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 연구

        김선아(Sun Ah,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본 연구는 학제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개인의 삶, 특별히 어린 시절에 겪어야 하는 삶의 어려움(difficulté)에 집중하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기독교 신앙교육의 만남과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모든 그리스도인들, 특별히 우리의 미래 세대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가 초청하시는 진정한 신앙의 삶, 즉 진정한 욕망과 만나는 모험의 삶에 응답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돌토는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에 기초하여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진정한 무의식적 욕망을 깨닫고, 그것을 실현시켜 나가는 삶이 곧 ‘욕망의 삶’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돌토의 ‘욕망의 삶’ 관점을 기독교 신앙교육에 적용하여 모든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진정한 욕망의 도상에서 끊임없이 모험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독교 신앙교육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더 이상 자존심이나 자기애적 이익을 날마다 충족시키려는 삶에 매몰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랑 안에서 하나님을 만나고자 희망하는 욕망의 길에 접어들 수 있게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한다. 필자는 이를 위해 ‘통합성과 전체성을 이룬 존재의 집 형성’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기쁨과 사랑의 소통’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욕망의 진실을 추구하는 삶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예비부모, 그리고 예비교사들과 교사들을 교육할 수 있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에 기초한 기독교 신앙교육 교재가 전문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욕망의 삶’을 지향하는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의 연령별 교육 과정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help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respond to Jesus Christ’s invitation for ‘the life of faith’, i.e. ‘the life of adventure’ for encountering ‘the authentic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lls for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psychoanalysis. Dolto had made an emphasis on ‘the life of desire’ to realize and fulfil ‘the authentic desire’ in individual’s inner side.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Dolto’s perspectives of ‘the life of desire’ to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all Christia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should help all Christians to live the adventurous life constantly.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e direction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are given to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live adventurously and vividly on the road of ‘the desire’.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help to save the trapped generations so that they could be fre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nstructing the house of being with integration and wholeness’. Secon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mmunicating of joy and love’. Thir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the life pursuing the truth of desire’. For the praxis of this study, two proposals are given. First, the professional text books based on the Dolto’s psychoanalytical perspectives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the parents and pre–parents, teachers and pre– teachers. Seco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follow–up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 age–specific curriculum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is kind of the age–specific curriculum helps to clarify and certify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sychoanalytical Christian faith education.

