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사업자의 기장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장용운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1

        동일한 소득이 있는 곳엔 동일한 세금을 내는 것이 조세의 공평이며, 조세의 공평은 수평적 공평과 수직적 공평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국가가 동일한 소득에 대하여 동일한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세금부과를 위한 소득원이 나와야 하는데 이러한 소득원이 노출되지 아니하면 세금을 부과할 수 없는 것이다. 납세자가 장부를 비치하여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고 이에 근거하여 성실한 납세를 한다는 것은 바로 사회의 정의를 세우며 국가의 재정을 튼튼히 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조치일 것이다. 따라서 과세당국과 납세자간의 상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업자들의 정확한 장부기장을 유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로 소규모 사업자들의 과세표준 양성화를 위해서 어떻게 하면 장부기장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전제조건은 무엇인가에 대한 방법을 실증분석을 통해서 모색해 보았다. 그것은 첫째, 소규모사업자들을 지원하기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간편 장부 기준금액을 없애고, 간이과세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 납세자는 매출의 증가와 기장이익이 클 때 기장의 동기가 커지며, 이렇게 기장이 확대되면 과세표준이 양성화 되고 결국 기장확대와 과세표준 양성화는 긍정적 순환 구조가 될 것이다. Where the same tax the same income, which is the fair taxation. The fair tax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horizontal equity and the vertical equity. But, if the tax authorities do not know the exact income can not impose the correct tax. Book-keeping in good faith by the taxpayers to pay taxes is one of social justice. It also makes sound finances of this country. Therefore, the government have to encourage taxpayers should be accurate. This study is on the method how can we spread the book-keeping for the broadening the tax base of small-businessmen, and what is a prerequisite.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support small-businessmen. Second, simplified taxation system should be abolished. The taxpayer have a lot of motivation when a large increase in sales and profits, and Tax Base is expanded when Book-Keeping enlarge. Therefore, Both will be a circular structure of positive.

      • KCI등재

        기장지역 고지도와 옛길

        이종봉(Lee Jong-Bong)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1

        본고는 기장 옛길을 고지도 등의 문헌 자료와 현지답사 등을 통해 검토하였는데,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장은 남북을 축으로 산이 위치해 있고, 이러한 산을 중심으로 하천들이 발달되어 있다. 기장 옛길은 산 · 하천의 끼고 발달해 있었다. 옛길의 주위에는 기장에 부임한 수령과 기장을 순시한 관찰사의 비문(금석문) 등이 있어서, 이곳이 기장 옛길이었음을 명확하게 밝혀주고 있다. 둘째, 기장 옛길은 현장답사와 고지도를 통해 검토한 결과 『해동지도』와 『1872년 군현지도』에 묘사된 부분이 제일 정확하였다. 반면 일부 고지도에는 기장 옛길을 부분적으로 잘못 표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장 옛길을 묘사하면서 잘못된 지도를 원본으로 삼은 결과로 여겨진다. 따라서 기장 옛길은 『해동지도』와 『1872년 군현지도』를 활용하여 복원의 중요한 토대로 삼아야 한다. 셋째, 기장 옛길은 나름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양산에서 기장으로 오는 옛길은 행정적 기능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이는 옛길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수령들의 금석문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넷째, 기장 옛길은 현재 이전의 옛길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 있는데, 이를 복원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알리는 중요 자료로 삼을 만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old roads of Gijang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old maps and the field work. First, there is located a mountain on the axis of north-south in Gijang, and a river spreads out around this mountain. The old roads of Gijang were unfolded along the mountain and river. There were the inscriptions of the then officials and provincial governors around the old roads of Gijang, which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se roads were the old ones of Gijang. Second, according to my examination of old maps and my field work, the roads of Gijang depicted in Haedong-Jido and Old County Maps in 1879 are most exac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identified that some of the old maps partly mis-marked the roads of Gijang. It seems that these errors resulted from making a model of wrong maps when depicting the roads of Gijang. Thus, by using Haedong-Jido and Old County Maps in 1879, one must take this as a important foundation for restoring the old roads of Gijang. Third, the old roads of Gijang have their own feature. The old roads from Yangsan to Gijang had many administrative functions.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officials' inscriptions located around the old roads. Fourth, the old roads of Gijang are the place which has the past old roads' traces in its keeping. One can have enough precious materials to reveal the local identity by restoring this.

