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약용의 君主論

        박현모(Park HyunMo) 한국정치사상학회 2003 정치사상연구 Vol.8 No.-

        이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정약용의 군주론에서 발견되는 양면성(‘下而上의 정치관’/‘강한 군주론’)이 상호 단절 내지 변화된 것이 아니라 고도의 논리적 일관성이 있다는 점이다. 즉 국왕에게 정치권력을 집중시키되 그 힘을 당시의 전도된 정치질서(‘上而下의 정치’)를 바로 잡는 데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국왕 개인으로의 권력집중과 그로 인한 자의적인 권력행사를 막기 위해서 체제로서 왕정(Confucian Kingship)의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혁하려고 했다. 둘째, 그의 시대인식이나 개혁정치론은 正祖의 그것과 유사한데, 정약용 자신의 기록 등에 비추어 볼 때 이는 정조의 국왕중심의 정치운영론[蕩平政治]에 의해 영향 받았다는 점이다. 정조는 종래 君-臣-民의 3단계 정치구도에서 臣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君-臣民의 2단계 정치구도를 구상했는데, 이 같은 정치관은 그의 초계문신 출신인 정약용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약용은 “국왕과 백성 사이를 가로막는” 중간 세력을 최소화하고, 군령ㆍ조세제도 등이 국왕을 중심으로 통일적으로 운영될 때, 좋은 정치는 달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서 필자는 『與猶堂全書』와 『홍재전서』 및 『정조실록』에 나타난 정약용과 정조의 정치관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는 바, 이 과정을 통해서 정약용은 정조 정치의 구현자 내지 ‘비판적 이데올로그’라는 결론을 도출해 냈다. This is a study of the Confucian Kingship as it was understand by Chong YagYong(1762~1836). His two different ideas has been interpreted by many scholars as inconsistent or changed. But I contend that there are no logical contradictions between his 'democratic' notion of the royal authority(bottom up) and his 'despotic ideas,' the political power should be concentrated upon the king. Chong wanted to reshuffle the subverted political orders by way of the strong king. In reality, King ChongJo tried to reform his country in this way, and had an affect on Chong. Chong rearranged the ideas and policies of King ChongJo in his book after the king's death.

      • KCI등재

        김정국(金正國)의 『성리대전서절요』 편찬과 대체군주론(大體君主論)