      • KCI등재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성

        김찬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이다. 정신건강은 주지한 바와 같이 인생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른다. 그런 정신건강이 기독교 영성과 밀접한 관계성이 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영성은 정신건강의 근간을 이룬다는 것도 살펴보았다. 또 자살에 대한 예를 알아보았다. 그런 자살이 자행되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연구자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생의 목적이 불분명한 것이 가장 크다고 본다. 인생은 어디서 와서, 무엇 때문에 살며, 어디를 향해 가며, 내가 왜 인생을 살아야 하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자살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 전통을 살펴보면,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선지자나 제사장, 사도, 교부, 사제, 목사 등이 주도했었다. 이것은 성령의 능력과 영적인 훈련과 영혼돌봄과 공동체 안에서 이뤄지는 점진적인 성장과 성숙의 과정이었다. 이런 방식으로 현실적인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이 많은 권위자와의 관계와 성경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배웠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일제시대와 6. 25 전쟁 당시 소수의 기독교인들이 그 시대를 주도할 만큼 영향력을 발휘한 것처럼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기독교 영성을 키워 시대와 사회를 앞서가는 영적인 리더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는 과거 믿음의 선진들이 그랬듯이 기독교 영성을 겸비한 각 분야 지도자들이 한국교회와 사회를 이끌어야 교회도 사회도 소망이 있다고 사료된다. 많은 영성이 이 세상에는 존재하지만, 그 중에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과 예수님, 성경과 기독교 전통 등에서 나오는 것이다. 현대에 와서 기독교 영성이 정신건강에 끼치는 영향이 과학적으로도 자꾸 증명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점에서 기독교 영성의 침체기에 빠진 한국교회는 다시 과거에 충만했던 기독교 영성을 증진해야 한다는 막중한 사명을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is common knowledge that in life doesn't realize how important it is. We recognized that such mental health is so close relationship with Christian spirituality also. we looked up the spirituality that also forms the backbone of mental health. and I recognized an example of suicide. While there are different reasons, a researcher who has researched suicide claims the most serious problem is not clear of the life's purpose. Recognizing why they needs that where did their life come from and live for, what made, where to look ahead to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preventing suicides I think. Looking at the historical Christian traditions, Christia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phet or priest, apostle, fathers, pastors, etc had led. This was a gradual process of growth in soul and spiritual care and community training and maturity achieved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this way, you have learned to cope with various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and a realistic biblical authority and the experienced. Similarly, as influential enough to lead our country christian leader during japanese war and 6.25 war times, although the small number of Christians is not a matter of numbers, will also be spiritual and social leader leading the age. Now as did the christian leader of the past advanced, the korea christian and each sector leaders well-fitted with spirituality should lead, for it is considered will be hopeful our the church and society. Although lots of spirituality in this world exists, but the Christian spirituality get out of God and Jesus,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s, etc. In the present day, Christian spirituality is proven that affecting mental health again and again scientifically. Therefore, at this point, the Korean church in Christian spirituality facing a recession should realized great important mission again that must lead the promo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filled in the past.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후원 후 감사증가의 매개효과와 기독교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원준,이희진 기독교학문연구회 2016 신앙과 학문 Vol.21 No.4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25 private donors sponsor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private donors'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donors show direct effects of all five path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ositive effect of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on mental health each, the positive effect of the two utilities on increasing gratitude each, and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on mental health. On the other hand, among atheistic donors, only demonstrable utilities and increasing gratitude have direct effects on their health. Second, among Christian donors, both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resulting from increasing gratitude. Among atheistic donors, increasing gratitude show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between their demonstrable utility and mental health. Third, according to the religious background of private donors,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on mental health eac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the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is proved. Lastly, since Christian donors show the higher level of emotional utilities,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ental health than atheistic donors in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as an empirical study, confirming Christian's positive characteristics.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분석에 기초한 실증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들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525명)이다. 연구의 목적은 기부활동을 통해서 체험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효용이 개인기부자들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후원활동 후 감사증가여부가 미치는 매개효과, 그리고 기독교 유무에 의한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요약하면, 첫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5개의 직접경로들(‘정서적 효용성➝정신적 웰빙’, ‘가시적 효용➝정신적 웰빙’, ‘정서적 효용➝감사증가’, ‘가시적 효용성➝감사증가’, ‘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중에서, 기독교인 집단에서는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무교집단에서는, ‘가시적 효용➝정신적 웰빙’과 ‘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이 두 경로에서만 유의한 직접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기독교 집단의 경우, ‘정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경로와 ‘가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이 두 경로에서 ‘감사증가’의 부분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무교집단에서는 ‘가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경로에서만 ‘감사증가’의 완전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개인 기부자들의 종교배경(기독교, 무교)에 따라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각각 미치는 직접효과와 ‘감사증가’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다른 양상을 보여주어,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의 정신적 웰빙에 기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효용의 직접효과, 기부활동 후 삶에 대한 감사함 증가의 매개효과, 그리고 종교유무의 조절효과에서 밝혀진 차이점과 함께, 기독교인 집단은 무교집단보다 기부를 통한 정서적 효용감,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증가, 그리고 정신적 웰빙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높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독교인들이 지닌 긍정적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암 환자에 대한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와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

