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의 관점주의에 대한 대안적 해석

        엄인주 ( Eom Inju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전통적 형이상학자와는 달리, 니체는 인간이 이 세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절대적 진리는 없으며 인간의 관점으로 밖에는 볼 수 없다고 한다. 인간의 관점은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에서 다양성의 문제를 제기하며, 이는 결국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킨다. 로티는 니체가 기준이 없다고 말하는 상대주의자임에도 불구하고 가치의 차이를 인정한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이러한 니체에게서 벗어나야 완전한 상대주의를 구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이 글은 니체에게 절대적 기준이 없다는 주장은 기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취한다. 절대적 진리나 기준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니체가 말하는 기준이 무엇인가를 해명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다. 이상형 인간 ‘천재’의 탄생과정을 통해 니체가 강조하는 관점의 형성 과정은 ‘천재’가 탄생되기 위한 조건이며, 인류문화유산은 관점의 논리적 조건의 현상적 대응물로 볼 수 있다. 니체의 관점주의는 교육인식론으로 설명될 가능성을 갖는다. 즉, 교육을 관점주의 눈으로 해석하자는 것이 아니라, 인식론으로서 관점주의는 교육에 의해 설명 가능하다는 해석이다. 니체의 관점주의에서 관점의 기준에 대한 탐구는 기준의 유무의 문제가 아니라 기준의 존재형식의 문제이다. Nietzsche points out that there is no absolute truth; there is just a perspective of individuals. Nietzsche rejects the absolute criterion that traditional philosophy pursued. Rorty, who is a Neo- Pragmatic philosopher, urges that the absolute relativism can be established by rejecting Nietzsche’s relativism because it includes the hierarchy of value. This article explores what is the criterion of Nietzsche even though he rejects the absolute criterion of the value. The ‘Genius’ of an ideal person in Nietzsche shows u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perspective. The cultural heritage of human being is the phenomenological condition of a perspective. This interpretation which examines the perspective’s origin can demonstrate the phenomenological aspect of logical condition. Exploring the criterion of a perspective is not a matter of whether it exists or not, but a matter of the form of it. Nietzsche does not regard a perspective of people as an individual taste and argues that a perspective of people should have a higher value. The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erspectivism is not to adapt epistemology to education but to explain epistemology educationally.

      • KCI등재

        다섯 가지 텍스트 해석 방법을 활용한 읽기 중심 교육 모형의 개발

        김미란(Kim Mi-R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5

        한국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읽기를 통한 쓰기가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비중이 높은 데 반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중 쓰기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쓰기 교육의 모형 개발이 시급했던 터라 읽기 교육 모형까지 고민할 수가 없었던 저간의 사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글쓰기 수업에서 선택되는 읽기 교육의 수준은 낮은 편이다. 글쓰기 교수자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텍스트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텍스트를 읽는 방법은 10여 년 전의 교육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이 영역은 여전히 미답 상태에 놓여 있다. 그 점에서 읽기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의 대학 글쓰기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지만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질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그 점에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읽기 교육 모형은 읽기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에만 목표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를 통해 ‘읽기를 통한 쓰기’ 혹은 ‘쓰기를 위한 읽기’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쓰기 교육의 활성화를 최종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전제가 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론 없는 방법론은 토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척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모색 과정과 그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글을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을 위해서는 존 피터스가 개발한 텍스트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정서적 관점, 윤리적 관점, 수사학적 관점, 논리적 관점, 사회적 관점이 그것이다. 그런데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한국 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읽기 교육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기는 하되 읽기-쓰기 교육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쓰기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Korean academic writing, reading to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ethod. But concrete models for it are not developed sufficiently. Especially,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re not tried to develop so far. This is caused b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models for writing education. The matter must have been settled without delay. But that is why the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not high. Although the level of reading texts which are offered by professors is high,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are not changed for about 10 years. It means this area has been stalled for a long time. In that respect,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is a most urgent task. Even if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solve for Korean academic writing, this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we can t delay no more. Therefore in this paper, I place great importance on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qualitative for growth Korean academic writing through it. For this purpose, I offered theories which are the premises of it. Methodology without no theory is very fragile. However in Korea, the study and research are not accumulated enough, inevitably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ories and methodologies for reading and writing by American scholars. Especially, to offer a concrete reading education, I used John peters’method. His method for reading education is very useful because it includes emotional, ethical, rhetorical, 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But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common to adopt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to write, I proposed the method of rea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the connection with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10-가 교과서 복소수 단원에 관한 논리성 분석연구