      • KCI등재

        기장의 옛 지명과 그 문화사적 의미

        최중호(Choi jung h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機張의 옛 이름은 '甲火良谷'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다른 이름으로 '車城'의 기록도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甲火良谷'과 '機張'의 관계성에 집중되어 있었고, '車城'의 의미와 다른 지명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는 '機張'과 '甲火良谷'은 각각 동일한 의미로 파악하고 있다. 한자의 대응 양식이 '機 : 甲', '張 : 火良'로 추정하여 연구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런 대응 양상이 잘못된 것임을 밝히고, '機張'과 '甲火良谷'은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지명임을 밝혔다. '甲火良谷'은 가라어의 영향을 받은 고지명이며, 그 의미는 '큰 벌판, 大邑' 정도임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機張' 지역은 과거 가라의 영토에 해당하며, 가라 세력이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 지역에서 나온 도기의 출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 지명인 '機張'은 『說文解字』의 설명을 인용하여 '활 시위', '활 시위를 당기는 모양의 장소',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車城'은 고지명 '甲火良谷'과 현 지명 '機張' 사이의 관계를 해명해 줄 자료로 '大邑'의 의미를 가진 지명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해보면 '甲火良谷'에서 '車城' 그리고 '機張'으로 이어지는 지명의 해석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Old name of '機張' is recorded with '甲火良谷'. Another name is recorded with '車城'. The study so far ; '機張' and '甲火良谷' is understood at the same meaning of each. Correspondence format of chinese character was studied with '機:甲', '張:火良', but in this paper this correspondence format reveals to be wrong and '機:甲', '張:火良' investigated location term that has different meaning. The reason can confirm a separate word that doesn't seem to correlate in ancient chinese character and Middle Chinese character of '機:甲'. '甲火良谷' is an old region that receives influence of a language of gara. This meaning is disclose with 'big field, 大邑' on the basis of this thing. The region of '機張' is territory of Gara, and we can know that another different Gara group take up the place. Appearance of pottery that appears in this region, we can confirm. Also '機張', present local name, cited explanation of 『說文解字』 and it is revealed at place of form where people pull a bowstring. Finally, '車城' is data that explains relationship between an old local name '甲火良谷' and a present local name '機張' and is interpreted as local name that has meaning of important region millitaritly. Analysing these things at base, it is judged that it will help interpret local name that get '車城' to '甲火良谷' and '機張'.

      • KCI등재

        조선후기 機張의 人文 位相과 인물

        Jung Kyeong Ju(鄭景柱)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기장 문화의 한 특성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삼국사기』의 거도(居道) 일화의 장토야(張吐野)와, 『삼국유사』의 영취사(靈鷲寺) 일화에 나오는 굴정현(屈井縣)이 기장의 옛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차성(車城)과 기장(機張) 및 갑화량곡(甲火良谷)이 여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기장읍지의 기록으로 보면, 기장의 사회 경제적 조건이 동남 지역 다른 고을에 비하여 그리 나은 편은 아니지만, 근검 질박한 풍속으로 독득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기장에서는 17세기의 학자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에 연원을 두고 월천(月泉) 신오(辛澳)와 그 문도들로 이어지는 하나의 학맥이 있었으며, 그 학문과 문학의 기풍이 19세기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오정일고』와 『월천일고』 및 심노숭(沈魯崇)의 『남천일록』과 신광호(辛光浩)의 『풍월축』 및 김봉희(金鳳喜)의 『碧梧集』 등의 문헌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장의 독특한 인문 정신과 그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대적인 문헌 발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토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張郡] have derived from Temple Chwijeongsa[鷲井寺]. Next, I pointed out th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County Gijang was reportedly very frugal and hardworking as that appears in many old books and documents. Gim-Banghan[金邦翰], Sin-Oh[辛澳], Sim-Nosung[沈魯崇], Sin-Gwangho[辛光浩], Gim-Bonghui[金鳳喜] and other important figures are included in there. Next I introduced several figures who lived in that area. Finally, to define the loc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Gijang[機張郡], we need more close collection of literature in there.

