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담김계(龍潭金啓)의 시조 향유에 나타난 문학적 지향

        송재연 ( Jae Yeon S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3

        이 논문은 일기「龍潭錄」의 기록을 토대로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중반에 생을 살았던 향촌사족 金啓의 향촌생활을 살펴보고, 이러한 향촌생활을 바탕으로 창작된 시조를 분석하여 김계의 시조 작품이 가지는 문학적 지향점을 밝히고자 작성된 것이다. 김계는 시조 30수를 남기고 있는데, 이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한 작가가 10수 이상의 시조를 창작한 경우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그의 시조 작품을 고찰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일기의 기술방식을 고려할 때 시조 창작과 관련된 구체적 상황과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향촌사족의 시조 창작 및 향유 양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龍潭錄」에는 향촌에서의 소소한 일상생활과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생활 감정이 진솔하게 담겨있다. 이러한 향촌생활을 토대로 창작된 김계의 시조는 생활 속에서 느끼는 진솔한 감회를 노래하는 한편, 가족애를 기반으로 한 가문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물론 시조를 통해 삶의 정서를 표출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김계의 시조 작품만이 가지는 독특한 면모는 가문의식의 표출에서 찾을 수 있다. 조상의 蔭德에 대한 감사, 자손의 출생에 대한 기쁨, 자제들이 出仕하기를 소망하는 마음을 노래하는 것은 모두 가문의 결속과 번영을 바라는 심정을 드러낸 것이다. 결국 김계가 시조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문학적 지향은 자손의 번창과 가문의 발전에 수렴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 볼 때 중앙의 정치 현실에서 배제된 한미한 향촌사족으로서 가문을 유지하고 부흥시켜야 한다는 의식 속에서 배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clarify a literary orient of sijo(時調) written by Kim ge(金 啓) who lived in Bian(比安) province on the basis of Yongdam-rok(龍潭錄) of records. Yongdam-rok(龍潭錄) is a diary, and it includes life of the country. Kim ge(金啓) is a country aristocrat, and a writer. And in the country, he wrote 30 sijos. Because the case in which, by early 17th century, a writer who had written more than 10 sijos is rar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closely sijos written by Kim ge(金啓). And if we consider narrative style of diary, we can receive help in understanding of writing and enjoyment of sijo (時調) written by country aristocrat. The life of Kim ge(金啓) in Yongdam-rok(龍潭錄) is filled with daily life and honest life feeling. It does not contain political realities, confucian traditions. So sijos written by Kim ge(金啓) show feelings about the country life, moreover express family consciousness. Especially family consciousness is very important in sijos written by Kim ge(金啓). In conclusion, a literary orient of sijo(時調) written by Kim ge(金啓) is to consist in prosperity of descendant and bringing honor to family.

      • KCI등재

        김교신 연구의 논쟁점 재검토

        전인수(In-Soo Je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본고는 기존 김교신 연구에 존재하는 논쟁점 중 핵심적인 네 가지를 선별하여 학문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이는 기존의 김교신 연구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관점이거나 김교신 연구에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사안들이어서 학문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그 네 가지는 다음과 같다. ① 김교신은 유영모의 영향으로 기독교와 유교의 회통을 추구했는가? ② 김교신은 언제 칭의론을 수용했는가? ③ 김교신은 일본 무교회 2세대의 대표자인 츠카모토 토라지를 비판했는가? ④ 함석헌을 김교신의 뒤를 이은 제2세대 무교회주의자라고 평가할 수 있는가? 첫째, 김교신은 기독교 신앙의 절대성을 믿었으며, 기독교와 유교의 회통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는 타 종교에 대해 성취론적 입장을 갖고 있었는데, 그의 종교적 입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이는 우치무라 간조였다. 둘째, 김교신이 유교적 인간관을 극복하고 기독교의 구원론을 수용하게 된 때는 성결교회 시절이 아니라 우치무라에게 〈로마서〉 강해를 듣던 시기이다. 그렇다면 김교신이 칭의론을 수용하게 된 때는 1920년이 아니라 1921-1922년 사이로 보아야 한다. 셋째, 김교신은 무교회주의와 기독교의 예언성 문제에 있어 츠카모토를 직접 겨냥하여 비판했다고 보기 어렵다. 김교신에게 츠카모토는 존경하는 선배이자 스승과 같은 존재였다. 둘의 각별한 인간관계와 명확한 사료적 뒷받침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김교신이 츠카모토를 비판했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넷째, 함석헌을 김교신을 잇는 제2세대 무교회주의자로 평가할 수 없다. 함석헌은 해방 후 무교회라는 공동체를 떠났고, 사상적으로도 무교회주의의 핵심인 십자가 대속 신앙을 수용하지 않았다. This article selected four key discussion points in existing research on Kim Kyo-shin and attempted to conduct an academic reexamination. These are either new perspectives that appeared as existing studies on Kim Kyo-shin began to be criticized or issues that have caused controversy and thus they are in need of academic organization. The four points are as follows. ① Did Kim Kyo-shin pursue the reconciliation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under the influence of Ryu Young-mo? ② When did Kim Kyo-shin accep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③ Did Kim Kyo-shin criticize Tsukamoto Toraji, who was a second-generation representative of Japanese non-churchism? ④ Can Ham Sok-hon be viewed as a second-generation non-churchist to succeed Kim Kyoshin? First, Kim Kyo-shin believed in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and did not pursue the reconciliation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Regarding other religions, he held a position based on the Fulfillment Theory and with regard to his religious stance, he was most influenced by Uchimura Ganzo. Second, Kim Kyo-shin overcame Confucian perspectives on humans and accepted the soteriology of Christianity, not during the period of the Holiness Church but when he listened to explanations given by Uchimura on <Romans>. Thus, Kim Kyo-shin’s acceptance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can be seen to have come into existence some time around 1921 to 1922 and not 1920. Third,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Kim Kyo-shin targeted or criticized Tsukamoto with regard to issues of non-churchism and prophetic Christianity. To Kim Kyoshin, Tsukamoto was like a respected senior and teacher. When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ir special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clear historical support for such claims, it cannot be concluded that Kim Kyo-shin criticized Tsukamoto. Fourth, Ham Sok-hon cannot be viewed as a secondgeneration non-churchist to succeed Kim Kyo-shin. Ham Sok-hon left the nonchurch organization after liberation and, ideologically, he did not accept the cross-substituting faith which is the core of non-churchism, or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 KCI등재