        최민규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0

        This paper tried to examine on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the subject through the 〈Seongri daejeonseo jeolyo〉 compiled by Kim Jeong-guk. Kim Jeong-guk succeeded in the study of 'Seongri Daejeon'( 性理大全 ) of the Gimyo sarim(己卯士林) and compiled 'Jeolyo'( 節要 ). However, while witnessing the decline of peasants amid the spread of the land tenure system, and the political reality of a chain of ‘literati purges’(士禍) and ‘The Restoration of Righteousness’(反正), he paid attention to 'Seongri Daejeon' in terms of seeking a monarch-led political theory. Accordingly, the format of 'Jeolyo' was also summarized into political ideologies, which occupies a small proportion in the original 'Seongri Daejeon', and in the table of contents affirming the monarch- centered political operation and Much of the content structure was quote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Kim Jeong-guk compiled 'Jeolyo' while affirming the monarch-led political theory contained in 'Seongri Daejeon'. Also, in terms of the content of 'Jeolyo', the characteristic of emphasizing the monarch-led political theory is revealed. In the part related to the monarch theory, he arranged the monarch theory of 'Jeolyo' while supposing the role of the monarch as the supreme ruler. In fact, he said that the monarch should be moral, but he emphasized that it was the means by which the monarch could function as a de facto ruler rather than constraining the monarch.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subjects, he criticized the monarch's arbitrary politics, but similarly urged the rectification of the subjects' excessive media activity. Based on this position, he said that the monarch and the prime minister should govern together. His ideal prime minister was a working-level prime minister with both governmental and moral capabilities. He urge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bureaucracy by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s of the bureaucrats in practice through the theory of practical re-employment, and by urging for self-correction within the bureaucracy. In summary, Kim Jung-guk's 'Jeolyo' was an idea to solve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by strengthening the monarchy. However, this fact caused the attention of the ruling powers of the Myeongjong era, who sought ways to strengthen the monarchy within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rather than being accepted as a general political theory by the yangbansadaebu. 본고는 김정국이 편찬한 성리대전서절요 를 통해서 기묘사림 내부의 군주론, 군신관계론의 한 특색을 살피고자 했다. 김정국은 기묘사화 이후에 기묘사림들의 성리대전 연구를 계승해 절요 를 편찬했다. 그러나 그는 지주제의 확산 속에서 몰락하는 농민들, 그리고 반정과 사화가 연쇄하는 정국 현실을 목도하면서 군주 주도의 정치론 모색 차원에서 성리대전 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절요 의 체재 역시 원래 성리대전 에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역대」, 「군도」, 「치도」 등 정치사상 부분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군주 중심의 정치운영을 긍정하는 목차와 언설을 활용해서 요약했다. 이를 통해서 볼 때에 김정국은 성리대전 에 담겨 있는 군주 주도의 정치론을 긍정하면서 절요 를 편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절요 의 내용적인 차원에서도 군주 주도의 정치론을 강조하는 특색이 드러난다. 그는 군주론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는 군주가 정무의 최고 주재자로서 대체를 장악하는 가운데, 군신 간의 협력을 촉구하는 대체군주론을 바탕으로 절요 의 군주론을 정리했다. 실제로 그는 군주수신론을 말하면서도 그것이 실질적인 정무주재자로서 군주가 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그는 군신관계에서도 군주의 독단에 의한 정치는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신료들의 자정을 촉구했다.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그는 군주와 재상이 같이 정치할 것을 말했다. 그가 이상적으로 보는 재상은 경세적 자질인 재와 도덕적 능력인 덕을 겸비한 실무재상이었다. 그는 실무재상론을 통해서 관료층의 실무에 대한 자질 강화, 그리고 그 내부의 자정 촉구를 통해 관료제의 정상적인 운영을 도모했다. 요약하자면, 김정국의 절요 는 중종 대의 정치・사회 문제를 군주권의 강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발상이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 점은 오히려 절요 가 양반사대부 일반의 정치론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성리학의 테두리 내에서 군주권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한 명종 대 집권세력이 주목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

        정도전의 군주론

        송재혁(Song, Jae Hyeok) 한국정치사상학회 2016 정치사상연구 Vol.22 No.2

        정도전은 『경제문감』을 통해 신하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기존의 연구자들은『경제문감별집』을 이러한『경제문감』의 종속적인 저작으로서 해석해 왔다. 그러나 이 글은『경제문감별집』을 『경제문감』과 대등한 별도의 저작으로 간주하고, 『경제문감별집』에서 개진되고 있는 정도전의 군주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조선건국의 시기에 정도전은 신왕조의 제도론과 신하론을 서술한 『조선경국전』,『경제문감』에 이어, 군주론을 다룬 『경제문감별집』을 저술했다. 그는 당대의 국제적인 힘의 관계를 고려하여 제후국으로서 조선의 위계를 설정하고, 국내적으로는 일원적인 정치질서의 확립을 통해 정치의 정상화를 시도했다. 그의 이러한 구상 속에서 국내질서와 국제질서는 “위계(序)”라는 측면에서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군주정에서 최고의 정치행위자인 군주의 바람직한 모델을 모색하고 있는 『경제문감별집』의 저작은 정도전의 정치질서 구상의 종착역이라 할 수 있다. Jeong Do-jeon’s work, Kyeongjemungam(經濟文鑑) is well known for emphasizing the role of subjects in politics. The earlier studies have interpreted his another work, Kyeongjemungambyeoljip(經濟文鑑別集) as subordinate to Kyeongjemungam. This article, however, considers Kyeongjemungambyeoljip as an independent work from Kyeongjemungam, and explains Jeong Do-jeon’s Confucian kingship theory stated in Kyeongjemungambyeoljip. Jeong Do-jeon published Kyeongjemungambyeoljip, which pays attention to the rule of king in politics, in 1397, the time of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And this work is a series of Jeong Do-jeon’s political design along with the institutional theory in Joseongyeonggukjeon(朝鮮經國典) and the subjects theory in Kyeongjemungam. Through these three works, he designed a vassal state in Chinese world order(天下) as a political structure, by reflecting East Asia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cal records. This article argues that Kyeongjemungambyeoljip should be understood as a work for establishing an absolute monarchy in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context of East Asia of his time.

