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감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병임(Lee, Byungl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지능과 다문화 태도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N시와 D시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239명이었다. 다문화 관련 교과를 경험한 학생 비율이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 보다 낮았고 비교과 역시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즉 학생들 대부분은 다문화 교과 및 비교과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분석은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 그리고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서지능, 다문화 태도 그리고 다문화 감수성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은 정서지능과 다문화 태도 간의 관계에서 의미 있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다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 및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emotional intelligence, attitude on multiculture, and multiculture sensitivity how and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s attitude on multicultur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lso, it aimed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 on multiculture. The total number of student participants was 239. First, variable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Then, spss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university students‘emotional intelligence, attitude on multiculture, and multiculture sensitivit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multiculture sensitivit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mediating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 on multiculture. Therefore, to develop multiculture sensitivity, development and production diverse teaching method and continuous long-term education programs is needed.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e sensitivity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on multiculture. There must be further continuous researches on influences of multicultur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신문 코퍼스를 활용한 ‘다문화’ 공기어 분석

        최유숙(Yu-Sook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4

        이 연구는 신문코퍼스의 ‘다문화’ 공기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용어가 사용돼 온 양상을 보이고, ‘다문화’와 관련하여 언어학적으로 더 나은 용어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의 공기어를 연도별, 품사별로 살핀바 한국 사회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공기어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문화’는 주로 결혼이주여성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며, 이들은 주로지원의 대상임이 공기어에도 드러났다.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가 이와 같이 결혼 이주민, 결혼 이민자 등과 자주 혼용되므로 이들 용어에 포함된 ‘이주민’, ‘이민자’ 등의 공기어를 ‘다문화’ 공기어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다문화’는 ‘이민자’보다 ‘이주민’과 더 유사한 속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흔히 ‘다문화 가정’으로 불리는 국제결혼가정을 ‘이주민 가정’으로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았다. ‘새터민’ 또한 ‘다문화’의 범주에 포함되기도 하므로 ‘새터민’과 ‘다문화’의 공기어도 비교한바, ‘새터민’ 역시 ‘다문화’와의 공통 공기어가 이주민과 다문화의 공통 공기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다문화’ 논의에서라면 ‘새터민’을 포함시켜도 무방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how the term ‘multiculture’ has been used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co-words of ‘multiculture’, and to suggest a linguistically improved term. To this end, the co-words of ‘multiculture’ were examined by year and parts of speech, and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e’ was exactly reflected in the co-words. That is to say, ‘multiculture’ is perceived in relation to marriage migrant women, and it is shown in the co-words that they are generally the subject of support. Since ‘multiculture’ is synonymous to marriage migrants and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the co-words of ‘migrant’ and ‘immigrant’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multiculture’. As a result, ‘multiculture’ was found to have more in common with ‘migrant’ than ‘immigrant’. Therefore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call internationally married families ‘migrant families’ than ‘multicultural families’. As North Korean defector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multiculture’, the co-words of ‘saeteomin’(North Korean defector) and ‘multiculture’ were also compared, and as a result, ‘saeteomin’ shared many co-words with ‘multiculture’. Therefore it seemed fit to include North Korean defectors in general discussions of ‘multiculture’.

      • KCI등재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지술현(Sool-hyun Jee),김고은(Go-eu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본 연구는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일반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학생과 그들의 부모이며, 총 186쌍의 표본이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일반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은 5점 만점에 2.84점으로 중간 이하의 정도를 나타냈다. 일반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중 정의적 태도, 인지적 태도였으며,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간접경험과 부모의 수입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 향상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다문화 관련 교육프로그램 및 다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par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affect multicultural efficacy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object of study ar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Namyangju of Gyeonggi province and their parents, and a total of 186 couples were chosen as samples fo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ored 2.84 on five point scale, indicating lower than the median. The elements that affected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 defining and cognitive perspective of parents toward multiculture, at the same time, elementary students’ indirect experience of multiculture and income of parents also make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more emphasis is given to importance of promoting favorable perspective of parents toward multiculture in order to enhance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and suggested ways to develop multure-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multicultural contents.

