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개념과 유형

        한재영(Han, Jae you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의 목적은 국어학에서의 학문적인 융합이 뜻하는 바를 생각하여 보고, 융합의 유형을 살펴 국어학 연구가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점검하여 보는 데에 있다. 융합을 정당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국어학과 관련된 학문 분야와의 관계와 국어학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학문 분야 사이의 관계를 살피고 구체적인 작업내용들에도 관심을 가지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국어학과 국어학 외적인 학문과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학과 문학의 문체론(文體論, Stylistics), 국어학과 사전학의 국어사전학(國語辭典學, Korean Lexicography), 국어학과 전산학의 국어정보학(國語情報學, Korean Informatics) 그리고 국어학과 교육론의 국어교육론(國語敎育論, Korean Language Education)의 내용을 먼저 살폈다. 다음으로 국어학 내적 학문 영역 사이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통사, 형태음운, 통사의미 그리고 통사음운을 주제로 삼은 기존의 논의 목록을 살펴 국어학에서 융합을 다룬 양상을 보았다.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필요성을 보다 잘 느끼기 위하여 국어의 문법 현상 중의 하나인 ‘피동’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 피동이 파생이라고 하는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통사론적으로나 의미론적으로도 아울러 살펴야 할 주제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음운론 특히 성조론과 방언학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국어학에서 융합적인 사고와 접근 태도가 가지는 가치를 알 수 있었으며, 융합이 가지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학문에서의 성과가 전제가 된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manuscript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academic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and examine the direction to which a study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oriented by exploring the type of convergence. In order to understand convergence legitimately, the manuscript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fields related to Korean lingu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academic fields constituting Korean linguistics, and specific contents of work. This manuscript first explores Korean linguistics and stylistics in literature,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exicography,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informatics in computer science, and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ducation theory,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onvergence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cademic study of other linguistics-related fields. Next, it examines previous discussions on morphosyntax, morphophonology, syntactic semantics, and syntax-phonology,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convergence of various academic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spect of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n order to better explore the need for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t is confirmed that the grammatical phenomenon of passivity is a subject that needs to be considered, not only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passivity is derivation, but also from syntactic and semantic perspectives. Additionally, the manuscript confirms that phonology is closely related to issues of tonology and dialect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manuscript examines the value of convergent thinking and approach in Korean linguistics and points out that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become the premis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 KCI등재

        해방 후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의 경향 -1945~1950년 초기 국어학 연구자를 중심으로-

        이상혁 ( Sang Hyeok Lee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6

        이 논문에서는 해방 후 초기 북쪽의 국어학 연구 성과와 경향을 1945~1950년 사이에 북쪽을 선택을 국어학 연구자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기존의 국어학사가 해방 초기의 논의에서 북쪽의 국어학적 업적에 소홀한 면을 지적하였고, 통합적 국어학사의 서술을 위하여 1945~50년 사이의 시대 구분이 보다 엄밀할 필요가 있음을 본문에서 밝혔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북쪽을 선택한 국어학자의 초기 연구 성과와 그 의의를 김병제, 김수경, 류창선, 유열, 이극로, 이만규, 전몽수, 정열모, 홍기문, 유응호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자들은 사전 편찬, 국어사, 훈민정음, 음운론, 문법론, 국어 정책, 사회주의 언어학 등에 걸친 여러 분야에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를 남겼다. 그것은 말할 것도 없이 통합적인 국어학사의 중요한 서술 대상이다. 그리고 위의 제 학자들은 해방 후 학회 활동 및 학력에 따라 몇 계열로 나뉠 수 있었는데, 조선어학회나 조선어문연구회 등에서 활동한 이력 여부에 따라서 네 계열로, 국어학 및 언어학 전공 여부, 유학 여부에 따라서 세 계열로 갈라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 또한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자들의 성향을 읽어내는 데 그 의의가 있는 시도라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자 별 계열 분류는 해방 후 남쪽을 선택한 1세대 국어학자를 고려하여 좀더 포괄적인 학적 계열 파악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해방 이후 북쪽을 선택한 초기 국어학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루어낸 국어학적 연구 경향이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점을 분석하고 북한의 국어학적 연구 경향의 초기 정립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하겠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losely about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rend of North Korean linguistics with priority given to scholars who had chosen North Korea in the Liberation era(1945~1950). First of all, We try to premise the synthetic descrip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cluding scholars who had chosen North Korea and their research activities and trend in future. Second, We have inspected carefully the research results of scholars who had accomplished including Kim Byeongje, Kim Sugyeong, Ryu Changseon, Yu Yeol, Lee Geukro, Lee Mangyu, Jeon Mongsu, Jeong Ryeolmo, Hong Gimun, Yu Eungho. They had achieved much work on dictionary lexicography, history of Korean language, Hunminjeongeum, phonology, syntax, Korean language planning, social lingustics theory etc. These is an important object which must be descrip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Third, We have tested to divide the scholars into four groups in accordance with a learned society and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an academic background. This division is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attitude in North Korean linguistics in the Liberation era. Finally, the ultimate end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give a description of the synthetic descrip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y examining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rend of North Korean linguistics in the Liberation era(1945~1950)

