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생충 길들이기: 제주도 사상충 한일 공동 연구 사업

        정준호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기생충학이 가지는 특징 중 하나는 학문적 발전과실천적 발전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기생충학은 국가 단위의 기생충 박멸 사업과 공동으로 성장해왔다. 기생충 박멸 사업을 추동한 것은 기생충학자들, 그리고 국제적 네트워크로 맺어진 민간단체 및 활동가들이었으며, 이를 통해 기생충학계는 풍부한 연구 자료와 자원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초기 기생충학자들은 기생충 관리 사업을 통해자원을 획득하고 학문적 성취를 얻는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실천적 활동과 학문적 활동이 분리되지 않고, 그 변화들이 본국에서의 경험 뿐 아니라 주변과의 교류 및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해왔다는 것은 기생충학과 기생충 박멸 사업을 한국이라는 일국적 경계 내에서 보는 것 이상의 분석을 요구한다. 제주도 한일 사상충 공동 연구 사업을 통해 지역적으로 생산된 지식들이 어떻게 초국적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공간에서 재현되며, 나아가 국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지 살피고자 한다. 제주도라는 독특한 지리적 공간은 일본 기생충학자들 뿐 아니라 한국 기생충학자들에게도 외국과 같은 공간이었으며, 동시에 말레이사상충이라는 낯선 기생충과 조우할 수 있는 장이기도 했다. 또한 연구의 적극적인 참여자였던 지역 주민들의 역할을 통해 현장에서의 지식이 초국적인 것으로 위치 지어지는 과정을 살핀다. 이 과정을 통해모델 생물로 자리 잡은 사상충을 본래 이들이 존재하지 않던 일본과 미국으로 이주시켜 인간 뿐 아니라 기생충의 다층적인 초국적 이동이 가능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고대 기생충과 질병

        전용호(Jeon, Yong-Ho),서민석(Seo, Min-Seok),홍종하(Hong, Jong-Ha)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2

        삼국~통일신라시대의 화장실 관련 생활유적에서 검출된 기생충은 고고학(+문헌사), 생물학, 의학 관련 연구자들의 융복합연구로 과거 사람들의 삶을 이해함에 중요한 자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기생충은 고대인들의 식생활이나 질병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인분을 활용한 농경이나 오수 처리 시스템 등과 같은 도시환경이나 경관까지도 폭넓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기생충의 DNA 추출 등 새로운 자연과학적 분석을 적용하여 기생충의 진화 과정을 복원하여 질병의 역사적 흐름을 추적하는데 상당히 유익하다. 기생충의 검출이 곧바로 ‘화장실’이라고 단정하는데 신중해야 한다. 기생충은 도시의 오수 처리와 관련한 시설에서도 검출되기도 한다. 화장실이 아니라 분뇨를 폐기하는 시설도 존재할 수 있다. 기존에 수세식 화장실로 보아왔던 유구에 대해서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고대에서부터 20세기까지도 분뇨는 地力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비료로 활용되어 왔다. 기생충에 의한 감염은 분뇨를 비료로 이용한 농경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화장실은 인류 역사와 함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부터 인간은 음식을 먹는것뿐만 아니라 배설의 중요성도 인식하였기에 농경사회로 전환됨과 동시에 거주지에서의 화장실 존재가 필요했다. 하지만 고대 사회는 사람의 분변을 활용한 농경법의 발달과 더불어 비위생적인 하수처리, 잦은 하수의 범람 등 다양한 조건에 기생충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생충은 화장실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 인간과 접촉되어 있으며, 우리의 생활 패턴과 거주문화에 따라 그 양상도 달라진다. 국내외 사례에서 보더라도 인구가 밀집한 지역, 강의 범람, 농경지나 정원 등에서는 화장실 유구가 아니더라도 고대 기생충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이러한 경향을 근거로 향후 고고학적 유적의 토양과 퇴적물을 심도 있게 관찰, 조사, 연구하여 고대 사회의 음식문화, 유통경로, 공중위생, 질병관계 등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한반도 고대사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 The parasites detected in residential remains related to toilets from the Period of Three States to Unified Silla Period are estimated to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life of ancient people as multi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archaeology (+bibliographic history), biology, and medical science. Parasites are important for investigating the diets and diseases that infected ancient people. They enable the extensive identifica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or landscape, including farming using excrement or waste from sewage treatment systems. Furthermore, parasites are very useful in tracking the historic trend of diseases due to the evolution process of parasites by applying new natural scientific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the DNA extraction of parasites. Care must be taken when concluding that parasites are found in ‘toilets’. Parasites can be also detected in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a town. The facility treating excrement might exist instead of toilets. It is also required to reanalyze the remains which were considered as a flush toilet in the past. Excrement was used as an effective fertilizer, enhancing the fertility of soil, from ancient times to the 20<SUP>th</SUP> centur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nfections by parasites were based on farming using excrement as fertilizer. It’s not too much to say that toilets were always in human history. Since peopl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xcretion, as much as having food , toilets was required for residential sites as the farming society grew.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ancient society was exposed to parasites in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from unsanitary sewage treatment and the frequent flooding of sewag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using human excrement. Parasites have had close contact with human beings from the past until now in diverse conditions, including in toilets. The forms of parasites vary depending on the lifestyles and residential culture of human beings. There will be lots of opportunity to find traces of ancient parasites in densely populated areas, flood planes of rivers, farmland, or gardens in Korea and abroad, with some places even having except toilet remain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results from this study may be a new milestone in the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by observing,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oil and deposits in archaeologic remains in depth and thus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food culture, public hygiene, and disease relationships in ancient society in the future.

