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경찰의 '근대성'(近代性)에 관한 연구

        최선우(Choi Sun W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포도청), 개항장, 갑오개혁, 대한제국, 일제시대, 미군정시대에 이르는 과정에서 한국경찰의 '근대성'(近代性)이 어떻게 형성ㆍ발전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편적인 관점에서 경찰근대성을 접근하는 방법은 논점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여기에서는 제도적ㆍ이념적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도적ㆍ이념적 접근은 서구 근대경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찰근대성이 한국이 처한 당시의 특수한 상황을 설명해줄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내재적 경찰근대성과 종속적 경찰근대성을 또 하나의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19세기 개항전후에서 20세기 미군정시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경찰에는 '근대성'이라고 할만한 어떠한 의미 있는 변화가 이루어져 왔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 스스로 경찰근대화를 추진했다기보다는 타율적으로 전개된 면이 강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한국경찰의 근대화과정에 왜곡된 면(심지어는 근대화에 역행하는)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이는 한국경찰의 근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하나의 역사적 진통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오늘날 한국경찰은 스스로가 변화와 개혁을 인식ㆍ극복하고 있다는 사실이며, 이것이 바로 '경찰근대성'의 내재적 발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 WooThis study aimed at the consideration of 'Modernity' in the Korean Police(during the era of Kap-o Reform, Korean Empire, Japanese Colonial State, and U.S Military Government. and partially it contains the Chosun Dynasty's Po-do-chung). It is different in respective perspectives to deduce general approach about 'Police Modernity', but in this study, I would focus on two points. One is Institutional police modernity. the other is Ideological police modernity. Institutional modernity means(quoted Bayley's views) public,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police. Ideological modernity means democracy. democracy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personal freedom is essential to a society. However this approach is not applied exactly in Korean police modernity. Because it fair to notice about Korean's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 the era. So I would try to apply another methods. That is, the autogenous, inherent police modernity and the heteronomous, subordinate police modernity. From the Kap-o Reform's police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police, Korean police has changed not inherently but subordinately. And because of this causes, the process of Korean police' modernity has wraped (in addition, it has retrogressed) in partially. But in long perspective, we must consider that this problems is a kind of an express charge. And more important thing, in the process of subordinate modernity, the inherent modernity has developed too. Without inherent development, we can not expect today's Korean police. In fact, the problem of subordinate modernity has the most obstacles in Korean police's reform in today. But more important thing, Korean police has recognized automatically about change and reform, that is, inherent development of police 'Modernity'.

      • KCI등재후보

        트랜스모더니티와 문화의 생태학

        김용규(Kim, Yong-gyu)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이 논문은 문화연구, 특히 라틴아메리카 문화연구의 장에서 강력한 이론적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근대성/ 식민성 그룹을 비판적으로 소개하는 글이다. 엔리케 두셀, 아니발 키하노, 월터 미뇰로를 필두로 하는 이 그룹의 목표는 근대성에 대한 유럽중심적 개념을 비판하고 타자의 이성에 근거한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들이 유럽중심적 근대성 개념을 비판하는 것은 그것이 근대성을 오로지 유럽적 현상만 으로 간주하면서 실은 비유럽세계, 특히 아메리카에 가한 무자비한 폭력적 역사를 은폐하는 데 기여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맞서 이 그룹은 근대성과 식민성의 착종관계, 즉 근대성의 어두운 이면으로서의 식민성에 주목한다. 우선 이런 착종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식민적 차이’를 자각하는 인식론적 전환이 요구된다. 식민성은 이 그룹의 가장 핵심적 개념 중의 하나이다. 이 그룹에 따르면 식민성이 근대성을 구성하는 결정적 요인이기 때문에 근대성은 식민성 없이 사고될 수 없다. 특히 식민성은 근대성의 기원적 순간뿐만 아니라 근대세계체제의 형성 이후 오늘날까지도 인종적/ 민족적 위계질서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 키하노는 이와 같은 근대세계체제 내부의 인종적 위계질서와 계층화를 ‘권력의 식민성’이라 부른다. 기존의 유럽중심적 근대성 개념과 권력의 식민성에 대한 대안으로 이 그룹은 트랜스모더니티와 해방의 윤리를 제시한다. 두셀의 트랜스 모더니티는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에 대항하는 개념으로서 근대성의 비합리적 신화를 비판한다는 점에서는 포스트근대성과 뜻을 같이하지만 근대성 그 자체에 대한 총체적 부정을 거부한다는 점에서는 포스트근대성과 다른 입장을 취한다. 오히려 트랜스모더니티 개념은 근대성의 비합리적 폭력과 억압에 의해 은폐된 풍부한 문화적 타자들을 복원하고 이를 발판으로 타자의 이성에 근거한 해방을 상상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이 그룹에게 트랜스모던적 합리성은 근대성의 비합리적 신화로부터의 해방이자 문화생태학의 복원을 의미한다. This paper tries to critically introduce the recently fashioned theoretical group of modernity / coloniality, including Enrique Dussel, Anibal Quijano, Walter Mignolo and so on, which has now been shaping a powerful theoretical trend in the field of cultural studies, in particular, Latin American studies. The primary aim of this group is to criticize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modernity and think other modernity radically. One of the reasons why it criticizes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modernity is that the conception is an irrational myth in that it has thoroughly repressed and concealed the ruthless and violent histories of exploitation and massacre in America by the Europeans. Therefore this group tries to attend to coloniality as the darker side of modernity and to the originary entanglement between modernity and coloniality. In order to make sense of this entanglement, this group needs the recognition of colonial difference as a crucial epistemic turn. Coloniality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keywords in this modernity / coloniality group. According to this group, modernity could not be thinkable without coloniality because coloniality is constitutive of modernity and vice versa. It has revealed itself not only in the originary moment of modernity but also in racial / national hierarchy sinc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world-system. Quijano calls this kind of racial hierarchy and stratification as "the coloniality of power." As the alternative to the existing conception of modernity and the coloniality of power, this group proposes transmodernity and the ethic of liberation. For Dussel, transmodernity is against both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ransmodernity basically shares the post-modern critique of the irrational myth of modernity but doesn’t agree to the total rejection of modernity itself. Rather it tries to restore the rich rational cultures and values of modernity concealed by its irrational myth and overcome the irrational limits of modernity based upon the restoration of various cultures and values. To this group, transmodern rationality means both the liberation from irrational myth of modernity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ecology.