      • KCI등재

        임진왜란 직후 기장지역의 상황과 被虜人 沙器匠

        변광석(Byun Kwang-Se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기장은 인근 동래ㆍ김해ㆍ양산과 함께 일본군의 초기 진격로였다. 전쟁이 지속되면서 일본군은 동남해안에 왜성을 축조하여 후방기지로 삼고, 병력과 물자의 공급기지로 활용하였다. 그 중 기장현에는 죽성 왜성과 임랑포 왜성이 있었는데, 다른 주요 왜성근거지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서도 많은 민간인과 각종 기술자들을 납치해 나가는 창구역할을 하였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기장에서 조사한 가마터(도요지) 중에서 70%가 장안(長安)에 분포하고 있었다. 시기는 15세기 초~19세기에 걸쳐 고루 분포하고 있다. 특히 도자기의 제조시설과 파편의 유약이나 무늬는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전쟁으로 인해 납치되어간 수많은 피로인 가운데 사기장ㆍ야장들도 있었다. 그 중에 사기장들은 일본에 연행되어 가서 주로 큐슈지역 정착지에서 평생 도자기를 만들며 살아갔다. 당시 이삼평을 비롯한 극소수를 제외하고 납치된 사기장들의 대다수는 이름을 알 수 없다. 다만 전쟁 때 납치를 주도했던 주요 번주의 가문서(家文書)에서는 도자기를 굽도록 피로인을 정착시켰다는 단편적인 기록만 있을 정도이다. 즉 피로인들을 자신들의 고향에 강제 이주시켜 사역노동이나 도자기업을 영위하게 했던 사실만 기록한 것이다. 피로인 사기장 중에서 경상도 출신지역으로는 부산, 김해, 사천 등이 주로 많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장과 양산 일원에서도 납치되어간 피로인들이 있었다. 임란 당시 끌려갔던 많은 피로인 중에서 기장왜성을 축조한 구로다(黑田) 장수에 의해 납치되었던 핫산(八山)이라는 사람은 기장 출신 인물로 볼 수 있다. 그는 일본 후쿠오카에서 다카도리 가마(高取燒)를 창시하였다. 그런가 하면 아가노 도자기(上野燒)의 대표 사기장이었던 손카이(尊楷)라는 사람도 추론이 가능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정확한 성명과 그들의 출신지를 알 수 없는 피로인 사기장들이 부지기수였다. Gijang(機張) was a route of attack along with neighboring Dongnae, Gimhae and Yangsan. Japanese army constructed castles on the southeast seashore and used them as rear bases for the supply of military force and goods. Jukseong's Japanese castle and Imrangpo's Japanese castle in Gijang functioned as passages for abducting the technicians and civilians including masters of ceramics and exploiting goods. Seventy percent of kiln sites investigated in Gijang was located on Jangan(長安) from the early 15th to 19th century. The manufacturing facilities of ceramics and the glaze and patterns of fragments differ from those of other regions. There were many masters of ceramics and blacksmiths among civilian prisoners. The masters of ceramics were pulled along to Japan. Few names of them are known. But a small minority was recorded in documents of lord's families that led the Japanese invasion. There is recorded the process of masters manufacturing ceramics after being pulled along to the home of lord's family. A certain Hatsan(八山) abducted by Kuroda(黑田), a Japanese general was considered to be from Gijang. He founded Takatori kiln(高取燒). Sonkai(尊楷), a master of ceramics can be presumed to be from Gijang. However, we can not know where most of masters of ceramics came from.

