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이 논문은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구분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출산의례라고도 하는 산속은 오래 전부터 민족마다 자신들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출산과 관련된 의례를 담고 있는 습속이다. 각 나라 전통 사회는 그 사회의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 구조, 사상 등을 반영하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나타나는 특징은 차이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의 출생의례는 절 ,지성과 같은 기자속은 물론이고, 산전속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태몽에 대한 내용이 많다. 반면에 몽골의 출생의례는 산전속에서는 임산부들이 가지는 음식과 행위와 관련된 금기어가 많으며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한국과 몽골은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비슷하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여 표시했는데 몽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표시했다는 점이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가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 까지를 말한다. 이에 비해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3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 길다.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역신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으로 아명을 지어주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인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비교하면서 양국의 전통문화를 점검하고 한국과 몽골의 민속 문화만이 지닐 수 있는 상호간의 문화적 친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by classifying it into Gijasok, Sanjeonsok and Sanhusok. From the past, Sansok is a tradition that contains ancestral ritual on the lifestyle and belief of each nation. It is confirmed that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ref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national identity, social structure and idea. The birth ritual in Korea has many contents on dream of the forthcoming conception of a baby as a key of Sanjeonsok as well as Gijasok like Chiseong. To the contrary, it was Sanjeonsok in Mongolia that has many taboos related to foods and behaviors of pregnant women. Both Korea and Mongolia are Gijasok having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s Sanhusok, in Korea the symbols of boy and girl were separated, but in Mongolia, it was not identified. Yukasok focuses on various event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and the presents for event were different. In the birth ritual in Korea, child name was used to be devised in a humble name to protect child from Yeoksin. It was similar at Mongolia and they used to name the child in the name of animal or plant in a bizarre or horrible term. This study could find the affinity of both cultures by comparing culture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자기자각(self-awareness)의 재조명과 사회복지실천 교육방법 연구