        전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his article is to clarify on a combination between spiritual support of Christian counseling and palliative therapy of psycho-oncology for Christian cancer patients. Cancer patiences are proliferating worldwide. The researcher dealt with pain and delirium of cancer patients as a core theme of psycho-oncology. The researcher also dealt with Christian counselors’ role for spiritual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palliative support for cancer patiences.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studied 1) various psychological aspects of cancer patients, 2) palliative therapy of psycho-oncology and 3) approach of Christian counseling for palliative care. It is effective for Christian counselors, hospital chaplains and pastoral ministers who have spiritual authority to provide spiritual care for cancer patients. Christian cancer patients as well as non-Christian cancer patients are requiring spiritual support including prayer by spiritual resources. The main symptoms of cancer patients are pain and delirium. Christian counselors should deal with the cancer patients’s pain and delirium by cognitive reframing, spiritual support through the Bible and prayer. That is, the Scripture has an definite effect on changing the situation and meaning of cancer patients through cognitive reframing spiritually. Prayer also has obvious effect on alleviating the pain and delirium cancer patients. 이 연구는 암 환자에 대한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와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를 활용하여 암 증상 가운데 통증과 섬망을 완화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암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질병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사망 순위 1위를 차지하는 질병이 되었다. 암은 명백하게 신체적 질병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암에 노출되면, 심리정서적, 영적 문제도 함께 발생한다. 암은 발생 부위나 암종에 따라 의학 전문영역에서 다루게 되지만, 오심, 구토, 피로, 통증, 수면장애, 악몽, 식욕부진, 섬망 등의 신체적 증상과 불편감을 비롯한 우울, 불안 및 디스트레스 등의 심리정서적 문제는 정신종양학(psycho-oncology)에서 담당한다. 정신종양학에서는 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증상제거 및 감소, 완화를 통해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해 주는 것이 학문적 목표이며 이를 ‘완화치료’(palliative therapy)라 한다. 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심각한 주요 증상은 통증(pain)과 섬망(delirium)이다. 이것은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적 접근으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가 완화치료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 방편임을 이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기독교신자 암 환자에 대한 증상완화를 위해 영적 지지를 하는 것은 기본이며, 많은 암 환자들이 영적 지지를 받고자 희망하기 때문에 영적 지지를 확립하여 제공해야 한다. 암 환자에 대한 영적 개입에 있어서 기독교상담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이 연구에서는 1) 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다양한 심리정서적 측면을 다루었고, 2)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으며, 3) 완화치료에서 방편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적 권위를 가진 기독교상담자, 병원 원목 및 목회자는 기독교인 암 환자에게 영적 돌봄을 제공하는 지지자로서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이다. 기독교인 암 환자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 암 환자들도 기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적 자원을 통한 도움을 필요로 하고 요청하고 있다. 기독교상담자는 말씀을 통한 인지적 재구성과 기도를 통한 영적 지지를 통해 암 환자의 고통과 섬망을 다루어야 하며,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존재이다. 즉, 성경은 인지적 재구성을 통해 암 환자가 겪는 현재의 상황과 의미를 영적으로 재해석하여 극복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기독교인 암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영적 차원에서 지지적 접근으로써 암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통증과 아울러, 섬망에 대한 완화도 재론의 여지없이 정신종양학의 주요분야로서 완화치료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섬망은 대개 암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발생하여 암 환자의 가족과 의료진을 당황하게 하기 때문에 완화치료적 접근이 급히 요구되는 상태이다. 암 환자의 섬망 진단은 DSM-5에 의존하고 있으며, 치료는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적 접근을 하는데 이에 기독교상담적 접근으로서 영적 지지는 암 환자의 섬망을 감소하며, 심리정서적, 영적 안정을 갖도록 하는데 효율적인 방편이라 할 수 있다.

      • 기독교 교역자, 정신장애인 가족 및 지역사회지도자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