      • KCI등재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9

        본고는 근대국어학사를 서술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국어학사와 관련한 선행 연구의 서술방법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면서 근대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학설사에 입각한 연구태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어학 이론으로서의 ‘학설’과 國語思想을 바탕으로 형성된 국어학의 ‘논리’를 종합한 국어학사를 서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서술방법론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시대구분의 문제를 다루었는데, 국어학의 연구 동향과 관련지어 時代區分의 구체적인 근거를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대국어학의 기점 문제, 근대와 현대의 구분 문제, 일제강점기의 성격 규정 문제 등이 주요하게 논의되었다. 4장에서는 서술대상과 관련하여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국어학에 끼친 영향’을 기준으로 연구자와 연구물의 범위를 한정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둘째는 국어학계에서 활동한 인물들의 국어학사적 위상을 밝히고 그 계보를 정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과제

        이상혁(Lee Sang-hyeo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6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의 국어학 관련 연구자 중심의 분석을 바탕으로 남과 북에서 서술된 국어학사 내용을 검토하고 국어학 학문 영역의 통합의 일환으로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그 과제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우리의 국어학은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해방이 된 후 1948년 남북이 분단되면서 국어학의 지향은 ‘(한)국어학’과 ‘조선어학’이라는 두 양상으로 균열과 분단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해방 이후 그러한 균열과 분단은 서로의 업적과 내용을 덮거나 배제하는 반쪽의 ‘어학사’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통합 국어학사 서술이의 당위성이 제기된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 초기 조선 ‘국어학’의 현황 및 분화를 언급고 공시적인 조선어 문법을 주로 천착한 ‘조선인’ 연구자 그룹과 역사적 측면에서 ‘조선어’를 연구한 일본인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조선 ‘국어학’ 연구자의 학력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각 어떤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국어학사’ 연구성과가 조선 ‘국어학’ 연구자의 학력과 정치적 선택에 따라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남북 근현대 국어학사 기점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남북 국어학사 서술에서 드러난 시대 구분과 쟁점,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에서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몇 문제를 개괄적으로 다루었으며, 남북 근현대 통합국어학사 서술의 당위성과 필요성 문제를 실증적 서술에 더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야 함을 추가로 언급하였다. 결국 이 논문에서는 남북 통합 국어학사를 지향한다는 목적에 맞게 선험적이거나 선언적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으로 남북이 함께 이 논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서술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전제되었고 그것이 이 논문이 지향하고 있는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diverse research conducted on the Korean language in South and North Korea between the early 20th century (the onset of the Japanese colonialis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ate 1940s. I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unified Korean language research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discusses the issues that may be raised in regard to producing a unified exami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we first demonstrate the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then categorize the researcher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thnicity and their focus in research. We also categorize the researchers during this perio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identify their research methods and preferences accordingly. For instance, we note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scholars of the two countries in identifying the periods of early modern and modern Korean. We point out that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is type of issue, due to its relatively empirically justifiable nature. We believe that our claim is a desirable consideration, particularly because our focus is not on issues tha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ased on different political viewpoints