      • KCI등재

        기장 성곽의 변천과 지역인식

        김현철(Kim, hyeoncheo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기장의 성곽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기장 성곽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였다. 성곽은 가시적인 성격이 큰 구조물이므로 지역사회의 인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기 장 성곽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장의 성곽은 총 6개소가 잔존한다. 기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성곽이 존재한다. 성곽 운용의 특징은 성곽이 지속적으로 운용된다는 점이며, 동시기에 2개소 이상의 성곽이 운용된다. 성곽의 운용은 ‘7세기-통일신라-여말선 초-임진왜란전후-17세기 이후’의 5시기로 나누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성곽에 대한 인식을 국가적인식과 지역사회의 인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가적 인식은 지명과 지리적 인식에 나타난다. 기장의 지명변화는 ‘갑화량곡-기장(차성)’이다. 그 의미는 ‘변두리마을’이며 변경의 요충지로 볼 수 있다. 기장의 성곽은 기장이라는 지명을 가시적인 효과로 표현하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기장에 대한 기록에도 중요한 요충지라는 지리적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기장의 성곽은 지속적으로 운용 될 수 있었고, 성곽의 운용은 지역사회에 성곽에 대한 인식을 남겼다. 지역사회의 성곽에 대한 인식은 고지도에 나타난다. 기장의 고지도에는 지역의 중심인 읍성을 비롯하여 유사시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곽을 표기하였다. 성곽의 인식에 대한 또 다른 예로 진산과 성산을 들 수 있다. 기장의 진산은 탄산이다. 탄산의 유래는 제철과 관련이 있으며, 진산의 조건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지도에 성산이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성산은 기장산성이 입지한 산을 뜻한다. 성산이 표기된 이유는 기장산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진산인 탄산과의 혼동을 방지하고 성곽을 활용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러한 여러 사례들을 종합해보면 기장의 성곽은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지역 사회 내에서 다양한 인식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cal perception of the Gijang(機張) fortress.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lack of examination into the Gijang fortress. A fortress is a big conspicuous structure and in turn has a big impact on local society’s perception. Therefore, the study looked into the local perception of the Gijang fortress centering on literatures. The Gijang fortress has 6 remaining sections. There exist various types fortresses in Gijnag. In terms of opera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y continued to operate and two or more operated at one time. The operation of fortresses can be divided into 5 periods, “7th century - Unified Shilla (新羅) - End of Goryeo(高麗) and beginning of Joseon(朝鮮) -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Since 17th century” Based on this, the study classified the conception of fortress into a national perception and a local perception. The national perception appears in geographical names and perceptions. The name of Gijang has changed “from Gaphwaryanggok(甲火良谷) to Gijang(Chaseong,車城)” It means ‘a suburban town’ or a strategic point in the frontier. The Gijang fortress symbolizes the geographical name, Gijang in a visual presentation.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a strategic point was also reflected in historical literatures about Gijang. Therefore, Gijang fortress could be operated continuously and the operations of the fortress left its perception in the local society. The local society’s perception of fortress also appears in old maps. In the old maps of Gijang were marked Eupseong(邑城), a center of the region as well as fortresses which could be used in emergency. Other examples of the perception of fortress are Jinsan(鎭山) and Seongsan(城 山). Jinsan of Gijang is Tansan(炭山). The origin of Tansan is related to steel and it suits Jinsan’s condition. In addition, the geographical name of Seongsan also appears in old maps. Seongsan means the mountain where the Gijang fortress is located. Seongsan was marked due to local society’s perception of the Gijang fortress and for preventing confusion with Tansan and utilizing the fortress. Judging by these various examples comprehensively, the Gijang fortress had a continuous impact on the local society. In addition, it appeared as various perceptions in the local society.

