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러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상호작용적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권수경,김주연,이종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디자인 설계를 하나의 텍스트로 본다면, 텍스트라는 설계안을 풀어 가는 데 있어서 이야기는 단순히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체계라기 보다 그림이라는 표현방법과 부수적 감각수단들과 결합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야기는 그 안에 담겨있는 공간을 만들어내고 서술구조로 관계 맺은 내러티브는 다양한 풍경으로 제시될 것이다. 즉 각 공간에서의 내러티브 표현형식의 매체는 다르지만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내러티브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가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고, 이는 여러 가지 형식변형을 통해 새로운 개념의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며, 새로운 공간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공간의 차별화는 내러티브의 서술 즉 대부분의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와 디자인이 결합한 내러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상호작용적 공간특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그 공간만의 내러티브를 통한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If we see the design as a text, a story is used being combined with descriptive methods of drawing and supplementary sensitive methods rather than lingual system that are simply described with characters. A story creates space and the narrative is suggested with variety of landscapes. Even though the medium of descriptive type of narrative at each space is different, the common characteristics are that the user enters into the story by variety of interactions creating new concept of narrative through many types of conversion and experiencing new space. The differentiation of space could be developed into competitive space that enables subjective and sensi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space with continual study on the interactive space characteristics that is applied with narrative design combined with story and design which most of people can accept.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내러티브 케어 토대로서 Bruner의 내러티브 발달이론 탐구

        윤지원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2

        As a cornerstone study on the narrative care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narrative ca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implementing it. To this end, the concept of narrative was first examined, and it was derived that narrative competence and language were closely related. Chomsky’s theory(Language Acquisition Device,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Bakhtin’s Dialogic theory and Bruner’s Language Acquisition Assistant System, which synthesizes them, were considered. Bruner accepted both the innate and interactive perspectives of language, and in connection with the narrative, explained the occurrence of narratives with an endogenous approach and plight-modeling approach, and proposed thought mode of narrative as a concept contrasting with the thought mode of paradigm. Based on Bruner's narrative theory and the lexical meaning of care, the concept of narrative care as ‘educational care’ and ‘educational management’ was presented. In order to implement narrative ca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cal development is the most prominent,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a ‘The observer of classroom narrative’ based on educational care, ‘The operator of narrative curriculum of classroom’ based on educational management, and ‘The narrative inquirer on classroom’ who conducts a narrative inquiry consisting of reflection and practice, is presented so that care and management can work well.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케어에 대한 초석 연구로서 내러티브의 발달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가를 탐구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내러티브 케어의 필요성과 이를 실행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내러티브의 개념을 고찰하고, 내러티브 능력과 언어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언어발달에 대한 상반된 관점인 Chomsky의 언어습득장치(LAD), 변형생성문법과 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 그리고 이를 종합하는 Bruner의 언어습득보조기제(LASS)를 고찰하였다. Bruner는 언어의 생득적 관점과 상호작용적 관점 모두를 수용하였고 이를 내러티브와 연계하여 내생적 접근과 입장모형화 접근으로 내러티브의 발생을 설명함과 동시에 패러다임 사고 양식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내러티브 사고 양식을 제안하였다.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과 케어의 사전적 의미를 바탕으로 교육적 돌봄과 교육적 관리로서 내러티브 케어 개념을 제시하였다. 인지적, 정의적, 신체적 발달이 가장 두드러지는 초등학생을 위한 내러티브 케어를 실현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을 교육적 돌봄에 근거한 ‘학급 내러티브 관찰자’와 교육적 관리에 근거한 ‘학급 내러티브 교육과정 운영자’, 그리고 교육적 돌봄과 관리가 잘 작동될 수 있도록 반성과 실천으로 이루어진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는 ‘학급 내러티브 탐구자’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염지숙,김아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번역 과정에서 관계적 존재론에 기반을 둔 협력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로 살펴봄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의 핵심인 관계와 협력을 가시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퍼즐은 다음과 같다. 1.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과정에서 관계적 윤리에 기반을 둔 협력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2.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은 내러티브 탐구자로서의 우리 삶을 어떻게 형성해왔는가? 이 연구의 연구자이자 참여자인 우리가 번역 작업 중 경험한 협력은 서로에 대한, 그리고 더 큰 학문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헌신, 새로운 함께 되기를 위한 토대로서의 상상력, 저자들과 그 주변인물, 책 속의 이론가들과의 연결과 재연결을 통한 관계적 지식의 습득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협력적 내러티브 탐구자-되기로서의 살아 가고자하는 이야기(stories to live by)를 구축해갔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관계와 협력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자들이 관계적 내러티브 탐구를 실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used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how collaboration based on a relational ontology occurred during the translation of 《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in order to make visible the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at the hear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puzzles are as follows. 1. How did collaboration based on a relational ethics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2. How has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shaped our lives as narrative inquirers? As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collaboration we experienced during the translation work was characterized by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to each other and to the larger academic community; imagination as a foundation for new ways of a becoming; the acquisition of relational knowledge through connections and reconnections with the authors, and the theorists in the book. In this process, we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our stories to live by as becoming collaborative narrative inquir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in narrative inquiry, and finally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relational narrative inquiry by narrative inquirers.

