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 학문론ㆍ공부론의 탈근대학문 언어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오세근(Oh Se-Geu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이 글은 근대학문이라는 범주 설정?패러다임적 특징?한계는 어떤 것인가, 그리고 근대학문에 대한 성찰적 반성으로서 나타난 이른바 탈근대학문의 생성 배경 및 근대학문과의 관계가 지닌 성격은 무엇인가, 또한 탈근대학문의 내재적 한계를 넘어서면서 보다 풍부한 사유방식을 생성할 가능성을 유교 학문론은 함의하고 있는가, 있다면 그 내용을 어떻게 다시 재구성해 제시할 수 있는가 등을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BR>  이에 대해 우선, 탈근대학문은 과학적 이성의 작용에 의한 진리 획득이라는 근대학문의 성립 기반을 해체하는 과정 자체이자 그것을 대체하려는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의 생성임을 밝힌다. 그러나 세계와 개별자, 자아와 대상, 안과 밖의 고유성을 승인하면서도 상호교섭적 관계형식에 의해 그것들이 일체화하는 과정의 의미까지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언어체계 구상이 탈근대학문의 과제임을 지적한다. 그래서 ‘해체와 차이’라는 개별성을 넘어서 행위의 관계망과 규범 생성에 근거해 학문적 의사소통의 맥락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공公적 학문 언어체계로서 유교의 학문론 혹은 공부론을 검토한다. 그 작업은 유교의 학문관, 학문에 대한 정의, 학문의 목적 설정, 학문하는 방법 등을 중심으로 수행한다.   This study purports to get a clue for the new paradigm of learning through reconfiguration of Confucianism’s thoughts. This effort could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first, it could expand the conventional Western learning toward ethical and moral areas, and second, it also helps investigate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BR>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1) a genealogical record of modern and post-modern Western learning thoughts, 2) the potential limits of those Western thoughts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3)and finally Confucius’ thoughts on learn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Western learning and explore the possibility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learning in general.

      • KCI등재

        근대 전환기 지식인들의 學問觀 변화의 이론적 기반 : 대구 경북 문집 중 중국학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在大邱慶北地域近代文集當中以中國學資料爲主

        金永文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1

        這篇論文具體探討在近百年大邱慶北的整個知性史領域當中學問觀念變化的實際情況, 所以可以說這篇硏究意味着對於大邱慶北知性史的根底探索. 廣義地說來, 無論傳統社會還是近代社會所謂學問爲知識分子的知行提供合理的指向點. 這篇論文意識到學問包含着的這個意思, 探素了從傳統到近代學問觀念變化的理論基礎. 首先嶺南學派性理學思想的本體論(卽主理論)在西歐近代的衝擊和日帝植民地的壓迫下開始顯露出變化的朕兆. 近百年大邱慶北的知識分子以原則强思辨深的主理論爲底子, 逐漸包容現實性實踐性比較强的主氣論, 甚至於在根本上抛却性理學的原理, 積極受容西歐近代的認識論. 所謂理氣論可以說是相當於性理學的本體論的基本原理, 對於這個基本原理的懷疑和批判必然伴隨對世界的認識變化, 接着對世界的認識變化終於促進知識分子對於學問觀念, 學問辦法, 學問對象的認識變化. 因此, 在西歐近代的衝擊和日帝植民地的壓迫同時幷進的過程當中, 大邱慶北的知識分子不得不仔細地審査硏究幾百年繼續固守着的性理學原理. 他們爲了恰當地了解不斷輸入的新學問的內容, 迫切需要??新的認識結構. ??傳統的理氣論顯露出新變化的樣相同時, 大邱慶北的傳統曆史觀念也顯露出近代轉換的開端. 衆所周知, 嶺南學派歷來以性理學的主理論爲他們思想的根底, 所以他們的歷史觀念也主要注重以中國爲中心的尙古主義或復古主義. 然而從開港期到日帝强占期, 這個復古主義歷史觀念不能對付急速變化的嚴重現實, 却是露出了又頑固又保守的弊病. 因此, 這個時期進步性强的知識分子, 根本懷疑着復古主義的傳統歷史觀念, 夢寐以求地追求祖國的解放和民族國家的建立. 在同樣的立場上, 大邱慶北的知識分子也主動地接受中國變法維新運動的理論基礎卽'公羊三世說'. '公羊三世說'就是一種歷史進化觀念, 堅決否定'貴古賤今'的固陋觀念, 不斷追求未來的希望. 結果, 隨着歷史進化觀念明顯地揭示了未來的多種多樣的藍圖, 大邱慶北的知識分子超越了??着古人言行單純學習的範圍, 進一步探求未來社會的希望. 這樣, 歷史進化觀念促使大邱慶北知識分子的傳統學問觀念發生根本性的變化. 幷且, 近百年大邱慶北知識分子的對中國的認識變化也密切地聯系到學問觀念的新變化. 對中國的觀念漸漸從以中國爲中心的事大慕華思想向以韓民族爲中心的民族自主思想移動了, 知識分子對學問的觀念也越來越開放了. 他們開始覺得中國不是世界唯一的中心, 只是世界繁多國家之一罷了. 加上認識到我們韓國也是??中國一樣的自主獨立國家, 或者强調到我們韓國民族比中國漢族更優秀的天降天孫. 伴隨着這樣的認識變化, 大邱慶北知識分子的學問觀念, 民族自主的因素更加顯得??突出. 同時以中國經傳爲主的學問活動??快轉移到以西歐近代代學問爲主的開放性硏究.

