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정신병질 하위집단에 따른 인지 및 정서의 차별적 특징

        권채은,신희천,원성두,김은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과 불안 수준에 따른 정신병질의 하위집단들의 인지적 및 정서적 차별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일반 중고등학생 611명을 대상으로 정신병질 성향의 집단을 구성하기 위해 냉담무정서 특질 척도(K-ICU), 특성불안 척도(TAS)를 실시하였다. 정신병질 성향의 집단으로 일차적 냉담무정서 집단(고냉담/저불안)과 이차적 냉담무정서 집단(고냉담/고불안)을, 비교 집단으로 저냉담/저불안 집단과 저냉담/고불안 집단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집단들의 인지적 및 정서적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부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K-CATS), 자기본위적 인지 왜곡 척도(HIT-Q), 정적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 정서 강도 척도(AIM)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병질 성향의 고 냉담무정서 집단들은 자기본위적 인지 왜곡에서 저 냉담무정서 집단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정적으로 일차적 냉담무정서 집단은 긍정 정서뿐만 아니라 부정 정서 빈도 및 강도에서 다른 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가장 제한적으로 정서를 경험함이 시사된다. 반면 이차적 냉담무정서 집단과 일차적 냉담무정서 집단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부정 정서 경험의 빈도 및 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정신병질 성향의 두 집단은 인지적으로, 정서적으로 구별된 특성을 보유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청소년 정신병질 성향에 대한 개입 시 하위집단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지 및 정서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을 적용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이와 함께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함의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냉담-무정서 특질과 정서 반응성

        정병종,문장원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2

        냉담-무정서 특질은 청소년의 낮은 정서적 반응성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전 연구는 주로 부정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성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긍정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성이 또한 영향을 받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현재의 연구 결과는 냉담-무정서 특질이 청소년의 부정적인 자극과 긍정적인 자극에 대한 정서적 반응성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품행장애의 대표적인 특질 주의 하나로 밝혀지고 있는 냉담-무정서 특질과 정서 반응성과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품행장애의 특성, 냉담-무정서 특질과 품행 문제, 냉담-무정서 특질과 정서 반응성과의 관계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품행장애의 관리 및 지도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현재까지 수행된 냉담-무정서 특질과 정서 반응성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긍정적인 자극과 부정적인 자극 모두에 대해 정서 반응성을 낮추는 것과 차원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부정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상황에 대한 참여와 반응의 부족은 냉담-무정서 특질 및 관련 결과에 연관될 수 있다. 둘째, 냉담-무정서 특질과 정서적 반응성 사이의 관계가 발달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냉담-무정서 특질 수준이 높은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중재방법을 구안하는데 있어 중요할 수 있다.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의 조절효과

        송유정,이소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arent- adolescent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bullying behaviors. The subjects comprised 296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Busan. The students responded to a number of surveys; the Inventory of Callous-Unemotional Traits(ICU),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strument(PRI) and the Peer Victimiz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graphical analysis and simple slop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callous-unemotional trai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bullying behaviors. Second, only a mother-male adolescent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adolescents’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bullying behaviors.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mother-male adolescent relationship was high, the effect of male adolescents’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bullying behaviors was alleviated. This aspect was more prominent when the level of male adolescents’ callous-unemotional traits was low.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aking into account the parent- adolescent relationship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allous- unemotional traits and their bullying behaviors. Therefore, programs which recognize gender differences and improve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may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bullying behaviors, and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the parent- adolescent relationship in addition to callous-unemotional traits. 본 연구에서는 남녀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부산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4곳에 재학 중인 청소년 1, 2, 3학년 296명을 대상으로 냉담-무정서 특질 척도(ICU), 부모-자녀관계 척도, 학교폭력 가해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 관계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 기울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녀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자 청소년과 모-자녀관계의 조절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남자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인 경우 그 영향이 완화되었고, 이러한 양상은 냉담-무정서 특질의 정도가 낮은 경우에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냉담-무정서 특질과 부모-자녀관계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남자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를 모-자녀관계가 조절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차를 인지하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하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인 냉담-무정서 특질과 더불어 부모-자녀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 KCI등재

        냉담-무정서 특질이 여자 청소년의 외현화 및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모 모니터링의 단기종단 매개효과