      • KCI등재

        부산 기장 읍성 주변 산명 변화 연구

        이근열 한국지명학회 2018 지명학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nges in the mountain names of ‘Tan-san(炭山)’, ‘Seong-san(城山)’, and ‘Setdeu-san’’ in around Gijang-eupong in Busan. The materials used in the research include Old map of Gijang, Gijang-euoji, and A place name data books of Gija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u-san(主山)’ on the current maps, ‘Suryeong-san(繡嶺山)’ on 『Gijanggunji』 and 『Encyclopedia of Busan Local Culture』 have been changed from ‘Tan-san(炭山)’. ‘Tan-san’ was the first name to appear in the 16th century 《Dongramdo》. In 1870 『Gijangeupji』, ‘tan-san’ and ‘Su-san(繡山)’ appear together. ‘Su-san’ is changed from 『Gijangungeupjii』, published in 1904, to ‘Su-reong(繡嶺)’. Since then, The place names of ‘Su-reong’ have disappeared and have been changed to ‘Ju-san(主山)’ in the 『Regional Geographical Survey(地方別地名調査綴)』 published in 1957. Since then, ‘Ju-san’ has become the current place name on maps. Second, ‘Seong-san(城山)’ first appears with ‘Tan-san(炭山)’ in 《HaeDongjido》, published in 1750. 《Jido》, published in the mid-19th century, changed from ‘Seong-san’ to ‘San-seong(山城)’. ‘Seong-san’ was later changed from 『Gijangeupji』 in 1870 to ‘Hyeong-san’. This ‘Hyeong-san’ even appears in the 《Jibangjido》 of 1872. The ‘Seong-san(城山)’ was later marked by a change of its place name from 『Joseunjijijaryo』 in 1910 to ‘Seong-san(筬山)’. The names changed from 『Regional Geographical Survey(地方別地名調査綴)』 made around 1957 to ‘San-seong(山城)’ and appear on the current map. Third, the old map did not show up as a ‘Setdeu-san’ because of the change of ‘Eupseung(邑城)’. ‘Setdeu-san’ was named 『Regional Geographical Survey』 in 1957 for mapping purposes after the Korean War. Later, ‘Setdeu-san’ appeared as ‘Saetteu-san’ on 『Hankuk-jimyeongchongram』 in 1980, 『Busan-jimyeongchongram』 in 2001, and 『Gijanggunji』 in 2001. In conclusion, ‘Suyeong-san’ or ‘Ju-san’ should be replaced with ‘Tan-san’ or ‘Su-san’. We have to change it to Seong-san. Also, ‘San-seong’ should be changed to ‘Seong-san’. The Chinese characters of ‘Seong-san’ must also be changed from ‘筬’ to ‘城’. ‘Setdeu-san’ needs to be changed to ‘Saeteo-san’ in consideration of its etymology. 본 연구는 부산 기장군 읍성 주변 탄산, 성산, 샛트산의 산명 변화를 고지도와 고문헌을 통해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지도에는 ‘주산’, 『기장군지』와 《부산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수령산(繡嶺山)’으로 나타나는 ‘탄산(炭山)’은 기장현의 주산으로 16세기 《동람도》에서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다가 1870년 《기장읍지》에서 ‘탄산(炭山)’과 ‘수산(繡山)’이 함께 나타난다. 이후 ‘수산’이란 지명은 나타나지 않다가 1904년에 간행된 《기장군읍지》에서 ‘수령(繡嶺)’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이후 산명이 사라졌다가 1957년경에 만들어진 『지방별지명조사철』에 ‘주산(主山)’으로 새롭게 나타나고 이것이 오늘날의 지도명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후 1980년 『한국지명총람』, 2001년 『부산지명총람』에서 ‘주산’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가 2001년 『기장군지』에서 다시 ‘수령산(繡嶺山)’으로 나타나고 이것이 《향토문화전자대전》에 그대로 ‘수령산’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기장현의 고읍성이 있었던 ‘성산(城山)’은 기장현의 안산이 아닌 관계로 고지도에 나타나지 않다가 1750년에 간행된 《해동지도》에서 ‘탄산’과 함께 처음 나타난다. 이후 18세기 중엽의 《여지도》에서 ‘성산’으로 나타나고 19세기 중엽의 《지도》에서 ‘산성(山城)’으로 표기되어 나타난다. 이후 1870년 『기장읍지』에서 처음 ‘형산(衡山)’이 나타나고 1872년 《지방지도》에서도 그대로 ‘형산’으로 표기되어 나타난다. 이후 1910년에 간행된 『조선지지자료』에서 ‘성산(筬山)’으로 표기가 변화하여 나타나며, 1957년경에 만들어진 『지방별지명조사철』에서 ‘산성(山城)’으로 산명이 바뀌어 현재의 지도에 나타난다. 이것이 1980년에 만들어진 『한국지명총람』에서 그대로 ‘산성’으로 나타나며, 2001년에 간행된 『부산지명총람』에서는 구체적인 지명으로는 등장하지 않다가 2001년의 『기장군지』에서 다시 ‘성산(筬山)’으로 바뀌어 나타나며 이것이 《향토문화전자대전》에까지 이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현 지도에 나타난 ‘셋드산’은 기장 고읍성의 배후의 진산이었으나 읍성의 이동으로 그 의미를 가지지 못해서 고지도상의 산명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드산’이 지명으로 등장한 것은 1957년의 『지방별지명조사철』이며, 한국전쟁 이후 지도 제작을 위해 새롭게 등장한 지명이다. 이후 1980년 『한국지명총람』에서는 ‘샛트산’으로 나타나며, 2001년 『부산지명총람』, 2001년 『기장군지』에서도 ‘샛트산’으로 나타지만 《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처럼 현재 ‘수령산’ 즉, ‘주산’은 고지명을 반영하여 ‘탄산’ 혹은 ‘수산’ 등의 이름으로 수정되어야 전통성이 보장된다. 지도에 ‘산성’으로 표기된 산명은 ‘성산’으로 바꾸어 표기해야 하며, 일제 강점기에 표기된 ‘성산(筬山)’의 표기를 ‘성산(城山)’으로 시급히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도에 ‘셋드산’으로 표기된 산은 후대에 만들어진 산명으로 그 어원을 고려하여 ‘새터산’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機張의 人文 位相과 인물