        서국희(Guk-Hee Suh),신형주(Hyongju Sh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연구목적: 남양주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집단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와 이를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 이들의 태도변화를 정신보건사업 시행전과 일정기간후에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 법: 본 조사는 1997년 4월부터 12월까지 남양주시 정신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를 OMI(Opinion about Mental Illness)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편설문을 실시한 지역사회지도자의 경우 697명중 120명이 회신하여 18%의 조사응답율을 보였고, 정신보건 세미나에 참석한 기독교 교역자 75명중 57명이 조사완료하여 76%의 응답율을 보였고, 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한 정신장애인 가족은 50명중 47명이 완성하여 94%의 응답율을 보였다. 결 과: 1) 전체군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는‘자비심’ 척도가 가장 높아 인도주의에 입각한 온정적이고 관대한 태도를 엿볼 수 있지만 ‘정신건강개념’ 척도와 ‘사회생활 제한성’ 척도가 서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혼란스럽고 애매한 상태에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2) 정신장애인 가족의 태도를 보면 ‘권위의식’ 척도와 ‘대인관계 원인’ 척도가 세 군중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환자에 대한 죄책감과 분노가 뒤섞인 양가적인 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지역사회지도자의 견해에서 NIMBY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기독교 교역자들은 ‘사회생활 제한성’ 척도가 가장 높으면서 ‘자비심’ 척도는 세 군중에서 가장 낮고 ‘정신건강 개념’ 척도는 딴군들과 비슷하였다. 정신장애의 원인을‘귀신들림’으로 해석하고 신앙치료에 의존하며 환자를 사회와 격리시키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지역사회지도자나 기독교 교역자를 대상으로 정신병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과학적이고 인도적인 태도를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들을 모아서 홍보하고, 가족들과 지역사회지도자에게는‘정신건강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신장애의 증상과 대처방법,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와 긴급후송체계에 대한 홍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Objectives:To identify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factors critical to them among the key-persons in the community, who may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rogression of Namyangju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nd to obtain the initial data for the further evaluation to assess the interval changes in attitudes of them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Method: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997 and December, 1997 as a part of the Namyangju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using the OMI scale to measure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120 questionnaires out of 697 were collected(response rate:18%), that were posted to the community opinion leaders. 57 out of 75 were collected(response rate:76%), that were passed out to the Christian priest at the mental health seminar. 47 out of 50 were collected(response rate:94%), that were filled up at the time of patient registration by the family members of them. Result:1) Highest ‘Benevolence’ score in whole subjects may be a evidence of cordial and generous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from the standpoint of humanity, but small gap between ‘mental hygiene ideology’ score and ‘social restrictiveness’ score suggested the confused and vagu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2) ‘Authoritatianism’ score and ‘interpersonal etiology’ sco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family group than in other two, that suggested the ambivalent emotion intermingled with guilt and anger. 3) NIMBY phenomenon was observed in the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 opinion leader group. 4) ‘Benevolence’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st and ‘social restrictiveness’ was lowest in Christian priest group. However, ‘mental hygiene ideology’ score i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It suggested that more Christian priests had higher tendency to comprehend the mental illness as ‘Satan possession’, to treat it by faith healing, and to put the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way from the society. Conclusion:It is expected that the Christian priests and community opinion leaders need to have new knowledge about the etiologies of mental illness, and see the typical cases with scientific and humanistic attitudes. For the family members and community opinion leaders to improve ‘mental hygiene ideology’, public information about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tal illness and emergency, and how to transfer them to the hospital have to be given.

      • 정신분열증의 원인, 유형 및 치료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

        김태수 ( Tae Soo Ki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7 복음과 상담 Vol.9 No.-

        본 연구의 제목은 정신분열증 현상의 원인과 유형 그리고 치료방법에 관한기독교 상담학적 접근이다. 연구의 주제는 정신분열증이지만, 그 주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정신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귀신들림의 현상도 부분적으로 같이 대조하며 다룰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 방식을 채택할 것이다. 목차는 정신분열증의 임상적 증상으로 시작하여,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생화학적요인 그리고 신경-생리적 요인을 다룬다. 정신분열증의 유형으로는 혼란형 정신분열증과 긴장형 정신분열증 그리고 망상형의 정신분열증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정신분열증 치료의 방법으로는 생물학적 치료, 신체적 치료와 심리학적 치료 그리고 인지-행동적 치료를 다룰 것이다. 후반부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의 주제 하에서 정신분열증과 귀신들림의 차이점을 다루고, 상담에 있어서 목표와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main reason and pattern of schizophrenia, to explore the proper treatment of schizophrenia, and to develop the method of Christian counseling. The beginning of schizophrenia is typically during adolescence or early adulthood. Some people recover very quickly from schizophrenia, whereas others deteriorate progressively after the initial onset of symptoms. The disorder was originally defined by Emil Kraepelin, who emphasized the progressive course of the disorder. Eugen Bleuler coined the term schizophrenia, proposing that disturbances in speech and emotion are the fundamental symptoms of the disorder. The negative symptoms of this disease have given increased emphasis in DSM-IV. The manual requires evidence of a decline in the person`s social or occupational functioning, as well as the presence of disturbed behavior over a continuous period of at least six months. The DSM-IV recognizes many subtypes of schizophrenia, such as disorganized, catatonic, and paranoid types, that are based on prominent symptoms. The writer presented an evangelical theory, ‘agape counseling’ which was a Christian counseling as an alternative to assist schizophrenia patient.

