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량기준점 중복 설치현황 분석 및 통합 활용방안 연구

        김 일(Kim, IL),김경수(Kim, Gyeong Su) 한국지적학회 2008 한국지적학회지 Vol.24 No.2

        우리나라의 측지기준망 성립과 발전과정 속에서 지적기준점이 태동하게 된 배경을 고찰해 보고, 이원화된 기준점체계에 따른 측량기준점 중복 설치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측량기준점의 통합 활용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으로 동일 지역에 국가삼각점과 지적삼각점이 근접 설치되어 있는 측량기준점 운영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기준점좌표를 도면화하고 점간거리를 산출하여 50m 이내 근접 설치된 중복기준점을 과학적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중복기준점은 전량 현지조사를 통해 점간 이격거리를 실측하고, 동일 표석 사용여부와 기준점 망실유무 등을 확인하여 허수를 제외한 실제 중복기준점 현황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중복 설치된 국가삼각점을 대상으로 성과표 발급에 따른 활용도 조사와 지적삼각점을 대상으로 소관청의 조치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중복기준점 정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가측량체계 통합에 맞추어 지적측량과 측지측량으로 이원화되어 관리하던 측량기준점체계를 통합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We studied the background of cadastral control point i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urveying network and proposed the policy plan of the integration of geodetic control point in the future wit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overlapped geodetic control point installation. To inspect the conditions of management of geodetic control point that were installed nearby national control point and cadastral control point in the same area, we mapped the control point coordinate and calculated the distance of the point and extracted the redundant control point that were within 50m. We surveyed the distance of all of these points, checked the usage of same stone marker and the existence of control point, so identified the real status of redundant control point. Moreover, we proposed the plan of reasonable redundant control point management with the investigation of usage of overlapped national control point and the opinion of administration office of cadastral control point, the policy plan of integration of geodetic control point system which was managed in the two ways as cadastral survey and geodetic survey keeping pace with national surveying system.

      • KCI등재

        NFC 지적기준점과 지적정보어플리케이션 적용에 대한 효용성 분석

        김성준(Kim, Sung Jun),이종달(Lee, Jong Dal),김성훈(Kim, Sung Hun),배재열(Bae, Jae Yeol)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1

        현재 IT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정보제공 방식 및 활용성이 점차 진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 정보제공 및 활용 측면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다. 최근 기준점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한 정보제공 방안들이 연구 및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동구에 설치 활용되고 있는 QR코드 지적기준점을 개선한 NFC 지적기준점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적용해 보았다. 또한 기존 기준점을 이용한 측량 방식과 NFC 지적기준점을 이용한 측량 방식을 비교 및 시험하여 두 방식에 대한 효용성을 분석해 보았다. 두 방식의 적용결과 외부환경에 따른 손상과 활용성 측면에서는 NFC 지적기준점이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인식방식에 따른 편의성 측면과 인식률 및 인식속도에서는 NFC 방식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QR코드 지적기준점과 NFC 지적기준점 정보를 함께 적용 가능한 지적정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기존 기준점 성과를 이용한 측량방식과 비교한 결과 지적정보 어플리케이션이 현장답사 시간이 절약되고 기준점 성과 정보취득 시간이 짧고 간편해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 후 정부차원의 통합적인 지적기준점 관리와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된다면 전국의 지적기준점 및 관련 정보를 통합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trend of information service and its utilization has been gradually evolving due to the technological breakthrough in IT industries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Especially regarding smart phones, a vast array of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and employ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real time information. Recently, numerous studies have been made and applied in regards to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the supply of cadastral control point information.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nd applied the NFC Cadastral Control Point, an advanced version of QR code Cadastral Control Point, which is installed and utilized in Dong-gu Ulsan, Korea, and an application that can utilize both the QR code and the NFC. In addition, this research continues on to analyzing the utility of the two methods that the survey use of a General Cadastral Control Point and the NFC Cadastral Control Point. Having implemented both methods, NFC Cadastral Control Point outweighed its counterpart in terms of the damage it gets from the outside influence and availability. Moreover, through developing Cadastral Control Point that could apply both the QR code Cadastral Control Point and NFC Cadastral Control Point, the research saw tremendous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survey method using the previously existing reference point performance. The results conveyed the fact that cadastral information application was time saving, convenient, and efficient in terms of finding information. Henceforth, with government"s administration over Cadastral Control Point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re applica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a nation-wide monitoring of Cadastral Control Point is considered possible and an efficient usage of information service is expected as well.