        이주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4

        This study examined an effect of callous-unemotional(CU) trait and short-term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on externalizing and conduct problems of female adolescents. A total of 164 grade 7 and 8 students from a female middle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callous-unemotional trait and problem behavior were measured at time 1(T1) and parental monitoring and problem behavior were measured at time 2(T2), one year later,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When T1 externalizing problem was controlled, T1 CU trait significantly predicted T2 externalizing problem only through mediation effect of T2 parental monitoring. However, when T1 conduct problem was controlled, not only T1 CU trait directly predicted T2 conduct problems, but also indirectly predicted T2 conduct problems by mediation effect of T2 parental monitoring. High CU trait affects a decrease of parental monitoring, and a subsequent increase of externalizing and conduct problems of female adolescents is mediated by parental monito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externalizing and conduct problems of female adolescents focusing on their CU traits and a change in parental monitoring.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들의 외현화 문제와 품행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냉담-무정서 특질의 영향과 부모 모니터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년 간격의 단기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여자중학교 1, 2학년 학생 1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시기(T1)에 냉담-무정서 특질과 문제행동, 2차 시기(T2)에 부모 모니터링과 문제행동을 자기보고식으로 평가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T1의 외현화 문제를 통제했을 때, T1의 냉담-무정서 특질은 T2의 부모 모니터링을 매개로 T2의 외현화 문제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한편, T1의 품행문제를 통제했을 때, T1의 냉담-무정서 특질은 T2의 품행문제를 직접적으로 예측했을 뿐만 아니라 T2의 부모 모니터링을 매개로도 T2의 품행문제를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즉, 냉담-무정서 특질이 높을수록 부모 모니터링이 감소하고, 부모 모니터링을 매개로 여자 청소년들의 외현화 문제와 품행문제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품행문제에 대한 냉담-무정서 특질의 기질적 취약성과 여자 청소년들의 외현화 문제와 품행문제 발달에 기여하는 부모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보여줌으로써 치료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오승은(吳承恩),이승연(李承燕)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중학생 남녀 집단에서 마음읽기와 또래괴롭힘 직접적 가해, 간접적 가해, 방어행동 간의 관계가 냉담-무정서 특성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6개 중학교 1-3학년 539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마음읽기는 가해 및 방어행동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 냉담-무정서 특성이 강할수록 직접적 가해는 많이, 방어행동은 적게 보였으며, 여학생은 간접적 가해도 많이 보였다. 한편, 남녀 모두 냉담-무정서 특성이 강할 경우 마음읽기 능력이 좋을수록 직접적 가해를 더 많이 보였으나, 냉담-무정서 특성이 약할 경우 여학생의 마음읽기 능력은 증가된 방어행동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가 희박한 냉담-무정서 특성에 주목하고, 마음읽기와 또래괴롭힘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냉담-무정서 특성의 조절효과를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남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allous-unemotional(CU) traits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theory of mind(ToM) and direct/indirect bullying or defending behaviors. For this research, the self-report data of 53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gender, ToM predicted neither bullying nor defending. However, CU traits predicted direct bullying positively and defending behaviors negatively. Only among girls, CU traits also positively predicted indirect bullying. Above all, CU traits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ToM and direct bullying among both boys and girls, and between ToM and defending behaviors among girls. ToM led to more direct bullying only in the high level of CU traits. In addition, girls" ToM led to more defending behaviors only when their CU traits were weak.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and the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냉담-무정서(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문경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냉담-무정서(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냉담-무정서(CU)특질을 지닌 청 소년들이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여 이들이 학교 및 가정에서 올바르 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고 문제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에 대한 구체적 인 지도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된 조사는 서울시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3월2일~30일 까지 481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 조사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88로 높은 신 뢰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이 지각한 냉담-무정서(CU)특질은 문제행동과 정적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냉담-무정서(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 접 효과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냉담-무정서(CU)특질 내 하위요소들 중 특히, 냉담성은 문제행동의 하위요소인 비행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allous-unemotional(CU)traits, and problem behavio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dolescents with high Callous-unemotional(CU)traits characteristics can identify the path leading to problem behavior, support them to adjust properly at school and at home, and use it as basic data to prepare specific guidance plans for teenagers who show problem behavior. 481 copi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3 to 20, 2020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are related to this researcher. As a result of the survey, Cronbach's α value was .88, showing high reliability.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s,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main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allous-unemotional(CU)trai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and in this process, the direct effects of Callous-unemotional(CU)traits on problem behaviors were relatively greater.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coldnes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delinquency, which is a sub-elements of problem behavior, especially among the sub-elements of Callous-unemotional(CU) traits.