      • KCI등재

        마키아벨리와 율곡의 리더십 비교 - 군주론과 성학집요를 중심으로

        리기용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analyzes the leadership of Niccolo B. Machiavelli(1469~1527) and Yulgok Yi I(栗谷 李珥, 1536~1584) by comparing“The Prince(君主論)” and“Complete Compendia on Sage Learning(聖學輯要)”, two books dedicated to the Kings of Italy and Chosun. Machiavelli and Yi I, the greatest political philosophers of the West and the East, have in common that they dedicated their books to kings. The former is dedicated to Lorenzo de' Medici in 1512 (published in 1532) whereas the latter is dedicated to king Seonjo(宣祖) of Chosun in 1575, both being political guides for the lords. This paper examines both books and finds that the former focuses power and efficiency of the prince while the latter emphasizes morality of the king based on trust between the king and his liegemen.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fundamental discussion needed to propose leadership model for contemporary Korea that complementarily combines morality and efficiency by comparing Machiavelli and Yi I’s understanding and ideal model of kings, and necessary virtues. First, this paper discusses the era when the two books were written and compare their respective motives and objectives. Second, this paper looks at the task they faced in the era and their understanding on how to approach and reform the tasks. Third,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n the nation, prince, liegemen, and the people. Lastly, this paper compares Machiavelli’s efficient leader who achieves his goal by any means to Yi I’s moral leader that bases himself on trust of liegemen. Despite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following modern western political system, Korean politicians are asked to maintain high standard of morality and integrity, the virtues of Confucianism.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political-economical circumstance that require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t suffices to propose a new form of leadership that complementarily combines the efficient leadership of Machiavelli and moral leadership of Yi I. 이 논문은 이탈리아와 조선의 군주를 위해 약 500여년전 헌정된 책, 구체적으로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율곡의 성학집요 비교를 통해 양자의 리더십을 분석한 글이다. 16세기 동서양의 대표적인 사상가였던 마키아벨리와 율곡은 군주를 위한 책을 각각 저술하여 헌정하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전자가 1512년 이탈리아 로렌초 메디치에게 헌정된 책(1532 간행)이라면, 후자는 1575년 조선의 선조에게 헌정된 책으로 모두 군주의 정치지침서이다. 이 논문에서는 헌정된 이 두 책의 대비를 통하여, 전자는 군주의 집권과 효율성을, 후자는 군주와 신하의 신뢰를 전제로 한 도덕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고찰을 통하여 마키아벨리와 율곡이 지향하고 있었던 군주의 정치에 대한 이해와 이상적 모델, 그리고 군주에게 필요한 덕목들의 특징을 비교하는 한편, 현대 한국의 현실 속에 필요한 도덕성과 효율성이 상보相補, 상자相資적으로 융합된 리더십 모델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적 논의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헌정된 두 책 – 군주론과 성학집요 – 이 집필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두 책의 집필 목적과 동기를 비교할 것이다. 둘째, 두 사상가가 직면했던 현실 속에서 당면한 시대적 과제 즉 시무時務와 이를 어떻게 변통變通하고 개혁시킬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 셋째, 두 책에 나타난 마키아벨리와 율곡의 국가와 군주, 그리고 군주의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비교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키아벨리의 목표의 성취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효율적 리더십과 율곡의 군주와 신하의 신뢰를 바탕으로 정립되어야 함을 촉구하는 도덕적 리더십을 대비시켜 볼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실 정치는 철저하게 서구 근대정치 체계를 답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정자들에게 전통 유가 가치체계의 원형 그대로의 도덕성과 청렴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공직자의 도덕적 청렴성 이상의 업무 역량과 효율성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면서도 절대 역량을 갖춘 리더십이 필요한 우리의 정치, 경제 현실을 의식한다면, 500여년전 동서양의 두 사상가였던 마키아벨리의 효율적 리더십과 율곡의 도덕적 리더십이 상보적으로 융합된 형태의 리더십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

