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실버세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스타일

        한상지,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실버세대와 다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65세75세를뉴실버세대라고 정의하고뉴실버세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건강관리, 재테크, 여가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의복스타일 및 외모관리 차원에서 실증적 고찰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였고 뉴실버세대 이전과의 라이프스타일 및 의복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뉴실버세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및 의복스타일에 대한 기초연구를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산층 이상의 경제력이 있는 뉴실버세대 여성으로 문화소비를 하고 백화점에서 의복쇼핑을 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면접 대상자들은 연령과 거주 지역, 쇼핑장소를 기준으로목적표집과 스노우볼 모집법을 병행하여 모집하였고 서울, 경기, 대구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6575세여성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뉴실버세대 여성들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고 있었으며, 아직 경제활동을하고 있거나 재테크를 통해 노후 준비를 마친 상태이며, 경제적으로 자립심이 높은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여가활동으로 문화소비의 수준이 높았다. 뉴실버세대 이전과 비교하여 라이프스타일 측면에서는 더욱 여가지향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신체적 노화는 모두 인지하지만 심리적인 노화는 전혀 경험하지않았거나 소수는 우울감 또는 편안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복스타일은 유행은 고려하지 않되 단정하고 기본에 벗어나지 않으며 편안한 의복스타일을 추구하고 평상시와 여가활동 시 의복을 장소에 맞춰 다르게 착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뉴실버세대 이전과의 의복스타일의 변화는 체형이 변하지 않는 한, 대부분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나이보다 인지적으로 본인을 더 젊게 생각하고 있어 이와 같은 연소화 현상으로인하여 뉴실버세대 이전과 동일한 스타일을 추구하고 젊음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로 비추어졌다. 뉴실버세대 여성들이 실제 인지하는 연령이 515세가량낮게 지각하고 있으므로 국내 의류산업에서는 50대를 타겟으로 한 의복스타일과의 경계가 나타나지 않게 스타일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fine a term new silver generation who are aged between 65-75 with different values and lifestyles. Lifestyles of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examined in terms of health care, investment techniqu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ervice activity, as well as fashion 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also analyzes changes of lifestyles and fashion styles of pre-new silver generation and aims to provide a basic research on lifestyles and fashion styles of new silver generation women. For this study, 9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recruited who were middle class and above and doing cultural consumption and clothing shopping in department stores. They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by age, residential district, and shopping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new silver generation women had a healthy life habit and carried out economic activity or later life preparation was done through investments therefore they had high economical sense of independence. Also, they worked on various types of leisure activity thus culturally advanced. Secondly, compared to pre-new silver generation, their lifestyle was turned to more leisure orientated.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aware of physical aging but not psychological aging, a few of them had experienced melancholy or comfort but majority had never experienced. Thirdly, in case of fashion styles, new silver generation women pursued neat, basic and comfortable fashion styles without considerations of trends and they wore differently for ordinary and leisure activities depends on places. Changes of fashion styles were nonexistent compared to pre-new silver generation in so far as their figures were not changed and they cognized themselves younger than actual age therefore the down-aging phenomenon reflected desires of maintaining youth and the same fashion styles as pre-new silver generation.