      • KCI등재

        측량기준점의 효율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재,배상근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3

        This research aims at figuring out how to manage survey control points in an integrated way and how to practically conduct the research on their current status to jointly use the survey control points differently set up, managed and operated by each institution as necessary. The scope of the research has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finding out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related to managing and operating survey control point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ir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their foreign case studies, second, selecting subjects, items and items of result notification to jointly use survey control points and reviewing their trends such as their domestic standards, third, reviewing how to apply Internet of Things (IoT) to them to use in a converged and integrated way the various data provided by survey control points and fourth, proposing the law on management of survey control points aiming at first, unifying how to manage their results for their integrated control, second, standardizing how to mark survey control points and third, figuring out how to consign works for the promotion of their integrated management and current status research. In order to standardize survey control points, the following criteria need to be established. First, it needs to set up the criteria on what survey control point will be standardized. In other words, it needs to select what will be standardized among various survey control points. Second, after selecting a survey control point ready to be standardized, it needs to create the criteria on what items of the selected survey control point will be standardized. Namely, it need to set up the criteria of its items like material, form, how to set up, spacing between setup, research on current status, etc. for standardization. Third, it needs to establish the criteria on standardizing how to manage. It needs to define the role and range of it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hich can inform how to research on its current status and its subject and provide the results based on them. To sum up, after selecting what survey control point will be standardized, it needs to decide what items (attribute data) of the selected survey control point will be standardized and then, it needs to set up what items of results will be announced to make attribute data utilized in a converged and integrated way. 본 연구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기관별로 설치·운영·관리되고 있는 측량기준점의 공동활용을 위하여 통합관리 방안과 실질적인 현황조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첫째, 측량기준점의 운영 및 관리현황 분석과 외국의 사례 조사 등을 통한 측량기준점 관리·운영의 문제점과 시사점의 도출, 둘째, 측량기준점의 공동활용을 위한 대상과 항목 그리고 성과고시 항목 등을 선정하고 국내표준 등의 동향 검토, 셋째, 측량기준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융복합하여 활용하기 위한사물인터넷의 적용 방안의 검토, 넷째, 측량기준점의 통합관리를 위한 성과관리의 일원화, 기준점 표지 등의 표준화 그리고 통합관리 및 현황조사 활성화를 위한 위탁방안의 도출을 위한 관리 법령 개정(안) 작성등이다. 측량기준점의 통합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공공사업시행자에 의해 설치 및 관리되고 있는 공공기준점(공공삼각점·공공수준점)의 조사 및 보고 등 관리를 국토지리원장에게 위임하여 설치 후에 방치되는 공공기준점을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기준점의 변경정보 및 현황조사 결과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도록 하고, 인력활용 및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준점에 대한 현황조사를 한국국토정보공사에 위탁하여 조사체계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별적으로 개발·운영되고 있는 기준점관리시스템의 정보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로 연계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국가공간정보 포털을 활용하여 통합서비스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Myoungjin Lee),이윤형(Yoonhyoung Lee),김경일(Kyungil Kim) 한국인지과학회 2022 인지과학 Vol.33 No.1