        김태희(Kim, Tae Heu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1 No.-

        원목 , 탕론 , 일주서극은편변 의 세 논설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원목 에서 군주의 기원을 밝히고 군주 권력의 정당성이 민에 있음을 선언했다(‘牧爲民有’). 탕론 에서 ‘하이상(下而上)’의 원칙을 다시 밝히고, 군주 교체의 정당성과 한계를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는 일 주서극은편변 에서 ‘제명(帝命)’과 ‘후대(侯戴)’의 두 개념으로 정리했다. 군주론(君主論)이요 민론(民論)이며 민의(民意)와 천명(天命)이 강조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제후(諸侯)와 같은 중간 지도자와 ‘지천명자(知天命者)’와 같은 현명한 신료가 중요한 존재가 되어 있다. 다분히 엘리트주의적이다. 세 논설에서 ‘옛날’과 ‘지금(또는 후세)’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방편의 성격이 강하다. 즉 현실의 좁은 인식의 한계를 넘어 현실을 지양할 수 있게 하고, 이념형을 대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를 지향할 수 있게한다. 『경세유표』는 군주의 소임과 바람직한 군주상을 제시한 것으로, 군주권의 근거를 밝힌 세 논설과 그 논의의 초점이 다르다. 『경세유표 』는 황극(皇極)으로 표현되는 강력한 군주와 ‘군주 중심의 일원적 관료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군주는 전제적 절대군주가 아니다. 왕정(王政)의 시행을 위해 공적(公的)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최종책임자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지도자의 부지런함과 치밀함을 요구하는 유위(有爲)의 정치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군주중심이고 사공적(事功的)이지만, 공적(公的) 존재로서의 신료를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유가적(儒家的) 특성을 벗어나진 않고 있다. 다산의 군-신-민의 3단계 구조에서 각자는 매우 적극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상호 보완적성격을 띠지만, 문제적 상황에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와 비견할 만한 긴장관계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 There is logical consistency between Wonmok (原牧) , Tangron (蕩論) and Iljuseogeukeunpyeonbyeon (逸周書克殷篇辨), which were all written by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In Wonmok, he proved the origin of the monarch and declared that the legitimacy of power lay in people. He showed the principle of “Up from below (下而上)” again and the justification and limitations of changing the ruler in Tangron . His discussion was summarized in “Jemyeong (帝命)” and “Hudae (侯戴)” in Iljuseogeukeunpyeonbyeon . His monarch theory emphasized the will of the people and Heaven s will. Middle leaders such as Jehu (諸侯) and wise advisers who knew Heaven s will were also important. His discussion was rather elitist. In his three articles, he invoked two periods: the past and present. This was a kind of expedient to overcome cognitive limitations and suggest an opposite ideal type. Gyeongseyupyo (經世遺表) detailed what should been done by the monarch and what a desirable monarch is like. The three article outlined where the power of the monarch came from. In Gyeongseyupyo, a strong monarch as Hwanggeuk (皇極) and a unitary bureaucratic system are advocated. The strong monarch is not an absolute monarch, but the final man responsible for making the public system work efficiently to realize Wangjeong (王政). In this one-elite-people system, each position has a very positive meaning.