        정경주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張郡] have derived from Temple Chwijeongsa[鷲井寺]. Next, I pointed out th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County Gijang was reportedly very frugal and hardworking as that appears in many old books and documents. Gim-Banghan[金邦翰], Sin-Oh[辛澳], Sim-Nosung[沈魯崇], Sin-Gwangho[辛光浩], Gim-Bonghui[金鳳喜] and other important figures are included in there. Next I introduced several figures who lived in that area. Finally, to define the loc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Gijang[機張郡], we need more close collection of literature in there.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기장 문화의 한 특성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삼국사기』의 거도(居道) 일화의 장토야(張吐野)와, 『삼국유사』의 영취사(靈鷲寺) 일화에 나오는 굴정현(屈井縣)이 기장의 옛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차성(車城)과 기장(機張) 및 갑화량곡(甲火良谷)이 여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기장읍지의 기록으로 보면, 기장의 사회 경제적 조건이 동남 지역 다른 고을에 비하여 그리 나은 편은 아니지만, 근검 질박한 풍속으로 독득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기장에서는 17세기의 학자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에 연원을 두고 월천(月泉) 신오(辛澳)와 그 문도들로 이어지는 하나의 학맥이 있었으며, 그 학문과 문학의 기풍이 19세기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오정일고』와 『월천일고』 및 심노숭(沈魯崇)의 『남천일록』과 신광호(辛光浩)의 『풍월축』 및 김봉희(金鳳喜)의 『碧梧集』 등의 문헌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장의 독특한 인문 정신과 그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대적인 문헌 발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토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소규모사업자의 기장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정덕주,박성배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3

        현재 우리나라의 세제 중 가장 근간이 되고 있는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는 신고납세제도이다. 이러한 신고납세제도하에서는 납세자 스스로 세금을 계산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납세자의 자발적인 협력의지이다. 여기서 납세자의 자발적 협력의지란 세금을 계산할 때 정확한 근거에 의하여 계산함을 말한다. 그러므로 납세자가 세금계산에 있어서 근거과세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장을 통하여 세금을 계산 할 때 현행의 신고납세제도가 성공할 수 있고 또한 공평과세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조세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입법적으로 국민의 경제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세금을 부과하고 그렇게 거둬들인 세금은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납세자들에게 골고루 그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이렇게 공평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거래와 소득을 투명하게 파악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한다. 근로소득자의 경우에는 원천징수제도가 있기 때문에 소득이 투명하게 노출이 되고 있지만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투명하게 소득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자영업자들이 대부분 소득파악의 기본이 되는 회계장부를 기록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세기반을 토대로 수평적, 수직적 공평성을 달성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납세자의 소득을 계산할 수 있는 근거로서 장부기장을 유도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자영업자의 기장확대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조세정책의 개선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소규모 사업자들의 장부기장을 어떻게 하면 확대할 수 있을 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의 국세기본법,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등 각 세법에서 규정하는 기장 의무에 대해서 파악하였으며, 기장실태를 살펴보았고, 기장확대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상공인의 경제지원을 통한 확대방안이다. 이를 위하여 소상공인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투명한 경제 환경 조성과 지하경제를 양성화 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세무제도적 요인의 정비이다. 즉,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제도를 정비하고 면세대상 축소 및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득세법상 기장의무를 확대시키고 납세의식을 고취를 위한 홍보 및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도를 제안하였다. 셋째, 과세표준양성화를 통한 확대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금거래 노출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봤고, 적격지출증빙 수취대상을 확대 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세금계산서 방행제도의 개선 및 관리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넷째, 기장사업자에 대한 혜택을 통한 확대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장세액공제를 확대하고, 무기장가산세를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성실기장신고자에 대한 혈실적인 혜택의 부여를 강조하였다. 금융기관에서 거래시에 재무제표 제출을 필수요건화 하는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 다섯째, 세무대리인을 활용한다. 우리나라 소규모영세 사업자들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세무대리인을 통한 기장확대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해보고자 하였다. The corporation tax, income tax and value-added tax (VAT), all classifiable under the 'self-assessment system', may be said to be the mainstream in the current Korean tax system. Under the 'self-assessment system', tax payers are allowed to determine themselves the amount of tax to pay, for which nothing seems more important than the taxpayers' will for voluntary compliance. The taxpayers' will for compliance in this context means their willingness to compute tax exactly in the prescribed way. Only when taxpayers calculate their tax amount on the basis of book entry which is most fundamental for this system, it is then plausible to expect the current 'self-assessment system' or fair taxation as a whole to go successfully. In order to secure such fairness in taxation, it is preemptive to have complete information about all transactions and incomes of taxpayers. In case of wage earners, all sources of their income are laid bare without reserve, while the incomes of the self-employed are not fully monitored, because most of them do not keep accounts that should normally serve as basis for examining incomes. It will be quite impossible to look forward to fairness in taxation vertically as well as horizontally on such fragile ground. In a bid to deal with this situation, it is imperative to recommend taxpayers to maintain accounts of their transactions to enable them to offer the basis for computing tax amount to pay. The present paper aims to join efforts to improve the tax politics by mainly exploring measures to spread book-keeping among self-employed businessmen. This study builds up its theory for finding means to generalize bookkeeping among operators of small scale business. For this purpose, research is made first concerning obligations for taxpayers to keep books as stipulated in the Korean tax laws such as the Basic National Tax Act, Value-added Tax Act, Income Tax Act, Corporation Tax Act, etc., and then five suggestions are made as approaches to generalize bookkeeping as follows: First, extens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operators of small-sized business and measures must be worked out to create transparent environment for economic activities and to bring the underground economy to light; Second, measures are suggested to streamline simplified taxation system pursuant to the Value-added Tax Act and to tighten the requirements to receive tax reduction. Moreover, it is suggested to expand the scope of obligations to keep books as stipulated in the Income Tax Act and to intensify the programs for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to promote consciousness of tax payment; Third, it is sought after to lay bare as much amount of cash transaction as possible and suggested to widen the scope of approved expenditures against evidence. Besides, it is tried to improve or strictly control issuance of tax invoice; Fourth, emphasis is placed on expanding the scope of tax exemption for bookkeeping and increasing penalty tax for ommission or non-entry in an effort to offer more advantages on realistic base to those who declare booked accounts faithfully. It is also considered to oblige taxpayers to submit financial statements to the bank when opening or making accounts with it; and Fifth, as a measure to utilize tax agency in a try to lessen difficulties facing minor businessmen, it is discussed to establish measures to popularize bookkeeping by way of tax agents.