      • KCI등재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에 관한 연구

        여화선(Hwa Sun Yeo),최정욱(Jeong Wook Choi),김은정(Un Chong Kim),김혜경(Hae Ky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 방향을 알아봄으로써 뉴실버세대를 위한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의류브랜드 중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 브랜드를 컨셉에 따라 ``포멀웨어``, ``캐쥬얼``, ``아웃도어``로 나누고, 이 중 일반 실버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와 뉴실버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로 다시 나누어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이들 브랜드의 제품을 분광측색기를 사용하여 측색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와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와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 내에서도 성별, 시즌, 아이템에 따라 어떻게 색상전개를 달리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뉴실버세대를 겨냥한 색채계획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타깃세대 구분에 따른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경우 고명도에서 저명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명도를 가진 저채도 색상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IRI Hue & Tone 120 System에 의거하여 색상분포를 분석한 결과, Yellow, Yellow Red, Purple Blue 색상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톤은 고르게 분산되어있으나 특히 Light와 Gray톤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무채색의 경우, 고명도 무채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의 경우. 저명도를 선호하고, Green과 Red의 중간 Purple Blue 계열과 Blue 계열의 색상을 주로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색상분포는 Purple Blue 색상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톤은 Bright와 Dark톤으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무채색의 경우, 저명도 무채색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색상에서 블루계열과 옐로우계열로 두드러지게 대별되며 공통적으로 그레이톤의 저채도 저명도 색상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시즌별 차이는 색상의 경우, 한색인 블루계열과 난색인 옐로우계열로 극명하게 구분되어졌다. 뿐만 아니라 톤도 S/S엔 밝고 가벼운 톤이, F/W에는 무겁고 어두운 톤의 색상이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아이템별 색상전개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정장과 캐쥬얼의 경우 색상은 비슷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톤에 있어 정장은 Dull하거나 Dark한 계열 많이 보여졌고, 캐주얼은 Strong에서 Dark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톤이 전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아웃도어는 매우 다양한 색상이 전개되었고 톤도 그 활용범위가 넓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color development of apparel brands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 color guideline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Regarding the range of study, it divides apparel brands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among local apparel brands by the concepts of ``formal wear``, ``casual``, and ``outdoor``, and among these, it again categorizes them into brands preferred by the general silver generation and those preferred by the new silver generation to set up the range of research. And measuring colors of the products made by the brands with a spectrophotometer, it analyzes the result.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arget generation, new silver target brand was analyzed to propose the low chroma color with various brightness from high chroma to low chroma. As a result of analyzing its color distribution according to IRI Hue & Tone 120 System, appearance frequency of Yellow, Yellow Red and Purple Blue color was high, and their tones were distributed evenly, but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Light and Gray tone was relatively high. Achromatic color was analyzed to have many high brightness achromatic colors. Brands targeting silver generation prefer low brightness and were analyzed to mainly propose the color in blue series and PurpleBlue series between Green and Red. For color distributi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Purple Blue color was high, and the tone was separated into Bright and Dark tone. Achromatic color was analyzed to concentrate in low brightness achromatic color.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brands per sex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blue series and yellow series colors are strikingly distinguished, there are more low chroma low brightness color in gray tone in common. As for the difference of brands per season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they were separated into cold color of blue series and warm color of yellow series clearly. In addition, bright and light tone appeared in S/S while heavy and dark tone color appeared in F/W. In the e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color deployment of brands targeting new silver brand per item, color was deployed similar in formal suit and casual. However, for the tone, dull and dark series much appeared in the formal suit and various tones appeared from strong to dark in the casual. In the mean time, very diverse colors were expanded. In the mean time, various colors were deployed for outdoor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for tone was wide.

      • KCI등재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델 - 화웨이 EMUI 10 중심으로 -

        화운비,권기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4

        Background Recently, in the smartphone market, the utilization rat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is increasing, so considering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ir inconvenience. Therefore, for the new silver age of the main consumer class, the design of smartphone running application UI is proposed. Methods Observe the use of smart phone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compile the user test list, and export the hidden problem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 questionnaire survey on Huawei Android smart phone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Huawei. Resul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phone application, such as touch error, the function can not be used normally, etc. the contact application program has the editing function of adding and deleting contact information, query function, input method, and so on.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information application, such as editing function, query function, input fragment, button, etc., while the time/alarm clock application has the problems of function setting and button. In phone and time/alarm applications, both need to improve primary learning, while conta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lications need to improve primary efficiency.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UI design of the smartphone OS platform in the new silver era as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based on the proposal for smartphone operation improvement in the new silver era. 연구배경 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서 뉴실버세대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어서 이들의 신체적 특성과 정보 환경을 고려하여 그들의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주요 소비계층인 뉴실버세대를 위한 스마트폰 런처 애플리케이션 UI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 행태를 관찰하고 사용자 테스트 리스트를 작성하여 뉴실버세대의 숨겨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사용성 평가의 대표적 방법인 체크리스트의 문항을 작성하였고, 뉴실버세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선정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화웨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터치 오류, 기능 제대로 사용 못함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연락처추가, 삭제 등 편집 기능, 조회 기능, 입력 방식 등 문제점이 있었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편집 기능, 조회 기능, 입력 조각, 버튼 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간/알람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기능 설정, 버튼 등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화, 시간/알람 런처 애플리케이션에는 둘 다 주요 학습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으며, 연락처, 메시지 런처 애플리케이션에는 둘 다 주요 효율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뉴실버세대를 위한 스마트폰 런처 개선 방안 제안을 바탕으로 더욱 확장시켜 더다양한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OS플랫폼의 UI 디자인에 대해 기준이 될 수 있는 연구 개발의 초석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GUI 가이드라인 제안