      • KCI등재

        學問 개념의 근대적 변환 - ‘格致’, ‘窮理’ 개념을 중심으로

        이행훈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7 No.-

        근대 이전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의 지적 체계와 학문은 인간과 자연을 통일체적으로 사유하는 가운데 인간의 본성을 발현함으로써 사회적 실천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특히 주자에 의해 집대성된 송대 신유학은 ‘理氣’ 개념으로 인간과 사회, 우주와 자연을 일통의 유기적 구조로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철학체계 내에서 인간학과 자연학은 통합되어 있었다. 동서의 충돌과 교류는 동아시아의 지적 체계에 균열을 일으켰고, 전통적 학문 개념의 전이와 변용을 가져왔다. 개화와 진보의 욕망을 내면화하고, 東道와 西器, 新學과 舊學 논쟁을 거치면서 유학은 비판과 쇄신, 부정과 폐기의 대상이 되었다. 인간 본성의 자각과 도덕 실천의 理想은 문명개화와 근대 국가 설립의 제한적 수단으로만 논의될 뿐 더 이상 학문의 본령으로서 위상을 갖지 못했다. 서구 근대의 광휘는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를 규준했던 학문의 내용과 방법은 물론 목적까지 변화시켰다. 근대 계몽기 서구 문명 수용과정에서 한자(어)로 구성된 전통 학술 용어나 개념은 외래 학문을 번역, 소개하는데 여전히 유효한 기제였다. ‘格致’와 ‘窮理’는 자주 인용되었는데, 인간과 우주 만물에 내재한 본성을 탐구하는 전통적 의미는 점차 퇴색되고, ‘格致學’, ‘窮理學’ 등 개별 학문을 지칭하는 명사로 변환되었으며, 때때로 철학(philosophy), 과학(science) 등 상이한 학문 영역을 넘나들며 사용되었다. 학문 개념과 지적 체계의 이러한 변동은 외래 학문의 수용 양상을 보여주는 한편 동아시아 전통 학문이 지닌 특성을 드러낸다. 이제 가치와 사실의 분리, 인간학과 자연학의 분리, 학문의 분과화를 진행해 온 근대 학문은 또 하나의 전통이 되었고, 계승과 극복의 양가적 대상이다. In the East Asian Confucianism society, Hakmun was aimed to bring human beings and nature into harmony, and to explore a unity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s. For example, Neo-Confucianism aspired they could explain the human existence and society through a single concept of Iki(理氣,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In this philosophy, humanics and natural sciences had not been differentiated at all. The East-West cultural interchanges at the beginning of modernity caused a crack in the traditional academic concepts. Through the Hundred Days of Reform(變法自疆運動, a movement of Strenuous Efforts through Reforming the Law), the Western Affairs Movement(洋務運動) in China, Meiji Restoration(明治維新) in Japan, or Innovation Movements(開化運動)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愛國啓蒙運動) in Korea, the traditional meanings of Hakmun was degraded while it became a target of the criticism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s. Accordingly, East Asians' perception of Hakmun rapidly began to change. Although there had been the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movement in Korea, which tried to differentiate its conceptualization of Hakmun from that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the fundamental shift in meaning occurred with the influx of the modern Western culture. This change converted the ultimate objective of Hakmun as well as its methods and substances. The separation of humanics and natural sciences, rise in dignity of the technological sciences, and subdivision of learning into disciplines and their specialization were accelerated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inflow of the modern western science, humanized thought, and empiricism functioned as mediators in these phase and they caused an irreversible crack in the traditional academic thoughts. Confronting the western mode of knowledge, however, the East Asian intellectuals had to explain their new learning by using traditional terms and concepts; modification was unavoidable when they tried to explain the newly imported knowledge and concepts. This presentation focuses on the traditional concepts of ‘gyeogchi’(格致, extending knowledge by investigating things) and ‘gungni’(窮理, investigation of principles), pervasively used in philosophy, physics and many other fields of study. These concepts will mark the key point with which to trace changes of knowledge and to understand the way how the concept of Hakmun was converted into a modern one.