      • KCI등재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브랜드 개념 비교

        김덕용 ( Kim Duk-yong ),김경원 ( Kim Kyung-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최근 학문의 융·복합에 대한 관심으로 기존의 개념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브랜드 개념은 애초에 학계와 실무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대적 변화에 따라 브랜드를 접근하는 방식이 이전보다 훨씬 포괄적으로 확장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브랜드 개념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위해서는 인문학적 접근 방법을 활용해 개념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권력과 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가장 설득력 있는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군주론의 배경적 인식을 바탕으로 브랜드에서 `권력`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군주론에서 다루는 통치와 지배구조의 개념을 현대 기업과 브랜드에 연계시켜 대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의 통치`와 `기업의 시장 지배` 개념을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비교 분석 했다. 하나는 국가통치와 브랜드 경영의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군주의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관점이다.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형성된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는 전략적 관점에서 브랜드 경영의 핵심이 되는 브랜드 자산으로 이어진다. 마키아벨리가 국가 통치의 모든 명분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군주의 판단과 선택에 달려있다고 시사한 바와 같이 소비자를 브랜드 파워의 원천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브랜드개념의 다양한 해석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궁극적으로 브랜드 이론이 융합 학문으로서 담론의 틀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existing concepts from a new point of view due to the surge of interests in convergence. The notion of brand is widely used in both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concept using the humanistic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more comprehensive and expanded meaning of brand. Machiavelli`s `The Prince` is the most persuasive literature to explain the mechanism of authority and power.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understand `power` in a brand that based on the major contents of `The Prince`. The concept of governance `The Prince` is linked to modern corporations and brands. Based on this, the literature is compared the concept of `administration of the country` and `corporate market domination`. The study focuses on two perspectives. One is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on of the country` and `brand management`, and the other is `image of monarchy` and `brand image`. Brand loyalty through brand image leads to brand equity, which is the core of brand management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As Machiavelli perceived that all the judgement administration of the country is entrusted by the people, consumers are the source of brand power. This study might suggest that diverse methodologies of the notion of brand and it will expand the framework of discourses as convergence study of brand theory.

      • KCI등재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마음 속 들여다보기 -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의 ‘헌정사’를 중심으로 -

        김형곤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Machiavelli's true heart was through the 'Dedication' of 『The Prince』 and 『The Discours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Machiavelli and his two books show that he is a ‘monarchist’.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No, he is a republican’. It is mainly to evaluate Machiavelli's political th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book. For Machiavelli, it does not seem to matter whether the public purpose is achieved through the monarch or the public purpose is achieved through the citizen. His ultimate goal was the prosperity of Florence and the unification of Italy.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Machiavelli argues, that either a monarch or a citizen must be willing to act according to necessity in any matter. In addition to the reason for writing the book, I think that some, if not all, of Machiavelli's mind can be explored through the hidden implications of each line between the lines of ‘Dedicat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Machiavelli's mind was always focused on returning to the front line even after writing 『The Prince』, 『The Discourse』and several books after that. However, rather than personally getting a job again, Machiavelli wants to think about whether he wanted his thoughts and vision to be passed on to the political leaders of his homeland Florence. 본고의 목적은 군주론 과 로마사 논고 의 ‘헌정사’를 통해 마키아벨리의 진정한 속마음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마키아벨리와 그의 두 책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그가 ‘군주론자다’. ‘아니다 그는 공화주의자다’ 에 집중한 경향이 없지 않다. 또한 주로 책의 내용 분석을 통한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을 평가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마키아벨리에게 있어 군주를 통해 공적인 목적을 달성하던, 시민을 통해 공적인 목적을 달성하던 별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궁극적인 목적은 피렌체의 부국강병과 이탈리아의 통일이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주든, 시민이든 어떤 일에서 기꺼이 필요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마키아벨리는 주장하고 있다. 책을 쓰게 된 이유와 함께 ‘헌정사’ 행간 하나하나에 숨어 있는 함의(含意)을 통해 마키아벨리의 마음 속 전부는 아니더라도 일부는 살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군주론 을 쓰고, 로마사 논고 를 쓰고, 그 후 여러 책을 쓰면서도 마키아벨리의 마음은 언제나 전선복귀에 맞추어져 있었던 것 같다. 단지, 마키아벨리는 개인적으로 일자리를 다시 얻는다는 것보다, 자신의 생각과 비전이 조국 피렌체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상납되기를 원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 주고 싶다.