        조성배,이재익,Jo, Sung Bae,Lee, Jae Ick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8 스마트미디어저널 Vol.7 No.2

        최근 고령 사회로의 진입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를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GUI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뉴실버세대는 일반적인 고령자들보다는 정보취득에 대한 거부감이 약하기는 하지만 40대 이하의 젊은 세대들과 정보습득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GUI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의료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실버세대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은 첫 번째, 문헌연구과 선행연구를 통해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분석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의현황을 파악하였고, 두 번째,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각 분야에서 선호되는 시각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고령자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GUI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도출된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휴리스틱(heuristic)방식을 통하여 57세부터 65세까지의 뉴실버세대 8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뉴실버세대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GUI가이드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동시에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with the entrance to the aging society, the demand on health care services is being increased. However, there are still few GUI types of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silver generation progressively preparing for their golden(old) age. As the new-silver generation showed less reluctance to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nternet comparing to general seniors, but it is urgent to conduct researches about GUI of mobile healthcare services considering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guidelines of GUI evaluation so that new-silver generation being emerged as main consumer group in future medical consumption could efficiently use mobile health care services. As the research method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ew-silver generation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understood the status quo of mobile health care services, and second, it analyzed the visual composition factors being preferred in each field of current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and drew out a usability evaluation matrix of mobile GUI design appropriate for elderly people's characteristics. Third, with the drawn evaluation matrix, this study conducted the usability evaluation of 8 subjects in new-silver generation ranging from 57 years old to 65 years old through a heuristic way. This study expects that it would be contributed in increasing the GUI usability by proposing some guidelines for GUI being appropriated for new-silver generation user's characteristics, and thinks that researches about developing health-care mobile applications will be continued in fu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뉴실버세대의 심리/신체적 변화 기반 공공 스마트 모빌리티 인테리어 디자인 제안 인테리어 무드와 시트와 시트 포지션을 중심으로

        오병인 ( Oh Byeong In ),노승일 ( Lo Seung I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최근 전 세계의 인구 분포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구비율 중 노령인구의 차지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실버세대(Silver Generation)라고 불리우던 보수적인 노년 계층이 최근 세대를 거듭하여 현대판 실버세대, 이른바 뉴실버세대 (New Silver Generation)로 그 명칭이 변화함에 따라 이들을 대상을 기반으로 한 여러 마케팅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시기와 맞물려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장도 점차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제품 및 공간 분야에서의 실버산업은 황금기를 맞이한 한편, 모빌리티와 자동차 업계의 실버산업에 대한 시선은 냉담하다. 대부분의 모빌리티 시장은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연구와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는 향후 기업에 있어서 잘못된 소비자 분석으로 인해 시장에서 도태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즉, 미래 시장을 주도할 뉴실버세대를 타겟으로 한 제품의 출시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소비자 타겟층이 변화하는 미래의 시장을 대비하기 위해 뉴실버세대를 위한 모빌리티의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대한 디자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향후 뉴실버세대의 가장 큰 변화 요인인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공간과 인테리어 무드의 전반, 그리고 기능, 편의 중심의 시트 포지션과 시트 디자인을 제안하여 근 미래의 편의성 개선과 더불어 차후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 현시점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버세대를 위한 대중교통 시스템의 분석하여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또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뉴실버세대의 심리적,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반영한 모빌리티 인테리어 디자인의 전반을 제안한다. Recently,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taking place,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mong the population ratio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conservative elderly class, formerly called Silver Generation, has changed its name to the modern silver generation, so-called New Silver Generation, several marketing products based on them are gaining popularity. In line with this period, the autonomous driving mobility market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so gradually developing. However, while the silver industry in product is in its golden age, the mobility and automobile industry's view of the silver industry are cold. Since most mobility markets are being researched and designed by younger generations, this can cause fatal consequence for companies to fall behind the market due to incorrect consumer analysis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it is very important to launch a product targeting the new silver generation that will lead the future market. Therefore, design research on mobility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is essential to prepare for the changing future market of the consumer target group.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in the future and propose appropriate interior mood, function, and convenience-oriented seat position and seat design,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are derived by analyz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r the silver generation widely used at this time. In addition, based on various preceding studies,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re analyzed to derive improvements, and then the overall mobility interior design reflecting this is proposed.

