특성에 대한 명칭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산의 탈성리학적 성격으로 이기론理氣論의 부정, 천인관天人觀, 수사학洙泗學의 경학방법론 등을 중심으로 그 개요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다산의 철학에서 근대성의 특징을 그의 인간관, 격물론, 경세론經世論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산의 학문과 조선후기의 학문사조를 실학으로 지칭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음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조선시대 후기의 새로운 학문 사조를 `한국근대사상`으로 통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다산의 학문을 실학이라고 찬양하는 이유가 `탈성리학`과 사상적 근대성이며, 탈성리학적 성격에 나타난 우주관이나 인성론이 `본래의 공자학`인 `수사학`을 표방하지만 그 자체로도 사상적 근대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경세론에 나타난 근대성과도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산을 실학자로 분류하지 말고, 한국근대사상가로 분류하며, 그의 철학을 `주자학`이나 `양명학`과 같이 `다산학`으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과거의 철학과 사상을 현대에서 연구하는 목적은 과거사상의 재현再現을 통하여 현대적 재발견과 재창조를 위함이다. 그러므로 현대의 관점도 시대상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1950-80년대와 오늘날의 상황은 다르다. 실용과 경제발전이 최우선과제였던 시대에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실용학이 절실했다면, 새로운 도약과 경제적 발전의 대중화와 고급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조 외에 또 다른 가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새로운 학문사조와 다산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그 정확한 재현과 아울러 보는 관점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Tasan(茶山) Cheong Yagyong(丁若鏞, 1762-1836)`s academical character can be defined as Post-neoconfucianism and modernity. At the same time, we call his philosophy as Silhak(實學). This article aims to make clear the main contents and its modernity of Tasan`s philosophy, and to reconsider the title of scholaric character of Tasan studies(茶山學) on the bases of these process. In this review, I arranged the outline focusing the denial of the theory of Lichi(理氣論), the view of heaven and men(天人觀),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Susahak(洙泗學) as an Post-neoconfucianism(脫朱子學) of Tasan. And I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his modernity on the viewpoint of men(人間觀), the study of things and nature(格物論), the theory of statecraft(經世論), Finally, I prooved it is not profit to call Tasan studies with the academical trend as Silhak. I thought it is appropriate to call the new tendency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s Korean modern thought. Because the reason why commandate Tasan studies as Silhak is Post-neoconfucianism and ideological modernity, the universal viewpoints and treatise of human nature stands for Susahak, but it include ideological modernity in itself. Therefore, it accords with modernity in the theory of statecraft. I suggest that Tasan cannot be classified as Silhak scholar, it is desirable to be grouping as Korean modern philosopher. At the same time, his thougt should be called as Tasan studies as like as Neo-confucianism or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The aim for research past philosophy and thought is to recover and recreate by representing past thought. So the recent viewpoint also can be changed according to era circumstance. It is quite different 1950`s-1980`s with nowadays. New value will be required for vivid leap and popularization of economical development. Therefore, it also be needed change of view with punctual representation in the new academical trend in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the understanding view point of Tasan`s philosophy.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천지창조설에 관한 다섯 개의 이야기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4 다산학 Vol.0 No.44

        국문요약정약용의 철학은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천주실의』의 영향을강하게 받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주실의』에서 전개된 기독교의 창조설이 정약용의 우주론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해서는 회의적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창조의 개념에 상응하는 단어는조화造化인데, 이 용어는 전통적 성리학의 맥락에서는 만물을 생성하고 소멸하게 하는 대자연의 이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쓰여졌다. 학계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용어가 정약용에게서도 성리학적 맥락을 벗어나서 사용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필자는 2019년에 발표한 논문, 「정약용의 『주역』 해석에 보이는 우주발생론적 관념과 마테오 리치의 영향 ―창조론과 생성론의 절충」(『다산학』 제35호,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정약용이 『역학서언易學緖言』의 「육덕명석문초陸德明釋 文鈔」에서 ‘천지창조天地創造’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2019년에 제출한 논지를 보다 정밀하게 다듬고, 구체적인 논거論據를 보완하였다. 필자는 정약용의 저서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천지창조설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이 자료들을(A)·(B)·(C)·(D)·(E)의 다섯 가지로 시대별로 열거하고, 정약용이 창조개념이 최초로 형성된 계기와 그 이후로 성숙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정약용이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 에 나오는 창조론에 의하여 강한 영향을 받았지만, 『주역』의 「계사전」 에 바탕을 둔 천지만물의 생성이론을 부정하지도 않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따라서 정약용의 견해는 창조론과 생성론의 절충이라고 볼 수있다. It is already well known that Jeong Yak-yong’s philosophy was strongly influenced by Matteo Ricci’s Cheonju Silui(『天主實義』, c. Tianzhushiyi,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However, skepticism prevails as to whether the idea of creationism as developed by Ricci influenced Tasan’s cosmology. Ricci used many words such as johwa(造化, c.zaohua) or hwasaeng(化生, c.huasheng) in order to convey the concept of creation. Tasan also used the word, ‘johwa’. However, ‘johwa’, in the context of Zhu Xi(朱熹)’s school of nature and principle(性理學), refers to the law of nature that create and destroy all things. Most scholars have argued that Tasan did not use the term outside of this context. However, in my 2019 paper, “Jeong Yak-yong’s cosmogonic idea and Matteo Ricci’s influence shown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Zhouyi”(Journal of Tasan Studies, No. 35), I noted that Tasan used the term “cheonjichangjo(天地創 造, c.tiandichuangzao) in Yukdeongmyeong Seongmuncho(『陸 德明釋文鈔』), i.e., Extracts from Yuk Deongmyeong(陸德明, c. LuDeming)’s Gyeongjeon seongmun(『經典釋文』, c. Jingdian shiwen: Textual explanations of classics and canons). In this paper, I refined the thesis I submitted in 2019 and added some specific arguments. I collected data on creationism scattered throughout Tasan’s writings, grouped them into five periods (A, B, C, D, and E), and analyzed how Tasan first formed his concept of creation and matured over time. Through this analysi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asan was strongly influenced by Ricci’s idea of creation, but, at the same time, did not reject the evolutionary idea based on the Xicizhuan(『繫辭傳』, Commentary on the Appended Phrases) of the Zhouyi. Accordingly, Tasan’s views can be seen as a compromise between creationism and evolutionism.