      • KCI등재

        정조의 경세론과 효제(孝悌)윤리

        김성윤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정조 경세론의 주요 측면들을 통하여 조선후기 실학의 전개 과정에서 정조가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조는 이기론에서 주희나 이황과는 달리 理를 氣의 내재법칙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리가 갖는 先在性·초월성·규범성을 외면했다. 정조의 이러한 주기적 이기관은 그의 근본적 시각이 경험적 현실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실학자들이 주장해 온 ``道器一體論``을 계승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둘째, 정조는 인성론에서 ``性卽理``라는 주자학의 기본 명제를 부정하고, ``性卽氣``를 주장했다. 아울러 맹자의 성선설에 대해서 性=四端이라는 도식을 부정하고, 사단을 元亨利貞의 四德으로 고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性四德說을 제기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그가 선험적인 원리나 윤리보다는 경험적 현실과 욕구 속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현실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사회원리와 윤리를 모색하려 했다는 점을 대변한다. 정조의 이기론과 인성론은 주자학의 정설에서 크게 이탈해 있었다. 셋째, 그는 도교, 불교, 양명학, 서학 등 제반 이단적 학문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개방성은 학문적 권위가 권력적 목적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정한 학문적·정치적 실익을 추구한 데에 자연히 뒤따르는 현상이었다. 넷째, 정조는 군주가 수신을 바탕으로 명분질서의 모범을 보이고 실제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수신군주론이나 군주성학론의 도그마에서 탈피했다. 이에 따라 그의 통치 방식도 풍속을 돈독히 하는 禮敎的 방식에 치중하지 않고 제도 개혁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접근방식을 보였다. 다섯째, 정조는 영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정치적 준거를 三代之治 혹은 堯舜之治에 두었다. 그러나 그가 이해한 요순은 은둔적이고 수련적인 철학자의 모습이 아니라 세속적이고 권력적인 정치가였다. 이처럼 그는 ``무위에서 유위로`` 정치 개념과 군주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했으며, 君師로 자처하면서 의리 판별의 권한이 임금에게 있음을 주장한 영조의 정책을 계승했다. 그의 지지자에 의해 국왕이 사문의 도통을 계승했다는 ``君主道統論``이 제기되는 속에서 마침내 자신을 太極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天 혹은 上帝라는 절대군주론을 피력하기에 이르렀다. 여섯째, 정조의 군주론은 중개세력의 매개 없이 군과 민이 직접 소통하는 2단계 정치구조를 지향했다. 그는 이러한 절대왕정을 지탱할 통일된 사회윤리로서 孝悌를 제시하고, 太學序齒를 통해서 이를 시험적으로 실행했다. 태학서치는 군주 이외에 모든 臣民을 하나로 보고, 신민 사이에서는 신분이나 직업이 아닌 나이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계서윤리를 선도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실학이 추구하는 새로운 왕정이 결코 이론적 수준에 머무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일곱째, 정조가 추구한 절대왕정은 국가를 家의 類比 내지 확장으로 보는 유교의 家族國家와 외연상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도덕보다는 백성의 행복 증진에 두고 국가사회의 결속원리를 인간에 내재한 도덕심이 아니라 개인의 주체적 개별적 연계 속에서 모색했다는 점에서 종래의 유교적 왕정론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차후 근대국가론의 형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했다. 여덟째, 실학사상의 한말 민중운동으로의 전유와 관련하여 정조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그의 주역 연구와 文王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한말 민중운동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후천개벽설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Jeongjo emphasized that I(理) is the inherence rule of Gi(氣). These Jugijeok Igi-gwan(Gi-centred Philosophy of I and Gi) shows that his fundamental viewpoints focus on an empirical actuality. Second, In theory of human nature, Jeongjo contradicted seong-jeung-ni(性卽理. nature is based on i which is innate in all creatures) and advocated seong-jeung-gi(性卽氣. nature is based on gi). And he advocated that human nature is saduk(四德. the four virtues), not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Third, Jeongjo had opened up towards the unorthodox. His academic openness was the phenomenon following his utilitarianism. Fourth, Jeongjo`s ruling methods had attached importance to effectiveness of system, not convert. Fifth, He had made the way of the sage King Yao and Shun(堯舜之治) as his political authority. He emphasized that he himself is taegeuk(太極. Great Ultimate). This meens he had announced the absolute monarchy. Sixth, He presented Hyoje(孝悌.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s the moral foundation for his absolute monarchy, and practiced it with Taehakseochi(太學序齒). Seven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eongjo had a influence on the theory of hucheongaebyeok(後天開闢. Great Transformation for the world after the creation of heaven). This related with the Silhak(實學)`s transformation to the popular movement at the close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김태희 ( Kim Tae Heui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81 No.-