        A Study on Laver Industry’s Global Export Competitiveness

        LEE, Chun-Su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8 무역보험연구 Vol.19 No.4

        2017년 김 수출은 1위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이는 참치 수출보다 많은 것이다. 김은 우리나라의 한류열품에 따른 K-POP과 더불어 K-Food 음식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품목이다. 최근 중국, 일본, 태국 등을 비롯하여 김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여러 가지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 김에 대한 꾸준한 수요증가가 있다. 태국은 김스낵을 중심으로 새로운 한류 열풍이 불고 있어서 한국 김에 대한 수출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김이 세계적인 수출경쟁력을 갖기 위한 국제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김산업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김산업에 대한 현황과 중국, 일본, 태국 등의 김산업 동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Segmentation strategy, Targeting strategy, Positioning strategy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Product , Price, Place, Promotion strategy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STP전략과 4P전략을 통하여 김산업에 대한 SWOT 환경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김산업의 향후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김산업의 국제마케팅 전략과 향후 전략적 대응방안의 제시를 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2017, laver exports claimed the top spot previously held by tuna exports. laver is an important item that can create K-Food food culture in addition to Korean Wave of K-POP. Recently, demand for laver in countries including China, Japan, and Thailand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Despite various political situations, China has steadily increased demand for Korean laver. Thailand is contributing to the export growth of Korean laver, because of the trend of new Korean Wave mainly in laver snacks.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nternational marketing plan for Korean laver to have global export competitiveness. First of all, literature on laver industry is reviewed and current trends of laver industry in China, Japan and Thailand is explained. Segmentation strategy, Targeting strategy, Positioning strategy. as well as strategies for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strategies are presented. Through the STP strategy and the 4P strategy of this study, SWOT analysis for the laver industry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various ways of enhancing export competitiveness of laver industry in Korea is suggested. In particular,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of laver industry and future strategic measures are suggested.

      • KCI등재

        15세기 후반 도학(道學)의 절의중심적 전환과 김일손(金馹孫)의 역할

        김동일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The historian Kim Il-son, who caused the Literati Purge of 1498, has been mainly understood as a writer. However, in Kim Il-son'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re are fragments of the “study of the Way”(道學) that can credit his reevaluation as “a scholar of the study of the Way”(道學者). After the 16th century, the core emphasis of Chosŏn Neo-Confucianism was on respect(敬). However, as early as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Kim Il-son had emphasized respect more than scholars from the preceding period and tried to provide his own interpretation of its meaning. Kim Il-son's teacher, Kim Jong-jik, had been criticized for not being critical of state affairs because he valued his position. Kim Il-son, on the other hand, was in trouble on several occasions owing to his excessive rigidity and directness of speech. Eventually, he was sentenced to death in the Literati Purge of 1498. In their study of the Way, Kim Jong-jik and Kim Il-son held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ublic career and academic life. The emphasis on academic rigor while occupying public office foreshadowed the views of Cho Gwang-jo. In the 16th century, the study of the Way was influenced by Kim Il-son and it evolved into the practice of fidelity(節義) that emphasized respect and coincidence of a public career and academic life. 무오사화를 야기한 김일손은 문장가로 이해된다. 그런데 김일손의 탁영집(濯纓集) 에는 도학(道學)에 관한 편린들이 남아있어 김일손을 도학자로서 재평가할 수 있다. 김일손을 도학자로서 조망하는 일은 도통(道統)이 만들어진 것이고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정치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16세기 이후 조선 성리학의 핵심은 경(敬)에 있는데, 15세기 후반 김일손은 앞선 시기의 학자들보다 경(敬)을 더 강조하고 있었으며, 나름의 해석을 시도하고 있었다. 특히 당대 문장의 제일로 평가받았던 김일손이 사장의 시대에 문이재도적 도문관을 견지한 것은 시대를 선도하는 의미가 있다. 김일손의 스승 김종직은 벼슬을 중시하여 직언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반면 김일손은 지나친 강직함과 직언으로 인해 여러 차례 곤경에 처했으며 끝내 무오사화에서 극형을 받고 말았다. 사환과 도학의 관계에 있어 김종직과 김일손의 생각이 달랐던 것이다. 김일손의 사환하며 도의 실천을 중시하는 자세는 정암 조광조를 예고하며, 이는 도통에 위치한 김종직, 김굉필, 정여창에게서 볼 수 없었던 자세라는 점에서 김일손의 역할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16세기 도학(道學)이 경(敬)의 강조, 지행의 병진, 절의를 중시하는 의리실천학으로서 변모하는 것에는 김일손의 영향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김 소비변화에 대한 고찰