      • KCI등재

        유교 학문론?공부론의 탈근대학문 언어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오세근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This study purports to get a clue for the new paradigm of learning through reconfiguration of Confucianism’s thoughts. This effort could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first, it could expand the conventional Western learning toward ethical and moral areas, and second, it also helps investigate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1) a genealogical record of modern and post-modern Western learning thoughts, 2) the potential limits of those Western thoughts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3)and finally Confucius’ thoughts on learn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Western learning and explore the possibility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learning in general. 이 글은 근대학문이라는 범주 설정․패러다임적 특징․한계는 어떤 것인가, 그리고 근대학문에 대한 성찰적 반성으로서 나타난 이른바 탈근대학문의 생성 배경 및 근대학문과의 관계가 지닌 성격은 무엇인가, 또한 탈근대학문의 내재적 한계를 넘어서면서 보다 풍부한 사유방식을 생성할 가능성을 유교 학문론은 함의하고 있는가, 있다면 그 내용을 어떻게 다시 재구성해 제시할 수 있는가 등을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이에 대해 우선, 탈근대학문은 과학적 이성의 작용에 의한 진리 획득이라는 근대학문의 성립 기반을 해체하는 과정 자체이자 그것을 대체하려는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의 생성임을 밝힌다. 그러나 세계와 개별자, 자아와 대상, 안과 밖의 고유성을 승인하면서도 상호교섭적 관계형식에 의해 그것들이 일체화하는 과정의 의미까지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언어체계 구상이 탈근대학문의 과제임을 지적한다. 그래서 ‘해체와 차이’라는 개별성을 넘어서 행위의 관계망과 규범 생성에 근거해 학문적 의사소통의 맥락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공公적 학문 언어체계로서 유교의 학문론 혹은 공부론을 검토한다. 그 작업은 유교의 학문관, 학문에 대한 정의, 학문의 목적 설정, 학문하는 방법 등을 중심으로 수행한다.

      • KCI등재후보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 학문의 의미 고찰- ‘과학’, ‘수학’, ‘의학’을 중심으로

        유현수 이상문학회 2021 이상리뷰 Vol.- No.17

        이상의 시에는 과학, 수학, 의학 등 다양한 근대 학문적 요소들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때 등장하는 근대 학문적 이론들은 단순히 시적 수사로 활용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구성하는 주요 방법론이자 모티프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이렇게 근대 학문적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모습은 이상이 근대 학문에 대한 반감을 작품에서 드러냈던 것과 상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상이 자신에게 부정적 대상이었던 근대 학문에 오히려 몰입하고 있는 모습에 대하여 근대 학문의 부정성을 마냥 회피하거나 거부할 수만은 없었던 근대적 주체로서의 노력으로 파악해 보았고, 그러한 태도를 ‘투신’이라고 규정하였다. 그의 이러한 ‘투신’적 태도는 헤겔이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주체의 역할을 고민하였던 것과 상통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헤겔에게 주체성이란 부정적인 것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직시하고 그 곁에 머무름으로써 그 부정성을 진정한 ‘존재’로 뒤바꾸는 일종의 마력(魔力)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결국 근대인 이상이 근대 학문이란 낯선 조류(潮流) 앞에서 선택한 대응 방식은 도리어 근대 학문에 직접 ‘투신’함으로써 부정성과 함께 머물고 궁극적으로 그 부정성을 초월하려는 분투였다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이상이 근대 학문의 부정성에 ‘투신’한 결과를 ‘과학’, ‘수학’, ‘의학’을 중심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과학’과 ‘수학’은 이론적 초월을 통해서, ‘의학’은 실천적 행위를 통해서 학문적 부정성을 극복하고자 하였음을 보였다.