        선행 연구들에서는 그럴듯한 기준점이 극단적 기준점보다 더 큰 기준점 효과를 야기하는 반면, 주어진 문항과 관련된 개인의 지식수준이 높으면 기준점 효과가 작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제시되는 기준점이 그럴듯한지 여부와 주어진 문항 자체의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의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더해 응답 확신도와 기준점 효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쉬운 문항과 어려운 문항, 그럴듯한 기준점과 극단적인 기준점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은 ‘표준 기준점 실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의 난이도는 각각 기준점 효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항의 난이도는 응답 확신도에도 또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그럴듯한 기준점을 제시했을 때와 어려운 문항을 제시했을 때에 기준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수행에 대한 확신이 낮을수록 극단적인 기준점이 제시되었을 때 기준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준점이 그럴듯한지와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기준점 효과의 크기와 확신 정도, 그리고 기준점 효과와 확신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준점의 특성이나 개인의 상태에 따라 기준점 효과가 달라진다고 제안하는 기준점 효과에 관한 태도 변화 관점을 뒷받침한다.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plausible reference point has a greater anchoring effect than an extreme reference point. It is also known that the anchoring effect decreases when the individual"s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a given item is high.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examining the interaction of the plausibility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given ques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reference plausibility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s on the anchoring effect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confidence and the anchoring effect was also examined. To do so, easy and difficult questions, plausible and extreme reference points were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standard anchoring task procedure’. As results, the extremity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affected the size of the anchoring effect respectively.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also affected the confidence of the response. Specifically, when a plausible reference point was presented and when a difficult question was presented, the anchoring effect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lower the confidence in one"s performances,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point when an extreme reference point was pres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lausibility of the given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item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magnitude of the anchoring effect and the degree of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attitude change perspective regarding the anchoring effect, which suggests that the anchoring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individual"s knowledge.

      • KCI등재

        임의의 기준점을 이용한 해상에서의 UAV 사진측량 정확도 분석

        오재현(Oh, Jae Hyun),김병우(Kim, Byung Woo),황대영(Hwang, Dae Young),홍순헌(Hong, Soon He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수상기준점을 배치하고, UAV를 활용하여 해상에서의 사진측량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소규모 저수지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20개의 부표를 임의의 수상기준점으로 사용했으며, 사용되는 기준점의 수를 조절하여 위치 좌표의 오차를 확인하였다. 사진당 기준점수에 따라 case별로 분류하였으며 X의 정확도는 0.141m ~ 0.166m, Y의 정확도는 0.137m ~ 0.241m로 나타났다. 해상경계측량을 위한 오차범위가 ±2m임을 고려할 때, 이 수치는 해상과 같이 특이점이 부족하여 사진측량이 어려운 곳에서 임의의 기준점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의 위치 데이터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진당 기준점 평균 사용수, 기준점 사용 부표수, 면적당 기준점비율, 기준점 사용 부표 비율등 4개의 수치와 x, y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요소와 x, y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면적당 기준점 비율, 사진당 기준점 평균 사용수 기준점 사용 부표 비율의 순서로 x, y와의 상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점 사용 부표수와 x, y간의 관련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분석의 결과는 실제 사용되는 기준점의 총 개수보다 각 사진에 사용되는 기준점의 수가 위치 정확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ith arbitrary reference points on the water, photogrammetry accura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UAV). A small reservoir is a research area, and twenty buoys were used as arbitrary reference points. Errors of location coordinate were identified with control of amounts of used reference points. cases are categorized by index scores per photos. Accuracy of X is 0.141m~0.166m and accuracy of Y is 0.136m~0.241m. Considering that allowable error for the maritime boundary survey is ±2m, it is possible to get the accuracy data available for the photogrammetry of UAV using an reference point.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ference points per unit and number of buoys used as reference point and the ratio of the reference point per square measure, and percentage of buoys used as reference point and the coefficient of x and y were performed. Each element, x, and y showed a strong correlation and the coefficient of number of buoys used as reference point was irrelevant. The results of this correlation analysis can be analyzed that the number of reference points used in each picture is greater than the actual number of reference points used in location accuracy.

