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과 의의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4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공동체성의 상실, 교육기회의 불평등 등으로 야기된 평생교육의 정체성 위기를 전통적인 ‘사회교육’의 개념과 이념에 대한 역사적인 재고찰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회교육 사상의 기초를 놓았던 덴마크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이 우리나라 사회교육의 기원과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쳐 왔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사회교육은 주로 기독교 계열의 단체에 의해 일제하 농촌운동의 지도자 양성교육과 각종 농업학교 설립을 통해 전개되었으며, 해방이후에도 배민수, 이찬갑, 김용기 등을 통해 다각도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전개된 그룬트비히 계승 사회교육은 실용에 앞선 정신적인 가치의 추구, 실무적 능력과 사회적 실천의 중요성 강조, 관념적인 공동체성을 초월한 지역공동체와의 구체적인 관계 형성, 비정부 민간조직 차원의 자립적 운영 모델 제시라는 측면에서 특별한 의의를 갖지만, 학습자 주체성에 대한 존중 미흡, 제도적 차원으로서의 승화 실패, 그룬트비히 계승 사회교육조직 사이의 연계 부족 등에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의의와 한계를 종합해 볼 때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사회교육의 전통은 현대 사회교육이 목적의 측면에서 개인의 정신적 성장과 실용적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고, 방법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내용의 측면에서 평민의 언어와 문화에 기초한 교육내용을 강화하며, 현장의 측면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실천 과제를 제시한다 In Korea, nowadays there are special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long education caused by the loss of spirit of community and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rough a historical re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and idea of social education. As one of such efforts,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how Grundtvig’s educational idea which formed the world and produced a good and profound effect on Korean social education from the initial stage have developed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al education. In Korea, social education based on Grundtvig’s educational idea developed largely by Christian organizations through the training of leaders for rural movements and the founding of agricultural school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have evolved in many areas by Mino-Soo Bae, Chan-Gap Lee, Yong-Gi Kim, and etc.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e history of Korean social education based on Grundtvig’s educational idea presents special strong points such as the pursing of mental culture in advance of utility, the presenting of a model of NGO’s independence, But, it also has some weak points such as the insufficiency of respecting learner’s subjectivity, the failure of sublimation to the level of national system, and the insufficiency of close cooperation with the similar organizations, Synthesizing all points, we can draw some tasks such as the combination of mental culture and utility, the emphasizing of learner’s subjectivity, the enriching of people’s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strengthening of local community-oriented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Korean social education.

      • KCI등재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과 그 실제

        강선보,정해진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2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은 그가 비판했던 '죽음의 교육'과 닮아있는 우리 교육현장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그룬트비는 그 민족의 고유한 말과 문화를 온전히 품고 있는 평민의 삶을 진보적인 게몽과 문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교육을 통해 덴마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평민교육사상을 실천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살아있는 말과 상호 작용, 폴켈리드(folkelighed) 정신, 그리고 자유다. 평민대학은 이를 실현하는 새로는 형태의 교육기관이며, 이곳에서 학생들은 삶을 위한 교육을 통해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를 구성할 평민으로 성장한다. 삶의 경험을 교육내용으로 삼고, 살아있는 말을 통한 상호작용이 그룬트비가 제안하는 교육의 핵심이다.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은 우리에게 새로운 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그를 통한 사회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 핵심은 소수만을 위한 엘리트 교육이 아닌, 사회구성원 모두의 행복과 삶을 위한 평민교육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N.F.S. Grundtvig's philosophy and practice of folk education. Grundtvig suggested that Denmark can be reformed by the folk education. Folk education guides the folk who keeps their mother tongue, own culture and national spirit to the enlightenment of life. In Grundtvig's perspective, the enlightened folk should be the center of the democratic society. Therefore he focused on the education for folk. The core factors of folk education are the living word, the living interaction, the folkelighed, and the freedom. The Folk High School is the new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realizes folk education. In this school, students(folks) grow as a good civil who makes Denmark a better democratic society by the living education. The curriculum that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life and the living interaction through the living word is the heart of the folk education that Grundtvig suggested. Grundtvig's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give us excellent inspiration of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The point is not the education for elite, but the education for all the people(folk) who consists the society.