      • KCI등재

        뉴실버 세대 패션 브랜드에 관한 연구 -내셔널 브랜드 「쉐르치」를 중심으로-

        변미연,백민숙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현재 트렌드로 대두되고 있는 뉴실버 세대는 기존의 중ㆍ장년층과는 달리 고학력이며 경제적 여유가 있고, 제3의 인생으로 계속적인 사회참여나 경제적인 활동 및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높은 구매력과 자립적 가치관을 가진 핵심 소비자 계층으로 현대 사회의 각 계층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나이보다 젊어 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젊은이처럼 행동하고 싶어 하는 연소화(down-again)욕구를 충족 시키고자 하는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특성은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패션, 미용, 건강, 외모 관련 산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층으로 떠오르며 패션 마켓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는 뉴실버 세대 패션 브랜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뉴실버 세대를 중심으로 하는 패션업계 및 학계에 디자인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로는 다음과 같다. 선행 연구, 통계청 보도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사회적 변화에 따라 나타난 신조어인 ‘뉴실버 세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뉴실버 세대 패션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고찰하였으며 설문 조사 연구, 시장 조사 연구를 통해 브랜드 선정 및 선정된 브랜드의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뉴실버 세대로 인지하고 있는 여성 300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패션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 경기, 대전, 광주, 부산 등 대도시 여성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브랜드의 선정 및 이들이 추구하는 브랜드의 이상도를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상위의 과정을 통해 선정된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여 패션 디자인 요소별 결과를 도출 하였다. 분석 방법은 본사 및 매장 방문을 통해 디자이너 및 MD, VIP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 사진자료 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토대로 진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실버 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달리 패션 연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세대로, 현재 내셔널 브랜드에 대해 불만족을 표출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니즈를 반영한 새로운 브랜드가 런칭 되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뉴실버 세대의 대표 브랜드인 쉐르치는 실질적인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브랜드이나, 이들의 심미적 관점에 기준하였을 때 새로운 디자인의 요구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w silver generation which appeared as a current trend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generations such as high education and purchasing power. They are a main consume population with continuous social participation, their independent own faith. This generation’s traits influences on other generation of the current society. Also, they make an effort to looks younger and have the down-again tendency to do their behavior like young generation. These traits show bright prospect of related industries for middle-aged, such as fashion, beauty, health and appearanc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fashion brands of new silver generation which will invigorate fashion market as a new consume population, and can provide basic materials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for a fashion industry and academic world. The methods and the range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The concept of ‘New silver generation’, which is new words came from the social change, is established and the status of New silver generation’s fashion industry deeply is studied by document study using previous studies, the report from 통계청, some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lso, the survey and market research of this study are able to select the brands and analysis the designs of the selected brand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are focused on 300 females realizing themselves as New silver generation and living in metropolitan area, such as Seoul, Kyeong-gi province, Dae-jeon, Kwang-ju, Bu-san in order to enhance fashion accessibility. Moreover, FGI was implemented to select a concrete brand and to grasp what is an ideal brand for them. The results of the design analysis for each element are drawn with focusing the selected brands through the higher level procedure. The methods of the analysis are consisted of an analysis of an image and an expert interview through a visit in stores and head quarters with designers, MD, and VIP custo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procedures are as in the following. Different from existing generations, new silver generation realize fashion and coordination in positive way. They are dissatisfied with national brand and looking forward to launching new brand reflecting their needs. SHWAEREUCHEE, the representative of new silver generation, practically has sold until now. However, this study can check that new fashion designs are needed according to their aesthetic point of view.