      • KCI등재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이일림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에 한국 시의 주류를 형성했던 한 시인으로서 백석 시의 근대성의 구현양상에 대해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백석 시의 근대성에서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인데,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근대성의 내면에 강고하게 병리학적인 성격으로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연구사 검토를 통해 전통적 시작에 몰두하였던 백석의 시세계에 나타나는 전통성에 근거해서 보들레르가 말하는 미학적 개념과 상통하는 점을 고찰하고 그 여파로 나타나는 백석 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행해졌던 백석 시에 대한 논의를 살핀다. 백석 시의 근대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토속성의 이면과 모더니티의 접합과정을 살피고 백석 시가 이룬 모더니티의 경로에 대한 이해관계를 고찰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백석 시의 토속성은 김기림이 주장하는 모더니티의 구성요소들과 접합된다. 방언의 리얼리티와 모더니티를 절묘하게 혼합하는 방식의 창조된 주지주의적 시선은, 백석이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시세계의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점에서 모더니즘이 토속성의 이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 이러한 백석 시의 속성을 고찰했다면, 3장에서 중요한 것은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구체적 요인이 되는 백석 시 근대성의 구현을 병리학적 샤머니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에 있어서 절실하고 확연하게 드러나는 시세계가 전통적이고 신화적인 샤머니즘적 시세계이다. 본고의 고찰은 백석 시에 나타나는 토속성을 포괄적인 범위로 다루는데, 그 한 갈래의 경향인 토속성의 이면을 좀 더 세부적으로 연구하는 차원에서시세계에 내재하는 근대성의 방향을 점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러기 위해 백석 시의 근대성과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교섭점을 알아본다. 백석 시의 근대성에 있어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은 치유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그것은 백석 시의 근대성이 치유의 형식으로도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방편이며, 일제강점기에 말살 위기에 놓인 전통 신앙인 무가에 대한 애착심과 민족심의 발로였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다. 결국 이는 백석 시의 근대성이 내포한 희원의 우회적인 기법이며 시대상황을 퇴치할 방도를 찾기에 고심한 치유의 흔적으로써, 민간 전통신앙인 샤머니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기저로 작용하고, 그의 시문학에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수용하게 된 계기로 수렴된다. 백석 시는 동시대 시인들이 전통과의 단절을 미덕으로 삼고 도회적 이미지와 서구적 감각을 찾으려 노력한 반면, 백석 시는 과거의 것에서 시어를 끌어올렸다는 점, 그리고 사라져가는 전통관습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 고유의 전통인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치유의 방도로 시문학에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의미가 오히려 더 깊게 다가온다. 백석 시의 근대성의 획득은 전근대성을 저변에 깔고 있다. 시공간 의식에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편들은 전근대성의 토대를 가지는 전통성에서 출발한다. 이는 근대적 주체가 인식하는 민족 수난과 상실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타자에 의한 인식의 변화가 호응할 때 가장 근대적인 것을 획득한다. 샤머니즘적 시세계는 대부분 유년의 시절에 근거한 기억에서 끌어오고 있다. 그러나 가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ifestation patterns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Baek Seok, one of the poets that formed a mainstream in the poetic circles of Korea in the 1930s, with a focus on pathological shamanism since the shamanistic works could never be neglected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were firmly present inside modernity as a pathological natur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to examin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who was committed to writing traditional poems, that would correspond with the aesthetical concept of Baudelaire and look into the resulting discussions about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and modernism in his poetry.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converging with modernity and the interest relations of the modernity path established in his poetry to investigate modernity in his poetry. The folk nature of his poetry merged with the components of modernity argued by Kim Gi-rim in the process. The view of created intellectualism according to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dialect reality and modernity reveals that modernity emerges as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in that the poet used the approach to seek after newness in the poet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Chapter 2 covered those attributes of his poetry. Chapter 3 investigated the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his poetry, which was the specific element to be examined in th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shamanism. A traditional and mythical shamanistic poetic world makes a desperate and definite appearance in the research on modernity in his poetry.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folk nature in his poetry within a comprehensive scope as a way approach the directionality of modernity in his poetic world in a gradual fashion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one of the tendencies, more in-depth. The study thus looked into the negotiation points between modernity and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ry. Pathological shamanism includes the concept of healing as for modernity in his poetry. It is a means to demonstrate that modernity also took the form of healing in his poetry and a process to show that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nationalist sentiment as well as love for shamanistic songs, part of the traditional faith at the risk of aboli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In the end, it was a detour technique for the hope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the trace of healing to contemplate a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t served as the bas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hamanism, a traditional faith, and the opportunity to include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ic literature. Unlike his contemporary poets that found a virtue in separation from traditions and tried to find urban images and western senses, Baek Seok added more depth to the meanings of modernity in that his poetry pulled up poetic words from the past and awakened the consciousness of disappearing traditional customs and that the works based on shamanism, a unique tradition, settled down as the means of healing in poetic literature. The achievement of modernity in his poetry is based on pre-modernity. In the consciousness of time and space, the works of pathological shamanism start with the heritage with a pre-modern foundation. It stemmed from the people's suffering and sense of lost perceived by the modern subjects. When a change to the consciousness of others reacts, the most modern can be obtained. The shamanistic poetic world mostly comes out of childhood memories. However, he succeeded in manifesting the most refreshing and realistic and more profound “modernity,” which was not superficial, by establishing a modern subject with the most folk and national materials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and not popularizing the unique oldness. The form of summoning the most traditional and rousing ...

