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낙관성이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

        하양명(Ha Yang Myeong),김희정(Kim Hee j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부모의 낙관성이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 의 낙관성과 자녀의 낙관성 사이에서 부모의 긍정적 강화와 부모-자녀 의사 소통 유형의 매개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 하고 학교장면에서 교사와 상담자의 개입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 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의 학생 352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 상으로 ‘부모와 자녀의 낙관성 척도’(LOT-R, YLOT), ‘부모의 긍정적 강화 척도’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Pearson 상관관계 분 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낙관성은 자녀의 낙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강화는 부모의 낙관성이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의 사소통 유형은 부모의 낙관성이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녀의 낙관성 증진을 위해서는 부모의 긍정적 강화와 부모-자 녀 의사소통 유형을 확인하고 이를 증진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개입이 선행되어야 함 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optimism on child s optimism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positive reinforcemen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 sample of 352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 the Optimism Scale(LOT-R, YLOT), the Child s Perceived Parental Positive Reinforcement Scale, an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method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andard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parents optimis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 s optimism. Second, parental positive reinforcement completely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s optimism on child s optimism. Thir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completely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s optimism on child s optimism.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arental positive reinforcemen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to promote child s optimis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중학생의 낙관성과 정서지능의 관계

        조영옥 한국상담평가학회 2008 상담평가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낙관성과 정서지능간의 관계 그리고 성향적 낙관성과 귀인적 낙관성중 어느 요인이 정서 지능을 더 의미 있게 설명하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향적 낙관성과 귀인적 낙관성 그리고 정서지능과 그 하위요인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성향적 낙관성과 귀인적 낙관성 중 어느 요인이 정서지능을 더 의미 있게 설명하는가?이다. 자료 수집은 전라남도지역의 중학교에서 1학년과 3학년 380명을 편의 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s 적률 상관 계수와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성향적 낙관성과 귀인적 낙관성은 정서지능 및 그 하위요인들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표현과 감정이입, 정서조절 그리고 정서활용에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귀인적 낙관성과 정서지능 및 그 하위영역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는데 특히 정서조절과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귀인적 낙관성은 성향적 낙관성보다 정서지능을 더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성향적 낙관성은 16.0%설명력을 나타냈고, 귀인적 낙관성 변수군은 23.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은 정서지능을 의미있게 설명하였다. 또한 귀인적 낙관성 하위요인인 긍정적사건의 포괄적귀인과 부정적사건의 지속적 귀인 그리고 부정적 사건의 포괄적귀인은 정서지능을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이 모든 연구결과들이 상담의 실제에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고, 구체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김민정,이희경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낙관성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잘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 지각하며,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의 수가 많았고 심리적 안녕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셋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가 있는 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즉 지각된 부모의 지지, 지각된 친구의 지지, 친구의 수는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부모 및 친구의 지지를 높이 지각하고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관계를 더 넓게 형성하고 있기에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대학생들의 안녕감을 높이고 심리적인 문제의 예방적인 측면에서 특히 낙관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346 Korean undergraduates in Seoul and Gyeonggi completed the optimism scal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the number of friend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ndard regression showed that optim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and positive reappraisal i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that is, perceived parent support, perceived friend support, the number of friends partially mediate the e딴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a stepwise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in order to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follow certain procedure: optimism,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perceived friend support, positive refocusing, blaming others, and self blam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to understanding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 KCI등재

        대학생의 색선호도와 낙관성과의 관계

        홍은주,윤지영,김효은,송연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색선호도와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표가 있다. 연구대상은 천안지역 A대학교의 414명(1-4학년)의 대학생으로 하였다. 색선호도 질문지와 낙관성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통해 색선호도와 낙관성의 경향과 성별, 학년별, 전공별 낙관성과 색선호도의 차이, 낙관성에 따른 색선호도의 차이, 색선호도와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의 색선호도는 검정, 흰색, 파랑, 빨강, 보라, 초록, 노랑, 주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빨강, 노랑), 학년별(빨강, 주황, 보라), 전공별(노랑)로 색선호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색선호도는 낙관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선호도와 낙관성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흰색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optimism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study were 414 university students from freshman to senior in the city of Cheona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2.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color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gender(red, yellow), grade(red, orange, purple), majors(yellow) and color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level optimism.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lor preference and optimism had significant possitive correlations(red, yellow, green, blue, white).