        「원목」, 「탕론」, 「일주서극은편변」의 세 논설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원목」에서 군주의 기원을 밝히고 군주 권력의 정당성이 민에 있음을 선언했다(‘牧爲民有’). 「탕론」에서 ‘하이상(下而上)’의 원칙을 다시 밝히고, 군주 교체의 정당성과 한계를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는 「일주서극은편변」에서 ‘제명(帝命)’과 ‘후대(侯戴)’의 두 개념으로 정리했다. 군주론(君主論)이요 민론(民論)이며 민의(民意)와 천명(天命)이 강조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제후(諸侯)와 같은 중간 지도자와 ‘지천명자(知天命者)’와 같은 현명한 신료가 중요한 존재가 되어 있다. 다분히 엘리트주의적이다. 세 논설에서 ‘옛날’과 ‘지금(또는 후세)’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방편의 성격이 강하다. 즉 현실의 좁은 인식의 한계를 넘어 현실을 지양할 수 있게 하고, 이념형을 대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를 지향할 수 있게 한다. 『경세유표』는 군주의 소임과 바람직한 군주상을 제시한 것으로, 군주권의 근거를 밝힌 세 논설과 그 논의의 초점이 다르다. 『경세유표』는 황극(皇極)으로 표현되는 강력한 군주와 ‘군주 중심의 일원적 관료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군주는 전제적 절대군주가 아니다. 왕정(王政)의 시행을 위해 공적(公的)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최종책임자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지도자의 부지런함과 치밀함을 요구하는 유위(有爲)의 정치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군주중심이고 사공적(事功的)이지만, 공적(公的) 존재로서의 신료를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유가적(儒家的) 특성을 벗어나진 않고 있다. 다산의 군-신-민의 3단계 구조에서 각자는 매우 적극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상호 보완적 성격을 띠지만, 문제적 상황에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와 비견할 만한 긴장관계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 There is logical consistency between "Wonmok (原牧)", "Tangron (蕩論)" and "Iljuseogeukeunpyeonbyeon (逸周書克殷篇辨)," which were all written by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In "Wonmok," he proved the origin of the monarch and declared that the legitimacy of power lay in people. He showed the principle of “Up from below (下而上)” again and the justification and limitations of changing the ruler in "Tangron". His discussion was summarized in “Jemyeong (帝命)” and “Hudae (侯戴)” in "Iljuseogeukeunpyeonbyeon". His monarch theory emphasized the will of the people and Heaven's will. Middle leaders such as Jehu (諸侯) and wise advisers who knew Heaven's will were also important. His discussion was rather elitist. In his three articles, he invoked two periods: the past and present. This was a kind of expedient to overcome cognitive limitations and suggest an opposite ideal type. Gyeongseyupyo (經世遺表) detailed what should been done by the monarch and what a desirable monarch is like. The three article outlined where the power of the monarch came from. In Gyeongseyupyo, a strong monarch as Hwanggeuk (皇極) and a unitary bureaucratic system are advocated. The strong monarch is not an absolute monarch, but the final man responsible for making the public system work efficiently to realize Wangjeong (王政). In this one-elite-people system, each position has a very positive meaning.