      • KCI등재

        현대문학 :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이일림 ( Il Rim Lee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에 한국 시의 주류를 형성했던 한 시인으로서 백석 시의 근대성의 구현양상에 대해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백석 시의 근대성에서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인데,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근대성의 내면에 강고하게 병리학적인 성격으로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연구사 검토를 통해 전통적 시작에 몰두하였던 백석의 시세계에 나타나는 전통성에 근거해서 보들레르가 말하는 미학적 개념과 상통하는 점을 고찰하고 그 여파로 나타나는 백석 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행해졌던 백석 시에 대한 논의를 살핀다. 백석 시의 근대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토속성의 이면과 모더니티의 접합과정을 살피고 백석 시가 이룬 모더니티의 경로에 대한 이해관계를 고찰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백석 시의 토속성은 김기림이 주장하는 모더니티의 구성요소들과 접합된다. 방언의 리얼리티와 모더니티를 절묘하게 혼합하는 방식의 창조된 주지주의적 시선은, 백석이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시세계의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점에서 모더니즘이 토속성의 이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 이러한 백석 시의 속성을 고찰했다면, 3장에서 중요한 것은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구체적 요인이 되는 백석 시 근대성의 구현을 병리학적 샤머니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에 있어서 절실하고 확연하게 드러나는 시세계가 전통적이고 신화적인 샤머니즘적 시세계이다. 본고의 고찰은 백석 시에 나타나는 토속성을 포괄적인 범위로 다루는데, 그 한 갈래의 경향인 토속성의 이면을 좀 더 세부적으로 연구하는 차원에서시세계에 내재하는 근대성의 방향을 점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러기 위해 백석 시의 근대성과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교섭점을 알아본다. 백석 시의 근대성에 있어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은 치유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그것은 백석 시의 근대성이 치유의 형식으로도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방편이며, 일제강점기에 말살 위기에 놓인 전통 신앙인 무가에 대한 애착심과 민족심의 발로였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다. 결국 이는 백석 시의 근대성이 내포한 희원의 우회적인 기법이며 시대상황을 퇴치할 방도를 찾기에 고심한 치유의 흔적으로써, 민간 전통신앙인 샤머니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기저로 작용하고, 그의 시문학에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수용하게 된 계기로 수렴된다. 백석 시는 동시대 시인들이 전통과의 단절을 미덕으로 삼고 도회적 이미지와 서구적 감각을 찾으려 노력한 반면, 백석 시는 과거의 것에서 시어를 끌어올렸다는 점, 그리고 사라져가는 전통관습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 고유의 전통인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치유의 방도로 시문학에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의미가 오히려 더 깊게 다가온다. 백석 시의 근대성의 획득은 전근대성을 저변에 깔고 있다. 시공간 의식에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편들은 전근대성의 토대를 가지는 전통성에서 출발한다. 이는 근대적 주체가 인식하는 민족 수난과 상실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타자에 의한 인식의 변화가 호응할 때 가장 근대적인 것을 획득한다. 샤머니즘적 시세계는 대부분 유년의 시절에 근거한 기억에서 끌어오고 있다. 그러나 가장 토속적이고 민족적인 소재와 언어의식을 통하여 근대적 주체를 확립하며, 고유의 옛것을 통속화시키지도 않고 그렇다고 표면적인 모더니티도 아니게 가장 신선하고 가장 사실적인, 보다 심층적인 ‘모더니티’를 구현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가장 전통의 것을 소환하여 현실에 환기시키는 형식은 극도의 통감을 끌어들이게 충분하며, 나아가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적 국면은 백석 시의 미적 형상화에서 한 걸음 더 진보하여 독특한 백석 시 고유의 ’모더니티‘를 개척한 것이다. 백석 시의 ‘모더니티’가 추구한 귀결점은 전통성을 담지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담아내는 형식의 모더니티한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근대성의 핵심적인 요소를 획득한 데 있고, 전통을 통해서 모더니티를 획득하는 백석 시의 전략은 동시대에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그만의 창조성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ifestation patterns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Baek Seok, one of the poets that formed a mainstream in the poetic circles of Korea in the 1930s, with a focus on pathological shamanism since the shamanistic works could never be neglected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were firmly present inside modernity as a pathological natur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to examin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who was committed to writing traditional poems, that would correspond with the aesthetical concept of Baudelaire and look into the resulting discussions about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and modernism in his poetry.