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향신문을 통해 본 남북한 충돌의 양상과 그 유형

        박형준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0 한국군사학논집 Vol.76 No.3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major provoc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tterns and types of inter-Korean military conflicts that have occurred over the past 70 years by collecting cases of inter-Korean military conflicts reported in the 『Kyunghyang Shinmu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mpiling military conflict incidents by year, the year in which military conflicts occurred most frequentl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as in 1968, and there was a tendency to occur concentrated in the late 1950s and 1960s. Second, as a result of the total status of each campaign, about 80% of all military conflict incidents occurred in land areas (1,799 case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ype, the type of military conflict that occurred most frequently was ‘military capture or injury (including spy capture)’, and the second priority was ‘military death’ that occurred during infiltration engagement. Of particular note is that out of the total of 1,139 cases of these two types, espionage-related cas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914 cases. As such, South and North Korea are fighting a “small war” at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that makes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colorless, and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a “gun powder store” where tensions cannot be released. 본 연구는『경향신문』에 보도된 남북군사충돌 사례를 수집하여 지난 70여 년간 발생한 남북군사충돌의 양상과 그 유형 분석을 통해 북한의 주요 도발의 특징과 그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분단 이후 전쟁 기간을 제외한 2019년까지의 『경향신문』을 전수조사하여, 군사충돌 사례를 수집하고 그 양상 및 주요 특징을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있는 결과들이 도출됐다. 첫째, 연도별 군사충돌 사건을 집계한 결과, 남북 간 군사충돌이 가장 많이 발생했던 연도는 1968년이었으며, 1950년대 후반, 1960년대 집중되어 발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후 점차적으로 군사충돌이 감소하는 추세가 보여졌으며, 1990년대 중반 북한의 ‘고난의 행군’시기에 약간의 증가세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는 체제 결속을 위한 북한 군부의 의도적 도발과 관련지어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전역별 현황을 집계한 결과, 대부분의 군사충돌 사건이 육상 지역(1,799건)에서 발생했다는 점이다. 이는 전체 발생 건수의 약 80%일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군사충돌 사건이 육상 지역에서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셋째, 유형별 분석의 결과로, 정전협정 위반사건 기사 가운데 가장 많이 보도된 사건은 ‘군인 생포 또는 부상(간첩 생포 포함)’과 관련한 사건이었으며, 2순위는 침투교전 중에 발생한 ’군인사망‘ 사건이었다. 특히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두 유형의 합계 1,139건 중 간첩 관련 사건이 914건이나 될 정도로 군사충돌사건의 대부분이 간첩침투와 연관이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남북은 군사분계선에서 정전협정 체결이 무색할 정도의 ‘작은 전쟁’을 치러 오고 있으며, 한반도는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화약고’가 되었다.

      • KCI등재

        『동아일보』, 『경향신문』과 『로동신문』으로 바라보는 남북한 DMZ 군사충돌

        이창희 ( Lee Chang Hi ),김용현 ( Kim Yong Hyu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7 북한학연구 Vol.13 No.1

        70년 이상 지속되어온 한반도 분단 갈등은 숙적관계의 장기갈등 성격을 지닌다. 최고지도자들의 `상대방에 대한 적대적 인식`에 의한 제도화된 대결의지로 고착된 숙적관계로 인해 장기갈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고지도자들의 인식에서 나아가, 장기갈등의 구조 속에서 언론의 보도를 통해 형성되는 대중들의 `상대방에 대한 적대적 인식`에 주목한다. 따라서 한국전쟁기를 제외한 1945년 분단 이후 2015년까지 남북 군사충돌에 대한 동아일보, 경향신문과 노동신문 등 남과 북의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남한의 동아일보와 경향신문은 남북한 군사충돌에 대해서 `간첩`사건으로 많이 보도하면서 외부의 적과 연결된 내부의 적을 솎아내는 방식으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려 하였다. 북한의 노동신문은 남북한 군사충돌에 대해 `침략`사건으로 보도하면서 내부의 단결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국가적 정체성을 도모하였다. 1990년대 남북한 군사충돌이 현저히 감소됨에도 남과 북의 언론보도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 북한은 위기 속에서 체제유지를 위해 남북한 군사충돌 관련 보도를 늘렸고, 남한은 체제우월성을 선전하기 위해서 남북한 군사충돌 관련 보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남과 북의 언론보도가 대중들의 `상대방에 적대적 인식`을 고취시키고, 선거 등에서 보여지듯이 최고지도자들의 남북 경쟁전략 변화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부메랑` 효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 장기갈등의 해결에 있어 언론의 보도를 평화적 입장으로 전환시키는 노력도 매우 중요하다.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llustrates the South-North Korea`s mutual atmosphere of hostility and aggression, despite the best efforts called hostile-dependent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military clashes and hostile view and sentiment to both Koreas through the South-North Korea`s media such as the Nodong Shinmun, the Dong-A Daily News and the Kyunghyang Shinmun from 1945 to 2015. The South Korean media, the Dong-A Daily News and the Kyunghyang Shinmun, have been mainly focused on spy cases, which means that South Korea regards military clashes as spy cases that help South Korea reinforce a strong sense of national identity. One crucial factor is to define who is our main enemy in order to create a cohesive nati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North Korean media, the Nodong Shinmun that is the daily of Korean Worker`s Party(KWP), has been mainly focused on invasion cases, which means that North Korea regards military cases as military invasion for internal unity. What we would like to point out is that even though the military clashes were decreased in the 1990`s, the reports on military disputes were not decreased for the reasons that North Korea tried to use military clashes for the regime maintenance and South Korea tried to use them to show the superiority of it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We strongly believe that both Korea`s media helps their people to reinforce a sense of hostility, but it is undeniable that it could cause serious damages to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alled Boomerang Effec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both Koreas to report on the issues of military disputes accurately and responsibly for peace.