      • KCI등재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노영천,유순화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First, the theoretical construct of optimism for Korean adults was explored and a “Korean Optimism Scal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 Second, a “Korean Optimism Scale” was validated.. This study followed the standard procedures of instrument development. First, the construct of “optimism” was examined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s related to Korean's optimism, existing optimism scales, and the responses of Korean adults to open-ended questions and interviews about optimism. The construct of optimism was divided into two types - ‘Dispositional Optimism(DO)’ and ‘Optimistic Explanatory Style(OES),’ - which led to two subscales. A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639 Korean adult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622 participants. Second, the fit of factor structur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 Optimism Scale were examined by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different sample of 1244 Korean adults, revealed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both subscales were appropriate.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O scale consisted of 4 factors with 25 items (4-7 items per factor). The four factors were: 1) Positive Expectation of Life; 2) Positive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Life; 3) Optimistic Disposition About Relationships; and 4) Optimistic Disposition About Achievements. The OES scale consisted of 2 factors with 13 items. The two factors were: 1) Optimistic Explanation About Negative Events; and 2) Optimistic Explanation About Positive Event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Optimism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d not only to deepen an understanding of optimism in Korean culture but also to provide essential contents of optimism improvement programs for Koreans.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정서에 적합한 구성개념이 반영된 낙관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인의 낙관성과 기존 낙관성 척도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헌고찰, 개방형 조사 및 개인 면담 결과에 근거하여 낙관성의 잠정적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관성을 ‘성향적 낙관성(DO)’과 ‘해석양식적 낙관성(OES)’으로 나누어 잠정적으로 개념화하였고, 각각을 별도의 예비척도로 제작하여 전국의 성인 62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1,244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한국인용 낙관성척도를 완성하고, 공인타당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최종 완성된 한국인용 성향적 낙관성 척도는 4요인(삶에 대한 긍정적 기대,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 관계에 대한 낙관적 성향, 성취에 대한 낙관적 성향)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인용 해석양식적 낙관성 척도는 2요인(부정적 사건에 대한 낙관적 해석, 긍정적 사건에 대한 낙관적 해석) 1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는 한국인들의 낙관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중요한 내용적 구성요소들을 제공할 것이며, 한국문화에 적합한 낙관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