      • KCI등재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생명자본의 관점에 관한 연구

        강병호(Byoung-Ho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Cannes Film Festival)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2020년 2월 아카데미 작품상도 받아 기념비적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격렬하게 뒤틀린 계급격차, 계급의 분노와 같이 계급(class)간 갈등을 주제로 논평한다. 영화 <기생충>은 마르크시즘(Marxism)의 정형화된 계급투쟁 구도보다“악한이 등장하지 않는 비극”, “문화로 체화된 내재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주장한 기체화(substrate)된 현대사회의 계급관계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영화 <기생충>은 이념 대립이 과잉인 한국사회에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기생충>이란 키워드는 문화 콘텐츠가 아닌 정치권의 논쟁에서 차용된 경향도 발견할 수 있다. 기생충을 좌파 선동 영화라 치부하는 주장도 있지만 정작 사회주의가 국가이념인 중국에서는 개봉을 금지시켰다. 반면 이어령은 영화 <기생충>이 이분법적 시각으로 사회현상을 바라보지 않고 겹 시각(dual view)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주장하며 긴장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눈을 잃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은 생명자본론 (vital capitalism)에 기초한다. 생명자본론은 계급투쟁 갈등에서 역사발전 근인을 찾지 않고 생명이 가진 고유특성 토포필리아(topophilia), 네오필리아(neophilia), 바이오필리아(biophilia)로 역사와 사회를 해석한다. 또한 문명 발전을 홉스 (Hobbes)의 포식주의 단계, 미셀 세르(Michel Serres)의 숙주-기생 단계, 마굴리스(Margulis)의 상호 기생, ‘상생’의 단계로 발전해왔다고 조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생명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문화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영화<기생충>의 내용 중 문화자본에서 주장하는 아비투스(habitus), 기초한 장(fields)의 개념으로 해석된 장면(차별, 취향, 교육, 기생)을 중심으로 생명자본적인 재해석을 시도한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문화자본론은 콘텐츠 해석에 있어 자기이해의 단일동기로 해석의 다양성과 우연성을 저감할 가능성이 높고 도식화된 해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속론 즉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자본주의의 속성은 연속된다는 주장은 새로운 하부구조(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변화와 이에 의해 변화되는 사회관계와 개인의 역할을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 <기생충(parasite)>을 텍스트로 선행연구들이 해석의 기초한 문화자본적 접근방법에 대응하여 생명자본의 해석적 대안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는 한국의 극단적 이념 풍토에 대한 대안의 시도라 할 수 있다. The film 〈Parasite〉 won the Golden Palm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and received the Academy Award for a non-English-speaking film in February 2020, respectively. It has received a monumental evaluation in the world film history. Overall, this film is about class conflict, and critics evaluate the theme of the film as “badly twisted class gap” and “anger from class.” The film 〈Parasite〉 expresses an intrinsic conflict embodied in culture as a “tragedy in which no bad person appears,” rather than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the classical class struggle from Marxism. In other words, this can be seen as expressing the substrated class relationship of the modern society that Pierre Bourdieu had argued. This film 〈Parasite〉 has been focused as a controversial target under Korea society with excess of ideology. Politics used to adopt the keyword, ‘parasite’, for political disputes not only in culture contents world. Paradoxically socialism China did not allow to release film ‘Parasite.’ On the other hand, Lee O-Yong argues that the movie “Parasite” does not look at social phenomena through a dichotomous perspective, but is viewed through a “double perspective” and evaluates that it does not lose eyes looking at humans through tension. This view is based upon ‘Vital Capitalism’. Lee. O-Yong looks at the movie “Parasite” from the perspective of “Vital Capitalism”. The theory of Vital Capitalism does not seek to find the root of historical development in class struggle conflicts, but rather figuring out history and society pays attention on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life, Topophilia, Neophilia, and Biophilia. Lee Eo-ryeong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ory evolved from the stage of Hobbes" Darwinism or predatism to the stage of host vs. parasite of Michel Serres, and onto the stage of Margulis"s ‘Win-Win (inter-dependence)’. In this paper, after overview of vital capital concept and preceeding research, re-interpretations were tried onto scenes based upon fields from habitus, culture capital. This exploration looks for a alternative for excess of ideology in Korea society.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영화 기생충 OST에 반영된 ‘계층’의 의미와 그 음악적 전개

