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절에서 도수 정복 및 석고 고정 치료의 결과: 배측 골간단 분쇄가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경민규,전인호,정호욱,김진삼,준탄,이준범,박호연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and the radiographic and functional outcomes of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acute distal radius fract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an age of this patient group was 62.8 years (range, 45-87years). Eighteeen cases were AO type-A3 and 8 were AO type-A2. Radiographic and functional paramete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patients who presented with or without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on their initial radiographs in order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The radiographic parameters included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volar/dorsal tilt, and ulnar variance. In order to measure the functional outcomes, each patient’s range of motion,grip strength,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SAH), visual analog scale (VAS), and Mayo score were determined. Results: Seventeen patients (65%) presented with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on the initial radiographs.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and volar/dorsal tilt were decreased and ulnar variance was increased on the final radiographs in comparison with the postreduc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at presented with or without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p>0.05). None of the functional parameters (i.e.,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DASH, Mayo, and VAS score)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seems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radiographic and functional outcomes when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was planned for the treat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 목적: 배측 골간단 분쇄가 있는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분쇄여부와 방사선적, 기능적 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1 12월까지 본원에서 원위 요골 골절 진단 받은 후 도수 정복 및 석고 부목 치료를 받은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45세부터 87세까지였고, 평균나이 62.8세였다. 환자들의 원위 요골 골절은 AO type A2 18예, AO type A3 8예였다. 임상적 결과 확인하기 위해 배측 골간단 분쇄가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나누고, 두 집단에서 방사선학적 변수와 기능적 변수를 분석하였다. 방사선적 변수에는 요골 경사각, 요골 단축, 요골 요배측 경사, 척골 변위를 포함하였고, 기능적 변수로 관절운동범위, 악력,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 hand (DASH),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Mayo score를 측정했다. 결과: 총 17명 (65%)의 환자에서 초기 엑스레이 영상에서 배측 골간단 분쇄가 있었다. 방사선적 결과는 외래 추시 중 시행한 마지막 방사선 촬영과, 도수 정복 직후의 방사선 촬영에서 요골 경사각, 요골 단축, 요골 배측 경사, 척골 변위를 비교하였고, 두 집단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p>0.05). 두 집단 사이의 기능적 결과로 관절운동범위, 악력, DASH, VAS score,Mayo score를 비교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원위 요골 골절 뒤 도수정복 및 석고부목 치료받은 환자에서 배측 골간단 분쇄는 방사선적,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미치지 않는다.

      • KCI등재

        회전형 족관절 골절 수상 당시 혈당 조절 상태에 따른 임상적, 기능적 결과 분석

        이준영,임동섭,이승현,박서진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4

        Purpose: Patients with diabetes are known to have poor clinical outcomes due to the high incidence of complications after ankle joint fracture surgery.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s based on glycemic control status among patients with ankle joint fracture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due to ankle joint fractures from January 2015 to October 2019, 253 patients with a minimum follow-up of 12 months were identified. We divided them into 3 groups: 195 patients with no diabetes (Group A), 26 patients with well-controlled diabetes (Group B), and 32 patients with uncontrolled diabetes (Group C). In addition, patients with lateral, medial malleolar, bimalleolar, and trimalleolar fractures were identified using radiography. The functional outcome measures used for evaluation were the Revised Foot Function Index (FFI), Short Musculoskeletal Function Assessment (SMFA), and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Results: Bone union at 3 months after surgery was high in Group A,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incidence of arthropathy and one or more complications. However, the FFI, SMFA, and FAO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was high in patients with uncontrolled diabetes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 well-controlled diabetes and those with no diabetes. However, functional outcom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목적: 당뇨 환자는 족관절 골절 수술 후 높은 합병증 발생률로 인하여 임상적 결과가 좋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회전형족관절 골절로 수술적 처치 시행 후 수상 당시 혈당 조절 상태에 따른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회전형 족관절 골절로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고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253명에 대해 수상 시 당뇨 유무를 조사하여 정상군(A군)과 혈당이 조절된 당뇨 환자군(B군), 조절되지 않는환자군(C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검사를 하였고, 수술 후 1년째 FFI, SMFA, FAOS를 평가하였다. 결과: 골유합은 A군에서 166예로 가장 높았다. 합병증은 관절병증이 C군에서 4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FI, SMFA, FAOS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당뇨 환자는 혈당 조절 유무와 상관없이정상 환자와 비교할 때 임상적 결과는 불량할 수 있으나 기능적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에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평가

