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원주의 사회에서 사회과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 논고

        배영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이 글은 Donald Oliver, James Shaver, 그리고 Fred Newmann이 출간한 법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근거로 하여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에 관하여 고찰한다. 이 글의 목적은 법리적 교육과정의 토대가 되는 주요한 논리(이론)적 근거를 상세히 검토함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가들은 가치갈등이 불가피한 다원주의 사회의 본질을 고려할 때 중등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공공 쟁점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용 선정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비판받아야 할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과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내용 선정) 논리에 있어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여타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이에 대한 비판을 충분히 수용한다면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을 구축하고자 할 때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 Based upon various research papers on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published by Donald Oliver, James Shaver, and Fred Newmann, this essay reviews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by examining in detail the rationale of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pluralist nature of the American society,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ists insist that a rational decision-making about public issues should be the criteria for content selection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pite of some criticism,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because it is a model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It clearly shows that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totally different from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logic of content selec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is an exemplary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to which we could refer in developing our own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 KCI우수등재

        다원주의 사회과학 모색 : 돌봄 연구의 한계를 초점으로

        구은정 비판사회학회 2023 경제와 사회 Vol.- No.137

        이 글은 분과학문 틀로 제한된 연구로는 사회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 제의식에 기반한다. 따라서 이 글은 사회과학이 인간과 인간 사이 관계에서 일어나는 현상 을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토대로, 도이치가 구분한 인간관계의 다양한 목적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한다. 즉, 관계의 목적에 따라 행위자가 같은 행동으로 획득하(려)는 가치가 다 르다는 점에 천착해 다원주의 사회과학을 모색하는 시론적 연구다. 이를 위해 돌봄 연구를 예로 각 분과학문 전통에 제한된 연구가 초래하는 한계를 고찰하고, 사회심리학·심리학· 경제학 등에서 제시된 이론을 융합해 다원주의 사회과학 틀을 구성한다. 이 글에서 활용하 는 이론은 첫째, 사회심리학에서 도이치(Deutsch, 1975)가 구분한 관계의 다원적 목적 (‘경제적 생산성이 목적인 관계’, ‘사회적 관계가 목적인 관계’, ‘개인의 복지와 발전이 목 적인 관계’)과 형평, 평등, 필요의 다원적 분배원칙이 있다. 둘째는 심리학에서 리안과 데 시(Ryan and Deci, 2018)가 제시한 능력(competence), 자율(autonomy), 연결(re- latedness)이라는 기본 심리적 필요(basic psychological needs)의 다원성이다. 셋째, 비주류 경제학에서 제시한 인간 행동이 창출하는 가치의 다원성(자유, 정의, 돌봄)과(Van Staveren, 2001), 관계의 다원적 목적, 심리적 필요, 가치들의 장소인 영역의 다원성(시장, 정치, 공동체)이(Polanyi, 2001) 있다. 이 글에서 다원주의는 개인의 가치 선호를 초점으로 한 자유주의적 다원주의나 문화상대주의와 호환되는 문화적 다원주의가 아니라, 인 간의 삶을 번영시키거나(thriving) 좋지 못하게(ill-being) 만드는 다원적 가치들, 이 가치 들을 향유하는 영역의 다원성, 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관점의 다원성을 의미한다.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서은숙(Seo Eun-Su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고는 현대 다문화, 다 가치 사회에서 한류의 정체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 여 년 전 시작되었고, 한류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한류는 주로 경제적 가치로 이해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류에 대한 연구들에서 한류의 실태와 그 구체적 내용을 정리하였고, 한류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 문제이며, 한국 문화 정체성의 기반에는 다시 인문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한류를 현재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안과 인문학 위기에 대한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정체성, 아시아 문화공동체 네트워크 형성 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여, 한류의 전개, 한류의 정체성-유교 문화, 풍류정신, 한류의 발전 방향-문화콘텐츠 개발 등을 논의하였다.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류의 정체성에는 仁과 和 그리고 風流精神(대조화) 등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현대 사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류 발전의 방향에는, 첫째, 인문학이 한국 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 윤리, 문학, 역사 등을 다루며, 한국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는 이러한 인문학적인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그것을 발전시키는데 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인문학 부흥의 필요성, 둘째,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 연구, 셋째, 열려있는 한국문화콘텐츠의 개발, 넷째, 문화콘텐츠 교과목의 개설, 다섯째, 문화 원형으로서의 다양한 한류 콘텐츠 개발 - 유교 사상, 학자 및 선비의 일대기, 향교, 서원 등의 유교문화재, 복식, 건축, 음식 등의 생활 문화, 음악, 미술 등의 예술 분야 등의 디지털 복원- 등이다. I studied on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in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Wave arose about 10 years ago and researches interpreted it as a economic value. Based on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f Korean-Wave, I summarized thoroughly about actual condition and concrete contents of Korean-Wave. And I discusse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 understood Korean-Wave as a altern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 solution to establish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Korean culture's identity and Asian community. Based on my understanding, I discussed about Korean-Wave's development, identity(Confucian culture, and Pungnew), and direction, as well as cultiv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a cultural universality, Korean-Wave's identity includes benevolence(仁), harmony(和) and elegance(風流精神, the great harmony) and these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y. Firstly,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lise in development of Humanities. Relating to the crisis of Humanities since 2006, I think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also problems to the Korean culture's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Because the base of Korean culture is Humanities which studies philosophy, ethics, literature and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culture's identity,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is needed. Secondly, to develop Hallu, we cultivate Hallu as a Korean cultual archetype. Korean-Wave should be not only understood as a economic value but also interpreted as a cultural concept. As one of cultural archetypes, Korean culture, especially Confucian thoughts and Pungnew,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uch more in the fields of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 KCI등재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서은숙(Eu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의 다문화, 다가치 사회로의 변화에 대처하고, 최근에 제기된 인문학 위기와 관련하여 이들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된다. 그 하나는 오늘날과 같은 다문화, 다가치 사회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문화의 기저에 있는 인문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전통 사상을 재정립하고 그것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그것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핵심 내용을 한국 전통 사상으로 부터 대략, 仁(사랑), 和(萬物一體), 풍류정신으로 보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문화의 핵심 개념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영화, 음악, 만화, 에니메이션, 게임, 케릭터 개발,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그리고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등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Our Korean society goes on to value-pl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In this point, we ne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nd we meet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Humanities is the core of our culture. It is the key point to mak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s cultural universality and to apply it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for the revival of Humanities. The core contents of Korean culture lies in the ancient myth, the thought of Hwarang,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he practical thought, thought of Yangmyeong study and the thought of East study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se thoughts, the core of Korean culture are humanity, harmony, the spirit of Punglyu, thought of life- esteem, ethics of environment etc. I suggest that we can apply our cultural core ideas those I analyzed above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e fields of cinema, music, cartoon, animation, game, character, digitalization, cultivation of experience programs of Korean culture etc. In addition, I suggest their commercial application like e-learning and culture contents education.