      • KCI등재

        뉴실버 세대 패션 브랜드에 관한 연구

        백민숙(Min Sook Baek),변미연(Mi Yeon B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현재 트렌드로 대두되고 있는 뉴실버 세대는 기존의 중·장년층과는 달리 고학력이며 경제적 여유가 있고, 제3의 인생으로 계속적인 사회참여나 경제적인 활동 및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높은 구매력과 자립적 가치관을 가진 핵심 소비자 계층으로 현대 사회의 각 계층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나이보다 젊어 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젊은이처럼 행동하고 싶어 하는 연소화(down-again)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특성은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패션, 미용, 건강, 외모 관련 산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층으로 떠오르며 패션 마켓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는 뉴실버 세대 패션 브랜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뉴실버 세대를 중심으로 하는 패션업계 및 학계에 디자인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로는 다음과 같다. 선행 연구, 통계청 보도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사회적 변화에 따라 나타난 신조어인 ``뉴실버 세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뉴실버 세대 패션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고찰하였으며 설문 조사 연구, 시장 조사 연구를 통해 브랜드 선정 및 선정된 브랜드의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뉴실버 세대로 인지하고 있는 여성 300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패션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 경기, 대전, 광주, 부산 등 대도시 여성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브랜드의 선정 및 이들이 추구하는 브랜드의 이상도를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상위의 과정을 통해 선정된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여 패션 디자인 요소별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방법은 본사 및 매장 방문을 통해 디자이너 및 MD, VIP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 사진자료 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토대로 진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실버 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달리 패션 연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세대로, 현재 내셔널 브랜드에 대해 불만족을 표출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니즈를 반영한 새로운 브랜드가 런칭 되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뉴실버 세대의 대표 브랜드인 쉐르치는 실질적인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브랜드이나, 이들의 심미적 관점에 기준하였을 때 새로운 디자인의 요구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w silver generation which appeared as a current trend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generations such as high education and purchasing power. They are a main consume population with continuous social participation, their independent own faith. This generation`s traits influences on other generation of the current society. Also, they make an effort to looks younger and have the down-again tendency to do their behavior like young generation. These traits show bright prospect of related industries for middle-aged, such as fashion, beauty, health and appearanc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fashion brands of new silver generation which will invigorate fashion market as a new consume population, and can provide basic materials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for a fashion industry and academic world. The methods and the range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The concept of ``New silver generation``, which is new words came from the social change, is established and the status of New silver generation`s fashion industry deeply is studied by document study using previous studies, the report from 통계청, some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lso, the survey and market research of this study are able to select the brands and analysis the designs of the selected brand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are focused on 300 females realizing themselves as New silver generation and living in metropolitan area, such as Seoul, Kyeong-gi province, Dae-jeon, Kwang-ju, Bu-san in order to enhance fashion accessibility. Moreover, FGI was implemented to select a concrete brand and to grasp what is an ideal brand for them. The results of the design analysis for each element are drawn with focusing the selected brands through the higher level procedure. The methods of the analysis are consisted of an analysis of an image and an expert interview through a visit in stores and head quarters with designers, MD, and VIP custo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procedures are as in the following. Different from existing generations, new silver generation realize fashion and coordination in positive way. They are dissatisfied with national brand and looking forward to launching new brand reflecting their needs. SHWAEREUCHEE, the representative of new silver generation, practically has sold until now. However, this study can check that new fashion designs are needed according to their aesthetic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아이콘 디자인 연구