        이상훈,유재호,오주한,서성욱,김한수,Lee, Sang-Hoon,Yoo, Jae-Ho,Oh, Joo-Han,Suh, Sung-Wook,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에서 2001년 사이에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으로 본원에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한 2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세,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1개월(1년 2개월~19년 9개월)이었고, 골육종 7예, 연골육종 14예, 방골성 골육종 1예, 혈관외피종 1예, 거대세포종 6예였다. 사지 구제술의 방법으로는 시멘트 충전술을 7예에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을 10예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7예에서 이용하였으며, 5예에서는 절제만 시행하거나, 골이식, 관절 유합술 등을 실시하였다. 술 후 기능 평가는 근골격계 종양 학회(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의 상지 근골격계 종양 환자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추시 도중 6예에서 국소 재발 하였고, 2예에서 폐 전이로 재발 하였고, 2예에서는 국소 재발과 폐전이가 모두 있었으며 3명이 사망하였다. 구제된 상지의 생존율은 최종 추시상 88.6%였으며, 재발이나 전이가 있을 경우 열등한 사지의 생존율을 보였다(p=0.012). 근골격계 종양 학회 기능 평가상 구제된 상지의 기능 점수는 평균 80%(24점, 18~30점)였다. 치료방법에 따른 기능 점수는 시멘트 충전술 86%,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 71%, 종양 대치물 삽입술 83%점으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p=0.034). 합병증으로 요골 신경 마비와 액와 신경 마비가 각각 1예 있었으며, 생 비골 이식편의 이탈로 재수술을 받은 경우가 1예, 창상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견관절 주위 악성 골 종양과 거대 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은 종양학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ncologic results and functional outcomes of limb salvage surgery performed in patients of primary bone tumors of the shoulder girdl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limb sparing resection for shoulder girdle neoplasm between 1982 and 2001 were analyzed. Follow up periods averaged 7 years and 1 month.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5 (11~71) years. There were 14 males and 15 female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of shoulder girdle (proximal humerus 21, scapula 3, both 1) were 23 cases; osteosarcomas 7, chondrosarcoma 14, parosteal osteosarcoma 1, hemangioendothelioma 1, and giant cell tumor of proximal humerus were 6 cases. Limb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by curettage and cementing in 7 patients, by cement molding arthroplasty in 10 patients, and by tumor prosthesis in 7 patients, by other method such as resection only, bone graft, arthrodesis in 5 patients. Th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rating system was used to assess functional outcomes. Results: One osteosarcoma and 2 chondrosarcoma patients died, and the survival of the salvaged limb was 88.6%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6 local recurrences, 2 lung metastases, 2 local recurrences and lung metastases. The functional outcome was 80%.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unctional results among the patients treated by cement filling (86%), cement molding arthroplasty and IM nailing (71%), and tumor prosthesis (83%). (p=0.034) There were three complications including 1 radial nerve palsy and 1 axillary nerve palsy, and 1 wound infection. Dislodgement of vascularized fibular graft in one patient was treated by internal fixation. Conclusion: Limb salvage surgery seems to be useful method to treat bone tumors of the shoulder girdle.

      •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종양절제 후 골 결손의 재건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박보연,Chung, Yang-Guk,Kang, Yong-Koo,Bar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eong-Mi,Park, Bo-Yo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목적: 종양절제 후 남은 골 결손을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이후 종양 절제 후 남은 골 결손을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재건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례를 대상으로 골 유합 시기, 기능적 결과 및 합병증 등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관련인자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재생골-숙주골 접합부 총 20부위 중 13부위(65%)에서 일차수술 후 골 유합을 얻었으며 골 유합까지의 기간은 골간단부는 평균 3.7개월, 골간부는 평균 8개월이었다(P<0.05). 골간부에서 나이가 20세 미만인 군과 생비골을 골수강내 이식한 군에서 골 유합까지의 기간이 짧았다(P<0.05). 기능적 결과는 평균 81%였다. 합병증으로 불유합이 3부위, 지연유합이 4부위에서 있었으며 2예에서 재생 자가골의 심한 흡수와 함께 이식골의 골절이 발생하였다. 결론: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된 비골의 혈행을 유지할 수 있는 정확한 술기와 견고한 내고정, 접합부를 가로지르는 이식 생비골의 충분한 길이, 골 유합 또는 이식 생비골의 비후가 일어나기까지의 적절한 보호가 필요하다. Purpose: We evaluated the outcomes of surgical reconstructions using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for bone defects caused by tumor resection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a malignant or locally aggressive bone tumor who were managed with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and followed up minimum 1 year were evaluated for bone union, functional result and complications.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bone union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also analyzed. Results: Bone unions were obtained at 13 of 20 junctions. Average union time was 3.7 months at metaphyseal junctions and 8 months at diaphyseal junctions (P<0.05). At diaphyseal junctions, younger aged group and intramedullary location group showed earlier bone union (P<0.05).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1%. There were 3 nonunions, 4 delayed unions and 2 recycled bone resorption combined with fractures. Conclusion: To obtain excellent results, proper microvascular technique, sufficient length of VFG bridging both junctions, stable internal fixation and protection of reconstructed bone until union are necessary.