        양은영,이영하 대한수학교육학회 2008 학교수학 Vol.10 No.3

        The complex number system is supposed to introduce first chapter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When number system is expanded to complex numbers, the main aim is to understand preservation of algebraic structure with regard to the flow of curriculum and textbook. This research reviewed overall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of textbooks from a logical viewpoint. Two research questions are developed below. First, in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curriculum, when we consider student's 'level', how are the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of textbooks in complex unit on a logical point of view? Second, What are more logical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What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are suitable for a running goal? and what are the improvement which is definitive?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에서 처음 소개되는 복소수 단원의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 등 교과서의 서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준’과 교육과정의 흐름에 맞게 논리적으로 서술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학생들의 ‘수준’이란 실수에서 복소수로의 새로운 수 체계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정한다. 즉,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전반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 때 복소수 단원의 목표는 새로운 수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의 보존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표에 맞게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이 교과서에서 서술되는 방식이 수학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논리적인 비약(gap)이나 순환논증의 오류를 가지지 않고 적절하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16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크게 다섯 가지의 분석 대상을 찾아내었다. 첫째는 허수 단위 i의 도입과 음수의 제곱근, 둘째는 복소수의 정의 방식에서 실수와 순허수의 정의 방식, 셋째는 복소수의 사칙 연산, 넷째는 복소수의 연산에 관한 성질에서의 대소 관계와 역원의 표현 방법, 마지막으로 대수적 구조의 보존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 관점으로 살펴본 위의 5가지 대상에 관한 교과서의 서술방식은 논리적 정확성의 문제와 순환논리의 오류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고, 연구자가 일부 논리적 비약(gap)으로 판단한 것이 있는데, 이는 오류가 아닐 수는 있으나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에 있어 논리적으로 전후가 맞지 않는 전개 과정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담화 공동체 관점에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박규준(Park Gyu-jun) 우리말글학회 2010 우리말 글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es and problems of thewriti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and to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order to overcome those problems. In terms of the discourse community, the scope of the writi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covers both the logical writing as a member of social discourse community and the knowledge-producing writing as a member of university discourse community. In the integra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writi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firstly, the term 'integration' indicates the integration between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with focusing on writing as the integration of the linguistic elements. Secondly, the term indicates the integration between the text(structuralism) and socio-cultural context (social constructivism) with th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the writing activities (theories). Thirdly, the term indicates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subjects between the instructor and reader (listener) with focusing on the writer (speaker). Lastly, the term indicates the integration between the direct teaching method, conversational team learning, and the repetition and limitation learning with focusing on the practical learning method. The subject who integrates four of these indications is a learner(writer). The aim of this integra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is the writing and the making new knowledge products with the results. From this integrational point of view, this paper suggests 'University Writing Based on Eleven-Level' as a model for the integra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model consists of four parts; the context(social / university discourse community), the subject(learner, instructor), process(learning / teaching process), and the scope (thinking, reading, writing, speaking/listening, and instructing area). And each of the eleven levels is composed of the elements which are integrationally and organizationally unified from four parts. The learner who repeatedly acquired the process of each level performs the whole eleven levels independently and subjectively and finally enables to produce a piece of new knowledge creation.

      • KCI등재후보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김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e detailed curriculum and teaching model of the writing class in the area of university education, focusing on writing based on field work. The field work is interpreted to a methodology of qualitative field research academically. The term is adopted to a broader concept, meaning to all type of work on the ground in this articl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a interview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ethnography. The intended purpose is to argue and persuade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agent of university education has to design a teaching-learning program of writing based on a interview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ethnography. This writing program doesn't mean simple performing of a field work itself. The writing subject might reflect on his identity and social position by meeting another one in social community, has differences from him, through a interview or a participant observation. So he is able to have a new angle on the social problems and to make a writing academically and logically concerning the social problem. The writing is very creative and successful, because of depending on his own view and logic. The program intend to actualize both a writing to learn and a writing to live through writing activity. The program makes writing subjects to seek their own viewpoints of social problems and to criticize the problems on the views. The writing subject can take a writing activity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writing-system immersed in formalization and this program is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writing-education. The most of all, this writing program enables the writing subject to perform 'care of the self'(by Michel Foucault) socially, not privately. 본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 현장 활동을 도입하여 학습 주체로 하여금 실사구시적 태도로 글쓰기에 임하게 하는 동시에 자기 논리를 좀더 치밀하게 구성할 수 있게 만드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조사 활동, 곧 리서치(research)는 문헌 자료 수집과 현장 활동으로 나뉘는데 현장 활동은 현지조사 활동(field work)으로 불리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 현장 활동은 현장에 기초한 답사와 설문 등 을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활용된다. 이 글에서 도입하는 현장 활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질적 현장 연구(qualitative field research)의 핵심적인 두 영역을 구성하는 인터뷰(interview)와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이다. 논리적인 글쓰기 과정을 ‘문제 발견과 주제 구성→개념/가설/전제의 구성과 점검→조사 활동의 설계와 실행→자료 분석과 해석→글쓰기’의 과정으로 가설할 때 현장 활동은 주제 및 논거 구성을 위한 조사 활동과 자료 분석의 전 과정에 개입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 주체는 자신의 시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자기 논리로 전개해나가는 경험을 갖게 된다. 현장 활동은 조사 주체로서 필자의 역량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현지에서의 만남과 관찰, 경험을 통해 조사자인 필자 스스로가 성장해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효과가 높다. 현장 활동을 도입한 글쓰기 활동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대학 교육 과정이 요구하는 쓰기 능력 향상에 두는 한편 인문 교양의 증진과 비판적 사고 및 성찰 역량 확대에 두고자 할 때, 글쓰기 강의를 ‘학술적 글쓰기’와 ‘기타 글쓰기’로 양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한편 글쓰기 교육의 실용적 목표를 단순히 쓰기 능력 신장에 한정하지 않으면서 해석적 관점의 성숙과 논리적 전개력,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 및 사회적 비판력 제고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 조사의 ‘현장’이 필자가 속한 사회적 장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은 필자의 존재 기반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맥락에 대한 탐색이자 사회적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일 수밖에 없다. 또한 조사자로서 현장에 참여하는 가운데 일정한 비평적 거리를 유지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글쓰기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대학 글쓰기 교육이 편협한 실용을 넘어 명실상부한 인문학적 교양 교육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