      • KCI등재

        현대 국어학 개론서의 동향과 추이 연구

        이재섭 ( Lee Jae-seob )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8

        국어학 개론서는 국어학계에서 일반론으로 수용되는 국어학의 기초 이론과, 이를 뒷받침하는 학계의 주류 언어관을 반영하는 논저이다. 본 연구는 현대 국어학 개론서의 체제 구성을 시대별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계에 자리잡은 언어관의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이전 시기의 국어학 개론서는 이론언어학, 특히 형태론에 큰 비중을 두고 기술되었다. 1950년대∼1960년대에는 서구 언어학 이론이 유입되면서 이론언어학의 다양한 하위 분과가 국어학 개론서에 자리잡았다. 1970년대∼1980년대부터는 이론언어학의 각 하위 분과의 내용 구성의 비중이 균형 있게 정제되는 한편, 응용언어학의 하위 분과가 국어학 개론서에 편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2000년대부터는 응용언어학의 분과 확장이 더욱 가속화되었고, 2010년대 이후 국어학 개론서까지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이론언어학의 학술적 기반 위에 응용언어학의 영역으로 국어학의 저변이 확장되어가는 동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Introduction books to Korean linguistics reflect the basic theories of linguistics that are generally accepted in academia and the mainstream linguistic views that support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zation of Introduction books to Korean linguistics by time period and examines the trends and prospects of linguistic views in academia. Before the 1950s, introduction books to Korean linguistics were heavily weighted toward theoretical linguistics, especially morphology. In the 1950s and 1960s, accepted of Western linguistic theories,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b-branches of theoretical linguistics. From the 1970s and 1980s, the content of each subdivision of theoretical linguistics was refined and balanced, while the subdivisions of applied linguistics began to be organized. From the 1990s to 2000s, the expansion of applied linguistics subdivisions accelerated, and this trend has continued since the 2010s. This is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 trend of expanding the base of linguistics into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based on the academic foundation of theoretical linguistics.

      • KCI등재

        《國語學》 50년-총론적 고찰

        權仁瀚(Kwon In-Han)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7

        이 글은 국어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학회지 《國語學》 제1~56집 (1962, 1974~2009)에 실린 6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국어학 연구의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國語學》의 간행 주기, 수록 논문수 및 집필자에 관련된 각종 지표(집필자의 수, 연령, 지역 분포, 남녀 비율 등)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國語學》의 외형적인 성장세를 조명하였다. 조사 결과 부분적으로 문제점도 없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면에서 국어학회의 양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國語學》에 실려 있는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음운, 형태, 통사, 의미, 기타의 다섯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의 하위 주제별 논문들의 분포를 중심으로 연구 흐름 파악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분야별 논문들의 수를 종합한 결과, 전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치우침 없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본론의 논의를 요약ㆍ정리한 다음, 향후의 전망과 과제에 대한 필자의 관견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be a general survey on the researching tendencies of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JKL)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SKL). In chapter 2, Ⅰ have described the outward growth of JKL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ublishing period, number of papers and various indexes related to the authors, such as number, age, regional distribution and sex ratio. In spite of minor problems,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SKL was distinguished in general. In chapter 3, Ⅰ have divided the 640 papers of JKL into five fields, i.e.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et cetera, and tried to grasp the flow of research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sub-themes in each fiel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apers covered similarly in various fields without any bias in particular field. In chapter 4, Ⅰ have summarized the main subject, and made some suggestions on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the future of JKL.