      • RFID를 이용한 국가기준점 원격 모니터링 웹 시스템 개발

        오윤석,이영균,박재민,Oh, Yoon-Seuk,Lee, Young-Kyun,Park, Jae-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There are about 22,000 national control points throughout this nation. However, in order to identify the location data of a national control point, a control point result table is needed. And although the control points are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due to the fact that these points located at remote areas such as on top of mountains, the facilities are being maintained via on-site inspection without any protections around them. In this research, by taking the locations where the control points are placed into consideration, a specialized RFID tag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national control point's marker has been developed, and CDMA-ready PDA based mobile Web System and national control point control system are developed as well. With help of these systems, control point data can be checked at the seen, and national control point maintenance personnel can find out about maintenance status and keep track of usage record. When these systems are taken into effect, access to the national control point data becomes easy, fast response to the change in data can be possible, and management efficiency will go up. When the Ubiquitous society becomes reality, the importance of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high. Therefore, national control points using above mentioned RFID tags will not only be useful to the control point users and maintenance personnels such as professional land surveyors, but also useful when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to people, and it will become an important national infrastructure in terms of providing absolute location information.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약 22,000개의 국가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국가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준점 성과표가 필요하며, 국가 주요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산 정상과 같은 야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현장점검을 통해서만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준점 표석에 부착할 수 있고, 국가기준점이 설치된 환경을 고려한 특수 RFID 태그를 제작하였으며, CDMA 통신이 가능한 PDA기반 모바일 Web 시스템과 국가기준점 관제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기준점 정보를 현장에서 파악할 수 있고, 국가기준점 관리자가 기준점의 관리 상태 및 사용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전국에 산재해있는 국가기준점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정보의 변화에 따른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향후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하면 위치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일반인의 위치정보 확인이 용이한 RFID를 이용한 국가기준점은 측량전문가와 같은 기준점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위치기반 부가서비스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절대위치 정보 제공 측면에서도 중요한 국가 인프라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복 설치된 지적기준점·국가기준점의 효율적인 정비 방안

        강상구,이영진,차득기 한국국토정보공사 2010 지적과 국토정보 Vol.40 No.1

        In order to effectively integrate the different types of the control points, this project has intensively derived a series of standard procedure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overlapped-setup points; (b) criterion for abrogating control points which have large discrepancy; (c) integration procedure of national survey control points; (d) field observation procedure. In overlapped-setup points rearrangement, it is suggested from the investigation that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should be maintained in rearrangement of the overlapped-setup points.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cadastral points have much implication to public users. However, investigation should systematically be carried out to study the linkage with the surrounding cadastral control points,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ontrol points, the applied range of results in advance.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coordinate system being maintained, as schemes for joint use of rearranged cadastral points and for linking with the excited coordinates. Hence, the published coordinates of all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s able to be transformed in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국가기준점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중복기준점의 판정기준, 통합방법과 절차, 성과산출 방안, 폐기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시험관측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통과성과의 산정방안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 및 활용방안을 고찰하였다. 중복 설치된 기준점 정비는 국가기준점에 비하여 지적기준점의 경우가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물리적인 폐기보다는 주변 지적기준점과의 연계성, 다른 기준점과의 관계와 활용성, 성과가 이용된 범위, 이력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비된 지적기준점을 공동 활용하고 종전 성과와의 연계를 위한 방안으로는 현행체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세계측지계로 통합하거나 모든 지적기준점 성과를 세계측지계로 전면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영해기준점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수,김재명,윤창범,Choi, Yun-Soo,Kim, Jae-Myeong,Yun, Chang-Beom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1

        Recently, many countries are promoting the rapid development of marine for securing territorial sea. The importance of territorial sea has being emphasized as territorial disputes among countries has been increasing. The South Korea should be encouraged to expand the territory due to territorial disputes with neighborhoo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improvement plan for the efficient control of the territorial base point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territorial base point and checking the territorial base point. Therefore, we proposed a variety of new plans for accurate positioning by sea level observation and MBES, reduced the surveying procedure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territorial base points and provided a basis for the territorial base points which can be the 2nd grade national control points by improving a grade. We also suggested that the territorial base points and sub-territorial base points' database should be given standardized number for increas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other national control points and territorial base points. Finally, we suggested a improved work regulation about analysis and maintenance for territorial base points, the information activity of territorial base points and the new plan of community relations.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the foundation of maritime territory which could be superior to other countries and the expansion of maritime territory. 최근 세계 여러 나라들은 해양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자국의 해양영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접국가간 분쟁이 잦아지면서 해양영토의 중요성은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 주변국들과 분쟁의 소지를 많이 내포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해양영토 확보를 위한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해양영토의 국가관할권을 결정하는 영해기준점의 실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영해기준점의 재질, 매설 지역 선정 및 측량절차 간소화, 조위관측 및 멀티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정확한 위치 선정 등의 정비방안을 제시했으며, 국가 기준점으로서 영해기준점의 등급향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2등 국가기준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타 국가기준점과의 상호 연계 및 영해기준점 관리의 효율성 및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영해기준점과 영해보조기준점 DB 표준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 영해기준점관련 작업규정의 검토를 통하여 조사 및 유지관리에 관한 개선된 작업규정과 영해기준점의 홍보 및 대외협력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주변국가와의 영토분쟁 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해양영토의 기준 및 해양영토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영해기준점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수,김재명,윤창범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1