        박선영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 No.1

        Along with a growing number of social workers with the license, from 19,196 in 2004 to 33,315 in 2006, the complexity of issues faced by clientele that has been furthered due to both increasing psychosocial risks and multi-cultural issues directs one's attention to concern with the qualification of social workers.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of social work, the professional value and judgment come to be evermore important and require development of the social worker's self-awareness that needs to be carefully examined and developed while social workers are educated and train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purpor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in social work practice involving social work values, observation of the code of ethics, and use of knowledge and skills in an integrated manner;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of self-awareness; and to suggest development of social work pedagogy and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evious conceptualization of self-awareness was critiqued because of its limited foci on the social worker's intrapersonal state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social worker. Then, in order to reintroduce 'environment' into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casts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critical self-awareness(i.e., critical reflexivity) using theoretical perspectives from sociology and specifically from Kondrat(1999). Also reviewed were the textbooks of social work practice in terms of the range of recognizing self-awareness as important and utilization of it in the text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simulation method as one of the effective pedagogy to enhance self-awareness, and actual exemplary cases of simulation in different social work settings in the US.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on the self-awareness issue in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are made for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education in terms of ways in which self-awareness can be facilitated both in school and in the community and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self-awareness on social worker's competence and client's outcome being able to support the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effectiveness of enhancing self-awareness. 매년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받는 사람의 수는 2004년 19,196명, 2005년 25,354명, 2006년 33,315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는 심리사회적 기능상의 다양한 위험에 처하는 클라이언트 군이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다문화 이슈가 팽배해져 어느 때보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질이 중요하고 또 염려가 된다. 점차 복잡다단해지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특성으로 인해 전문적 가치와 판단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이므로 기본 자질로서 자기자각(self-awareness)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복지사 윤리의 준수와 가치·지식·기술의 통합적 활용에서 자기자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환경과 인간에 공히 초점을 두는 자기자각의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며, 자기자각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법의 개발 및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먼저 사회복지사심리내적 그리고 사회복지사―클라이언트의 이인관계에 초점을 두는 기존의 자기자각 개념을 반성하고 사회·정치·문화적 구조와 환경의 중요성을 재도입하기 위해 사회학적 이론의 관점과 Kondrat (1999)의 개념화를 통해 대안적인 비판적 자기자각을 제안한다. 아울러 현재 사회복지실천의 교재에서 나타난 자기자각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향상하기 위한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효과적인 전략으로서 시뮬레이션의 개념과 프로그램 개발의 요건, 그리고 실제 활용 예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복지교육 및 실천현장에서 ‘환경 속의 인간’에 적합하고 임파워먼트 증진과도 일맥상통하는 자기자각의 증진을 위한 방안과 후속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 KCI등재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김은주(金銀柱),전정미(全貞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산속은 잉태하기를 비는 것에서부터 아기가 태어나 만 일년이 되는 돌까지의 과정에 있는 기원, 금기행사, 의례, 주술 등을 포괄하는 민속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사회의 산속이 과도기와 현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봄으로써 산속의 의미를 유아교육적 관점에서 재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회, 과도기사회, 현대사회의 산속의 변화 과정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 육아속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전통사회 산속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면서 매 순간순간 마음을 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과도기사회에서는 혼란스러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가정 형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산속이 행해져왔으나, 전통사회의 산속 문화를 크게 거스르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현대사회의 산속은 과학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합리성과 논리성에 대한 강조로 인해 전통사회의 산속은 미신으로 치부되거나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전락하였다. 이로 인해 산속을 통해 계승되어온 전통사회의 생명존중이나 자녀양육에 대한 정신적 가치마저 단절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서양식 교육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국 유아교육에 우리나라 전통 산속의 육아 지혜가 스며들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Custom of childbirth is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ranging from praying for pregnancy, wishing for the health of a baby till the first birthday party of the baby, taboos, ceremonies, and a charm.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by investigating how custom of childbirth has been chang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making preliminary data to secure the continuity of educating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famil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took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of custom of childbirth in the modern society by classifying it into custom of pregnant praying, custom of prenatal caring, custom of puerperium caring, and custom of childcare.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appropriately in line with the order of life, following the laws of natu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in various form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family and the chaotic period. However, the practices were not totally different with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While,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s being discounted as an old wives’ tale or considered as an option rather than a mandate as rationality and logicality become more importan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This made people cut traditional spiritual values like respect for life and child bearing which had been inherited in custom of childbirth. This study would be a corner stone to learn the wisdom of child bearing in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n a situation where too much child-bearing information makes families confused and only the western educational method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 KCI등재후보