        백은영 ( Eun Young Baek )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김의 주요 수출국인 일본의 김 소비변화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김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김 수급동향, 소비특성, 유통구조와 연도별 김 생산량과 양식어가 수 추이에 대해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일본의 김 소비 감소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사점을 도출했다. 일본의 김 소비 감소 주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가구원수 변화이다. 특히 단독가구와 2인 가구원수 증가로 과거보다 김 소비가 감소했다. 둘째, 김 양식어가 수 감소이다. 과거보다 김 양식 의존도는 높아졌으나, 김 양식어가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 셋째, 일본의 과잉재고와 고착화된 유통구조이다. 기존 거래 방법을 고수함에 따라 유통 마진을 증가시켰고, 소비가 줄면서 재고 또한 증가세를 보였다. 마지막으로는 수입산과의 가격경쟁력 저하이다. 일본의 김 소비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가까운 미래에 김 소비가 감소할 여지를 전혀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김 산업의 문제점을 미리 점검해 보고, 소비자 니즈에 맞는 제품 개발과 소비변화에 대해 수시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ver consumption in Japan, the major export county of our local laver, and to search methods that can develope the Korean laver industry. The study suggested the current supply and demand of laver in Japan, consumption features, distribution system, yearly laver production and laver farming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laver consumption decline in Japan and to deduct implications on the local laver industry. Firstly, the major cause of reduction in laver consumption i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n Japan. Compared to the past,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 or two-family households, laver consumption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dependence on laver farming has increased, the total income generated from it has decreased. Thirdly, this trend is also related to the excessive stocks and fixed distribution system of Japan. Due to the conventional dealing method, as distribution margin increased and consumption decreased, inventory and stock increased. Lastly, low price-competitiveness compared to the foreign products is one of the major causes. While the price of foreign laver products decreased, the ones from Japan maintained its high price, increasing price difference. Due to the change in laver consumption in Japan, the laver consumption in Korea is likely to decrease. Thus, looking into the problems of the laver industry in Korea in advance is required, along with developing products that meet customer’s needs and monitoring consumption pattern at all times.