        Recently, many countries are promoting the rapid development of marine for securing territorial sea. The importance of territorial sea has being emphasized as territorial disputes among countries has been increasing. The South Korea should be encouraged to expand the territory due to territorial disputes with neighborhoo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improvement plan for the efficient control of the territorial base point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territorial base point and checking the territorial base point. Therefore, we proposed a variety of new plans for accurate positioning by sea level observation and MBES, reduced the surveying procedure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territorial base points and provided a basis for the territorial base points which can be the 2nd grade national control points by improving a grade. We also suggested that the territorial base points and sub-territorial base points' database should be given standardized number for increas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other national control points and territorial base points. Finally, we suggested a improved work regulation about analysis and maintenance for territorial base points, the information activity of territorial base points and the new plan of community relations.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the foundation of maritime territory which could be superior to other countries and the expansion of maritime territory 최근 세계 여러 나라들은 해양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자국의 해양영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접국가간 분쟁이 잦아지면서 해양영토의 중요성은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 주변국들과 분쟁의 소지를 많이 내포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해양영토 확보를 위한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해양영토의 국가관할권을 결정하는 영해기준점의 실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영해기준점의 재질, 매설 지역 선정 및 측량절차 간소화, 조위관측 및 멀티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정확한 위치 선정 등의 정비방안을 제시했으며, 국가 기준점으로서 영해기준점의 등급향상 방안을 제시 함으로써 2등 국가기준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타 국가기준점과의 상호 연계 및 영해기준점 관리의 효율성 및 효용성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영해기준점과 영해보조기준점 DB 표준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 영해기준점관련 작업규정의 검토를 통하여 조사 및 유지관리에 관한 개선된 작업규정과 영해기준점의 홍보 및 대외협력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주변국가와의 영토분쟁 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해양영토의 기준 및 해양영토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워크 기반의 지적기준점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희재(Choi, Hee Jae),박정일(Park, Jung Il),최승영(Choi, Seung You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3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5 No.1

        최근 IT 및 네트워크 기술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가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됨은 물론 새로운 업무형태인 스마트워크가 출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 PC 기반의 지적기준점 서비스를 새로운 지적기준점관리시스템으로 발전시켜 지적기준점 관리 및 활용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기존의 지적기준점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각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기준점의 활용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지적기준점 관리를 위한 스마트워크 시스템에 필요한 기능 및 사양을 구상하고 목표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각종 공사 등으로 인한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체계적인 지적기준점 D/B를 구축·관리의 기틀을 마련하고, 향후 지적재조사 사업의 추진에 따른 국가기준좌표계 변환에 따른 지적측량에 대비하는 등 양질의 지적측량 서비스 구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Recently,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been widely expa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and network technology. Not only a variety of Apps began to appear, but also the new form of work style called ‘SmartWork’. This research ‘Smart Work’ to greatly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by changing the previous PC-based managing service into a new system. To make this in reality, this study suggests first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cadastral control point and identify the point’s usage managed by each organization. Next, we plan to begin theorizing the necessary programs for ‘SmartWork’ and to begin researching wha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arget system. This research will not only minimize the damages of cadastral control point by various construction, but create a set of basic frame of database management. In this, it should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dastral measurement service in further cadastral resurvey project and the changing of the national datum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