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converging with modernity and the interest relations of the modernity path established in his poetry to investigate modernity in his poetry. The folk nature of his poetry merged with the components of modernity argued by Kim Gi-rim in the process. The view of created intellectualism according to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dialect reality and modernity reveals that modernity emerges as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in that the poet used the approach to seek after newness in the poet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Chapter 2 covered those attributes of his poetry. Chapter 3 investigated the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his poetry, which was the specific element to be examined in th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shamanism. A traditional and mythical shamanistic poetic world makes a desperate and definite appearance in the research on modernity in his poetry.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folk nature in his poetry within a comprehensive scope as a way approach the directionality of modernity in his poetic world in a gradual fashion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one of the tendencies, more in-depth. The study thus looked into the negotiation points between modernity and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ry. Pathological shamanism includes the concept of healing as for modernity in his poetry. It is a means to demonstrate that modernity also took the form of healing in his poetry and a process to show that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nationalist sentiment as well as love for shamanistic songs, part of the traditional faith at the risk of aboli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In the end, it was a detour technique for the hope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the trace of healing to contemplate a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t served as the bas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hamanism, a traditional faith, and the opportunity to include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ic literature. Unlike his contemporary poets that found a virtue in separation from traditions and tried to find urban images and western senses, Baek Seok added more depth to the meanings of modernity in that his poetry pulled up poetic words from the past and awakened the consciousness of disappearing traditional customs and that the works based on shamanism, a unique tradition, settled down as the means of healing in poetic literature. The achievement of modernity in his poetry is based on pre-modernity. In the consciousness of time and space, the works of pathological shamanism start with the heritage with a pre-modern foundation. It stemmed from the people`s suffering and sense of lost perceived by the modern subjects. When a change to the consciousness of others reacts, the most modern can be obtained. The shamanistic poetic world mostly comes out of childhood memories. However, he succeeded in manifesting the most refreshing and realistic and more profound "modernity," which was not superficial, by establishing a modern subject with the most folk and national materials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and not popularizing the unique oldness. The form of summoning the most traditional and rousing them in reality is enough to induce an extremely keen sensation. Furthermore, the poetic aspects of pathological shamanism pioneered "modernity" unique to his particular poetry, making a further step forward from aesthetic embodiment in his poetry. The ultimate point that "modernity" of his poetry sought after obtained the essential elements of modernity in that it maintained the traditional value and, at the same time, exhibited a modern aspect of the form holding it. The strategy of attaining modernity through tradition in his poetry should be evaluated as his own creativity that no other contemporary figures of his could approach.