      • KCI등재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김은주,김정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Grundtvig, Danish educational thinker and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is educational ideas criticize the nation-led, modern, enlightenment of public education and argue that the free life based on the "living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s the basis of children's education. We also aime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living word', one of his educational idea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Grundtvig's educational thought, and characterized his educational thought by teaching folkelighed's spirit, living and breathing education for life, and interactive education for the 'living word'. The 'living word' emphasized by Grundtvig is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life' pursued by Grundtvig.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The 'living word' of Grundtvig can be util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in which children's words are revealed through poetry and lyrics, in which teachers sing songs for their upbringing, in which children speak the live word, and the teacher and the child talk about the spirit and history of the nation. 본 연구는 국가 주도의 근대적, 계몽주의적 공교육을 비판하고, 학생, 교사, 학부모 간의 ‘살아 숨 쉬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자유로운 삶 자체를 어린이 교육의 기초로 삼아야 함을 주장한 덴마크 사상가 그룬트비의 교육사상을 소개하고, 그의 교육사상 중 하나인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그것이 오늘날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시대·사상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그의 교육사상의 특징을 3가지, 즉 폴켈리드 정신을 담은 교육, 삶을 위한 살아 숨 쉬는 교육, 살아있는 말에 의한 상호작용 교육으로 소개하였다. 3가지 중에서 ‘살아있는 말’은 그룬트비가 추구한 삶을 위한 교육의 중심을 이루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룬트비의 ‘살아있는 말’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입말을 통해 시와 노랫말로 드러나고, 교사가 육성으로 불러주는 노래가 울려 퍼지고, 유아의 생동적인 삶의 말들이 담기고, 민족의 정신과 역사가 입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덴마크의 실천적 시민교육에 관한 고찰: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정해진 한국교육사상학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이 덴마크의 실천적 시민교육으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시민교육이 보편교육으로 자리 잡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요인을 모색한다. 덴마크 시민교육의 특징 중 하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전 연령을 아우르는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며 그 바탕에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룬트비는 국가 중심의 일방적 교육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평민의 삶을 위한 공감과 소통을 바탕에 둔 평민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바로 평민교육사상의 출발점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룬트비의 교육사상이 덴마크의 공교육 현장과 학교 밖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시민 교육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의 시민교육이 정책적, 제도적 요소가 아닌 교육철학적 요소에 기초하여 형성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시민교육을 위한 교육활동 전반의 변화를 위해서는 교육철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기독교 민족운동에서 기독교와 민족 간의 관계 해명 —함 석헌과 그룬트비(N.F.S. Grundtvig)의 관점에 비추어—

        송순재(Sun-Jae S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2

        조선말에서 일제 통치기까지 삼일운동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민족운동’에서 기독교와 민족이라는 두 개의 개념이 상호 어떠한 관계 속에서 하나의 운동으로 표출되었는지 검토하고, 기독교와의 관계에서 민족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명을 통해서 기독교 민족운동의 보다 나은 자기 이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 주제를 위해서 의미 있는 함 석헌과 근대 덴마크의 위대한 신학자이자 역사가이며 교육자인 니콜라이 그룬트비(Nikolaj F. S. Grundtvig)의 사상을 함께 살피고, 양자를 비교한 후, 향후 기독교 민족운동을 위한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두 사상가에게서 특징적인 점은, 기독교 신앙에 대한 이해와 선포는 그 자체만으로는 불가능하고 늘 그것이 주어져야 하는 특정한 민족의 역사적 조건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이런 식의 상호관계적, 변증법적 구조 속에서 기독교와 민족, 양자는 비로소 각기 정당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 사유 틀 속에서 양자 모두 각자 민족 문명의 수준을 세계사와 종교라는 전체적 시야 속에서 가치 평가하고자 했다. 여기서 모국어와 신화는 핵심적 가치를 지닌다. 아울러 평민들의 삶의 위상 및 그 문화적 의미 그리고 그들을 위한 계몽이라는 교육적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함 석헌과 그룬트비 간의 사상적 유사성은 매우 흥미롭다. 그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f Christianity and Nation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especially centered on the Samil (3·1) Movement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reig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lso, it tries to seek any theoretical ground for the better self-understanding about the Christian movement in a way which illuminates meanings of n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ity. Therefore, this work compares the ideas of Seok-Heon Ham (1901-1989) and Nikolaj F. S. Grundtvig (1783-1872), a great theologian, historian and educator of modern Denmark. It, in turn, provides implications and tasks to the futur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The two thinkers believe that understanding and mission of the Christian faith cannot be achieved by itself but are dependent upon given historical conditions and particular people. In this co-relational as well as dialectical structures, Christianity and nation each can have their own right meaning. In this regard, we can evaluate each level of national cultural status in the world history and religion. Here, the two thinkers point out that mother tongue and mythology are the key: i.e. highlighting the casual life of the common, its cultural meaning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Enlightenment. Interestingly, there are ide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Ham and Grundtvig. Thus more arguments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lso shall be followed.