      • KCI등재

        정신분열장애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원리 : 맨체스터 모형을 중심으로

        반신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장애의 특징을 살펴보고, 정신분열장애의 이해와 개입에 대한 맨체스터 모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을 근거로, 정신분열장애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원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정신분열장애의 전형적 진단 기준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기괴한 행동, 그리고 음성증상들이다. 이외에도 신경인지기능의 결핍, 심리적 외상, 불안, 우울, 자해, 자살, 중독, 학대, 폭력가해 등과 같은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그리고 평생 지속되는 장애로서, 전구기, 급성기, 부분관해기, 완전 관해기, 그리고 재발 전구기의 단계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정신분열장애에 대한 맨체스터 모형은 인지행동적 접근이다. 이것은 대처를 통한 회복을 강조한다. 그리고 정신분열장애를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이해한다. 그리고 증상이 재발하는 과정을 경험-신념-행동-확증의 순환과정으로 분석한다. 주로 증상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반응행동에 개입해서 증상의 재발을 감소시킨다. 개입의 목표는 다양하다. 정신분열장애 내담자의 문제가 다양하고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심리적 문제, 심리사회적 문제, 그리고 사회적 문제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입의 방법은 상호존중, 강정중심, 그리고 발달적 관점으로 이루어지는 심리교육이다. 특히, 속도, 범위, 체계, 유연성, 확장가능성에 손상을 갖고 있는 인지과정을 고려한다. 맨체스터 모형을 근거로 정신분열장애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원리를 5개로 제시한다. 첫째, 목표는 정신분열장애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의 학습이다. 둘째, 개입은 타 기관이나 전문가와 연계해서 진행한다. 셋째, 상담의 과정과 내용은 정신분열장애의 인지과정에 적합하게 구성한다. 특히, 내담자가 소속한 기독교공동체의 생활을 중심으로 구성하면 효과가 더 크다. 넷째, 동기의 증진과 대인관계의 발달에 초점을 둔다. 다섯째, 상호존중, 강점중심, 그리고 장기적 관점을 유지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lay in constructing some principles for Christian counseling with the schizophrenia based on Tarrier’s Machester model. Its understanding of schizophrenia, and interventive aims, methods and skills were analyzed, after symptoms and associated features in schizophrenia were reviewed. Key features of schizophrenia included delusions, hallucinations, disorganized speech, grossly disorganized or abnormal motor behavior, and negative symptoms. Its associated features included neurocognitive deficits, psychological trauma, anxiety, depression, self-harm, suicide, alcohol or substance addiction, and violence victims and perpetrators. Frequently it was composed of such five phases as prodromal, acute episode, partial remission, full remission, and relapse prodromal. The model had many similarities to other models in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Its basic tenet was the recovery through coping model. It posited that coping with the potentially life-long disorder facilitate the process of recovery. It assumed that experience of symptoms resulted from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factors,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d external factors, environmental stress. And it analyzed the process interaction in that appraisal and response behaviors took a significant role in producing the symptoms. Its therapeutic aims were specific and multidimensional because the symptoms and difficulties in schizophrenia were multidimensional and individually differentiated. They included psychological, psychosocial, and social difficulties. Its core method included psychoeducation facilitating learning with the collaborative, strength-based,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It took the slow, narrow, disruptive, and inflexible cognitive process into consideration. Five principles in Christian counseling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model. First, its aim was to cope with the symptoms of the disorder. Second, it took a team approach in which a client was served by many professionals such as psychiatrists, social workers, and so on. Third, its process and programs were construct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client’s slow, disruptive, and inflexible cognitive process. Fourth, it focused on enhancement of the client’s motivation and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s counseling relationship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Fifth, it emphasized on the collaborative and strength-based perspective. The perspective could facilitate changing many aspects of life, enhancing hopes and aspirations, and reducing the associated features.