      • KCI등재

        ‘냉담 교우’를 위한 영성적 제안

        김기화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1 가톨릭신학 Vol.0 No.19

        본 논문은 여러 교구와 연구소에서 수십 년 동안 한국천주교회의 ‘냉담교우’에 대한 현실 진단과 개선안을 마련했는데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갈수록 풀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는 이유를 밝히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썼다. 방법은 이미 연구 발표된 ‘냉담교우’에 대한 자료 영성 신학적 관점에서 다시 분석하고 재해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냉담 교우’가 성당에 나오도록 이끄는 것뿐만 아니라 어떻게 성덕에 도달할 수 있을까 영성적 제안을 하였다. 본 논문에 제시된 구체적이고 새로운 제안은 ‘냉담교우’의 올바른 계산법을 제시하였고, 또한 현실적으로 신자들을 도움을 주는 판공성사의 방법과 본당 주일미사 불참자를 위한 사목적 배려가 담겨 있다. The thesis was written to find a solution and in search for the reason why ‘not practicing’ must be the matter still remains unsolved. Although in Korean several diocese with some research laboratories have arranged a diagnosis and a reform measure about the ‘not practicing’ but as a matter of fact it remains continuously an unsolved problem for scores of years. By methods I combine to analyze and construe the announced data about the ‘not practicing’ through a spiritual theology. The object of this study shall be not only to return to the church but also to propose the spiritual way how reach the saint’s virtues. I propose more specific and a new method for calculating the ‘not practicing.’ Also I suggest the right way of confession for a practical assistance to the parishioners. It has the meaning of regard to the people who can’t go to Mass.

      • KCI등재

        소년원생의 학대적 양육경험과 냉담-무정서 특질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경랑,정현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parental abusive parenting on delinquency by mediating juvenile offenders’callous-unemotional trai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8 juvenile offenders in D cit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ive parenting affected children's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delinquency and the callous-unemotional traits also affects delinquency. Second, parental abusive parenting affected juvenile delinquency by partial mediating callous- unemotional trait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delinquenc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lowering delinquency found to be significant. Forth,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abusive parenting on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the callous-unemotional tra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delinquency, it is neccessary to strengthen protective factors and make efforts create a positive parent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소년원에 재원중인 보호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가 냉담-무정서 특질을 매개하여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완충해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의 소년원생 198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 냉담-무정서 특질, 청소년 비행 경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냉담-무정서 특질과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냉담-무정서 특질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는 냉담-무정서 특질을 부분매개하여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냉담-무정서 특질과 비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비행을 조절하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비행의 발달경로를 이해하고 나아가 비행의 예방과 개입을 위해서는 보호요인의 강화와 함께 긍정적인 부모 양육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냉담-무정서 특질이 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

        전세진,이주영 한국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allous-unemotional traits(CU) on juvenile crime and explore additional effects of parenting and socioeconomic status on juvenile crime. A total of 103 juvenile probationer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t 3 probation offices in Seoul, and a total of 123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Seoul and Gyeongg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uvenile crime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uncaring subscale of CU, lower parent's education and lower economic level than normal group. Second, in both groups, uncaring subscale of CU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ent’s acceptance and daily monitoring. Third, in logistic regression, uncaring subscale of CU and low economic level significantly predicted juvenile crime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uncaring characteristic of CU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pot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juvenile crime. 본 연구는 냉담-무정서 특질의 하위요인인 냉담성, 부주의/무신경, 감정표현결여와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가 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서울 소재 보호관찰소에서 만 15∼17세의 소년법 위반 청소년 103명, 2018년 7월에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123명의 자기보고식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범죄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범죄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냉담-무정서 특질의 부주의/무신경이 더 높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더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냉담-무정서 특질 중 유일하게 부주의/무신경이 부모의 수용, 일상생활 모니터링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부주의/무신경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소년범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냉담-무정서 특질이 높은 청소년은 범죄 유무와 상관없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적게 지각함을 보여주며, 부주의/무신경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소년범죄의 발생에 기여하는 잠재적 요인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정서조절 전략이 이차 냉담-무정서 특질 집단의 정서 및 생리 반응성과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혜선,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이차 냉담-무정서 특질 집단의 정서 반응성(자기보고식, 생리적 측정치)을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이 효과적으로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냉담-무정서 특질과 불안 수준을 토대로 이차 냉담-무정서 특질 집단을 선발하여 인지적 재평가 집단과 통제 집단에 배정하였다. 인지적 재평가 집단은 공포 정서 유도 영상을 3인칭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시청하도록 했고, 통제 집단은 어떤 정서조절 전략도 사용하지 않은 채 영상을 시청하도록 했다. 모든 집단은 처치 전과 후에 PANAS, VAS, 피부전도반응을 측정했고,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에도 피부전도반응을 측정했으며, 영상 시청 후에는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정서 반응성의 자기보고식 측정치(PANAS-N과 VAS)와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리적 측정치(피부전도반응)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했다. 따라서 이차 냉담-무정서 특질 집단은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통해 생리적 정서 반응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나, 이 효과가 자기보고식 측정치와 공감 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제언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individuals with secondary callous-unemotional traits effectively regulate emotional reactivity us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secondary callous-unemotional traits group wa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cognitive reapprais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The cognitive reappraisal group was asked to regulate their emotion by taking an objective, third-person point of view of the fear-inducing video. Self-report and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manipulation, with skin conductance also measured during video viewing. Emotional and cognitive empathy were measured after video viewing.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physiological measures. Therefore, individuals in the secondary callous-unemotional traits group can effectively regulate emotional reactivity at the physiological level through adaptive strateg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