      • KCI등재

        신학문을 위한 시론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Science has enjoyed the ruling status fo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However, the identity of learning should be changed at the time of great turning point of civilization.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modern men is seized with modernity, the conversion of the identity of learning is not being processed successfully. This is the essential point of the crisis of modern learning. At the end of middle age, theology could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By the same reason, at the end of modern age, science can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We need a new type of learning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ew civilization. In this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sketch a new type of learning that can lead post-modern era.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of new learning will b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the identity of new learning will be discussed, too. 과학은 지난 수백 년 간 지배적인 학문으로서의 지위를 누려왔다. 하지만, 문명의 대전환기를 맞은 지금, 학문 역시 대전환을 이루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대인의 의식 전반이 근대에 사로잡혀 있음으로 말미암아, 학문의 정체성 대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이 바로 과학으로 대표되는 현대 학문 위기의 본질이다. 중세 말 신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 없었음과 마찬가지로 현대 말 과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는 없다. 과학은 미래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학문이겠지만 더 이상 시대를 선도하는 학문이 될 수는 없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 과학이라는 신학문이 필요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 탈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삶과 문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문이 필요하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탈근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학문 유형에 대한 스케치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신학문의 새로운 세계관적 토대로 통일체적 세계관의 특징을 서술하고, 통일체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 구축된 신학문의 정체성에 대해서 앎의 목적․앎의 의미․앎의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과 ‘학역(學域)’의 형성 ─자연과학과 인문ㆍ사회과학의 분리를 중심으로─

        김성근 ( Kim Sung-khu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본 연구는 19세기 무렵 세계적인 추세로 진행 중이던 학문의 분과화가 메이지(1868-1912) 일본의 근대학문에 어떻게 파급되었으며, 그러한 일본 근대학문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메이지 유신(1868) 이후, 일본은 유학, 일본학 등 종래의 전통학문을 대신하여 서양의 학문을 수입함으로써 근대학문을 신속하게 제도화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일본이 당시 수입한 학문은 서양에서 막 전문 분화를 시작한 직후의 학문이었다. 메이지 전후의 일본인들이 ‘과학’을 ‘분과학문’의 뜻으로 이해했음은 그러한 사정을 잘 보여준다. 아울러 그 같은 분과학문의 수용이라는 역사적 경위는 그 후 일본 근대학문의 성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양의 경우, 과학 혁명 이후, 학문들 간의 세분화는 자연과학이 인문ㆍ사회과학에 영향을 미치며 진행된 반면, 메이지 일본이 수용한 서양학문은 종합학문이 아니라 개별과학들이었고, 그것은 학문들 간의 연계성을 사실상 잃어버린 것이었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의 바탕 위에서 성장했다면, 일본에서 그것은 사실상 자연과학과 거의 무관하게 수입되었다. 이 같은 서양학문 수용의 문제점은 결국 고등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해결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이토 히로부미, 모리 아리노리 등 메이지 정부의 핵심 관료들은 도쿄대학, 제국대학 등 관립 대학들을 철저하게 ‘국가적 수요’를 위한 기관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도쿄대학, 제국대학은 국가적 긴급함, 즉 산업화에 도움이 되는 과학기술과 공학 분야, 그리고 근대국가의 새로운 관료 양성을 위한 법학 등을 중시했지만, 그 밖의 인문ㆍ사회과학은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도 사실상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같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은 제 학문 영역의 카테고리화에서도 중요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의 카테고리, 아울러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서양학문을 재편성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studies how the division of scholarship, which was underway as a global trend around the 19th century,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scholarship in Meiji Japan, and what characteristics appeared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such a modern Japanese intellectual system. The formation of modern studies in Meiji Japan was achieved by accepting Western modern studies as entirely replacing traditional stud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ies Japan accepted in the West at that time had been already divided into specialized areas. It tells why Meiji Japanese scholars understood the word ‘science’ as the meaning of ‘disciplinary science’.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odern Japanese scholarship, which wa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sub-disciplinary sciences, shows a unique fea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In the case of the West, the subdivision between disciplines after the scientific revolution proceeded relatively naturally as the natural sciences influenc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ereas in Japan, which wa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disciplines, the chain between disciplines had almost disappeared. Such unplanned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had to be resolv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owever, key officials of the Meiji government, such as Hirobumi Ito and Arinori Mori, recognized government universities such as Tokyo University and Imperial University as institutions for ‘national demand’. Therefore, the University of Tokyo and Imperial University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national urgency, which was, the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necessary for industrialization, and the law required to cultivate new bureaucrats in the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other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not considered very attractive until the mid-20th century. The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in Japan also displayed an important feature in the categorization of academic fields. In Japan, the categories of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seem to have been form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y accepting Western studies in each field.