      • KCI등재후보

        3·1운동의 과정 및 그 정신에 미친 기독교의 영향

        오일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9 민족사상 Vol.13 No.1

        This year 2019 is a very special year in Korean history as it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eclared that Korea is an independent nation and that Koreans were self-reliant citizens, in the sense that Korea, robbed by the Japanes, does not recognize colonial rule. This is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re has been a basis for moving from a monarchy to a democratic republic as a nation-state in the future. The fact that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s a democratic republic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at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s a democratic republic after liberation, proves this fact well.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temporary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democratic republic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clearly proves this well.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failed to achieve immediate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but its significance, but in looking at the spirit it pursued, its significance, both in national history and in world history, was indeed great. The spirits expressed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re nonviolent spirit, freedom and democratic spirit, unity spirit and peace spirit, which are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spirit of Christianity. Hard power is important for a nation to survive, but strengthening soft power, which means mental power,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is sense, it is very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vive today the spirit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spirit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becomes the spiritual foundation of uniting our people, even today when two Koreas are divided, as well 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w, the Korean church needs to gather all its capabilities in the expansion of the democratic republic into the North Korean region, and must fulfill the ‘evangelical peaceful reunification without bloodshed.’ This is the task of restoring the human rights of the North Korean people who are groaning under a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building a unified Korea that guarantees freedom, justice and equality. 금년 2019년은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해라는 점에서 한국사에 있어서나 한국 기독교사에 있어서 아주 특별한 해이다. 독립선언서는 한국이 일제에 의해 강탈된 만큼 식민지 지배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독립국임을, 한국인이 주권을 가진 자주민임을 만천하에 선언했다. 이는 곧 군주제 국가에서 앞으로 근대적 민족국가(nation-state)로서 민주공화제 국가로 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3·1운동 직후 바로 민주공화제 정부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광복 후에 민주공화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이 수립된 것은 이 같은 사실을 잘 입증해주고 있다. 3·1운동은 일제로부터 당장의 독립을 성취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그것이 추구한 정신을 살펴볼 때, 민족사적으로나 세계사적으로 그 의의는 실로 컸다. 3·1운동 과정에서 표출된 정신은 비폭력 정신, 자유·민주 정신, 통합 정신, 평화 정신 등으로 기독교의 복음정신과 맥락이 닿아 있다. 한 국가가 존속하기 위해서는 하드파워도 중요하겠지만, 정신력을 의미하는 소프트파워의 강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3·1운동 정신을 오늘에 되살리는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3·1운동 정신은 일제 강점기는 물론, 광복 이후 민족이 분단된 현 시기에도 우리 민족을 하나로 묶는 정신적 바탕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북한지역으로의 민주공화국의 확장에 모든 역량을 모아 기필코 ‘피 흘림 없는 복음적 평화통일’을 성취해야 한다. 이것이 1인 독재 수령절대주의체제 하에서 신음하고 있는 북한 동포 개개인의 인권을 회복하는 일이요, 자유, 정의, 평등이 숨 쉬는 통일한국의 건설하는 일이라고 할 수 195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3·1운동의 준비과정과 전개과정에서 특별히 기독교인들이 행한 주요 활동들에 주목하여 분석한 다음, 3·1운동 정신에 녹아 있는 기독교적 가치를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의 공교육에서 기독교 학교의 과제와 방향: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론’을 중심으로