      • KCI등재

        일반논문 : 김동인에 의한 복합의 자연주의

        김시몽 ( Si Mon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김동인의 문학세계가 소개될 때 흔히 문학사조가 사용되지만, 일치된 정의가 없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즉, 김동인은 자연주의, 사실주의, 민족주의, 탐미주의, 등과 같은 여러 사조에 동시에 속하는 작가로 되어 있다. 본 논문은 김동인의 문학세계를 다르게 접근하고자 한다. 여러 가지 문학 사조로 그의 세계를 둘러싸서 정의하는 것 보다 자연주의라는 사조 안에서 김동인이 어떻게 자연주의를 여러 가지로 해석하여 그만의 사조를 보여주는지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우선 김동인이 자연주의 작가로 불리울 때 여기서 말하는 자연주의란 대체로 프랑스 작가 에밀 졸라가 선립한 문학파와 사조를 뜻한다. 졸라가 당시에 과학 발달에 크게 감탄하며 과학의 실험정신을 문예창작에 끌어 들어오려고 한 것이 자연주의다. 따라서 자연주의라는 단어에 자연이란 자연과학을 뜻하는 것이다. 일정한 사람들을 어떠한 특정한 환경속에 빠뜨리면 그 사람들이 어떻게 변하거나 그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는 지를 관찰하며 보고하듯이 쓰는 것은 자연주의 문학창작론이 된다. 김동인의 대표작인 「감자」를 볼 때 작가의 태도가 비슷하다. 복녀라는 여자가 칠성문 밖에 있는 빈민가로 이사오게 됐을 때 복녀가 겪는 어떤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이 소설의 압권이다. 문제는 「감자」가 졸라의 자연주의와 흡사한 점이 많지만 평론가들이 다른 소설을 다른 문학사조와 연결시켜 왔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배따라기」에도 자연주의의 요소를 발견할 수 있되 문학사조로 따질 때 낭만주의의 성향이 더 크다고들 한다. 여기서 김동인이 일본에서 문학을 공부했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또한 김동인이 에밀 졸라의 자연주의 사상을 직접적으로 졸라의 작품을 통해서 알게 된 것 보다 일본이 그 사상을 수용한 상태로 발견했다는 것이다. 일본 문학사에 있어 자연주의라는 문학사조가 일본 근대문학에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본에서 유통됐던 자연주의는 졸라의 자연주의와 상당히 다른 성격을 갖추고 있다. 일본 작가들에게는 자연주의의 ‘자연’은 졸라의 ‘자연과학’보다 ‘대자연’을 뜻했다. 그리고 자연 앞에서의 그들의 자세는 프랑스 자연주의 작가 보다 낭만주의 작가와 더 흡사했다. 자연 앞에 선 자기 자신을 보면서 자기 자신의 내면을 드러낸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 일본 자연주의의 특색이다. 이처럼 「배따라기」나 「대동강이 속삭인다」등과 같은 김동인의 수많은 작품속에 인물들은 자연속을 안식처로 삼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일본 자연주의 작가들은 졸라가 말하는 현실을 관찰하여 보는 그대로 옮겨야한다는 말을 자기 자신을 관찰하여 그대로 옮겨야 한다 것으로 변형을 시켜 일본 근대 문학을 대표하는 私小說을 탄생시켰다. 김동인도 일본 私小說이 주장하는 고백체를 한국에 도입하여 자주 사용했다. 그러나 김동인이 졸라에 의한 자연주의나 일본 낭만주의적인 자연주의와 고백체의 자연주의를 다 같이 수용한 것은 김동인의 창작 수법상의 장치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김동인의 자연주의란 단순히 기법의 자연주의였다. 또한 김동인만의 자연주의 속의 ‘자연’은 ‘자연스럽다’라고 할 때의 ‘자연’이다. 프랑스 자연주의나 일본 자연주의는 사조이니만큼 그것을 뒷받침하는 사회학적, 심리학적, 시학적 등의 사상이 있었다면 김동인의 자연주의는 창작 장치로서 소설의 자연스러움을 보장하는 장치였다. When introducing Kim Tong-in`s Literary World, critics and historians usually use Literary Trends, and yet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no consistent definition. In other words, Kim Tong-in is described as a writer belonging, at the same time, to very different trends such as naturalism, realism, nationalism, aestheticism, etc. This article proposes a different approach to the Literary World of Kim Tong-in. Instead of accumulating literary genres to grab his Literary World, we observe how, within one single trend - naturalism -, Kim Tong-in proposes and utilizes several interpretations of this one trend in order to achieve his own personal literary trend. First when Kim Tong-in is referred to as a naturalist writer, naturalism generally relates to the literary trend developed by French writer Emile Zola. Zola was greatly impressed and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s at his time, and Naturalism as he defined it aimed at bringing scientific experimentation into the field of creative writing. Thus, the term ‘nature’ in Naturalism refers to the natural sciences. The Naturalist Literature`s writing methodology can hence be described as follows: put an individual belonging to a certain type in a particular environment, then observe and record how this individual adapts to the environment changes. Kim Tong-in`s masterpiece Kamja shows a very similar attitude from its author: it records the changes undergone by a young woman as she is led to live in a poor neighborhood outside P`yeongyang. Though this particular story bares many similarities with Zola`s naturalism, literary critics connect other stories with other literary trends. For example, in another well-known story, Baettaragi, elements of such a Naturalism can also be found, but when attempting to link it to a literary trend, it is usually described as a romantic story. Here it should be reminded that Kim Tong-in studied Literature in Japan. It is also noteworthy to note that when Kim Tong-in came across Zola`s naturalism, it was not by reading directly Zola`s works but in a form that had been already processed and adapted by Japanese authors. Naturalism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ging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However the Naturalism that developed in Japan is quite different from Zola`s Naturalism. Japanese authors understood the ‘nature’ in naturalism not as much as the ‘natural’ of Zola`s ‘natural sciences’ but rather as found in the expression ‘Mother Nature’. Therefore their posture in front of Nature was closer to Romanticism than to the French naturalist writers. In front of Nature`s greatness these authors saw their inner self emerge to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and this became a characteristic of Japanese Naturalism. Thus, stories by Kim Tong-in such as Baettaragi or the Whispers of Taedong River in which a great emphasis is put on Nature as a shelter, that have often been described as Romantic works, have in fact much more to do with this Japanese interpretation of Naturalism. Furthermore, Japanese naturalist authors slightly transformed Zola`s motto to describe reality ‘as it is’ and advocated a truthful description of one`s personal reality, thus giving birth to a new Literary genre specific to Japanese Literature: the shishosetsu or “novel of the I (self)”. Kim Tong-in introduced in Korea and made frequent use of a similar type of ‘confessional novel’. However what differs from Japanese Naturalist authors of the shishosetsu genre is that Kim Tong-in uses the confession merely as a narrative device. And this is also true for his use of Zola`s Naturalism and Japan`s Romantic Naturalism; Naturalism is a tool, part of the creative techniques the writer has at hand. In other words, Kim Tong-in`s Naturalism is methodological. To him, the ‘nature’ in Naturalism refers to the adjective ‘natural’ we use when we ask someone to ‘act natural’. While French Naturalism as well as its various Japanese interpretations follow trends and ideas from Sociology, Psychology, Poetics, etc. Kim Tong-in`s Naturalism, as a narrative device, mostly acts as a tool ensuring that the story ‘feels natural’. By experimenting this manifold Naturalisms and the various narrative possibilities they offer, Kim Tong-in succeeded in laying the ground stones on which a modern Korean Literature could be built.