      • KCI등재

        스포츠사회학에서 정책분석의 중요성

        장익영,Michael Sam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6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9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me of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dimensions of government sport policy, capturing the key reasons for why we should think of sport policies as significant in sociology. Drawing upon specific cas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herently political nature of sport policy(as a form of regulation, commitment and programme),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powerful interests and dominant discourses influence policy-making around sport issues. This paper reviews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in policy studies and proposes an integrated governance framework which acknowledges ideas, interests and institu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challenge of policy-making lies with the fact that policies can never be evaluated in absolute terms. However, examining the ends (objectives) and means (the strategies used to achieve those objectives) of policies is significant because it raises a number of critical questions. What implications do policy choices have with respect to distributions of power and authority? Who benefits from these policies and how do they legitimize some interests over others? In this light, policy problems and their associated solutions are a crucial element of sociological analysis. 이 연구는 정책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과 접근들을 실제적이고 이론적인 차원에서 보다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스포츠사회학에서 정책분석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자들은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스포츠정책을 정의하였으며, 스포츠정책에 대한 더 좋은 이해를 위해 정책결정과정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정책의 합리성과 정치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정치적 특성인 실제적 개입과 상징적 가치와 같은 개념들이 정책결정과정에서 어떻게 권력균형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스포츠정책에서 사용되고 있는 핵심적인 접근인 다원주의 모델, 담론적 모델 그리고 제도주의를 살펴보았으며, 각각의 이론적 접근들의 주요개념인 이해집단, 아이디어 그리고 제도를 통합해 스포츠정책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거버넌스 접근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책분석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정책이 절대적 용어로 완벽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책의 결정과정 즉, 정책의 목표(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와 수단(어떻게 그 목표를 얻을 것인가?)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는 정책에 대한 다음과 같은 비판적인 질문들을 던질 수 있다. 즉, 권력과 권한의 분배적 측면에서 특정 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함의하는 것은 무엇이며, 누가 이러한 정책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고, 몇몇 이해집단들은 어떻게 다른 이해집단보다 더 많은 자신들의 정책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스포츠 정책분석과 관련된 사회문제 그리고 그와 관련된 해결책은 스포츠사회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분야임에 틀림없다.

      • KCI등재

        융복합시대의 가구디자인에 나타난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황선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9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 furniture design that requires changes reflected in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factors in the convergence culture, as represented by the digital and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specific methods therefore, to research in both perspectives the design of the after industrial revolution of functionalism and the case of the Memphis group which is expressed the appearance of diverse social atmosphere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is, it will illuminate the appearance of the furniture designs recipient requires changes in universal modern society of values of complex convergence. To reveal that sociocultural factors that accept values of society are important in predicting the future of furniture design is the object of this study. It recognizes that a key element of modern furniture design will be based on a broad and deep study. 본 논문은 디지털과 IT로 대변되는 현대의 융복합문화속에서 사회 문화적 요인이 반영된 변화를 요구받는 가구디자인의 특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기능주의로 대변된 산업혁명 이후의 디자인과 20세기 이후 다원화된 사회의 모습을 담아냈던 멤피스 그룹의 사례를 보려 하며 이를 토대로 융복합적 가치관이 보편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변화를 요구받는 가구디자인의 모습을 조명하려 하였다. 이렇듯 미래의 가구디자인을 예측하는데 있어 사회구성원들의 가치관이 수용된 사회문화적 요인은 반드시 주지해야 할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으며 현대가구디자인의 주요 요소가 되었음을 인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폭넓고 깊이 있는 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