        이응모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problems of Christian schools in Korea’public education by liberal education of Augustine. Christian schools in Korea have bee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chools. Because Korea’s Christian schools have depended on government in their operating costs. Although they have been established as private schools by an individual or private organization, they have been the duties of pubic school. The fact means that Christian schools can not teach their students as only their educational purpose based in Christian spirit. And in spite of private schools Christian schools have been forced by government to be faith-neutral institutions and to do the role of social integral. In the situation of Korea, Christian school should do the role of public school and also the role of their unique role. In other word, they should do their dual roles. Augustine’s theory of liberal arts will be as an our useful alternative solution when we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christian educations that have been the characters and factors of public educational.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을 통해 한국의 공교육 속에서 기독교 학교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한국의 기독교 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공립학교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의 기독교 학교는 개인 또는 사적 단체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운영비와 관련해서는 상당 부분 국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독교 학교가 건학 이념에 비추어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독교 학교는 국가로부터 종교의 중립적 자세와 사회 통합의 역할을 강요받고 있다. 기독교 학교들은 사립학교로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고유한 건학 이념을 실현해야 하는 역할과 함께 공립학교에 부과하는 다양한 의무와 역할들을 동시에 감당해야 한다. 다시 말해, 기독교 학교는 사립학교와 공립학교라는 이중적 특성으로 인해 공립학교로서 그리고 사립학교로서의 이중적 책무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론은 공교육적 기독교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교양교육론은 이성을 통한 하나님의 발견과 세계 질서 추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에 대한 앎에 있어 신앙과 더불어 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세계 질서에 따른 조화로운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상담과 정신의학: 약물치료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제안

        Kim, Jun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1

        Clients in counseling often consider taking psychiatric medication due to their severe conditions, and thus expect their counselors to provide some opinions regarding taking medication. This situation is not foreign to Christian counselors because Christians also experiencing suffering and pain, which likely cause them to turn to a medication option. This situation indicates that Christian counselors need to be ready to help their cl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regarding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to psychiatric medi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rticle first provides a brief summary on the complexity of brain and how the psychiatric drugs work, which show the ambiguity of psychiatry in relation to its diagnosis and drug treatments. By providing some Christian positions on medication, the article tries to offer a balanced approach: accepting benefit of medication but being cautious on drug dependence. Following this approach, the article provides four suggestions: understanding strength of counseling, timely referral to a psychiatrist after initial meeting or before ending counseling, and Christian message on suffering. The article concludes by providing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Christian counselors; they need to attend educational seminars on medication and supervision meetings directed by a psychiatrist or an expert. 약물치료에 관심이 있거나 약물 치료 중에 있는 내담자들은 그들의 상담자들에게 약물치료에 관한 의견을 듣고 싶어 한다. 이에 대해 기독교상담자는 약물치료와 신앙적 관점에 대한 균형적 관점을 갖고 내담자에게 지혜로운 접근을 해야 한다. 이 논문은 기독교상담자가 상담현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향정신성 약물치료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고찰한다. 먼저 이글은 약물치료와 관련된 뇌신경의 복잡성과 약물치료의 작용 기제를 간단히 설명한 후 약물치료에 접근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자는 균형 잡힌 관점을 가져야 함을 지적한다. 구체적인 기독교상담자의 입장으로, 본 논문은 약물치료와의 관계에서 상담의 장점 이해, 상담초기의 정신과 진단의 치료의 의뢰, 내담자의 약물효과의 모니터링, 그리고 약물사용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 네 가지의 접근은 정신의학의 생물학적인 관점만이 아니라, 환경적, 성격적, 영적 영역을 다루는 상담의 정당성과 효과, 정신과 전문의 의뢰가 필요한 증상과 약물의 부작용, 그리고 기독교상담가로서 해야 하는 기독교적 접근에 대한 고찰을 포함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기독교상담자들이 약물치료를 고려하거나 치료 중에 있는 내담자를 더 효과적으로 돕기 위한 현실적인 노력으로 약물치료에 관한 기독교상담자들의 이해를 넓히기 위한 학회 차원의 보수교육의 개설과 참여 그리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슈퍼비전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