      • KCI등재

        내러티브를 통해 본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치료-프로이트의 엠마(Emma) 치료를 중심으로-

        이민용 ( Lee Min-y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5 No.-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고 내러티브를 활용한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학은 2가지 측면에서 내러티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정신분석 활동은 형식적으로 정신분석가와 환자 사이에서 내러티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치료적 내용에서 보아 정신분석은 내러티브를 통해 진단하고 치료한다. 프로이트도 자신의 치료행위가 내러티브의 성격을 지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내러티브에 관한 학문은 서사학이다. 그래서 서사학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를 잘 분석할 수 있고, 이른 통해 정신분석학에도 잘 접근할 수 있다. 서사학이 성립하기 이전에 서사학을 의식하지 않고 이루어졌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활동을 서사학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생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서 우리는 거기에 이미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고, 내러티브 치료의 2가지 방향인 감성적 내러티브 치료와 인지적 내러티브가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 사례를 통해서는 정신분석이 내러티브 치료일 수 있는 이유를 잘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가 진술한 내러티브에서 스토리의 틈새를 찾아 이를 메울 새로운 내러티브를 자유연상을 통해 발굴하고 이로써 내러티브의 틈새를 연결하여 완전한 내러티브를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스토리의 단절과 스토리의 잘못된 디스코스(discourse), 그리고 스토리의 오접속과 착종이 심리적 문제의 원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심리적 문제의 해결에서는 스토리의 요소와 디스코스의 요소들을 치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sycho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narratology, and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sycho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in two aspects. Firstly, psychoanalyst and patient in psychoanalysis give and take their narratives each other. Secondly, in view of treatment, psychoanalyst can assess and treat his patient by means of therapeutic narratives. Sigmund Freud recognized that his psychoanalysis has the character of narrative. We can explore narratives, and make an approach the psychoanalysis efficiently in view of the narratology, because the narratology is the study of narratives. The paper points out two aspects of narrative therapy, the emotional aspects and the cognitive aspects in Freud`s Studies on Histeria. In cognitive narrative therapy, psychoanalyst should find out the disconnections of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and, try to draw the stori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mong them. Narrative therapy can be accomplished by the complete association of the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In this regard, the most valuable points are to make use of the components of story and discourse in narratives.

      • 내러티브의 유아교육적 함의

        노영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유아교육에서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를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를 위해 우선 내러티브의 개념과 가치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적 의미 표상 차원, 공동의 의미 구성 차원, 그리고 유아교수접근방법 차원에서 내러티브의 유아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개인적 의미 표상 차원에서 내러티브는 유아의 자아 구성과 관련이 있으며, 부모 또는 교사가 유아의 일상적 경험에 대해 대화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점을 논하였다. 공동의 의미 구성 차원에서는 교사 또는 유아 또래간의 상호작용적 내러티브 대화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유아들은 함께 놀이하는 과정에서 놀이 내러티브를 통해 일상적 생활 경험이야기, 상상적 이야기를 만들고 재현한다. 또한 유아들의 상호작용적 내러티브 대화에는 세계에 대한 추론 과정이 드러난다. 이는 유아교사가 유아들을 이해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큰 시사점을 준다. 내러티브의 유아교수접근적 함의로는 유아교육이 지향하는 통합교육과정과 일맥상통하는 점을 논하였다. 내러티브는 통합교육과정의 틀로서, 교육내용 또는 문화 콘텐츠로서, 교수-학습의 방식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는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통합교육과정의 실천 과정에서 특히 유아들이 만드는 내러티브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consolidating the concept and values of narrative, implications of the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of young children have to attend and try to understand the child's narratives because those are representations of one's mind. Second, peers and teacher-child narrative interactions should be taken a big place in young children's class activities because children's play narratives from the interactions show many features of children's life, experience, inference, etc. Third, various forms of narratives are useful for child-centered educational approach because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come in touch with integrated curriculum.