        中國 淸代의 歲時風俗 考察

        상기숙 한국중국소설학회 2003 中國小說論叢 Vol.17 No.-

        本論文想通過考察被定爲中國古代和民國界限的淸代的主要歲時風俗, 來理解淸代社會和中國的傳統文化. 中國的歲時風俗是經過타的形成ㆍ發展ㆍ繼承ㆍ變異等歷史轉變過程後流傳下來的. 先秦屬타的萌芽期, 大部分以原始崇拜與民俗信仰爲基礎, 而表露着濃厚的信仰色彩. 漢代是歷史·傳說的活性化時期, 屬中國歲時風俗的定型期. 之后, 再經過魏晉南北朝與唐宋的整合期得到進一步發展. 但魏晉南北朝時期受佛敎ㆍ道敎, 北方遊牧民族文化, 魏晉玄學以及淸談氣風等影響. 在漢代原始崇拜與信仰因素已明顯減少, 到唐宋時期娛樂和禮儀因素反而被强調幷發展. 遼·金·元三代顯示與北方民族風俗相融合的面貌, 同時被大大萎縮, 到明淸兩代, 大城市的節日再次得到唐宋城市般的繁榮. 中國民俗的特徵可擧民族性ㆍ階級性ㆍ封建性ㆍ原始性ㆍ神秘性ㆍ實用性以及地域性ㆍ繼承性ㆍ融合性ㆍ變異性等特點. 雖然滿族所建立的淸代屬於中國封建社會的末期, 但傳統的風俗活動比過去任何時期還活潑. 淸代不但保存幷繼承ㆍ改變過去的風俗, 而且使其規模更爲壯闊. 其原因有 1) 經濟和商工業的發達 2) 漢ㆍ滿兩族民俗文化的大融合 3) 皇帝與貴族階層對民間遊藝的愛好. 淸代風俗的特徵可擧 1) 繼承性 2) 變異性 3) 地方性 4) 歷史性. 淸代對風俗予以較高的關注, 因此有關타的記錄ㆍ硏究ㆍ蒐集等活動都흔活潑. 尤其到康熙ㆍ乾隆兩代最爲旺盛. 淸代民俗關聯資料的特徵可擧「勅撰」ㆍ「重修」形式. 此外, 大量的地方志裏記載着各地區豊富的獨特風俗. 全國的地方志總數有8,200餘種, 其中淸代的地方志多達5,587種, 總점百分之七十. 中國民間的傳統節日, 自陰曆1月至12月, 共有78餘條. 其中新年開頭的1月빈的活動最爲豊富. 本論文將淸代歲時風俗分爲以下三部分來進行討論. 1) 更爲繁盛的民間傳統節日: 年節, 元宵節, 端午節, 中秋節. 2) 被改變的民間傳統節日: 花朝節變爲春龍節, 上巳節變爲春游節, 乞巧節變爲七娘會, 쇄蟲節變爲쇄袍會, 此外還有無定日的老鼠嫁女. 3) 淸代新起的民間傳統節日: 苗族的跳月, 花兒會, 錫伯族的社因拜專찰節, 苗族的牛打場, 古隆坡會, 太平軍生日祭, 布依族的王龍간祭歌節, 廣東人的游花市及其他. 淸代歲時風俗內容的特徵可總結爲祭祀, 娛樂, 招福除厄, 祈子俗以及紀念近代歷史性事件或人物的活動等. 尤其, 値得注意的是, 從而可知到了淸代遊戱性的娛樂形式被人們所重視幷進一步得到發展.