      • KCI등재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김기흥(Kim Ki-He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신라의 김씨는 진흥왕대에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北齊書』에 보이는 신라왕 ‘김진흥’은 ‘왕인 진흥’으로 ‘김’은 ‘왕’의 의미이다. 김씨 왕실의 바로 앞에 있었던 다른 부계 혈통의 ‘예전 왕’들은 ‘옛 왕’ 즉 ‘석김(昔金)’에서 왕을 나타내는 ‘김’을 피하고 석(昔)만을 남겨 구분한 듯하다. 석씨에 앞서 집권하였던 왕실 계통은 시조 혁거세의 이름에 보이는 ‘광명’의 의미를 취하여 ‘박’이란 성씨로 구별하였다. 三姓은 석씨계 집단의 도태 후에 칭해진 것으로서 씨족이나 족단들이 준별되는 상태에서 賜姓하여 준 것이 아니었다. 기존 왕계에 따라 성씨를 나누고, 왕실과 친연관계가 있는 귀족들에 대하여는 부계 혈연관계에 따라 구분하여 가다가 결국 상대적 친소정도에 의해 성씨를 구별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들 지배층은 누대의 정치적 연합과 통혼관계를 통하여 복합적인 혈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중고기 성골왕실의 근친혼이 강화되며 권부의 핵심에서 도태되었던 박씨계에 대해 김씨계는 여전히 혈연적 유대감을 갖기도 하였다. 김씨 왕비가 대외적으로 박씨를 칭하기도 하고, 신라 말에는 김씨였을 가능성이 있는 신덕왕이 박씨를 칭하는 일도 나타났다. 신덕왕은 견훤이나 궁예 등이 신성한 자임을 선전하는 중에 신라 왕실의 권위를 다시 세우고자 퇴락한 김씨왕계 대신 신라 초기 왕계인 박씨의 원손임을 천명하는 복고적 행태를 보였다. 한편, 김씨의 경우 7세기에 이르러 김알지 이외에 중국의 신화적 제왕인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국제화의 진전 속에 왕실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정체성의 확대 시도이며, 아울러 국가 중추세력으로 등장한 가야계 김씨까지를 포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조를 중국의 신화적 존재로 설정하게 되자 중국의 김씨 시조인 김일제도 먼 일족 정도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씨를 세조로 김일제를 원조라고 하고 그의 후손들이 요동에 피난한 양 말하였다. 그런데 김씨부인이 중국내에 본관을 둔 ‘경조(京兆) 김씨’ 임을 분명히 하고 중국내 연원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묘명의 성씨 관련 내용은 재당 신라계 귀화인들의 경계인적 사고방식에서 적극 윤색된 것으로 신라 김씨 왕실의 연원을 그대로 말한 것으로 볼 수 없다. Kim, one of the three House names(Kim, Seok, Park) that were used by members of the Shilla royal family, seems to have been used for the first time in 565, by King Jin’heung-wang in his diplomatic dealings with China. At the time, the full and formal name that was used to refer to the Shilla king in diplomatic occasions was ‘Kim Jinheung.’ From the fact that such title literally meant ‘King Jin-heung,’ we can see that the term ‘Kim’ actually had the meaning of ‘King.’ It seems that the houses which provided former kings(which would make them ‘former royal families’), yet now stripped of power and shut out by the Kim House members, were not allowed to use the name ‘Kim,’ as such last name would falsely indicate that they were the present house in power making kings. They may have only been allowed to use the name ‘Seok-Kim(昔金),’ which would have meant ’Past king’ with the prefix ‘Seok(昔),’ while ‘Kim’ alone would be the equivalent of ‘(Present) King.’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kings and Houses which predated the ‘Seok’ kings and its house were also present at the time, and have been part of the Shilla dynasty’s central nobility class for quite some time. They were not to be referred to as ‘Seok.’ So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with the last name ‘Park,’ which reflected the meaning of the term ‘Gwang’myeong(“light”)’ that can be found inside the Founder Hyeok’-geo‘se’s name. (‘Hyeok’geo‘se’ is usually referred to as “Park Hyeok‘geo’se”). Then in the 7th century, a new perspective to view the name Kim started to emerge. Unlike the previous thinking which believed that Kim Al-ji, the origin of the last name Kim, was the beginning of the house, the new idea came to argue that the mythical emperor of China, ‘Soho Geumcheon,’ was the true beginning and origin of the Kim house family members. This seems to have been a result of the Shilla government’s overall efforts to lift the status of the king and also enhance its importance in the process, as it became necessary for the Shilla dynasty to boost its image and establish its prowess throughout the East Asian region. Once the founder of the House name Kim was established as an ancient and also mythical being from China’s past, another historical figure named Kim Il-je(金日?), the origin of the Chinese last name Kim and whose origin can also be traced to the Huns(‘匈奴’), came to be considered as a distant relative of the Shilla royal family as well, and even be recorded in Shilla epitaphs. This caused a debate concerning the matter of whether or not the Shilla royal Kim family was related to the Hun tribes, yet the possibility of the Shilla Kim house descending from the Huns is nearly nonexistent.