      • KCI등재

        근대성의 판타지아 — 1990년대 한국문학의 근대성 담론 —

        황정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5

        The historic self-consciousness and self-narrative of the 1990s, which revolved around the sense of ‘break,’ owed much to the concept, or metaphor, of modernity.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and affective construction of modernity discourses in Korean Literature of the 1990s together with epistemic and socio-historical break which they prompted. The emergence of modernity discourses during the decade has largely been explained in terms of the response to the trend of postmodernism and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bloc, but absent any necessary link between these two developments and the focus on modernity, it seems that the discourses arose as a product of ideological choice. The trope of modernity, once established, enabled the discourses to sustain the idea of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underlying modernization and also to appropriate the postmodern critique of the modern, while effectively circumventing all attacks, both of modernization and of postmodernism. The discourses present a vastly augmented version of ‘modernity’ resembling a kind of perpetual motion machine, which attempts to rewrite and displace the prevailing narratives on how to go beyond the modern. Despite starting by declaring and lamenting the impossibility of revolution, the discourses mutate into allowing the possibility of modernity, which is then presumably capable of criticizing and even negating itself. Ultimately then, the impossibility thus repressed and turned into a possibility inevitably returns. In these discourses, modernity’s capacity for self-criticism and self-negation ultimately converge into aesthetic modernity, or literary modernism: howsoever thorough modernist criticisms may be, they merely amount to a specific self-referential performance of modernity. The ‘outside’ of modernity is something to be practiced, not just to be discovered, and the practice of overcoming modernity can only begin by accepting, once and for all, that it is impossible for modernity to truly negate itself. 이전 시기와의 ‘단절’을 중심으로 형성된 1990년대의 자의식에 자양분이 되어 주었고 또 그로부터 펼쳐진 서사에 뼈대가 되어 준 핵심 키워드 하나는 ‘근대성’이다. 이글은 1990년대 한국문학장에서 근대성을 적극적으로 내세운 담론들의 서사와 정동구조를 살피면서, 그 담론이 어떤 인식적ㆍ사회역사적 단절을 추동했는지 밝히고자한다. 이 시기 근대성 담론의 출현은 대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담론적 압력과 사회주의 붕괴라는 현실적 압력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두 압력에 근대성으로 반응한 것은명백히 이데올로기적 선택인데 ‘근대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근대비판을 일정하게수용하면서도 근대화에 연루된 진보와 발전의 이념을 지속시키기에 용이하며 동시에그 양자에 대한 비판을 피해 나가기에도 용이한 개념이었다. 근대성 담론은 무엇보다근대의 역량을 거의 무한동력에 가깝게 확대하고 그 경계를 거의 영속성에 가깝게확장하는 해석을 제시했으며, 이런 해석을 통해 근대 ‘너머’나 ‘이후’ 또는 ‘바깥’에관한 서사들의 다시쓰기를 수행했다. 구체적으로 근대성 담론은 근대성 너머로 가는일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동시에 이 불가능의 서사를 근대성은 자기부정마저 가능하다는 서사로 전화시킨다. 이렇게 해서 혁명의 불가능성이 근대성 자체의 혁명성으로 대체되고 궁극적으로 망각된다. 하지만 가능성으로 대체된 불가능성이 어떤 흔적을 남기지 않을 수는 없다. 근대성의 내적 자기부정을 설명하는 기제는 미적 근대성으로 수렴되지만 미적 근대성이 아무리 철저히 근대를 비판하고 반성한들 그 행위는 결국 근대성의 자기반영에 지나지 않는다. 그토록 ‘창조적인’ 근대성에도 근본적인 자기비판과 부정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할 때 근대성의 바깥은 비로소 구현되기 시작할 수 있다.