      • KCI등재

        붓다의 화합정신 강조와 그 현대적 의의 - 율 제정의 의미와 정신을 중심으로 -

        염중섭(자현) 대각사상연구원 2013 大覺思想 Vol.19 No.-

        율은 깨달음이라는 목적에 따른 수단이며, 수단은 목적을 위해서 복무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제도적인 특성상 처음에는 소속원을 위해서 구조화되지만, 결국 공포되면 이는 동시에 소속원을 규제하게 된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제도는 수단의 가치임에도 불구하고 목적화 되는 오류의 개연성을 내포한다. 본고는 불교승단의 제도인 율장의 의의를, 붓다의 근본정신과 관점의 문제를 통해서 보다 합리적인 입각점을 도출해 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Ⅱ장에서는 「율 제정의 이유와 목적」을 통해, 인도문화적인 배경과 붓다의 制律정신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제Ⅲ장에서는 「和合僧과 行籌人의 역할」을 통해서, 붓다 율 정신의 구체성에 대해서 파악해 보게 된다. 승가의 제1가치는 和合僧이다. 이와 관련해서 붓다의 의결제도 중 多人語에서 살펴지는 議長격인 행주인의 작위성에 대한 검토를 개진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붓다의 제율정신의 핵심이 和合僧과 如法性이라는 관점을 확보해 보게 된다. 끝으로 제Ⅳ장에서는 「불교의 군주론과 붓다의 승단운영 遺志」에 대해서 검토해 본다. 불교의 군주론은 승단인식에서 제출된 구조라는 점에서, 붓다와 승단이 가지고 있었던 권력에 대한 관점을 확보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서 우리는 율장에서 살펴지는 座長에 대한 인식을 보충 받아 볼 수 있는 동시에, 승단지도자의 역할에 대해서도 관점을 환기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제도는 변화를 통해서 생명력을 가진다. 즉, 제도는 특정 사회성 속에서의 한계적인 진리일 뿐이라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붓다의 근본정신을 정리하여 율의 탄력성을 되살리는 작업은 매우 의미 있는 노력이라고 하 겠다. Vinaya is a means for the purpose of awakening, and the means should serve for the purpose. Despite it, in its characteristics the vinaya is structured for the members at first but, once it is promulgated, it constraints the members after all. In this respect, though the system has just the value as a means, it includes the probability of error that the means becomes the purpose. This paper tries to derive a more rational ground for the meaning of vinaya a system of Buddhist Samgha through the Buddha's fundamental spirit and viewpoint. In that aspect, chapter II ‘The Reason and Purpose of Vinaya Establishment’ summarizes the background of Indian culture and Buddha's spirit in his vinaya establishment. In chapter III ‘Roles of Samagga-samgha(和合僧) and Sala-kaga-ha -paka(行籌人)’, the Buddha's vinaya spirit is examined more concretely. The first value of Samgha is the samagga-samgha. In relation with it, this chapter reviews the role of Sala-kaga-ha-paka who takes the president at the yebhuyyasika(多人語) in Buddha's decision-making system. Through this, we can recognize that the essence of Buddha's vinaya establishment is the samagga-samgha and the conformity. Finally, chapter IV deals with ‘Buddhist Monarchy Theory and Buddha's Legacy in Samgha Management’. In that the Buddhist monarchy theory is a structure derived from the samgha conception, it can reveal the viewpoints of Buddha and samgha about the power. Therefore, this can help us complement the conception of vinaya and at the same time re-consider the roles of samgha leaders. The system can have its vitality through the change. It means that the system is a limited truth available only in a specific society. In this respect, it will be a very meaningful effort to review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a and to revive the flexibility of vinay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