      • KCI등재

        김화(金化) 유배기 이가환(李家煥) 한시(漢詩)의 전개 양상과 문학적 가치

        김동준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59 No.-

        이 논문은 정조 대의 저명한 인물인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의 한시 가운데 특히 김화(金化) 유배(流配) 과정 및 금화 현지에서 남긴 작품을 대 상으로 삼아 문학적 성격과 가치를 고찰한 결과이다. 김화 유배기의 한시 는 현전하는 이가환의 작품 중 문학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높을 뿐 만 아니라 이가환의 정신을 이해하는 데도 핵심이 되는 자료들이다. 유배 자로서의 비감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연구사와 달리, 본고에서는 유 배 체험이 오히려 이가환의 한시를 풍부하고 깊이 있게 만들었다는 관점 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제2절에서는 정주 → 한양 → 김화의 동선을 따라 유배되는 과정 에서 그가 관서(關西) 사민(士民)들의 숙원을 대면하는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관서의 사민들과 이별하는 과정에서 남긴 시편들에는 관서 차별을 비판하는 태도와 현지인들에 대한 동감이 담겨 있었다. 이곳에서 인연을 맺은 선비들은 훗날까지도 이가환과의 인간관계를 이어나가며 깊은 교감을 나누게 된다. 제3절에서는 유배지인 김화의 정치적·지리적 조건을 미시적으로 살핀 다음, 유배지인 이곳이 이가환 본인에게 한지(閒地) 방출(放出)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사실과 유배 생활 중의 복합적인 감정을 헤아려보았다. 부자유 한 처지에서 발원한 우수의 서정이 김화 유배기의 정서 기조 중 한 갈래 였음은 부정할 수 없으나, 그는 점차 현지에 적응하면서 안정과 여유를 찾고 자신의 상황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된다. 이어 제4절에서는 작품 분 석에 중심을 두고 유배 체험에서 계발된 감성과 시적 형상을 고찰했다. 격렬한 정치 투쟁으로부터 멀어진 대신, 유배자가 된 그는 고요한 반성과 자아의 대면, 사람 간의 진정한 어울림, 동지적 연대와 격려, 민생의 현장 에 대한 밀착 보고를 시로 전환하여 표상해내었다. 이런 면모는 이가환 한시의 성숙도를 가늠하게 해주는 징표들이었다고 판단된다. 제4절에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서 이가환 한시의 가치를 되새김하였다. 자신에게 닥친 불운을 상대하면서도 타인과 세상의 아픔을 응시할 줄 알았던 태도 가 이가환 한시를 빛나게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bout the works of Sino-Korean poetry of Geumdae (錦帶) Lee Ga-hwan (李家煥), a distinguished figure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works which he left during his exile life in the Gimhwa (金化) region. Among his works that have continued up to now, the Sino-Korean poetry that he composed during exile is not only highly worthwhile to be noted in the literary terms but also play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his spirit. This study began to discuss it, from the viewpoint that his exile experience rather gave birth to an abundant and profound Sino-Korean oetry, in contrast to the existing research focusing on the tragedy of exile. Section two conducts a careful review of how Lee Ga-hwan would witness the old grudges of Gwanseo (關西) residents, in the course of his being exiled along the route from Jeongju (定州) to Hanyang (漢陽) and the Gimhwa region. His poetry that he left, saying farewell to Gwanseo residents, reflects his critical attitude towards discrimination against Gwanseo, and his sympathy for the local residents. The Confucian scholars who had got acquainted with Lee Ga-hwan in the region continued human relationships and deep communions with him. Section three explores that the Gimhwa region, a place of his exile, was perceived by him as a little free place where he was chosen under the grace of the King, examining a lot of feelings that he had during his exile life. In the face of a grief he felt in his unfortunate condition, he began to have the stability and relaxation, confronting his situation, while he was being adapted to the place of exile. Subsequently, section four considers the sentiment and poetic image that Lee Ga-hwan developed during his exile life, focusing on an analysis of the poetry. Although Lee was free from cutthroat political strifes in the central political circle, in his poetry he embodied calmness and sincere communion with others, and reported about civil life. Such themes are considered the tokens indicating the maturity of Lee Ga-hwan’s Sino-Korean poetry. Section four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reconsiders the value of Lee Ga-hwan’s Sino-Korean poetry. The section views that his attitude of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pain of other people and the world, in his adversity, brought light to Lee’s Sino-Korean poetry.