      • KCI등재후보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조사 연구

        이수정,이철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다문화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경기, 인천, 경남 지역의 학교 관리자(교장, 교감, 행정관리자 등)를 대상으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또, 학교 관리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의 차이, 학교 관리자의 개인 변인과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관리자는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인식은 성별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고, 다문화교육 인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개인 변인 중 다문화교육 수강 유무와 직책에 대해서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교육 인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인식 수준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항목은 직책으로 나타났고,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개인 변인은 성별, 직책, 다문화교육 수강 유무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교육 인식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principals, vice-schoolmasters, administrators)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Gyeonggido, Incheon, Kyungnam areas, and analyzed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os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school administrators have a open and affirmative understanding overall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school positions in each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school position was shown as the high explanatory factor for the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e, and when it comes to the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x, school position, and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hown as the high explanatory factors. Fourth,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the strong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현황과 문제점 - 다문화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기본 프레임을 점 검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모습의 다문화 의식을 추적하여 우리나 라 다문화주의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둘째, 다문화 사회의식 개혁에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얻고 있는 공익광고 속의 다문화 이해와 사회의식을 살펴보고, 셋째, 다문화 공익광고의 사회적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조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지금까지 추진된 다문화정책과 교육 사업 덕택에 우리의 다문화 감수성과 친화력은 크게 높아졌지만, 그것이 다 문화 사회가 요구하는 의식개혁으로 이어질 지에 대한 평가는 유보적이다. 둘째, 공익광고가 다문화의 이해와 수용에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내고 있지만, 그것은 광고라는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새로운 사회의식을 제시하는 단계에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통합의 과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정책 및 교육이 국민의 의식개혁과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다문화 의식 프레임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다문화 공익광고에 대한 질적 분석과 그에 대한 해석이라는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결 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 및 지원 사업에서 발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basic frame of Korea's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understand multicultur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First, this study traces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can be ascertained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and problems of Korea's multiculturalism. Second, this study understands multiculture and identifies the reality of social awareness in the public advertisement that gains positive expected benefits through reform of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Third, this study review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ocial effects of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The reason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public advertisement in the review of social awareness is that it has purpose to change people's awareness and behavior into the pursuit of public benefits. Therefore, public advertisement, based on publicness and pan-national attributes, offers various analysis factors, through which community awareness on pending social issues in the contemporary era can be understood. The analysis object from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is social messages that the advertisement intends to deliver through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and subject consciousness. Through this, this study reviews the reality and problems of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and offers a new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improve the problem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in limited scope, namely, within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Therefore, there is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however,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seek developmental alternatives in education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society integration.

      • KCI등재

        농촌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구조분석

        장연진 ( Yeon Jin Jang ),구혜영 ( Hye Young K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가족, 학교 요인이 농촌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다문화 미디어능력이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효능감, 부모의 다문화 양육태도, 학교의 다문화 교육경험을 독립변수로, 다문화 미디어능력을 매개변수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촌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6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부모의 다문화 양육태도, 학교의 다문화 교육경험은 모두 다문화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미디어능력도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문화 미디어능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다문화 양육태도가 다문화 미디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농촌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향상을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의 자기효능감 증진과 함께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지도와 학교에서의 다문화 교육경험이 종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다문화 관련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how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relate to rural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a interpreting ability as mediating factor to this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elf-efficiency, parenting attitude to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learning experiences in school as independent variables. We surveyed 480 adolescents who are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rural area and used 469 answers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lf-efficiency, parenting attitude to multiculture,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schoo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ural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edia interpreting ability about multicultural contents also directly affec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ile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other factor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result mea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service for their families and schools as well as themselves in order to increase rural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oreover, parents` guidance is important how their children perceive and accept multicultural contents of public media.

      • KCI등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강진구(Kang Jin-G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다문화 담론의 내용과 그 구성방식을 밝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필자는 인터넷 공간 등에서 반다문화 담론을 선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반다문화주의 카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회칙과 강령, 그리고 게시판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반다문화 담론은 자본과 민족 문제는 물론이고 종교와 음모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인식공격과 희생양 만들기, 그리고 협박에 가까운 공포심 유발 등을 통해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국내 반다문화 담론이 이미 인상적인 수준의 이미지의 단계를 넘어 담론과 이론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반다문화 담론의 성장은 역설적이게도 다문화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한국사회는 엄연히 존재하는 다문화란 현실을 윤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는 주류 사회와 소수자들, 그리고 다문화주 의자들과 반다문화주의자들 사이의 ‘합당한 합의’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당연히 따라야만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반다문화 담론은 그 같은 윤리적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현 시기 한국사회에 필요한 것은 한국사회가 큰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문화적 다양성의 범위와 다문화적 포용의 강도, 그리고 그것과 연계된 각종 법적·제도적 장치들에 대한 합의임을 일깨워 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반다문화 담론은 한국적 다문화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게하는 또 하나의 시발점이 된다. 즉 한국에 살고 있는 소수자들의 긴장과 불안감을 풀어주는 동시에 주류사회의 경계심과 반감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사회통합 모델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spreading in Korean society and its composition method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examined and analyzed the regulations, general principles, and bulletin boards of anti-multicultural cafes leading the anti-multicultural discourse in the Internet. Advocates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setting their territories by attacking through character assassination, making victims out of targets, and causing a sense of fear close to threat in a wide range of areas from capital and race issues to religion and conspiracy theories, which suggests that the nation’s anti-multicultural discourse has moving toward the stage of discourse and theory beyond images of impressive level. The growth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paradoxically offers a starting point for full-scale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e. In other words, Korean society has reached a point where the mainstream and minorities and those who are for multiculture and those who are against it should gather wisdom for “reasonable agreement” before the undeniable existence of multiculturality. Reasonable agreement should contain the scope of cultural diversity and degree of multicultural tolerance generally acceptably by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concerned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of all sorts. In that aspect, anti-multicultural discourse can serve as a clue to help to resolve the anxiety and tension of minorities living in South Korea and search for effective means of social integration to eliminate the wariness and animosity of the mainstream.