      • KCI등재

        남북 군사충돌 연구: 동아일보와 남한 정부문서를 중심으로

        박형준,이창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7 평화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uth-North Korea’s Military Disputes in the Dong-A Daily and South Korea government documents. This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a military disputes between North and Sou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jor statuses by year, region, and age, both data showed a similar pattern. The largest number of violations occurred in 1968, and the violations of the armistice in the 1960s increased sharply. Most of the violations of the Armistice Agreement occurred on land. On the other hand, Dong-A Daily reported most of the cases of ‘captured or injured soldier’ or 'spy' cases, while i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ocument, the ‘infiltration of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in the DMZ area accounts for as much as half of the total incidents. The Dong-A Daily emphasized anti-communism, emphasizing internal enemies, while the Ministry of Defense-oriented government document emphasized the vulnerability of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focusing on strengthening defense cap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일보」와 「남한 정부문서」에 나타난 남북 군사충돌 사건의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남북 간 군사충돌의 종합적 분석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도별・지역별・시대별 등 주요 현황을 살펴본 결과, 두 자료 모두 유사한 형태가 나타났다. 1968년에 가장 많은 정전협정 위반사건이 발생했고 1960년대 정전협정 위반사건이 급격히 증가 했으며, 이후 확연한 감소 추세가 나타났다. 또한 정전협정 위반사건의 대부분이 육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아일보에서는 ‘군인 생포 또는 부상’, 즉 ‘간첩’ 사건을 가장 많이 보도한 반면, 남한 정부문서에서는 DMZ 지역에서의 ‘군사분계선 침투’ 사건이 전체 사건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동아일보는 반공의식을 강조하면서 내부의 적을 적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반면, 국방부 중심의 정부문서는 국방력 강화에 초점을 두면서 군사분계선의 취약점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결정요인 비교연구

        윤인향(Inhyang Yoon)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5 국가와 정치 Vol.21 No.-

        탈냉전적 국제질서속에서 김대중 정부의 대북포용정책을 계승했다고 할 수 있는 노무현정부의 평화번영정책은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사업등을 통해 북한과의 교류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이 결과 북한에 일방적인 지원만 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으며 북한을 시장경제체제로의 개혁과 개방으로 이끌어내는데도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명박 정부는 노무현 정부의 평화정책을 백지화하고 상호주의에 입각한 대북강경정책을 추진했다. 그렇지만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도 군사적 충돌등 남북관계를 과거보다 더욱 악화시켰다는 지적이 많다.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본 연구는 남북관계가 탈냉전적 국제질서 변화와 상관없이 남한에서 어떠한 성격의 정부가 들어서느냐에 따라 갈등과 협력이 반복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James Rosnau의 외교정책 결정모델을 적용해서 두 정부의 그러한 외교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노무현 정부의 대북 정책 결정에는 개인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정부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이명박 정부는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정부적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In the world order of the post-cold war era,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Peace and Prosperity Policy toward North Korea was the continuation of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s engagement policy toward the North. Under this policy, The Roh administration put much effort to promote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projects such as the Mount Kumgang Tourism Zone and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Consequently, many criticize his policy, arguing it provided unreciprocated assistance to the North. It is also considered a failure since it could not induce North Korea to open and reform its economy towards a market econom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revoked the former president’s Peace and Prosperity Policy and took a hard-line policy towards North Korea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Yet, many point out that the policy of the Lee administration also aggrav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seen in the cases of military conflicts, etc. In this regard, this paper will look into why we see cooperation or conflict i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one after the other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government in South Korea, regardless of the changing world order of the post-cold war era. I used James Rosenau’s model of decision-making in foreign policy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of the two administrations which influenced their foreign policies. As a result, the research concluded that personal factor had the greatest impact on Roh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followed by governmental factor and social factor. Lee administration's policy was most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factor, followed by personal factor and governmental factor.

      • KCI등재

        DMZ 평화 창출을 위한 신기능주의적 접근

        박형준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18 동북아연구 Vol.33 No.2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igned the Armistice Agreement for the Korean War's truce and set up a demilitarized zone (DMZ) to prevent conflicts and surprises in 1953. However, under the division structure, the DMZ was heavily armed unlike its original purpose, and 876 cases of major violations of armistice agreements (military conflicts) caused serious human and material damage. Both sides' military clashes in the DMZ have worsened mutual distrust and conflict, hampering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refore, it is urgent to find a neo-functionalist approach to transform the DMZ into a peaceful space, so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can build sustainable peace. Nevertheless,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DMZ have not identified the crucial conditions of the peaceful use of the DMZ, and have not proposed a solution for building sustainable peace. It has been focused on how to use the DMZ peacefully without discussing some fundamentals of problem solving. At the same time,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focus on economic benefits, the mitigation of military tensions, the conservation of ecological resources and ecotourism by utilizing the DMZ's geopolitical advantages and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o-functionalist approach as a method for peaceful use of DMZ considering the problems raised above. This is because political and military problems reproduced and strengthened mutual hostility between the two Koreas and acted as an obstacle to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recent demolition and GP explosion in the DMZ can be a meaningful example supporting the neo-functionalist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