        윤지선(Jiseon 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영화 기생충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ST)은 영화가 그려내고자 한 ‘계층’의 의미를 핵심 개념으로 반영하여 그 음악적인 구성을 펼쳤다. 그리고 전체를 관통하는 음악적 질감으로서 바로크 스타일을 표현해냈고, 이는 블랙코미디적인 영화의 성격과 화면 구성, 주인공들의 이미지 및 연기와 맥락을 같이 하여 영화의 드라마틱한 극적 전개를 함께 이끌어냈다. 본고는 영화 기생충 OST에 나타나는 음악적 은유가 영화의 주제 그리고 전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본다. 계단식 음형의 진행은 ‘계층’을 상징하고 있으며, 영화 전반부를 통해 상승하는 음형으로 플롯과 감정 선을 표현하고 있다. 영화 후반부에서 지속적으로 하강하는 이미지는 OST에서 하강하는 저음 멜로디 진행을 따라 함께 흘러간다. 연구는 각 시퀀스와 장면에서 이러한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가 음악 구성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영화에서 음악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발전과 도약의 자리에 서 있는 한국영화와 영화음악의 현재 위치를 들여다보게 될 것이다. The film PARASITE utilizes musical composition and development to reflect the meanings of “classes” throughout. For the texture of the entire original score, composer Jung and director Bong chose “Baroque style” as a representative musical characteristic in the film. The concept of “pretending Baroque music” harmoniz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lack comedy, one of the styles adopted in the film, led to dramatic developments that connect to the “mise en scène” and performance of starring actors.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metaphor and theme message of the film in connection to its plot. The step-wise progressions in the original sound track(OST) symbolize classes; ascending progressions composed for the beginning to the middle part of the film express the emotion and plot of those parts, whereas images of descent flow with descending progress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film. This study analyzes how the music composition of the OST connects to images of ascent and descent in each sequence and scene in PARASITE. Eventually, this paper illuminates the essential role of a sound track, and the possible capacity of Korean films and film music.