        박수련,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아동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향유하기가 행복 감 및 낙관성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행복감과 낙관성에 대한 향유하기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10개의 초등학 교 5, 6학년 아동 495명을 대상으로 향유하기 검사, 행복감 검사, 낙관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향유하기, 행복감, 낙관성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행복감의 하위요인 (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 대인관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 유하기는 행복감의 60.70%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향유하기는 낙관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유하기는 낙관성의 66.51%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 다. 이상과 같이 향유하기와 행복감, 향유하기와 낙관성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 며, 향유하기가 행복감과 낙관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초 등학생의 행복감 및 낙관성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서의 향유하기의 중요성을 시사 하는 것으로, 아동의 향유하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향유하기 프로그램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낙관성과 신뢰가 삶의 의미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남승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lution to raise the meaning and happiness of life, people are losing meaningfulness and unhappy more and more, based on optimism and trust. Optimism and trust are necessary psychological construct for us living in an unsatisfactory and unhappy modern age. We propose and examine that optimism and trust raise meaning to life and make people happier. In order to confirm, data were collected from 511 people in their teens and 60s living in Daejeon/Sejong/Chungnam by compiling questionnaires, including measures of optimism, trust,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Using SAS 9.4, data were review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and were tested the differences in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according to optimism and trust using two-way ANOVA. According to findings,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used. Second, a person with high optimism gives more meaning to life than a person with low optimism. Third, a person with high trust gives more meaning to life than a person with low trust.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optimism with trust in the meaning of life has been shown. Fifth, the optimist was happier than the less optimistic. Sixth, the high-trusted man was happier than the low-trusted man. Seventh, the interaction effect of optimism and trust with happiness has been shown. These findings show that raising optimism and trust is an effective way to give meaning to life and increase happiness.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점점 더 삶의 의미를 잃어가고 행복하지 않은 현대인의 삶의 의미와 행복을 제고하기 위하여 낙관성과 신뢰에 기반을 두고 그 해결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낙관성과 신뢰는 불만과 불행한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삶의 의미와 행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심리적 구성개념이다. 우리는 낙관성과 신뢰가 삶의 의미를 높여주고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만들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60대까지 511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신뢰, 삶의 의미 및 행복 척도를 포함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를 이용하여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 낙관성과 신뢰에 따른 삶의 의미와 행복의 차이를 이원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낙관성이 높은 사람이 낙관성이 낮은 사람보다 삶에 의미를 더 부여한다. 셋째, 신뢰가 높은 사람이 신뢰가 낮은 사람보다 삶에 의미를 더 부여한다. 넷째, 삶의 의미에 따른 낙관성과 신뢰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낙관성이 높은 사람이 낙관성이 낮은 사람보다 더 행복하였다. 여섯째, 신뢰가 높은 사람이 신뢰가 낮은 사람보다 더 행복하였다. 일곱째, 행복에 따른 낙관성과 신뢰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낙관성과 신뢰를 높이는 것이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 행복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끝으로, 이번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행복과 낙관성이 신뢰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김항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happiness and optimism on trust and the meaning of life. Happiness and optimism are necessary factors for all of us living in a unhappy, unstable and hopeless present. The study's proposed model is that happiness and optimism can restore trust and give meaning to life. 511 people from their teens to 60s living in Daejeon/Chungnam/Sejong were asked to collect data, consisting of questionnaires including happiness, optimism, trust, and measures of meaning in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SAS 9.4,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s used, and reviewed through a bifurcation analysis the differences in confidence and meaning of life depending on happiness and optimis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s used were excellent. Second, happy people had a higher level of trust than people who did not. Third, those with high optimism had higher levels of trust than those with lower optimism.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happiness and optimism on trust appeared. Fifth, happy people gave more meaning to life than people who did not. Sixth, people with high optimism attached more meaning to life than people with low optimism. Finally,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happiness and optimism about the meaning of life. These findings show that enhancing happiness and optimism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rust and give more meaning to life. At the end of this study, we discus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이 연구는 행복과 낙관성이 신뢰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행복과 낙관성은 불행하고 불안정하며 희망이 없는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연구모형은 행복과 낙관성이 신뢰를 회복하고 삶의 의미를 부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대전/충남/세종에 거주하는 10대에서 60대까지 511명을 대상으로 행복, 낙관성, 신뢰, 및 삶의 의미 척도를 포함한 질문지로 구성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를 이용하였고 사용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했으며, 행복과 낙관성에 따른 신뢰와 삶의 의미의 차이를 이원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용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행복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신뢰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낙관성이 높은 사람들이 낙관성이 낮은 사람들보다 신뢰수준이 더 높았다. 넷째, 신뢰에 대한 행복과 낙관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행복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삶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섯째, 낙관성이 높은 사람들이 낙관성이 낮은 사람들보다 삶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삶의 의미에 대한 행복과 낙관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행복과 낙관성을 높이는 것이 신뢰를 제고하고 삶의 의미를 더 부여하는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끝으로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창훈,조영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bility and academic stress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on self-regulation ability, academic stress and optimism was carried out with 321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ptimism and self-regulation mode that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While Volitional inhibition mode that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Second, when considering self-regulation mode and optimism, optimis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stress, while volitional inhibition mode and optimism had a significant effect when volitional inhibition mood and optimism were considered. Finally, the optimism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mode and academic stress. Namely, Adolescents with low self-regulation mode were found less stressed when they are highly optimistic rather than when they are less optimistic. While Adolescents with high self-regulation mode were found less stressed when they are little optimistic rather than when they are highly optimistic. These results suggests that in counselling, enhancing optimism in adolescents with low self-regulation mode can help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While high optimism with high self-regulation mode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321명에게 자기조절능력, 학업스트레스 및 낙관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양식 및 낙관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를, 의지적 억제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조절양식과 낙관성을 함께 고려했을 때는 낙관성이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의지적 억제양식과 낙관성을 함께 고려했을 때는 의지적 억제양식과 낙관성이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조절양식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자기조절양식이 낮은 청소년들은 낙관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학업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반면 자기조절양식이 높은 청소년들은 낙관성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학업스트레스를 적게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자기조절양식이 부족할지라도 낙관성을 높여준다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기조절양식과 낙관성이 모두 높은 것이 학업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서윤주,신현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the basis of the Penn Prevention Pro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middle school girls’ dispositional optimism,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73 eighth-grade female students attending a girls’ middle school in K City. Thirty-seven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given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and the rest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 weekly sessions (45 minutes per session)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To test the effects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the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dminister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test, immediate post-test, and one month-delayed post-test. Repeated-measures analyses of variance were run with group (experimental, comparison) as the between-subjects variable, measurement session (pre-test, immediate post-test, one month-delayed post-test) as the within-subject variable, and measures of optimism,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group × measurement session effect in the level of dispositional optimism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The immediate effect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and maintained at the one-month delayed post-test. Third,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mediate effects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ego 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utonomy, and environmental control were maintained at the one-month delayed post-te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lassroom-based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be feasible and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girls’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reducing depression. However, the enhancement of dispositional optimism may require a longer-term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future-oriented components such as putting it in perspective and future goal sett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이 연구에서는 펜실베니아 예방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구안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K시에 소재한 여자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여학생 37명이 10회기 분량의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회기당 45분)에 참여하였고, 36명은 비교집단에 배정되었다.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사전검사를, 프로그램 종료 후에 직후검사를, 프로그램 종료 1개월경과 시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인(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사후검증(단순주효과 검증, 단순비교 검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시기에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실험집단의 성향적 낙관성 수준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았으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측정시기에 따라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둘째,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셋째,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들 가운데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측정시기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급-단위의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 수준을 낮추고,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성향적 낙관성을 증진시키려면 낙관적 설명양식의 이해와 활용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미래에 대한 낙관적 기대에 적합한 요소(예, 미래의 목표 설정하기, 전체적 시각으로 조망하기)를 포함하는 개입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