      • 다산역학 연구의 최근 성과들과 미래 제언

        황병기(Hwang, Byong-Kee)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이 글은 다산역학 연구사 전반을 필자의 관점에 따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다산역학 연구의 미진한 분야를 찾아 제안한 논문이다. 먼저 다산역학이 비록 매우 돌출적 성격을 지녔다 하더라도 다른 모든 학문이 그렇듯 영향관계가 성립할 것이니, 다산역학의 역학사상의 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차적인 목표로 성호학파 내의 관련성 문제를 제기하였다. 성호 이익의 역학 관련 언술들은 『주역사전』과 『역학서언』에 매우 비중있게 언급되어 있고, 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더러는 부정되기도 하였다. 하빈 신후담의 역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일부 논문이 제출된 바 있으나, 여전히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순암 안정복의 역학 관련 기술들 속의 역학이론과의 관련성도 연구주제가 될 수 있는데, 안정복의 역학 논술에 대해서는 한두 편의 논문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안정복의 저술이 아직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았고 또 그 번역도 미비하다는 데에도 원인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그리고 그의 외손자 방산 윤정기에게 계승된 다산역학의 후속연구도 진척되고 있지 않아서 그 전승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였다. 대체로 정약용의 시나 사 등 문학 방면과 실용학 방면에서는 계승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나, 역학 분야만큼은 그 제자 중에서 언급할 만한 인물이 없다. 다산역은 50여 년을 훌쩍 넘어 그의 외손인 방산 윤정기에게서 온전한 모습으로 계승되는데, 그에 대한 연구도 여전히 미흡하다. 한편으로 현대 연구자들의 한계와 모순도 검토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다산역학의 연구는 현암 이을호의 연구를 필두로 하여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논문이 배출되었고, 상당한 정도의 역량이 축적된 것으로 평가된다. 다산역을 분석하고 비교해 왔던 그간의 성과들에 기초하여 다산역 자체의 문제에 대한 검토와 위상 평가에 대해서도 앞으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산역학 내에서의 모순과 결함을 지적하는 단계에까지 연구가 진척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정약용의 『주역사전』 주석의 타당성 문제를 함께 제기하였다. 정약용의 깨알 같은 주석에는 오류도 있고 의도적인 곡해도 있다. 오류는 오류대로, 곡해는 곡해대로, 그리고 의도적 곡해는 그 의도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그의 역학 면모를 진정성 있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entire study history of Tasan’s Yi-ology according to my point of view, and finds and suggests the weak areas of Tasan’s Yi-ology. First, although Tasan’s Yi-ology had a very prominent character, the influence relations would hold, as all other disciplines did. Therefore, I raised the issue of relevance within the Seongho School as the primary goal necessary to identify the status of Tasan’s Yi-ology. Seongho Yi Ik’s statements on Yi-ology are very heavily mentioned in Tasan’s main Yi-ology books. His words mainly had a positive influence, but some were denied. There have been a few papers on the relevance of Habin Shin hu-dam’s Yi-ology, but more research is still need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Sunam An Jeong-bok’s statements about Yi-ology can be a research topic. But there is only one or two papers on the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n Jeong-bok’s writing is not ye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its translation is insufficient. More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 research on the succession of Tasan’s Yi-ology, which was inherited by his grandson Bangsan Yoon Jeong-ki, is not progressing, I submit an my opinion on the matter of transmission. In general, there are traces of succession in literary field such as poetry and prose or practical field, but there are no mentions of the disciples in the field of Yi-ology. More than fifty years later, Tasan’s Yi-ology was inherited by his grandchild, Bangsan Yoon Jung-ki, and research on his Yi-ology is still insufficient. On the one hand,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of modern researchers should be considered. The study on Tasan’s Yi-ology has been produced by numerous researchers, led by Hyunam Lee Eul-ho, and it is estimated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competence has been accumulated. Based on these achievements, muc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problems of studies on Tasan’s Yi-ology itself. On the other hand, with the hope that the research could be progressed to the level of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s and defects in Tasan’s Yi-ology itself, I also raise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the commentary of Jeong Yak-yong. There are some errors and intentional misconducts in his commentaries. As it is, it is necessary to show his Yi-ology itself sincer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