      • KCI등재

        신학문을 위한 시론

        홍승표(Hong Seung-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과학은 지난 수백 년 간 지배적인 학문으로서의 지위를 누려왔다. 하지만, 문명의 대전환기를 맞은 지금, 학문 역시 대전환을 이루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대인의 의식 전반이 근대에 사로잡혀 있음으로 말미암아, 학문의 정체성 대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이 바로 과학으로 대표되는 현대 학문 위기의 본질이다.<BR>  중세 말 신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 없었음과 마찬가지로 현대 말 과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는 없다. 과학은 미래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학문이겠지만 더 이상 시대를 선도하는 학문이 될 수는 없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 과학이라는 신학문이 필요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 탈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삶과 문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문이 필요하다.<BR>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탈근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학문 유형에 대한 스케치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신학문의 새로운 세계관적 토대로 통일체적 세계관의 특징을 서술하고, 통일체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 구축된 신학문의 정체성에 대해서 앎의 목적ㆍ앎의 의미ㆍ앎의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Science has enjoyed the ruling status fo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However, the identity of learning should be changed at the time of great turning point of civilization.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modern men is seized with modernity, the conversion of the identity of learning is not being processed successfully. This is the essential point of the crisis of modern learning.<BR>  At the end of middle age, theology could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By the same reason, at the end of modern age, science can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We need a new type of learning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ew civilization.<BR>  In this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sketch a new type of learning that can lead post-modern era.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of new learning will b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the identity of new learning will be discussed, too.

      • KCI등재

        니시 아마네와 최한기의 ‘학역(學域)’과 근대학문의 구상

        김성근 ( Kim Sung-khu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5

        본 연구는 19세기 한일 양국의 두 사상가 니시 아마네와 최한기의 ‘학역’ 과 근대학문의 구상을 비교 검토한 것이다. 니시와 최한기는 역사상 학문이 진보해왔다는 확고한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두 사상가는 서양의 자연과학을 자신들의 학문 체계 안에 수용하고, 새로운 근대학문을 구상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였다. 니시의 근대학문 구상에 나타난 두 가지 특징은 학문 제영역의 구분과, 학문의 연쇄를 통한 통합학문의 구축이었다. 즉 니시는 학문을 보통학, 심리상학, 물리상학이라는 큰 범주로 구분하고, 그 안에 세부적인 학문들을 배치시켰다. 특히 심리상학과 물리상학은 오늘날의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에 해당하는 것으로, 니시는 성리학의 리를 심리와 물리로 구분함으로써 그 같은 학문 영역의 분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나아가 니시는 일단 그렇게 구분한 학문들을 다시 상호 연쇄시킴으로써 ‘백교일치의 학’으로서의 철학을 완성하고자 했다. 이 같은 니시의 학문 방법론은 자연과학의 연구를 통해 사회학(인간학)을 밝히려는 콩트 철학의 영향이 잘 드러난 것이다. 최한기도 학문 영역의 구분과 학문의 상호 연쇄를 통한 통합학문의 구축에 관심을 기울였다. 최한기는 학문 영역의 구분에 있어서 니시보다는 구체적이지 않았지만, 자신의 학문을 이른바 ‘기학’으로 총칭하고, 그 아래에 오늘날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에 해당하는 학문들을 배치시켰다. 그런데 니시가 성리학적 리의 구분을 통해 학문을 물리상학과 심리상학이라는 큰 범주로 나누었다면, 최한기는 기학의 모든 학문들이 이른바 운화기의 보편적 법칙을 다루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니시는 학역을 통해 분류한 근대학문의 제 영역을 다시 하나로 통합시킴으로써 백학의 통일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니시에 따르면, 그것은 결국 물리와 심리를 재차 연결시킴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는데, 이 같은 학문 방법론은 그가 리의 연결에 좌절하면서 사실상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니시 이후, 일본에는 물리와 심리, 주관과 객관, 자연과 인간이라는 이항대립적 사유구조가 정착했으며, 그것은 곧 니시를 통해 근대 서양학문의 인식적 난제들이 일본에 이식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모든 학문들을 운화기라는 보편적 법칙과 관련짓는 최한기의 학문관은 니시보다 비약적이고 모호했다. 그 같은 경향은 기학의 보편성을 다소 직관적으로 주장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최한기의 기학은 비록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었지만, 학문의 근저에 기라는 통일적 관점을 유지시킴으로써, 이원적 인식의 난제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아울러 학문의 연쇄와 통합의 가능성을 남겼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Nishi Amane and Choi Han-gi's designs of modern learning in 19th century. Nishi and Choi had a strong belief that human learning had advanced in history. Nishi had gained such an idea of academic progress through Comte's empirical philosophy and Western natural science, on the other hand Choi Han-gi came to the idea of such academic progress through studying Western natural science which was translated to Chinese. However, Nishi and Choi were very different in their acceptance of Western natural science into their academic systems and in designing new modern learning. Two goals of Nishi's modern learning were the division of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design of integrated academics by an interconnection of academic disciplines. Nishi divided all disciplines into three larger frameworks of Intellectual Science, Physical Science, and Common Science, and placed detailed subjects within them. In particular, Intellectual Science and Physical Science correspond to today's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Nishi could effectively achieve the classification of such learning by dividing the Ri (principle) of Confucianism to the laws of the human world and the laws of the physical world. Nishi tried to pursue Philosophy by again linking these divided disciplines together. In Nishi's academic methodology, the influence of Comte's philosophy of revealing sociology through the study of the natural sciences was well represented. Choi Han-gi also paid attention to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learning through the distinction of academic studies and reunion of such disciplines. Choi was not as elaborate as Nishi in terms of division of studies. Whereas Nishi divided the learning into Intellectual Science and Physical Science by the distinction of the law of the physical world and the law of human world, Choi Han-Gi thought that all subjects shared the so-called law of Ki (vital force). Nishi thought that the reunification of all learning could be achieved by reconnecting the law of the physical world and the law of the human world. As a result, however, Nishi's academic chain, and his philosophy were not successful. After Nishi’s thinking, Japanese academic society was dominated by Dualistic concepts such as natural sciences and humanitie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Nature and humans. Choi's view of dividing all disciplines with the universal law of Ki was vaguer than Nishi’s. However, Choi's Ki-science, although lacking concreteness, was able to escape the dual cognitive structure that East Asians had maintained since Nishi. It is worth noting that Choe’s philosophy leaves possibilities for new modern study.