      • KCI등재

        기생충과 빵부스러기 - 영화 ‘기생충’의 무계획 형상과 시리아 페니키아 여인 (마르 7,23-31)의 빵부스러기 형상에 대한 기호학적 비교 분석

        안영주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61 No.-

        in the film ‘Parasite’ (which was awarded the prize of the Golden Palm in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9) Ki-tek speaks ‘unplenned is plen.’ In this speech, one can guess many reflections of philosophies and religious and many traces of life. It is more significant that this word does not come from senario of this film but of a dialogue between the actor and the director of this film. And according to the semiotic expression, it is realized in the distortion of the figurative journey(parcours figuratif), at the level of enunciation. In Cannes, after film preview, considering the reception of the foreigns jurnalists like their history, in the system of modern capitalism, one can no longer separate the events happened to local of the global one of the whole world. In a world shared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in a world where one has to risk one’s life by exceeding the line of separation, is there any hope in a monologue of Ki-or whispers sitting in the room half-basement at the end of the film? The woman of Phenicia in Syria (Mk 7,23-31) seems to get a clue of what one hopes for. In this story, which resembles the film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ce, the figure of Crumbs that falls from the table without the help of anyone’s hand, or the gap of time, dissolves the conflict between peoples and between classes, opens the Good News to the Global(to the Pagan), while this news was so far firm in a local(Israel).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nd the opening in the impasse that the world of modern capitalism is today, following the distortion of the figurative device in paths. “공은 기대하는 방향에서는 결코 오지 않는다.”는 알베르 카뮈의 말처럼, 최근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의 한 장면에서 극 중 인물 기택의입에서 나온 “절대 실패하지 않는 계획이 뭔 줄 아니? 무계획이야 무계획”이라는 말속에는 무수한 철학적 종교적인 숙고와 삶의 자취가 묻어난다. 이 말이 봉준호 감독의극본에 들어있던 말이 아니라, 송광호 배우와의 대화 속에서 찾아낸 말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굳이 기호학 용어를 쓰자면 형상 행보 속에서 드러나는 형상의 일그러짐(피규랄)이 발화행위 차원에서 이루어졌기에 더욱 의미심장하다. 칸에서 영화시사회 이후이 영화가 외국 기자들에게 그들의 이야기로 받아들여졌다는 사실은 현대 자본주의체제 속에서 특정 지역에서 일어나는 양극화 현상이 온 세계와 떼어 놓고 생각할 수없음을 직시하게 한다. 수직으로 아래위가 나뉜 세상, 선을 넘나드는 것이 목숨을 담보로 내어놓아야만 할 지경이 되어버린 세상은 현대 자본주의가 남겨놓은 냉혹한 현실이리라. 이런 세상에서, 영화 마지막 장면에 반지하에 앉아 읊조리던 기우의 독백에나타나는 ‘근본적인 계획’에서 과연 희망의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을까? 성경(마르7,24-31)에 나오는 이름도 소개되지 않는 시리아 페니키아 여인은 우리에게 이 희망, 곧 그 희망한다는 것의 단초를 제시해 주는 것 같다. 공간 배치상 ‘기생충’ 영화와 유사하게 짜여진 이 짧은 일화에서 식탁으로 그어진 선을 누구의 손도 거치지 않고 통과하는 빵부스러기 형상은 민족간, 계층간의 갈등이라는 간격을 단숨에 해소하고, 이스라엘이라는 특정 지역에 묶여있던 복음을 이교도들에게로 보편적으로 활짝 열어젖힌다. 영화 ‘기생충’에서 선을 넘나드는 냄새가 결국 살인에 이르게 했다면, 시리아 페니키아 여인의 일화에서 빵부스러기는 선 자체를 사라지게 하고, 이 이교도 여인을 필두로 이방인들에게 닫혀 있던 문을 활짝 열어젖힌다. 이 논고는 영화의 서사 행보 속에서 형상의 일그러짐을 고찰하면서, 현대 자본주의 세계가 처

      • KCI등재

        기생 관계로 살펴본 기생자의 생존 방식에 관한 연구 : <기생충>에 나타난 숙주와 기생 생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남석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1 탈경계인문학 Vol.14 No.1

        <기생충>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한국 영화였고 흥행 상으로도 상당한 호조를 보인 작품이었다. 최근 국내외 연구자들은 이러한 <기생충>에 대해 폭발적인 관심을 표출하면서, 이 작품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이 인간 사회에 대한 보다 정치한 해석을 갖추기 위해서는, 작품 내에 수용된 자연 생태(학)적 관찰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기생충>은 자연 생태계에서 기생자와 숙주의 관계를 면밀하게 고찰한 작품이며, 인간 사회의 특성을 묘사하기 이전에 그 유사성을 검토한 결과를 반영한 경우이다. 따라서 <기생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생태 조건과 기생의 방식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원리와 인간 사회 환경의 유사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반드시 요구된다고 하겠다. <Parasite> was a Korean film that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and it was a work that showed considerable success as a box office. Recently, researchers at home and abroad have expressed explosive interest in this <Parasite>, and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on this <Parasite>. The research related to <Parasite> thus calculated takes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work as an important observation point, and concludes that this film is a work that reveals the structur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However, in order for this work to reach a more precise interpretation of hum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atural ecological (scientific) observation accepted in the work. <Parasite> is a work that close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sites and hosts in natural ecosystems, and reflec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imilarity before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of in-depth research on <Parasit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ecological conditions and the method of parasitism, the principle of the ecosystem maintained based on this, and the human social environment.