      • KCI등재

        AO 분류 C형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외고정술과 내고정술의 치료 결과의 비교

        이윤민 ( Yoon-min Lee ),이화성 ( Hwa-sung Lee ),송석환 ( Seok-whan Song ),최재훈 ( Jae-hoon Choi ),박종태 ( Jong-tae Park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3

        목적: AO 분류 C형 원위 요골 골절에서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외고정술로 치료 결과를 비교하여 소분류에 따른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O C형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금속판을 사용한 1군(85예)과 외고정기를 사용한 2군(116예)으로 구분하여 관절 운동 범위와 Green and O’Brien score로 임상 경과를 평가하였고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12개월 추시 시 1군은 굴곡 64.4°, 신전 68.3°, 척측굴 30.6°, 요측굴 20.8°, 회외전 76.1°, 회내전 79.4°였고 2군은 굴곡 60.5°, 신전 66.9°, 척측굴 25.5°, 요측굴 18.6°, 회외전 73.5°, 회내전 75.0°였다. Green and O’Brien score 는 1군이 92.2점, 2군이 88.6점이었다. 1군/2군의 요골 높이 11.6/11.4 mm, 요골 경사 23.2°/22.5°, 전방 경사는 11.6°/8.7°, 척골 변위 1.27/0.93 mm였다. 결론: 본 연구와 같이 적절한 수술 술기와 수술 후 관리가 이루어진 외고정술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과 유사한 임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of plate fixa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additional devices for treating distal radius fracture in AO type C subtypes, and propose a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subtypes.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and one AO type C distal radius fracture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ighty-five patients in group 1 were treated with volar or dorsal plate, and 116 patients in group 2, were treated with external fixation with additional fixation devices. Clinical (range of mtion, Green and O’Brien’s score) and radiolo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At the 12-month follow-up, group 1 showed flexion of 64.4<sup>o</sup>, extension of 68.3<sup>o</sup>, ulnar deviation of 30.6<sup>o</sup>, radial deviation of 20.8<sup>o</sup>, supination of 76.1<sup>o</sup>, and pronation of 79.4<sup>o</sup> in average; group 2 showed flexion of 60.5<sup>o</sup>, extension of 66.9<sup>o</sup>, ulnar deviation of 25.5<sup>o</sup>, radial deviation of 18.6<sup>o</sup>, supination of 73.5<sup>o</sup>, and pronation of 75.0<sup>o</sup> in average. The mean Green and O’Brien score was 92.2 in group 1 and 88.6 in group 2. The radial height of group 1 and group 2 was 11.6/11.4 mm; radial inclination was 23.2<sup>o</sup>/ 22.5<sup>o</sup>; volar tilt was 11.6<sup>o</sup>/ 8.7<sup>o</sup>; and the ulnar displacement was 1.27/0.93 mm. Conclusion: Judicious surgical techniques during device application and tips for postoperative management during external fixation can produce similar clinical results compared with internal fixation patients.