      • KCI등재

        ≪國語學≫ 50년−의미 연구의 성과와 전망

        최경봉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7

        본고에서는 ≪국어학≫에 수록된 의미론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그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의미 연구를 전망하면서, ≪국어학≫이 의미론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응용언어학 및 국어학사와 관련한 연구의 성과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의미 연구의 경향을 통해 본 ≪국어학≫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역사적 탐구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국어학≫에 수록된 의미론 관련 논의에서 두드러진다. 이는 어휘사적 관점에서의 의미 연구가 두드러진 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국어 현실에 바탕을 둔 의미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다. 이는 한자어 연구, 방언 연구, 코퍼스 언어학의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새로운 학설과 새로운 학문적 조류에 대한 검증이 철저하였다. 이는 새로운 경향을 소개하는 논문을 싣되, 이후 국어학적 성과에 따라 후속 논문의 수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간 국어 의미론 논의가 역사적 관점의 연구, 새로운 이론의 국어학적 성과에 대한 점검 등에 소홀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특성은 주목할 만하다. 국어사상, 국어정책, 사회언어학, 국어학사 등과 관련한 논문 중에서는 국어학사 연구가 두드러졌는데, 훈민정음 관련 연구, 국어사 방법론의 모색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형태론

        구본관 ( Koo Bon-kwan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국어학회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학회지《국어학》제1~90집에 실린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언어학 이론의 변화에 따른 형태론 연구의 변화를 잘 보여 주는 논문들과 통시 및 공시적인 자료를 대상으로 한 주요한 논문들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형태소 분석 방법, 조어론, 굴절론, 품사론으로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논문 중에서 본고의 관점에서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논문들을 살펴 보았다. 논의의 결과 다음 몇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국어학》 창간 초기에는 구조주의 이론이나 생성 문법 초기 이론에 따라 새롭게 제기되는 형태론적 문제를 소개하는 논문이 주로 실렸다. 둘째, 최근에는 유추에 의한 단어 형성이나 어휘부 중심의 단어 형성에 관한 논의들처럼 다른 학술지에 실린 논의가 어느 정도 학계에서 자리를 잡게 되면 《국어학》에 실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학술지가 많지 않던 시기에는 《국어학》 이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학술지의 성격을 가지다가 이후에는 특정 논의가 학계에서 중요한 주제로 정착되었음을 인증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국어학회는 국어학 연구의 과거이자, 현재이며, 미래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어학》이 학술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최근의 이론적인 변화도 수용하여 세계적인 학술지로 성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Korean morphology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papers that show the change of morphology research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nguistic theory, and the papers that refer mainly to data. In Chapter 3, important papers are mentioned by dividing the domain of morphology into morphemic analysis, word formation, inflection, and parts-of-speech.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we could see a few things: First, in the early days, the journal published a paper introducing morphology theory to Korea. Second, recently, after a new topic is published in another journal, it tends to b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if 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opic. This suggests that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has a role in certifying that a discussion is an important topic.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language research. To do this, we must strive to make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the world's leading journal.