      • KCI등재

        영화 배경공간의 비주얼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김정환(Jeung Hw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영화에서의 내러티브 요소들 중 특히 시각을 통해 관객에게 인지되는 정보는 모든 매체에서 가장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장치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에서의 시각적 정보 중 가장 많은 시간동안 표현되어지고 모든 장면의 배경이 되는 배경공간과 내러티브를 연계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배경공간이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써 담당하고 있는 내러티브 측면에서의 역할과 비중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통해 영화 배경 공간의 디자인 요소와 연출 방법론을 정의함으로써 프리프로덕션에서 포스트프로덕션에 이르는 배경 공간연출 프로세스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써 참고문헌을 통해 비주얼 내러티브의 역할과 비중을 살펴보고, 문자언어 중심의 내러티브에 대한 비주얼 내러티브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상위적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일반적 개념의 내러티브와 영화 내러티브의 차이점과 영화 내러티브의 구성형식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영화를 구성하는 요소로써 배경 공간이 담당하는 비중과 배경공간이 담당하는 내러티브를 이론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본 논문의 텍스트인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의 다차원적인 분석을 통해 이론연구를 통해 파악하지 못한 배경 공간에 대한 실제적 디자인 방법론과 내러티브 관점에서의 배경공간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의 디자인 과정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한 결과, 배경공간 연출자들이 반복하여 언급하고 있는 디자인에서의 주안점 중 효과적인 내러티브를 위해 필요한 디자인 키워드는·건축물과 실내공간의 디자인(architectural exterior & interior design)·색채계획(color scheme)·시간의 표현 (expression of time passes)·빛의 표현 (expression of lightings)·분위기 연출 (creating mood & atmosphere)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들 항목들을 실제 배경공간사례에 대입하여 내러티브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끝으로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에서 내러티브와 연관성을 지닌 12장면을 선정하여 내러티브 측면에서의 기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내러티브 측면에서 영화의 배경공간이 수행하는 역할과 유형을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명시적 공간(demonstrative space)·부연적 공간 (expository space)·암시적 공간(connotational space)·징후적 공간(symptomatic Space) Among the many narrative elements in movies, visual cues are the most accurate and convincing method for audiences to gain information. Despite this fact, research into visual backgrounds, which are on-screen for the longest period of time and are instrumental to all scenes, and how they affect narratives are lacking. As such, this study strived to present theoretical grounds for directing the process of background space from pre-production to post-production by two measures: one is objectively examin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background space in the narrative viewpoint, which works as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udiences; and second is by defining design elements of movie background space and directing methodologies through examination. To this end, the roles and importance of visual narratives through reference literature were examined. In addition, detailed characteristics of visual narratives, especially regarding letter-based narratives were contemplated.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oncept narratives-considered a higher-level concept-and movie narratives was inspected and the composition form of movie narratives was also inspected. These investigation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space as an element of movie composition and narrative and suggested that background space leads theoretical viewpoint. Finally, practical design methodologies about background space and the role of background space in the narrative viewpoint were investigat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nalyses of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To date, these items have not yet been grasped through theoretical reviews. From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the design process of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the necessary design keywords for effective narratives among all other emphasis in design which are repetitively mentioned by the background space producers were found to be the following: Architectural Exterior & Interior Design, Color Scheme, Expression of time passes, Expression of Lightings, and Creating mood & Atmosphere. Thus, these items were examined from the narrative viewpoint by applying them to actual background space examples. Finally, the narrative functions of 12 scenes from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that correlate to narratives were analyzed. This study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background space plays specific roles in the narrative viewpoint of movies based on the following types of space: demonstrative, expository, connotational, and symptomatic.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가치와 성격에 대한 철학적 탐구

        서상문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교육에서 내러티브가 점유하고 있는 가치와 그 본원적 의미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내러티브는 교육을 비롯하여 다양한 학문과 삶의 영역에 주목을 받으며 일종의 새로운 양식과 유행, 대세와 같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내러티브는 종래의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해법에서 인간 그 자체로 회귀하여 인류 역사와 원초적인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인간 문명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우선적으로 내러티브 이론이 발아했던 철학과 미학, 그리고 문예비평 연구의 연역에서 내러티브의 주제가 어떻게 규명되고 있는지 철학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인간의 정체성이 내러티브적으로 구성됨을 밝힘으로써 교육의 이론을 재개념화하고 실천을 재구성하는데 기여한다. 이로써 내러티브에 기초한 교육은 근대적 교육관에 기반을 둔 이성적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내러티브 정체성에 기초하여 미학적이고 감성적이며 전 영역을 통합하고 총괄하는 다차원적인 교육의 인간상으로 구상되고 진정한의미에서 인간성의 회복을 도모함으로써 교육의 인간주의를 실현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hilosophical meaning about the value and nature of narrative in education. Nowadays there is a now a growing trend for researcher to search the importance of narrative in educational terrain. Ricoeur's interpretation of narrative receives special attention. Narrative identity is once again on the spotlight. In the vein of narrative unity, education and narrative have become popular. This study consists of philosophical meaning of narrative and narrative construction of human being.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philosophical meaning of narrative play a key role on re-conceptualizing educational theory and re-understanding human nature. Now education as discipline and practical area of study should pay attention to narrative and making stories.