      • KCI등재

        E. 두셀의 초근대성과 해방철학의 의미 소고

        박치완 ( Tchi-wan Par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1

        엔리께 두셀의 철학은 ‘초근대성(transmodernity)’ 개념으로 축약이 가능하다. 초근대성의 의미는 i) 근대성의 극복 또는 초월, ii) 비유럽적 관점에서 유럽중심적 근대성에 대한 재고, iii) 이분법적·배타적 논리의 극복, 이를 통한 탈식민적 인식의 전환, iv) 세계적/초대륙적 철학의 구상, v) 철학을 넘어서는 철학으로서 해방철학(Liberation Philosophy), 바로 이 5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이 5가지 함의만으로도 우리는 두셀 철학의 지향과 목표를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그의 초근대성 개념은 기본적으로 근현대를 통해 유럽이 생산·전파한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철학의 새로운 지형을 그리는 데 있다. 그가 그리는 새로운 철학의 지형 속에는 근대성의 타자, 식민성의 외재성, 지배층의 이타 성인 민중이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그는 근대성의 발현체인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유럽중심주의를 소거(消去)하는 데 실패한 포스트-근대성 또한 극복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렇게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 양자를 모두 비판하면서 동시에 아우르는 것이 두셀의 초근대성의 철학이자 인식론이다. 두셀에게 초근대성은 ‘지구촌적 요구’를 모두 담아내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철학 (global/world philosophy)’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렇듯 그의 해방철학은 유럽의 철학과는 ‘다른 길’, ‘다른 대안’을 제시하면서 마침내 비유럽적 관점, 즉 제3세계적 관점, 이타성의 관점을 철학의 본류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철학계에는 다소 생소하게 비칠 수 있는 두셀의 탈서구-탈유럽-탈식민 철학을 소개하면서 ‘한국철학’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반면교사로 삼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Enrique Dussel’s philosophy can be summarized as “transmodernity.” The meaning of transmodernity can be summarized as five concepts: i) overcoming or transcending modernity; ii) overcoming European-centered modernity from a non-European perspective; iii) overcoming dichotomous and exclusive logic and the conversion of decolonial perception through it; iv) global/transcontinental philosophy; and v) the liberation philosophy as a movement beyond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y. With these five concepts alone, I can fully guess the direction and goal of Dusselian philosophy. His concept of transmodernity seeks basically to draw a new landscape of philosophy, critically reviewing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produced and propagated by Europe. The new topography of his philosophy includes the Other of modernity, the Exteriority of colonialism, and the “pueblo(people)”, which corresponds to the alterity of the dominant class. Through this process of redrawing of transmodernity, he criticizes Eurocentrism as a manifestation of modernity and uses post-modernity, which has failed to eliminate Eurocentrism, as the means of surpass. It i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Dussel’t i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Dusselliminate Eurocentrismpost-modernity at the same time. For Dussel, transmodernity means the creation of a global/world philosophy through the capture of all the “planetary claims.” Thus, his liberation philosophy offers a “different path” and “different alternative” to European philosophy and incorporates a non-European perspective, a third-world perspective, and an altruistic perspective into mainstream philosophy.

      • KCI등재

        전통과 근대 : 한국의 유교적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

        나종석(Na, Jongseo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오늘날 한국사회와 조선사회의 유교전통은 어떤 관계 속에 있는가? 이 글은 이 물음을 한국 근대성(m odernity)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다루어보고자 한다. 우리의 전통, 특히 유교적 전통과 한국사회의 근대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한국사회 발전 경로의 고유성이 무엇인지를 해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근대성을 해명하는 작업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이론인 장은주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근대성을 유교적 전통과 관련하여 해명하는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될 수 있는 그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필자는 장은주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유교전통과 한국의 근대사회와의 만남에서 그 부정적 측면에 주목하는 그와는 달리 둘 사이의 접합에서 출현하는 긍정적 계기에도 응당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아울러 유교전통의 한국적 특성 그리고 그런 한국고유의 유교적 전통문화의 영향사의 맥락에서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동력학과 그 병리적 현상의 정신사적 조건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선사회에서부터 누적되어 온 우리사회의 유교전통을 동일한 유교문명권에 속하는 중국 및 일본의 유교전통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입증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 유교전통과 조선 유교전통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염두에 두지 않고서는 한국 근대성의 고유성을 형성하는 데 작동하는 유교전통의 존재 방식을 해명하는 작업에서도 불가피하게 여러 심각한 오류를 초래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How relevant is Joseon Dynasty Confucianism in present-day Korea?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is question, and in doing so, presen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Korean modernity. Defining the ties between Korea’s Confucian traditions and Korea’s modernity offers insight into unique characteristics that m ark Korea’s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ffer a critical review of Chang E un-joo’s theory on Confucian modernity, which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theories used to analyze Korea’s modernity. The author w ill present a critical review on Chang Eun-joo’s Confucian modernity theory and illustrate the positive effects that Confucian traditions had on present-day Korea, in contrast to Chang Eunjoo’s unfavorable analyses. Furthermore, the author emphasizes that to understand the unique Korean aspects of Korean Confucianism , and to elaborate on the inner logic of Korean modernity and the cultural conditions of its pathological phenomena in the context of Korea’s distinct Confucian tradition culture, one must first understand East Asian Confucianism in general - especially China and Japan, as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re widely considered to belong to the sam e sphere of Confucianism - to comprehend the cumulative effects of Korean Confucianism, which dates back to the Joseon Dynasty. A point of special focus i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fucianism to accurately assess the impact that Confucian traditions had on the formation of Korea’s modernity.