      • KCI등재후보

        제 3형 구상돌기 골절의 수술적 치료

        전인호,민우기,오창욱,경희수,박병철,김풍택,인주철,이정엽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8례의 제 3형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 대해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8명의 구상돌기 골절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은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나이는 33세였다. 3례에서 척골 구상돌기 단독 골절이었으며 2례에서 주관절 탈구가, 2례에서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이, 1례에서 내측 측부인대 손상이 동반되었다. 전례에서 전방 도달법을 통해 유관나사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이 시행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31개월 이었으며 (24~60개월),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로 임상적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최근 추시에서 평균의 능동적 주관절 가동범위는 105°였다. 평균의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는 76.9점이었다(50~95). 1례에서 최우수, 4례에서 우수, 2례에서 양호, 1례에서 불량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제 3형의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서 조기의 관혈적 정복 및 안정적인 내고정으로 신뢰할 만한 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손상 주관절의 동반된 인대손상과 복합골절은 중요한 예후인자로 간주되었다. Purpose: To review the clinical results of eight cases of typeⅢ coronoid process fractures which were treated operatively. Materials and Methods : Eight patients with coronoid type Ⅲ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were men with an average age of 33. There were three isolated fractures, two elbow dislocations, two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and one medial collateral ligament ruptur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rough anterior approach with canulated screws was used.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ean of 31 months(24 to 60). Results: Average active elbow joint motion at the most recent follow up was 105°. The averag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76.9 (50 to 95). There was one excellent result, four good, two fair, and one poor. Conclusion: Early open reduction and stable internal fixation provided a reliabl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ypeⅢ coronoid process fractures. Any associated ligament injuries to the elbow and fracture comninution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연구논문 : 레스토랑 서비스의 다차원 품질과 다차원 고객가치 관계 연구 -패밀리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점의 비교 연구-

        이흥연 ( Heung Youn Lee ),문재영 ( Jae Young Moon ),최승윤 ( Seung Youn Choi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레스토랑 서비스의 품질을 상호작용 품질, 물리적 환경 품질, 결과 품질(음식 품질)로 구성하였고 고객가치는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성하여 각 요소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레스토랑을 패밀리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점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우는 상호작용 품질이 감정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적 환경 품질은 감정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품질은 기능적·사회적·감정적 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점의 경우는 상호작용 품질이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감정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적 환경 품질은 감정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품질은 기능적·사회적·감정적 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우는 각 고객가치 모두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패스트푸드점의 경우는 사회적 가치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in case of family restaurant, interac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ust emotional value,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ust emotional value, but did no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Food qualit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s altogether. In case of fast-food restaurant, interac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value,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ust emotional value, but did no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and food qualit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s altogether. Particularly, in both family restaurant and fast-food restaurant, food quality had mor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value than interaction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did. Also, regarding the effect of customer value on behavioral intentions, in case of family restaurant each customer valu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while in case of fast-food restaurant social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but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 KCI등재

        결혼생활문제와 부부싸움결과의 관계: 역기능적 부부싸움방식의 매개 및 부드러운 첫마디의 완충 효과

        권윤아 ( Yoon A Kwo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5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married women``s marital problem may influence marital argument outcome, namely negative change in emotions for their spouse,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dysfunctional marital argument and to investigate the buffering effects of soft start-up on the marital problem-dysfunctional marital argument relationship and the marital problem-argument outcome relationship. Self-re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166 married women who were living in Busan, Korea.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and a Sobel test showed that marital problem had positivel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argument outcome, partially mediated by dysfunctional marital argument. Also, soft start-up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blem and argument outcome.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blem and argument outcome was lower at a higher level of soft start-up. But soft start-up did not buff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blem and dysfunctional marital argumen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soft start-up in the prevention of negative argument outcome.

      • SCOPUSKCI등재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게 시술된 복원성 대장직장절제술 50예

        유창식 ( Chang Sik Yu ),김희철 ( Hee Cheol Kim ),양석균 ( Suk Kyun Yang ),민영일 ( Young Il Min ),김진천 ( Jin Cheo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0 No.6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after restorative proctocolectomy (RP)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Methods: Fifty patients (M:F=24:26) who underwent RP were enroll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after RP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Median follow-up period was 36 (6-80) months. Results: Among 50 RP cases, RP was performed by staged operation because of poor conditions in 2 cases. Pouch-anal anastomoses were performed by stapled technique in 31 (62.0%) cases and hand-sewn method in 19 (18.0%) cases. Diverting ileostomy was constructed in 31 cases (62.0%). Twenty-five (50.0%) patients showed the complication and one mortality was identified. Pouchitis was the most prevalent complication, followed by 9 cases (18.0%) of small bowel obstruction and 6 cases of anastomosis leakage (12.0%). Pouch-vaginal fistula and entero-cutaneous fistula were observed in 3 and 2 cases, respectively. Anastomosis leakage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RP without ileostomy (26.3% vs. 3.2%, p=0.018). Pouch failure rate was 4.0%. Daily bowel movements were (2-10). One fecal incontinence and six cases of seepage were identified. Conclusions: Restorative proctocolectomy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can be performed safely with low mortality and acceptable morbidity. Functional outcomes are complacent, but the technical refinement is needed to improve surgical outcome. (Korean J Gastroenterol 2002;40:379-38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