      • KCI등재

        영화 미장센을 통해 살펴본 사회계층 간 아비투스 특징고찰

        김수정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2

        The popular Korean movie <Parasite> 2019 has been a massive box office hit with more than 10,068,252 viewers to date. Directed by Bong Joon-ho, <Parasite> is a black comedy suspense movie where Ki-taek (Song Kang-ho) and his family live in a semi-basement dump. It shows the events that unfold as Ki-taek’s son, Ki-woo (Choi Woo-sik), starts a job as a private English tutor to the daughter of CEO of a top firm. The movie <Parasite>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it dealt with current world problems of class segregation while at the same time earning the favor of the audienc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ocial class gap drawn by the world and characters within the film through Pier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while at the same time examining how the cultural gap of Korean society is handled within the film. In particular, the study was conducted to show how the habitus gap between classes was expresse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mechanisms’ and ‘mise-en-scene.’ Analysis shows an image of a ‘staircase’ that effectively portrays the social position and class as the very device that differentiates the classes inside the society. The title itself, ‘Parasite,’ is a very effective mechanism that reveals the characters’ way of life. With the house as the host, Moon-gwang and Ki-taek’s family are the parasites trying to take possession of the host as the film portrays a class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host and the parasite. One of these characteristics is that the higher classes use their abundant financial resources to control the time and space of those amongst the lower classes. The act of ‘crossing the line’ is often a form of behavior that is performed by the higher class toward the lower class. This line of authority is one way and cannot be overturned. References to these acts and the attitudes of the characters toward them are shown repeatedly in the movie, <Parasite>, to effectively express ‘class’ and ‘hierarchy’ that exist in our society. The biggest feature found through the analysis was the usage of the spatial feature of the ‘house.’ Social groups, based upon their material wealth, will form groups through judging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s which are then used to symbolize the distance between such social groups. Both Ki-taek and Dong-ik’s family form their respective habitats based on the space they live in which in turn are reorganized to form their respective ranks. These restructured habitats will ultimately appear in their behavior, language, and attitudes. As a result, spatial habitus has emerged as a major factor that clearly reveals class differences. As can be seen by Bourdieu’s classification of social position and their preferences, Dong-ik’s space, as defined by the ruling class, is able to express his conscious taste with the support of his immense material wealth. On the other hand, Ki-taek’s space, which is at the level of the working class, was based solely on need and put functionality as priority. 영화 <기생충>(2019)은 2020년 3월 현재 누적관객 수 10,289,570명의 흥행한국영화이다. 봉준호 연출의 블랙코미디 서스펜스영화로 반지하에 사는 전원백수 기택(송강호 분) 가족의 장남 기우(최우식 분) 가 유명기업 CEO 박동익 사장(이성균 분) 딸의 과외를 시작하며 벌어지는 계층 간의 충돌을 다룬 이야기이다. 본 연구는 영화의 미장센(mise-en-scène)을 통해 사회 계층 간의 문화격차를 살피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분석대상으로는 영화 <기생충>을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최근 흥행영화 중 ‘계층격차와 계층 간의 충돌’의 문제를 문화적 측면에서 다룬 영화를 선정하는 것이 현재 우리 사회의 계층 간의 특징을 파악하고 시의적 함의를 분석하기에 용의하다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영화 내의 세계와 인물을 통해 나타나는 사회계층격차를 미장센분석을 통해 살피고,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아비투스(habitus) 개념으로 분석해 한국사회의 ‘문화적 격차’의 함의를 고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방법은 영화의 미장센과 신(scene)별 분석을 통한 인물들의 말과 행동방식 고찰을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계층 간 아비투스 격차가 표현된 방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영화 <기생충>은 사회 계층별 문화 아비투스의 차이를 ‘공간적 개념’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표현했음을 알수 있었다. 사회적 계층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계단’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를 차용해 효과적으로 기표 화 했고 영화의 제목이기도한 <기생충>은 등장인물들의 삶의 방식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영화는 또한 집이라는 공간을 숙주로 기생하는 문광과 근세, 그리고 그들을 몰아내고 숙주를 차지하려는 또 다른 기생충인 기택 가족의 공간침탈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계층 간의 사활을 건 경쟁과 공생관계를 효과적으로 그려냈다. 영화의 주요 공간인 기택의 집과 박동익 사장의 집은 부르디외의 ‘사회적 위치와 계층별 취향’에 대한 분류의 특징과 정확히 일치했다. 지배계층인 박동익 사장의 공간은 자본의 풍요로움에 기반을 둔 ‘유미주의적’ 취향이 한껏 표현된 공간이었고 민중계층인 기택의 공간은 ‘필요’에 근거한 기능의 공간임이 미장센을 통해 명확히표현되었다. 자본크기가 서로 다른 집단들은 주거환경을 통해 계층관계를 구조화하고 사회집단 간의 거리를 상징화한다. 기택의 가족과 박동익 사장의 가족은 자신들이 사는 공간에 맞는 각각의 아비투스를 형성하고, 형성된 아비투스를 각자의 계층에 맞춰 재구조화했으며 재구조화된 아비투스는 이들의 행동과 언어, 그리고 태도 등으로 나타났다. ‘선을 넘는다’는 표현 또한 영화 내에 다수 언급되며 계층 간의 간극을 공간적인 개념으로 구분하고 경계 짓는다. 계층의 특징 중 하나는 상급계층은 자신들이 소유한 자본으로 하급계층자들의 시간이나 공간을통제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런 측면에서 ‘선을 넘는다’는 행위는 상급계층이 하급계층에게 행하는 전형적인 행동방식인데 영화 내의 인물들의 태도를 통해 효과적으로 그려졌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