      • KCI등재

        國語學의 硏究分類 體系

        남기탁(Nam, Ki-Ta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國語學 硏究의 변화에 따라서 國語學의 下位 領域도 점차 細分化되었고 硏究 主題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國語學의 體系도 傳統的인 分類에서 벗어나 새로운 領域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國語學을 포함하는 硏究分野를 體系的으로 나눈 것은 韓國硏究財團(舊學術振興財團)의 硏究分野 分類體系가 유일하였지만 지난 2008년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로 人文社會科學 分野가 추가되면서 두 체계가 현재까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硏究 分類에 대한 改正의 意見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標準分類와의 연계성, 硏究 分類의 連續性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분류 체계의 필요성이 이 課題의 출발점이 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國語學 分野의 下位領域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現行 分類 體系를 批判的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分類 體系를 분석하였다. 우선 ‘個別 言語名+學問 分野’라는 表記原則에 따라 각 學問分野의 명칭을 전체적으로 통일하여 표기하였고 실제 硏究 分野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應用國語學은 그 下位 領域과 重複이 되므로 삭제하고 國語情報學은 코퍼스언어학의 신설과 함께 삭제하였다. 또 國語敎育學과는 별도로 韓國語敎育學을 설정하였고 北韓語學은 ‘其他 言語學’에서 국어학의 方言論과 통합하였지만 현실성을 고려하여 ‘국어방언론/북한어학’으로 倂記하였다. 또 ‘國語史’와 ‘國語系統論’을 統合하면서 倂記하였고 ‘國語學史’는 별도의 분야로 분리하였다.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has a plan to undertake a major revision of the current Korean Linguistics Research Classification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KOSEF). The current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NSCST) is not necessarily a final one but will need to be revised regularly, as in the case of the Frascati Manual that was revised after ten years of implementation. In this paper, the validity of the current Korean Linguistics Research Classification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current NSCST. Empirical studies can aid in improving the basis of the Reseach Classification. And I investigated relevant classification and conducted demand survey about Korean Linguistics classification around the world. A good classification system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providing a set of unifying constructs helping to describe systematically the area of interest, predicting future development areas, and being a means to an end, helping, for instanc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hat is classified and other variables.

      • KCI우수등재

        광복 70년, 국어학의 여정과 통일 좌표

        홍종선(Hong, Jong-seon)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광복 이후 70년간 국어학 연구의 성과를 돌아보고 남북 통일시대를 맞이할 국어학 연구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하였다. 비록 남과 북으로 나뉘어 서로 간에 언어와 연구의 교류는 없었지만 각자의 언어관과 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국어학 연구는 상당한 폭과 깊이를 확보하였다. 이는 근대 전환기 이후 민족의식을 가지고 우리말 연구를 꾸준히 키워 온 국어학자들의 수준 높은 연구가 초석이 된 것이다. 품사론 중심의 연구가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아 형태소 분석이나 어미와 접사 등 형태론에 관심을 가졌지만, 곧이어 들어온 생성문법은 통사론을 위주로 문법범주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해 나갔다. 음운론에도 새로운 이론들이 적용되고 점차 의미론이나 화용론 등 연구 분야가 확대되어 나갔으며, 최근에는 인지언어학, 텍스트이론, 기능문법 등 다양한 서구의 언어학 이론들을 바탕으로 담화 문법을 열어 가고 있다. 그 동안 국어학은 외래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 한국어의 특성에 맞는 국어학 이론의 개발도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남북통일을 앞두고 민족어의 미래를 설계하는 남북 공동의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looked back at the fruits of Korean linguistics study in the past 70 years, and looked ahead for the future of Korean linguistics in a reunification-era. Although North and South Korea are currently separated with no language or academic communication, both sides of Korean linguistic studies have achieved results of great broadness and depth with their own linguistic concepts and theories. Those were the results of Korean linguists after the modern-transition period, who held fast to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and never stopped pursuing high standard research. Korean linguistics initially centered around the discussion of part of speech. Later, Under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al grammar, linguists shifted their focus to morphology with topics on morphological analysis, endings and suffixes and so on. When Generative grammar was introduced, the center of study shifted to syntax, and varies grammar categories were researched as a whole. Meanwhile, new theories were also applied in the area of phonology, and Korean linguistics have also expanded into semantics and pragmatics. Recently, new trends of western linguistics, such as cognitive linguistics, text linguistics, and functional linguistics, began to find their way into mainstream Korean linguistics study, which launched research on discourse grammar. In the past 70 years, Korean linguistic researches actively embraced western theories and achieved fruitful results. It is now time to develop linguistics theories specifically for Korean basing on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lso, at the dawn of reunifica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re are more and more joint studies of North and South linguistics that map out a future for the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