      • KCI등재

        논문(論文) : 김성탄(金聖歎) 두시(杜詩) 비평(批評) 양상 고찰

        최석원 ( Seok Won Choi ) 중국어문연구회 2013 中國語文論叢 Vol.0 No.60

        金聖歎在中國文學史上的主要貢獻是雙中: 第一, 他是最有影響的通俗文學提倡者之一; 第二, 他開創了中國式``細讀``的文學批評方法。因此, 最近對金聖歎的文學成果硏究是注重于其通俗文學上的成果以及貢獻。金聖歎的``六才子書``不僅僅包括如≪莊子≫、≪離騷≫、≪史記≫等的正統文學作品, 也有如≪杜詩解≫的詩歌批評書。本文以≪杜詩解≫爲硏究對象進行分析金聖歎的杜詩批評方法和杜詩解釋。其實, 金聖歎흔愛好杜甫的詩歌作品, 因此他在實際詩歌創作過程中采用了與杜詩同樣的試題或風格等, 可見在≪沈吟樓詩選≫中"擬杜少陵"、"擬杜"、"借杜"等作品。而且在≪淸詩記事初編≫和≪淸詩別裁集≫中說明了金聖歎的作品和杜甫的風格흔相似的。雖然金聖歎尊重杜詩, 但他的≪杜詩解≫不能受到흔多文人的歡迎。特別在≪四庫全書總目提要≫中批判金聖歎用分解來分析律詩的方式。本稿擺脫如此的評價, 進行分析金聖歎對杜詩的批評中所見的文學觀。金聖歎的≪杜詩解≫提出了對杜詩的讀法, 第一是詩題與作品內容之間的關係。具有흔長詩題的作品中他按照詩題與內容之間的關係來分析作品。第二是用分解的方法來分析杜詩。他在≪北征≫批評時, 先分開三十五段的解, 之後分析各個分段的內容而且說明每個段之間的關係。如此的杜詩分析方法也可見仇兆鰲的≪杜詩詳注≫和浦起龍的≪讀杜心解≫等淸代主要杜詩注釋。由此可見金聖歎用詩題、分解的方法影響到了後代杜詩解釋者。更重要的是, 金聖歎的評點內容中可見他的文學批評觀點。他按照"斷章取義"的中國傳統文學批評態度再構成了杜詩的內容。金聖歎的批評觀點受明末淸初的文學潮流, 當時文人肯定了讀者的價値。換言之, 他們重視了對文本的獨特、個別的解釋。雖然金聖歎對杜詩解釋上的獨特性受到尖銳批判, 但從讀者的價値肯定和解釋的多樣性的角度來看, 他的杜詩解釋對現在杜詩讀者也흔有意義。