      • KCI등재

        ‘내러티브 페다고지’ 정립을 위한 試論的 연구 : 생애사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장사형(Sha-Hyung Ch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에서 교육학적 만남의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즉 한 개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적 연구로서의 생애사 연구가 일정한 사회적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한 개인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이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적 주체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의 여러 가지 사회적인 현상이나 문화 속에서 계속적인 소통을 통해서 변화하고 성장해 나간다는 것에 주목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과정에서의 내러티브 만남이 이해와 학습을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천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생애사 연구과정에서 학습자가 형성하는 내러티브적 조망 안에서 이루어지는 만남은 학습으로 가는 또 하나의 의미 있는 길임을 확인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내러티브 교육학(narrative pedagogy)의 이론을 확립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할 주요 이슈들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spect of educational encounter within Narrative Research. The life history research as a narrative research of one’s personal life is not limited to overall understanding of personal life within specific social space, but to focus on transi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al self through continuing communication by social phenomenon and culture of the current era.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prove the narrative encounter of the life history research process being excavated as a development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composed encounter within the developed narrative viewpoint of life history research confirms a new path of learning, which ultimately will reveal the major issues which will play a primary role in establishing the theory of narrative pedagogy.

      • KCI등재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홍영숙(Hong, Young-Suk)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3

        본고는 Clandinin과 Connelly가 발전시켜 질적연구방법으로 정착시킨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에 대한 필자의 이론적 이해와 실제적 경험을 바탕으로 ‘내러티브 논문을 어떻게 쓸 것인가’의 관점에서 내러티브 탐구자에게 논문 작성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된 기고문이다. 내러티브 탐구의 본질적 목적인 ‘개별 인간 경험의 이해’는 탐구의 처음부터 끝까지 연구자가 명심해야 하는 요소임을 강조하였고, 내러티브 논문을 구성하는 각 항목 별로 작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지원과 더불어 빈번히 발생하는 항목별 글쓰기 오류와 작성 시 주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본고가 인간 이해에 관심을 가지고 내러티브 탐구를 시작하는 연구자들에게 힘과 도움이 되기를 기원하며, 성숙한 내러티브 탐구자로 거듭나서 좋은 내러티브 논문의 생산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as an academic contribution, was written to provide ‘a guide for how to write a narrative thesis’ to narrative inquirers from my experience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bout Narrative Inquiry, which was developed and founded by Clandinin and Connelly. It was highlighted that each narrative inquirer should keep in mind the essential goal of narrative inquiry, ‘understanding experiences of individuals’, during whole process of research. It was mainly suggested guides for how to write each chapters with theoretical support, frequently occurred errors, and 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I hope that this article could be a positive support and help for narrative inquirers who have concerns for understanding human beings, so that they could produce good narrative theses as mature narrative inquirers.

      • KCI등재

        내러티브 노년교육학의 이론적 기반과 주요 주제 탐색

        한일조(Ill-Jo Ha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노년학 연구에서 새로 등장하고 있는 내러티브 노년교육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그 이론적 기반이 되는 내러티브 노년학이 갖는 사회노년학의 이론 유형상의 위치와 그 개념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적용 성과로서의 탐구 주제들을 확인하려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러티브 노년학은 이론으로서보다는 발견적 탐구방식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이론유형상의 뚜렷한 위치를 지정하기는 힘들며, 그 특성으로서의 내러티브 접근의 적용은 특히 삶의 정리단계에 와 있는 노년기 사람들에게 ‘일관된 삶의 의미’를 강조하는 데서 그 의의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노년의 삶과 고령화의 ‘주관적 차원’을 해명하려는 내러티브 노년학은 내러티브 노년교육학의 이론적 기반으로 작용하여, ‘내러티브 지능’, ‘전환학습’ 등의 성과들을 산출함으로써 노인교육을 돕기 위한 체계적 탐구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in the field of gerontology,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approach is a recent phenomenon. The heuristic of narrative, despite its wide use in gerontology, is still unfamiliar to educational gerontologists.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basic features of narrative approach in social gerontology, and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practical subfield education. Although the narrative gerontology is restrained in its extension as a major theory, for its start as a heuristic, its main merits for being able to reach to the subjective side of human meanings, open a new possibility for educational gerontology, introducing some interesting subject matters such as ‘narrative intelligence’ and ‘transformative learning’ by way of restor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