      • KCI등재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n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ject of study were 617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First, school record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in perceptions on multiculture. The students that perceive one's grade as high and that experience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ed highly necessity of openness toward multiculture. However, sex and grade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in perceptions on multiculture. Second, in normal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to school records, the level of domestic economy perceived by student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is study proved to b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s on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을 살펴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청지역 소재 5개 초등학교의 5~6학년 617명이었고,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PSA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는 학업 성적과 다문화교육 경험이었다. 자신의 학업 성적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한 학생과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다양한 문화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 성적, 가정경제 수준, 다문화교육 경험이었다. 반면 성별과 학년은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아니었다. 자신의 학업 성적을 높게 인식한 학생은 일반기능, 인간관계 증진, 다문화가정 배려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이 높았다. 가정경제 수준은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 증진 측면에만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은 일반기능과 인간관계 증진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영성신학의 새로운 지평; 선교적 차원에서 바라본 한국의 다문화 가정

        한혜빈 ( Hye Bin Ha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사회의 일반적 문제들과 그 해결방안들에 관한 선교적 관점에 그 목적을 둔다.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의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음에도, 아직 그것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정책 또한 매우 더디게 제시되고 있다. 이는 한국 교회의 선교적 현장과 그 방향찾기와도 중첩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 정책의 미래 계획과 방향에 대해 집중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 논문에서 다문화사회의 실천적인 문제들과 그 해결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여러 나라의 경우들을 그 예로, 그리고 그 해결방안들을 제시할 것이다. 두 번째, 한국사회의 다문화 가정의 현상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지금까지의 해결 방안들을 제시한 다음, 다문화사회의 사회 제도들과 구조들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밝히고, 그것들이 사회 공동체의 문화의 다양성과 그것들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들을 인식하고자 한다. 세 번째로는, 한국 이민자들의 선교적, 목회적 차원들에 대해 강조하게 될 것이다. The study focuses on missional perspective about general problems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e family and multiculture society in Korea society. Korea society has so much problems of multiculture society, however they did not have solution way, and its policy did slowly progress toward multiculture society. This awareness of multiculure society is related to missional dimension and direction for Korea church. In this point, this purpose of article concentrates on future plan of new multiculture family policy and agenda in Korea society. I mentioned that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problems of multiculture family and its solution ways in Korea culture. First, I explained a variety of countries cases, and present its solution methods and policies in several countries. Second, the study introduced increasingly the multiculture family and society of Korea, now they explain how to get the solution ways and policys about problems of multiculture society. And then, I suggested making up social systems and structure for multiculture family, and they recognized cultural diversity of community and family for welfare life of public sphere. Third, I emphasis on an missional and pastoral dimension of immigrant in Korea.

      • KCI등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진구(Jin-Gu, Kang)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다문화 담론의 내용과 그 구성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반다문화주의를 주장하는 대표적인 학자들의 견해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들 주장의 핵심 내용과 그 문제점에 관해 살펴보았다. 반다문화 진영은 다문화 영역 전반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① 사회적인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다문화정책, ② 글로벌 기업의 이윤 확대를 위한 이주민 정책, ③ 정치적 올바름의 영역이 된 다문화주의로 인해 생겨난 정체성과 가치관의 혼란에 집중되어 있다. 반다문화주의자들은 다문화정책으로 한국사회는 ① 외국인 범죄의 증가와 테러의 위협 등으로 인해 국가의 안보의 위협, ② 값싼 외국인 노동력으로 인한 재벌의 서민 착취의 지속, ③ 자기 비하의식 및 지적 사대주의의 만연 등을 거론하면서 다문화정책의 폐기를 주장한다. 반다문화 담론은 폭주기관차처럼 거침없이 달려왔던 다문화 담론에 대한 성찰적 반성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 대부분이 한국사회의 다문화성에 근거한 비판이기라기보다는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의 영역이 돼버린 다문화주의에 대한 거부감과 신자유주의 체제에 대한 불안의식, 그리고 왜곡된 서구추종주의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orean societys discourses, contents and composition of anti-multicturalism. To that end, the opinions of scholars advocating the anti-multiculturalism were analyzed to examine their insistence and problems. The anti-multicultralism camp criticizes the overall areas of multiculture, especially, focusing on ① the government-led multiculture policy devoid of social agreement, ② immigration policy for expanding multinational corporations profits, and ③ identity and value confusion owing to the multiculturalism which is regarded as political correctness. Advocates of anti-multiculturalism insist on abolishing multiculture policies, arguing that, owing to multiculture policies, Korean society experiences ① threats to state security due to the increase of foreigner crimes and terror threats, ② a continued exploitation of low-income Korean nationals labor by conglomerates as a result of cheap foreign labor, and ③ and self-abasement and widespread intellectual toadyism. Discourses on anti-multiculturalism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mpt self-introspective reflection on discourses on multiculture that have run wild like a runaway train. However, most of their arguments are not criticisms based on Korean societys multiculturalism; rather, they depend on resistance to multiculturalism, established as political correctness, fear of the neo-liberal system, and a distorted adherence to the 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