      • KCI등재

        그룬트비의 경제사상: 그 발전과정과 배경

        이명헌 기독교학문연구회 2023 신앙과 학문 Vol.28 No.2

        This paper examines Grundtvig's economic thoughts focusing on his two important works. In “Mands Minde”, Grundtvig found the engine of British economic prosperity in "work based on the pursuit of economic interest" and "freedom". His economic ideas were deepened and systematized in "The Danes," in which he emphasized "protection of ownership" and "freedom of business", proposing a set of concrete liberal economic policies. Nevertheless, he presented a vision of a society in which the middle class constituted the majority, for the realization of which he urged his country to set limits on the exercise of ownership by landowners concerning the level of rent, lease period, and the choice of the buyer. Among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is thinking were the tens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situation of the constitution-building process and the First Schleswig War, as well as the intensified class conflict in the countryside. On the other hand, it is worth noting that an ideal of collective land ownership underlies the argument for restrictions on the private land property, and that he also emphasized enlightenment to make economic agents recognize and pursue the common good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arrangements of economy. 이 논문은 그룬트비의 사상영역 중 경제분야에 대한 그의 사고체계를 그의 중요저작인 “삶의 기억(1838)”, 그리고 “덴마크인(1848, 1849)”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는 “삶의 기억”에서는 영국 경제발전의 동력을 ‘이익추구에 입각한 일’과 ‘자유’에서 찾았다. 그의 경제적 사상은 “덴마크인”에서는 더욱 심화되고 체계화되어 경제적 번영의 조건으로 ‘소유권 존중’과 ‘영업의 자유보장’을 강조하고 그에 기반한 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을 제안하였다. 그럼에도 그는 중간층이 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회를 비전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실현을 위해서 토지소유자의 소유권 행사를 임대료, 임대기간, 매각 대상 등과 관련하여 일정 정도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같은 사고의 진전을 불러일으킨 요인은 1848년 이후 입헌 과정과 1차 슐레스비히 전쟁이라는 대내외적 긴장된 정치상황과 농촌에서의 계급갈등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토지소유권 행사에 대해서 제약을 부과하자는 주장의 바탕에는 일종의 토지공유사상이 기초가 되고 있었으며, 그가 경제문제에 있어서도 제도적 장치와 더불어 경제주체들을 공동선을 인식하고 추구하도록 하는 계몽을 중시했다는 점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해방 공간 강성갑의 기독교 사회운동 연구