      • KCI등재후보

        인위적 전기자극이 비만여성의 근기능 및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용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홍 용. 인위적 전기자극이 비만여성의 근기능 및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119-130, 2002. 본 연구는 비만인들에 있어서 6주간 저주파를 이용한 인위적 전기자극과 운동 시 인위적 전기자극의 병행처치가 슬관절 신전근 및 굴곡근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비만인들의 스포츠 참여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수행능력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34명의 비만 여성들로서, 이들은 전기자극집단(FES group, 10명), 운동집단(EX group, 13명), 운동과 전기자극을 병행 실시하는 집단(EX+FES group, 11명)으로 구성하였고, 각 집단별, 집단간 처치 전·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FES와 EX+FES group에게 처치한 6주간의 인위적 전기자극은 슬관절 신전근부를 이용하여 50Hz의 강도에서 주당 3일, 1일 1시간씩 실시토록 하였다. 또한 6주동안 FES를 제외한 두 집단들에 처치한 운동 방법은 트레드밀과 고정식자전거를 이용해 각 개인별로 자각적 운동강도를 기준으로 최대운동의 60% 수준에서 주당 3일, 1일 300∼400㎉가 소모되도록 하였다. 각 집단별 처치 전·후간 근 기능과 운동지속능력에 대한 측정은 근 기능의 경우 등속성 기구를 이용해 슬관절부에서 초당 60˚의 각속도에서 3회 최대 운동을 실시토록 하여 체중당 peak torque %로서 계측하였고, endurance ratio %는 초당 180˚의 각속도에서 26회 최대 운동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운동지속능력은 자동개스분석기를 이용해 최대산소섭취량, 운동지속시간, 무산소성역치 수준으로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EX집단에 비해 EX+FES집단에서 근 기능중 좌,우측 슬관절에서의 peak-troque의 변화가 굴곡과 신전근 모두에서 가장 높은 증가정도를 보인 반면, FES group에서는 처치 전·후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 지구력에 있어서는 EX+FES집단에서만 오른쪽 굴근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다른 두 집단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동지속능력의 변화에 있어서는 EX+FES집단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과 운동지속시간, 무산소성 역치수준 모두에서 처치 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EX집단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 무산소성 역치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증가정도에 있어서는 EX+FES집단에서 보다 높은 증가정도를 보였다. 한편 FES 집단에서는 무산소성 역치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와 같은 FES의 처치는 근 기능과 운동지속능력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시 인위적 전기자극을 병행처치하였을 경우, 운동만을 실시하였을 때보다 근 기능과 운동지속능력에서 보다 높은 증가정도를 보여 운동 시 인위적 전기자극의 병행 실시는 비만자들의 운동기능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Hong, Y.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on the Functional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of Obese Women during Submaximal Exercise. Exercise Science 11(1): 119-130,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tify the influence of six weeks of low-frequenc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and FES on functional strength of knee flextion and extention muscle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during the exerci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4 obese women who didn't take part in regulated exercise training.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FES; 10), exercise group(EX; 13),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the exercise group(EX+FES; 11). And investigated with six weeks of the induced changes on each groups. Knee extensor muscles(KEM) of FES and EX+FES group were carried out using a electric stimulator at 50Hz for 1 h/day and 3 days/wk, and two groups (EX and EX+FES group) receiving training sessions were three time a week for 6 weeks. The range of energy expenditure is 300∼400㎉/day at a 60% of maximal exercise capacity using ratio scale of perceived exertion (RPE). Function of muscle capacity test were performed three isokinetic exercise (60˚/sec) and endurance ratio % were performed twenty-six isokinetic exercise (180˚/sec) at knee joint using cybex. Endurance exercise capacity (VO_2max, endurance time, anaerobic threshold;AT) were measured using anatomic gas analyzer. The peak-troque of flexer and extensor on the Knee joint were increase in the EX+FES group than EX group after 6 wk, but not significant increased in the FES group. And muscle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right flexer muscle in the EX+FES group, but not significantly altered on FES and EX group. The VO_2max, endurance time, AT we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FES group, and EX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VO_2max, AT after 6 wk. But the altered level were more high in the EX+FES group than EX group. Whereas, there were slight increase only on AT in the FES group. The data indicated that functional capacity of knee flextion·extention muscle and endurance capacity was not affected by FES of the current study. But this exercise capacity was affected by exercise and FES during exercise. And functional strength of knee flextion·extention muscle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were more high by FES during exercise than only exercis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ES during exercise using more efficient method to improve the functional capacity of exercise on the obese individuals.

      • 비행시험을 통한 스마트무인기 대기자료장치 보정

        조암,강영신,이용우,박범진,유창선,구삼옥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대부분의 유인기 및 무인기는 대기속도, 옆미끄럼각 등을 측정하기 위해 대기자료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대기자료 장치는 피토-정압 튜브 및 옆미끄럼각을 측정하기 위한 베인(van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토-정압 튜브에서 측정되는 정압은 비행체에 대한 피토-정압 튜브의 장착 형상 및 받음각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옆미끄럼각 및 받음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베인이 비행체에 의한 경계층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비행체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는 풍동시험이나 수치계산에 의해 보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기자료장치는 비행체에 장착한 후 비행시험을 통한 보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면속도를 이용한 정압, 즉 대기속도 보정기법과 비행데이터를 이용한 옆미끄럼각 보정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또한 스마트무인기의 비행데이터에 제안된 보정기법을 적용하고 이를 CFD 결과와 비교한다. Most aircrafts are equipped with an air data system to measure airspeed, angle-of-sideslip(AOS) and so on. An air data system consists of Pitot-static tube and gimbal-mounted weathervane. The static pressure obtained by Pitot-static tube is affected by fuselage nose and angle-of-attack(AOA). To measure AOA and AOS accurately, weathervane should be placed out of boundary layer around fuselage nose. But due to structural problems, it is not easy to keep sufficient distance between static-hole of Pitot-static tube and fuselage nose. This gives rise to the error of measured air data and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is error by wind-tunnel test or computational method. Thus, air data system must be calibrated through flight test after installation. In this paper, airspeed or static pressure is calibrated using ground velocity. And this paper proposes Kalman filter based AOS calibration method using flight data.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simulation and real flight data of Smart UA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