      • KCI등재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

        장은주 ( Eun Joo Chang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이 글은 우리 근대성의 ‘다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통상적 근대성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유럽적 근대성뿐만 아니라 우리의 고유한 근대성도 함께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가공해 보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의 일부다. 이 시도에서 핵심적인 것은 유럽중심적 근대성 이해와 함께 동아시아적 근대성의 신비화도 함께 거부하면서 사회이론적으로나 규범적으로 좀 더 포괄적이고 설득력 있는 근대성 개념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런 접근법은 단지 서구만이 아닌 모든 문명권에 내재하는 공통된 도덕적 진보의 지향, 특히 ‘존엄의 평등’에 대한규범적 지향과 그 사회적 실현을 통해 근대성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는 서구적 근대성에 정당한 자리를 매겨주면서도 근대성을 서구의 합리화된 자본주의적 근대성과 등치시키지 않고, 우리의 유교적 근대성과사회주의적 근대성을 포함하는, 그 다양한 양상 속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해 준다. 우리의 경우, 유교적 근대성이라는 특징적인 형식 속에서 매우 속물주의적인 양상을 띠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 관철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근대성이 삶과 사회의 인간화를 향한 우리의 근대화 기획이 내세운 약속에 대한 자기배반 또는 역설의 형식으로 우리 사회가 발전시킨 근대적 삶의 양식의 정당성의 토대를 허무는 ‘정당성 위기’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theoretical attempt to develop a new concept of the modernity which can overcome limits of usual discourses on the modernity developed in the West. It starts from the `otherness` of Korean modernity and tries to grasp not only the European modernity, but also this peculiarity of Korean modernity. The point lies in the refusal of the mystification of East-Asian modernity as well as Eurocentric understanding of modernity, while making an attempt to develop a concept of the modernity which is, normatively as well as social-theoretically, more comprehensive and more plausible. This approach understands the modernity through the moral orientation which is immanent not only in the West but also in all societies of civilization, especially through the normative orientation for the `equality of human dignity` and its social realization. It can give u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modernity in its various modus including our confucian modernity and socialistic modernity, recognizing legitimate place of the western modernity, but refusing to equate the modernity itself with the rationalized capitalistic western modernity. In Korea the capitalistic modernity with its cultural orientation to snobbism has been realized in the peculiar form of confucian modernity. The problem is that this modernity has yielded the `legitimation crisis` which destroys the basis of the legitimacy of the form of life of Korean modern society. It is, one can say, a self-betrayal or a paradox of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 which has started with the promise of the humanization of life and society.