      • KCI등재

        18세기 후반 김석문(金錫文)과 『역학도해(易學圖解)』의 발굴 -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구만옥 ( Koo Mhan Ock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7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는 전통적 역학(易學)·상수학(象數學)과 서양의 천문역산학을 회통하여 새로운 우주론의 지평을 열고자 했던 저술이라고 평가된다. 오늘날 그의 저술과 행적에 대해서 가장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문헌은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이다. 『이재난고』에 수록된 김석문에 대한 정보는 양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여타의 문헌 자료를 능가한다. 이 글에서는 『이재난고』를 기본 자료로 삼아 황윤석이 『역학도해』에 접근하게 된 경위와 김석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경로, 그리고 『역학도해』의 내용 가운데 황윤석의 관심을 끌었던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역학이십사도해』의 모체가 되는 『역학도해』는 18세기 후반에 성효기(成孝基)·성대중(成大中)의 가문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황윤석은 성대중과 친분이 있던 정경순(鄭景淳)·정지순(鄭持淳) 형제와 김용겸(金用謙)을 매개로 하여 『역학도해』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는 먼저 정경순을 통해서 1766년 4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제1권을 제외한 『역학도해』 네 권을 빌려보았다. 1771년에는 자신이 근무하던 관청의 상관인 종실(宗室) 이련(李槤)의 아들 이명찬(李命贊)에게서 『역학도해』 전체 5권 가운데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1권을 빌릴 수 있었다. 이 무렵 성대중의 집안에서 『역학도해』가 실전(失傳)될 것을 염려해서 그것을 이명찬에게 맡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련은 김석문의 아들인 김도해(金道海)의 사위였다. 이후 8년이 경과한 1779년 7월에 황윤석은 다시 김용겸으로부터 『역학도해』를 빌려서 8월까지 약20일 동안 집중적으로 그 내용을 초록하면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몇 차례의 집중적 검토를 통해 황윤석은 『역학도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황윤석은 정경순을 통해 김석문에 대한 정보를 처음으로 입수한 이후 서울과 지방에서의 관직 생활을 통해 알게 된 포천(抱川) 지역 출신의 인물들과 김석문 집안사람들을 통해 김석문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정경순, 김용겸을 비롯해서 김원행(金元行), 백사은(白師殷), 김일묵(金一默) 등이 김석문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황윤석에게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황윤석은 김석문에게 『역학이십사도해』를 출간하도록 독려한 사람이 그의 제자 황재중(黃在中)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김석문으로부터 성효기·성대중을 거쳐 이명찬으로 이어지는 『역학도해』의 전수 과정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윤석은 1779년 자신이 지방관으로 재직하던 목천(木川)에서 김석문의 스승인 허격(許格)에 대한 자료도 수집하였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해서 황윤석은 김석문의 행적과 학문적 위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10대 시절부터 주역점(周易占)에 관심이 많았던 황윤석은 김석문의 『역학도해』에 수록된 새로운 서점법(筮占法=筮法)에 주목하였다. 김석문은 대연수(大衍數)를 100으로 보았고, 49개의 시초(蓍草)로 점을 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선천(先天)48책(策), 선천(先天)100책(策), 후천(後天)49책(策)의 새로운 방식을 창안하였다. 또한 시초의 재료로는 북부 지방의 바다에서 산출하는 용편초(龍鞭草=龍鬚木)를 사용했다. 황윤석은 김석문의 율력산수지학(律曆算數之學)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지만, 만년에 이르러 더욱 흥미를 보인 분야는 서법(筮法)이었다. 황윤석은 그의 나이가 50대에 접어든 1779년 7월 무렵부터 김석문의 서법에 본격적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고, 몰년에 이르기까지 이를 활용해서 다양한 점을 쳤다. Kim Seok-mun’s Yeokhakisipsadohae is considered to open a new cosmology, combining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I-ching studies, xiangshuxue(象數學) and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of the West. One book that contains the most various information on him and his work is Hwang Yun-seok’s Ijaerango(?齋亂藁). By reading Ijaerango, this paper explores how Hwang approached to Yeokhakdoha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Kim Seok-mun, and discusses major themes of Yeokhakdohae that drew Hwang’s attention. Yeokhakdohae, from which Yeokhakisipsadohae stemmed, was in the custody of Seong Hyo-gi and Seong Dae-jung’s family in the late 18th century. Hwang was able to get access to the book through the Jeong brothers(Gyeong-sun and Ji-sun) and Kim Yong-gyeom, who were friends with Sung Dae-jung. First, Hwang borrowed four volumes of Yeokhakdohae except vol. 1 during a 10 months period between April 1766 and February 1767 through Jung Gyeong-sun. In 1771, Hwang borrowed the essential volume 1 of Yeokhakdohae from Yi Myeong-chan, who was a son of a royal family member, Yi Ryeon. That was possible because the Seong family, in worrying about loss, bestowed Yeokhakdohae to Yi Myeong-chan. Yi Ryeon was a son-in-law of Kim Do-hae, the son of Kim Seok-mun. Eight year passed and Hwang again borrowed Yeokhakdohae from Kim Yong-gyeom in July, 1779, and analyzed it intensively for 20 days. Now, after several accesses to the book, Hwang had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Yeokhakdohae. Hwang first collected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from Jeong Gyeong-sun, and later from people of Pocheon region he got acquainted with during his days in the office and also from the family members of Kim Seok-mun. Kim Won-haeng, Baek Sa-eun, and Kim Il-muk, as well as Jeong Gyeong-sun and Kim Yong-gyeom, offered numerous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Hwang verified that Kim’s pupil Hwang Jae-jung encouraged him to publish Yeokhakisipsadohae, and also realized the passage of Yeokhakdohae from Kim Seok-mun to the Seong family and then to Yi Myeong-chan. Moreover, Hwang Yun-seok collected intelligence on Heo Gyeok, Kim Seok-mun’s master, in Mokcheon region where he served as an regional officer. With all sources he gathered, Hwang was able to analyze Kim Seok-mun’s achievements and academic position comprehensively. Hwang, who was much interested in I-ching divination from the early days, paid special attention to a new procedure of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in Kim Seok-mun’s Yeokhakdohae. Kim considered 100 as dayanshu(大衍數) and created a new ways of divination using 48, 100, 49 milfoil stalks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49 stalks. He used ryongpyeoncho(龍鞭草) from Hamgyeong-do for the raw material for the stalks. Hwang also showed much interest in Kim’s luli suanshu zhi zue(律曆算數之學, study on harmonics, calendar, and mathematics), but his most devoted field of study was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As he approached his 50s in 1779, Hwang began studying Kim’s divination in good earnest, and told fortunes using it toward the end of 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