        윤여경 ( Yeo Kyung Y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2 No.-

        오늘날 스마트폰은 다양한 정보기기들 사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며 현대인들의 일상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 중 앱 아이콘은 단순한 인지적 차원의 디자인이 아니라 사용자의 시각적, 정서적 인식에 영향을 주어 효과적인 소통을 도와주는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대부분의 앱 아이콘은 젊은 세대의 욕구를 반영하여 심미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디자인되어있기 때문에 뉴실버세대는 이를 사용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과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렇듯 뉴실버세대를 고려하지 않은 앱 아이콘은 이들의 사용의사를 억제하고 접근성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아이콘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논문을 통해 분석한 뉴실버세대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앱 아이콘 디자인 구성요소를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후 선호도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뉴실버세대까지 고려한 앱 아이콘을 디자인한다면 그 사용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It is most commonly used in today``s smart phones among the various information devices and have been taken as part of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the app icon as a means to assist in the design of effective communication, not just that the dimension will have an effect on the user``s visual and emotional recognition. But most of the apps icon New Silver generation because it reflects the emphasis on aesthetic design characteristics are the desire of the younger generation feel a lot of discomfort and alienation in how to use them. As such the app icon does not consider the new generation is silver trim inhibit their use doctors and fell access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app icon design for enhanced smartphone usability of New Silver generation. Study the theory related to the new generation of silver over the preceding analysis for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app icon design elements based on it and then surveyed the preferences were derived. Consequently, if the app icon design consideration to New Silver gener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further enhance its usability.

      • 뉴실버세대 사회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진환(Kim Jin Hw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7 No.1

        뉴실버세대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적보호 서비스 욕구와 수요증가 유발을 의미하게 되며, 기존 실버세대와 다른 라이프스타일 성향을 갖고 있는 뉴실버세대의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 제고를 고려하는 사회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방향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서울시에 거주하고 노인정 등을 이용하며 사회활동 참여를 하고 있는 55〜65세미만의 뉴실버세대 및 65세 이상의 실버세대 대상으로 조사하여 31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뉴실버세대 및 실버세대들이 인지하는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뉴실버세대와 실버세대가 인지하는 사회활동 참여특성은 전체 사회활동 및 하위요인인 종교문화활동, 교육경제활동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존중감은 전체 자아존중감 및 하위요인인 긍정인지 및 타인비교 자기인지의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에는 하위요인인 삶의 목적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 entered the aging society and changes began to occur in silver industry. These changes gave birth to a new term ‘new silver generation’on which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begun to study. Researches on new silver generation have also been made in various field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w silver generation social participation on self 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industrial policy aim at new silver generation needs to be made. 310 questionnaires for new silver generation and silver generation living in Seoul from 55 years of age to less than 65 have been distribu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religion & culture activities and educational & economic activities which are whole social activities and sub-factors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articipation recognized by new silver gener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perceptive difference not only in self esteem but also in positive perception and self-perception compared with others which are sub-factors. The purpose of life, the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effects by social participation. The perceptive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life which is the sub-factor was effects by psychological well-being.

      • 뉴실버세대의 인지된 자아존중감이 사회참여와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김진환(Kim Jin hw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뉴실버세대의 실태분석을 실시하고 뉴실버세대의 인지된 자아존중감이 사회참여와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한 산업 및 정책을 어떻게 입안하고 발전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뉴실버세대의 인지된 자아존중감은 사회참여와 심리적 안정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인구통계학적인 차이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인지된 자아존중감에서는 자긍심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학력과 월평균수입, 건강상태, 노후준비에서 차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self-esteem that has been recognized in New silver generation by performing the actual situation analysis of new silver generation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sense of stability and psychological social participation, which as an industrial policy that targets the new silver generation I tried to consider about what can be developed making in planning. It is believed that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elf-esteem, which is recognition of new silver generation, influenced in part on a sense of stability and psychological social participation, demographic differences also exist. In particular, the pride was recognized, since pride is affecting different and can be seen to be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preparing monthly average income and education, health, old age since the difference is pres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study of this part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