      • KCI등재

        중층근대성

        김상준(Kim SangJu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4

        근 200여년간 지배적이었던 ‘근대성=서구성, 근대화=서구화’ 등식은 오늘날 점차 실효를 잃고 있다. 이 변화의 함의는 깊다. 옛 등식에서 서구근대성은 보편성의 지위를 획득하고 있었다. 서구중심의 근대성론은 특정 시공에 영원한 특권을 부여한다. 이 이론 속에서 비서구 근대는 운명적으로 영원히 불완전한 근대일 수밖에 없었다. 최근 제기되는 다중근대성(multiple modernities) 이론은 오늘날 더욱 분명해지고 있는 근대성 표출 양식의 다양성ㆍ복수성에 주목 한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이다. 그러나 자체의 근대성관이 분명치 않고(약점), 그들 역시 근대성의 기원을 서구에 둔다(한계). 이 글은 그 약점과 한계를 극복한 대안적 근대성 이론의 개요를 제시한다. 이를 ‘근대성의 역사적 중층구성론’, 줄여서 ‘중층근대성론’이라 한다. 이 대안적 시각은 근대성의 지난 역사를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으로 표현해 줄뿐 아니라, 근대성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설명과 예측에 있어서도 고전적 근대성론보다 우월하다. The dominant discourses of modernity presuppose the western European origin of modernity. This presupposition has been accepted as a kind of unquestionable truth. In this presupposition, European modernity obtains the status of universality. This paper questions that presupposition. Eurocentric theories of modernity inevitably privilege a specific time and space and idolize modernity. Non-European modernities are unavoidably lacking and incomplete in these discourses. Recently theories of multiple modernities have emphasized the multiple features of modernity. Understanding modernity in plural terms is an advance in the discourses of modernity. Nevertheless the discourse of multiple modernities is not free from the strong presupposition that Modernity itself - however multiply it unfolds in these days - was the exclusive invention of Western Europe. This paper locates the historical origins of modernity(proto-modernity) in the birth of ethical relig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ncient empires(Christian-Roman, Hindu-Indian, Confucian-Chinese). The historical modem era began when the encompassment of the sacred over the mundane in the civilizations of pro-modernity was completely reversed. The Western experience of Reformation is just an example of this reversion. This paper maintains that both the origin of proto-modernity and the beginning of the historical modem era are multiple. Thus begun modem era has passed the second stage of colonizing/colonized modernity and the third stage of global modernity in order. Thus formed three layers of modernity - proto, colonizing/colonized, and global - coexist and overlap these days. This paper calls this complex formation of modernity ‘multilayered historical formation of modernity’. It also expands time dimension of the theories of modernity by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time outside time.’

      • KCI등재

        법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중심으로 하여

        양천수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연구 Vol.50 No.1

        이 글은 법의 근대성이 오늘날 어떤 도전을 받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도전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지 - 주로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원용하여 - 다룬다. 근대 계몽주의를 통해 형성된 법의 근대성은 합리적 주체를 전제로 한 자기결정권과 자기처분권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의 근대성은 프랑크푸르트 학파나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합리성과 주체 개념이 비판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법 영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사회가 일종의 구조변동을 겪으면서, 근대법이 만들어 놓은 각종 법적 원칙들은 위협을 받고 있다. 그러면 우리는 법의 근대성을 포기해야 하는가? 필자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여전히 법의 근대성이 지니고 있는 합리주의적인 비전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렇게 근대성을 복원하고자 하는 기획을 하버마스와 투렌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하버마스는 상호주관성에 기반을 두어 근대성을 복원하고자 하는 반면, 투렌은 주체화를 통해 근대성을 복원하려 한다. 그 점에서 양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기획은 법 영역에서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auf die Fragen unter Berufung auf das Projekt von Habermas und Touraine einzugehen, auf welche Herausforderungen die Moderne des Rechts heutzutage stoβen muss, und wie sie die Herausforderungen u¨berwinden kann. Die mithilfe des Zeitalters der Aufkla¨rung entwickelte Moderne des Rechts ist durch die Selbstbestimmungs- und Selbstverfu¨gungsrechte gekennzeichnet, die ein rationales Subjekt voraussetzt. Die Moderne gera¨t jedoch in Kritik von der Frankfurter Schule und den Philosophen des Postmodernismus, z. B. Lacan und Foucault. Insbesondere die "Rationalita¨t" und das "Subjekt" sind der Gegenstand der Kritik. Dies kann man in dem Bereich des Rechts auch finden. Indem die heutige Gesellschaft einen Strukturwandel erfa¨hrt, mu¨ssen juridische Prinzipien des modernen Rechts unter Bedrohungen stehen. Wenn dies der Fall ist, dann sollten wir auf die Moderne des Rechts verzichten? Der Autor ist einer anderen Meinung. Er ist der Meinung, dass wir auf der rationalen Vision der Moderne des Rechts bestehen mu¨ssen. Dies kann man in idem Projekt von Habermas und Touraine finden. Habermas versucht aber, die Moderne auf der Grundlage der "Intersubjektivita¨t" zu rehabilitieren, wa¨hrend Touraine auf der "subjectivation" beruht. Insofern besteht eine erkenntnistheoretische Unterschiede zwischen Habermas und Touraine. Das Projekt kann meiner Meinung nach in dem Bereich des Rechts verwirklicht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