        홍성표(Hong Seong-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920~30년대 한국교회는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고, 덴마크의 그룬트비의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교회내부의 보수적 신앙인의 반대로 1930년대 말에 막을 내렸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농촌문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으나, 해방 공간에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강성갑은 해방 공간에서 이러한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영에서 한얼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기독교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강성갑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였고, 연희전문 문과와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46년 4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과 함께 기독교 사회운동을 전개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몰려 총살당했다. 이 사건은 소위 진영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판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가해자를 처음으로 처벌한 사건이었다. 강성갑의 경우에는 가해자를 처벌한 재판과 추모동상 제막식이라는 공적 행사를 통해 그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고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공산주의자’로 몰려 가족들은 커다란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강성갑은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실천했다.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진영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1948년, ‘하나님을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자, 흙을 사랑하자’라는 ‘삼애정신’을 교훈으로 하는 한얼중학교를 설립하고 농촌의 인재를 양성하였다. 강성갑의 한얼중학교 설립은, 해방 후 모든 것이 부족했으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열의로 농촌의 교육을 위해 강성갑과 진영교회와 진영의 지역사회가 합심하여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고 대안을 만들어간 기독교 사회운동의 모범적인 사례였다. The Korean churches, paying attention to harsh realities in 1920s and 1930s, carried on the rural movement influenced by Nikolaj Frederik Severin Grundtvig. This movement of Korean churches had to come to an end in the end of 1930s however,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opposition forces of conservative believers inside the church.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rural movement was still the first priority task to solve to build a new nation, 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of rural movement by Korean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Kang Seong-Gab pioneered in Christian social movements to resolve these rural problems, as an example,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JinYoung Gyeongsangnam-do. Kang Seong-Gab was born in 1912 in Uiryeong Gyeongsangnam-do and completed liberal arts course in Yonhi College and studied theology and graduated from Doshisha University. In 1943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by Gyeongnam presbytery, then started his ministry as the pastor in charge at JinYoung Church in April 1946. He developed Christian social movements while he was in ministry, then he was wrongfully charged as a communist he was shot to death during Korean War. This incident is known as JinYoung slaughter, which was the first time to punish the perpetrators of civilian massacre at the trial during the Korean War. The trial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the official ded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his wrongful death and recovered his reputation, but his family had to suffer a great pain since Kang Seong-Gab was still regarded as a ‘communist.’ The philosophy of Danish Grundtvig influenced Kang Seong-Gab and made him to put the philosophy into practice. He started Christian socialist movements by establishing Bogeum(Gospel) Civic School, and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1948 to start educating people in rural area. The school motto was ‘Love God, love neighbor, and love land.’ The establishment of Haneul Middle School by Kang Seong-Gab was the model ca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even though everything was short in supply after the Liberation,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aving enthusiasm to rebuild new nation, that they made up of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appalling conditions to educate the rural area.

      • KCI등재

        丹麦“乡村高中”给我们的启迪

        马驰(Ma Ch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1

        150년을 거치면셔 그룬트비의 자유학교는 덴마트 교육제도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모든 성인은 자유학교로 돌아가 자기가 좋아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재교육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성인은 자신의 인생단계에서 거기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여 자유학교에서 자신의 개인이 원하는 취미를 추구할 수 있다. 자유학교는 후세에게 교육이념과 교육제도 설계에서 수많은 참신한 이념을 제시하였다. 사회에서 무지한 농어민도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의 건립이 필요하다. 꼭 우수한 전문적 지식의 추구만이 아니라 인성에 주안점을 두고 개인의 취미를 배양하며 교사의 역할도 지식의 주입이 아니라 학생의 노력을 격려해 주고 칭찬해 주는 역할이 되어야 한다. One hundred and fifty years after the first of the folk high schools (FHS) was started by N. F. S. Grundtvig, they are today an important part of the Danish education system. Any adult can join an FHS, choose a subject of his/her choice and become a student. Moreover, an adult can choose different subjects at different stages of his/her life to develop his/her interests. The FHS has been providing enlightenment to generations of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Every society requires a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to educate its underprevileged classes, such as fishermen and farmers. Such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does not necessarily encourage the pursuit of excellence in the chosen subject;rather, it aims to cultivate humanity and develop the personal interests of an individual. In an FHS, a teacher does not aim to inculcate something, but to encourage and celebrate a student s endeavors. 经过150年的演变, 格伦特维的“乡村高中”已经成为丹麦教育制度的一个重要组成部分。 任何成年人都可以回到“乡村高中”, 选择自己喜好的科目, 接受再教育。 任何成年人, 都可以在人生的不同阶段选择不同的科目, 通过“乡村高中”追求个人兴趣爱好。 “乡村高中”为后人在教育理念和教育制度设计上提出诸多崭新的理念。 社会需要建立终身教育制度, 让乡村无知的渔民和农民有机会受到终身教育。 不一定需要追求专业卓越, 而应该着力于人性, 致力于培养个人兴趣爱好。 教师的角色也不是灌输, 而是鼓励和颂扬学生们的努力。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