      • KCI등재

        발아 기장을 첨가한 건강 죽의 생리활성 평가

        박순화,김애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4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기장을 발효시켜 백미와 발아 기장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면역기능이 우수한 건강 죽을 개발하는 것이였다. 방법: 기장과 발아 기장의 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비교하고자 기장을 발아시켜 기장과 발아 기장의 항산화 및 효소 활성의 품질을 평가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시료를 선정하였다. 또한, 기장과 발아 기장의 혼합비율을 각각 다르게 산출하여 죽을 제조한 후 점도, 색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추출조건에 따른 기장과 발아 기장의 추출물 샘플(PM EtOH, PM DW, GPM EtOH, GPM DW)의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GPM EtOH에서 항산화 및 효소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 기장을 이용한 죽 샘플(Control, GPM10, GPM20, GPM30)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점도의 경우 기장과 발아 기장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의 경우 대조군(58.60)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의 경우는 GPM20 (-0.29)이 가장 높았고, 황색도의 경우 GPM30 (5.6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의 경우 발아기장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황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발아 기장에서 항산화 및 효소 활성에서도 그 우수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GPM 죽이 건강과 관련된 항산화 및 효소 활성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GPM 30%의 건강 죽은 현대인의 항산화 및 효소 활성 관련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In this study, healthy porridge was prepared with germinated Panicum miliaceum (GPM) to increase its antioxidative and enzymatic activities. Methods: Before processing healthy porridge with GP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anicum miliaceum (PM) and germinated GPM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DW, EtOH). Then, porridge samples (Control, GPM10, GPM20, and GPM30)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s of GPM, and their viscosity and color value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extracted GPM EtOH samples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nd enzyme activities than the water-extracted samples. The viscosity of the porridge samples (Control, GPM10, GPM20, and GPM30) tended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GPM increased. For the color values of the porridge samples,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highest brightness (58.60) and GPM20 demonstrated highest redness (-0.29), GPM30 demonstrated highest Yellowness (5.62). Yellowness increased as the amount of GPM increas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PM exhibits higher antioxidative and enzymatic activities than PM. Thus, it was concluded that 30% GPM will benefit consumers in promoting antioxidative and enzymat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