      • KCI등재

        논문(論文) : 중국 근대 지식지형의 형성과 패러다임 -전문지식과 전문가집단의 탄생을 중심으로-

        김수영 ( Soo Young Kim ) 중국사학회 2011 中國史硏究 Vol.71 No.-

        專業知識和專家成爲中國近代知識版圖的中心, 引進西歐以學科分類體系爲基礎的高等敎育制度是必不可缺的. 因此本文主要通過專業知識和知識分子群體的産生, 以中國高等敎育的學科分類體系爲分析對象, 硏究中國近代知識版圖的形成. 本文通過分析中國高等敎育機關的學科分類體系, 硏究中國近代知識版圖的範式, 針對知識和國家權力, 各學科專業知識的版圖結構, 知識與社會構造這三大領域進行比較分析. 這三大領域都在1937年完成了中國近代知識版圖範式的轉換. 1937年, 在高等敎育機關的公私立比例上, 私立敎育機構超過了公立敎育機構, 因此, 在南京政府時期民間知識領域生産達到了最高峰. 抗日戰爭以前的南京政府時期, 國家權力嘗試把知識生産中央集權化, 知識分子群體則追求學問的獨立性, 因此, 兩者之間的利益關系尖銳對立. 在這兩種互相對立的1931-1937年間, 中國近代知識生産的範式由國家主導轉爲民間主導. 령外, 1937年也是各學科專業知識的版圖構造範式産生變化的時期. 因爲在這個時期, 理工學科領域的在校生人數超過人文社會科學領域的在校生人數, 傳統的支配-邊緣式知識秩序也隨之開始崩潰. 從專業知識和社會構造的關系角度看, 1937年也是範式轉換的一年. 以1937年爲起點, 之前法學和文學畢業生占50%以上, 之後法學和工程學的畢業生占40%以上, 是培養出畢業生最多的學科, 在這種情況下, 中國社會的知識分子群體的構造開始産生變化. 在中國近代知識版圖的形成過程中, 這種範式的轉換, 對國家權力和民間領域的所有方面, 産生了推動作用. 因爲在國家權力和民間領域的所有方面, 專業知識的生産和知識分子群體的成長都被看做是中國近代化的必須條件. 在中國近代知識版圖專業知識生産方面, 國家的主導與民間主導幷駕齊驅, 然而與此相反, 在專業知識消費(創造就業機會)方面, 國家權力則遠遠地凌駕於民間領域之上.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